맨위로가기

로버트 하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하트는 아일랜드 출신의 외교관으로, 1863년부터 1908년까지 청나라 해관 총세무사로 재직하며 중국의 관세 제도를 개혁하고 근대화에 기여했다. 그는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를 졸업하고 중국 영사관에서 근무하다가, 1859년 광저우 세관 부국장을 거쳐 1863년 총세무사가 되었다. 하트는 중국의 항구 및 항해 시설 개선에 기여했으며, 옌타이 조약, 의화단 운동 이후의 평화 협상 등에도 참여했다. 그는 또한 중국 근대화를 위한 제안을 했으며, 베이징에 동문관을 설립하여 중국인들의 외국어 교육을 지원했다. 그는 다양한 훈장을 받았으며, 1911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준남작 - Sir
    Sir는 남성에 대한 존칭으로, 기사 작위나 준남작 작위를 받은 남성에게 사용되며, 영국을 비롯한 영연방 국가에서 훈장을 수여받은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Sir' 칭호의 사용법은 칭호 사용 자격, 여성형 칭호인 '데임(Dame)' 및 '레이디(Lady)'의 사용법과 관련되어 있다.
  • 아마주 출신 - 토미 메이컴
    토미 메이컴은 북아일랜드 출신으로 아일랜드 전통 음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세계에 알리고 더 클랜시 브라더스 멤버로 활동하며 인기를 얻은 포크 음악가, 작곡가, 시인이다.
  • 아마주 출신 - 프랭크 에이킨
    프랭크 에이킨은 아일랜드 독립 전쟁 참전 용사이자 IRA 지도자로서 아일랜드 내전에도 참여했으며, 피아나 파일 창당 후 국방부 장관, 외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아일랜드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정치인이다.
  • 의화단 운동 관련자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의화단 운동 관련자 - 허드슨 테일러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 내륙 선교회를 설립하고 중국 문화 존중과 믿음 선교 원칙을 통해 51년간 중국 선교에 헌신한 영국의 개신교 선교사이다.
로버트 하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로버트 월터 하트
출생1835년 2월 20일, 아마주 포터다운, 얼스터, 아일랜드
사망1911년 9월 20일 (향년 76세), 그레이트 말로, 버킹엄셔주, 잉글랜드
안장지비셤, 버크셔주, 잉글랜드
국적영국
직책
직책제2대 중국 해관 총세무사
임기 시작1863년 11월 15일
임기 종료1911년 9월 20일
군주동치제
광서제
선통제
전임자호레이쇼 넬슨 레이
후임자프랜시스 아글렌
개인 정보
로버트 하트 경
로버트 하트 경
학력퀸스 칼리지, 벨파스트
서훈
훈장GCMG

2. 생애

로버트 하트는 아일랜드 얼스터 아마주 포터다운에서 태어났다. 1853년 퀸즈 칼리지를 졸업하고 이듬해 홍콩에서 중국어를 배운 후 닝보로 옮겼다. 1858년 광동 영사관 연합군 군정청 장관, 이듬해 광동 해관 담당 세무사를 거쳐 1863년 총세무사가 되었다. 이후 40년 가까이 중국에서 활동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다.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외교 교섭에 참여했다. 1908년 휴가를 받아 귀국, 1911년 총세무사 재직 중 사망했다. 사후 상하이 해관 앞에 동상이 세워졌으나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로버트 하트는 1835년 2월 20일, 아일랜드 얼스터 아마주 포터다운의 덩가논 스트리트에 있는 작은 집에서 태어났다.[7] 그는 증류소에서 일하던 헨리 하트(1806–1875)와 발리브레이의 존 에드가의 딸 사이에서 태어난 12명의 자녀 중 장남이었다. 하트의 아버지는 독실한 감리교 신자였다.[7]

12세 때, 하트의 가족은 러 네이 강둑에 있는 매거리 근처의 밀타운으로 이사하여 1년 동안 그곳에 머물렀다. 이후 다운 카운티의 힐스보로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처음 학교에 다녔다. 그는 잉글랜드 토턴의 감리교 학교에 1년 동안 보내져 처음으로 라틴어를 배웠다. 이후 더블린의 감리교 협회 학교 (현재 웨슬리 칼리지 더블린)에 다녔다.[7]

15세에 벨파스트 퀸스 칼리지에 입학하여 장학금을 받으며 공부했다. 그는 랄프 왈도 에머슨의 ''에세이''에 영향을 받았으며, 대학 재학 중 제임스 맥코시의 총애를 받았다.[8] 1853년, 18세의 나이에 B.A.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 그는 문학 및 논리학과 형이상학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수석 장학생이라는 영예를 안았다.[8][9] 졸업 후 석사 학위를 공부하려 했으나, 1854년 봄에 퀸스 칼리지로부터 중국 영사관에 임명되었다.[8][9]

2. 2. 중국에서의 영사관 근무

1854년 5월, 하트는 런던의 외무부를 거쳐 중국으로 떠났다.[10] 홍콩에서 통역생으로 3개월간 근무한 후, 닝보의 영국 영사관으로 배속되었다. 1855년, 포르투갈인 동료와의 갈등으로 영국 영사가 정직당하자 하트는 몇 달 동안 그의 직무를 대신했다. 1857년 6월 26일 닝보 학살 당시에도 닝보에 거주하고 있었다.[11]

1858년 3월, 하트는 광저우로 전근되어 도시를 통치하는 연합 위원회의 서기로 해리 스미스 파크스의 지휘를 받았다. 1858년 10월, 러더퍼드 올콕 휘하의 광저우 영국 영사관에서 통역관이 되었다. 1859년, 중국 총독의 제안으로 상하이의 중화해관과 유사한 세관을 광저우에 설치하는 일을 돕게 되었고, 세관 부국장 직을 제안받아 수락했다. 영국 정부에 영사직 사임을 요청하여 허락받고, 1859년 5월에 세관에 합류했다.[12]

2. 3. 중국 해관 총세무사

1859년부터 1861년까지 하트는 광저우 세관 운영을 위한 규정을 작성했다. 1861년, 호레이쇼 넬슨 레이가 영국으로 휴가를 떠나자, 조지 헨리 피츠로이와 함께 임시 감찰관으로 임명되었다. 톈진 조약 비준 이후, 새로운 세관 구조 마련을 위해 중국 전역을 돌아다녔다.[13] 같은 해, 총리아문에 오스본 함대 구매를 권고했다.

1863년 11월, 레이가 해임되면서 영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 정식으로 총세무사(Inspector-General)에 임명되었다. 총세무사로서 하트의 주요 임무는 관세 징수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스템을 더 많은 항구와 내륙 국경으로 확장하고, 운영을 표준화하며, 효율성과 정직성을 높이는 것이었다.[14] 하트는 중국의 항구 및 항해 시설 개선에 기여했다.

1865년, 공친왕에게 중국 근대화를 위한 제안을 담은 메모를 제출했다. 현대적인 우편 서비스와 무역에 대한 내부 세금 감독 업무를 해관의 책임에 추가했다. 하트는 중국이 외국에 자체 대사관을 설립하도록 설득했다. 1862년, 공친왕과 함께 베이징에 동문관 (합동학원)을 설립하고 광저우에 분교를 설립하여, 중국인들이 외국어, 문화, 과학을 배울 수 있도록 했다.

옌타이 조약(1876년, 영국과의 전쟁 위기 해결), 1884년 푸저우에서의 프랑스 해군 공격 이후 평화 협상 등에 기여했다.[18] 1885년, 베이징 주재 전권 공사로 임명될 뻔했으나, 세관 업무의 중요성을 이유로 거절했다.

의화단 운동 이후, 8개국 연합의 베이징 점령과 서태후, 광서제의 피난 상황에서 중국 측 협상 대표로 참여했다.

1908년 4월, 휴가를 떠났고, 1910년 은퇴할 때까지 총세무사 직을 유지했다. 그의 처남인 로버트 브레든 경이 잠시 그 뒤를 이었고, 그 다음에는 프랜시스 에이글렌 경이 정식으로 그 뒤를 이었다.[9]

2. 4. 사망

赫德|허더중국어는 1908년에 휴가를 받아 귀국하였고, 3년 후인 1911년 총세무사 재직 중 사망했다.

3. 개인 생활

하트는 중국에서 성 노동자를 구매하여 성관계를 가졌으며, 이들과의 사이에서 세 자녀를 두었다.[21] 1866년, 18세의 헤스터 브레돈과 더블린에서 결혼하여 정식 가정을 꾸렸다.[22] 브레돈과의 사이에서도 자녀를 두었으나, 10년 후 브레돈은 아이들을 데리고 잉글랜드로 돌아갔다.[21] 하트는 한동안 중국 성 노동자 구매를 재개했다가, 1883년부터 독신 생활을 했다.[21]

하트는 세 명의 적자녀가 성인이 된 후의 삶에 실망했지만, 자신이 본보기를 보여주지 못하는 무관심한 아버지였음을 인정했다.[23] 그는 성 노예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이들의 성장 과정에 관심을 가졌고, 마지막 10년 동안 법적 선언을 통해 그들을 인정했다.[26]

4. 수상 및 영예

로버트 하트는 4개의 세습 작위, 15개의 기사단 훈장(1등급), 기타 많은 명예 학술 및 시민 표창을 받았다.

그의 능력은 중국과 서방 양쪽에서 인정받았다. 그는 중국 정부로부터 최고 등급의 단추인 '''홍단''', '''공작 깃털''', '''쌍룡 훈장''', '''3대에 걸친 1등급 조상 훈장'''을 받았고, 1901년 12월에는 '''태자 부사'''라는 명예 칭호를 받았다.[31] 영국 정부로부터는 성 미카엘 및 성 조지 훈장 ''CMG'', ''KCMG'', ''GCMG''를 받았으며, 준남작 작위를 받았다. 1900년에는 프로이센 왕관 훈장 (1등급)을, 1906년에는 단네브로 훈장 대십자장을 받았다.[32]

북아일랜드 포트다운에 있는 로버트 하트 기념 학교


그의 이름은 홍콩 침사추이의 하트 애비뉴에 남아있다. 과거 베이징 공사관 구역[33]과 상하이에도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었다. 1935년에는 북아일랜드 포트다운에 "로버트 하트 기념 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34]

하트는 중국 장님도마뱀의 한 종인 ''Dopasia harti''의 학명으로 기념되고 있다.[35]

사후에는 중국 정치 전통에 따라 "부" 계급으로 승진하고 '''태자 태부'''라는 칭호를 받았다.

4. 1. 구체적인 수상 목록

수여 연도훈장 및 학위
1870
바사 훈장 기사 2등급 (스웨덴)
1870
프란츠 요제프 훈장 사령관 (오스트리아-헝가리)
1873 프란츠 요제프 훈장 대십자장 (오스트리아-헝가리)
1875
명예 문학 석사, 벨파스트 퀸즈 칼리지
1881
1등 홍색 단추 (중국)
1882 명예 법학 박사, 벨파스트 퀸즈 칼리지
1882
성 미카엘 및 성 조지 훈장 기사단 (KCMG, 영국)
1885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랜드 오피서 (프랑스)
1885-- 쌍룡 훈장 1등 2등급 (중국)
1885-- 공작의 깃털 (중국)
1885
비오 9세 훈장 기사 사령관 (교황청)
1886
명예 법학 박사, 미시간 대학교
1888
그리스도 훈장 대십자장 (포르투갈)
1889 성 미카엘 및 성 조지 훈장 기사단 대십자장 (영국)
1889-- 3대 1등 조상 계급 (중국)
1893 아마 군 킬모리아티 준남작
1893
레오폴드 훈장 그랜드 오피서 (벨기에)
1894
북극성 훈장 사령관 대십자장 (스웨덴)
1897
오라녜나사우 훈장 기사단 대십자장 (네덜란드)
1900
프로이센 왕관 훈장 1등급 (프로이센)
1901-- 태자 소보 (중국)
1906
이탈리아 왕관 훈장 기사단 대십자장 (이탈리아)
1906
욱일장 1등급 (일본)
1906 레오폴드 훈장 그랜드 코르돈 (벨기에)
1907
성 안나 훈장 1등급 (러시아)
1907
안남 용 훈장 대십자장 (프랑스)
1907
성 올라브 훈장 대십자장 (노르웨이)


5. 평가와 비판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6. 기타

로버트 하트 경의 문서와 서신(MS 15)은 벨파스트 퀸즈 대학교 특수 컬렉션 & 기록 보관소와 런던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 기록 보관소 및 특수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28][29][30]

참조

[1] 서적 Hart, Sir Robert, first baronet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 서적 William Scott Ament and the Boxer Rebellion McFarland 2009
[3] 뉴스 Affairs of Our Hart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3-11-09
[4] 문서 Chang, p. 78
[5] 뉴스 Five ways China's past has shaped its present https://www.bbc.com/[...] BBC News 2018-04-20
[6] 서적 Sun Yat Sen and the Awakening of China https://archive.org/[...] Fleming H. Revell Company 1912
[7] 문서 Bredon, pp. 9–14
[8] 문서 Bredon, pp. 14–24
[9] 논문 Sir Robert Hart and His Life Work in China 1913-07
[10] 문서 Bredon, pp. 24–5
[11] 문서 Bredon, pp. 31–42
[12] 문서 Bredon, pp. 42–52
[13] 문서 Bredon, pp. 55–60
[14] 문서 E.B. Drew,1913
[15] 문서 Jung Chang, 'Empress Dowager Cixi', Vintage Books, London 2013 pg. 80
[16] 웹사이트 Hart v Van Gumpach (China and Japan) [1873] UKPC 9 (28 January 1873) http://www.bailii.or[...] 1873-01-28
[17] 문서 Fairbank et al, comment pp. 14–15 and several of his contemporary letters to Campbell
[18] 문서 Fairbank et al, 1975, letters to Campbell, many letters between 519 and 559. Letter 550 includes his letter of explanation to Lord Granville
[19] 서적 China and the international system, 1840-1949 : power, presence, and perceptions in a century of humilia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8
[20] 웹사이트 Remembering Sir Robert Hart | British Inter-University China Centre https://www.bicc.ac.[...]
[21] 서적 The Whites are Enemies of Heaven: Climate Caucasianism and Asian Ecological Protection Duke University Press 2020
[22] 문서 Smith R.J. et al, 1978
[23] 문서 Tiffen 2012
[24] 문서 Smith et al 1991
[25] 문서 Fairbank et.al
[26] 문서 Li and Wildy,2003
[27] 문서 70th birthday tribute, Queen's University Belfast Hart archive, MS15.8,J.
[28] 웹사이트 Special Collections – Information Services – Queen's University Belfast http://www.qub.ac.uk[...] 2016-05-18
[29] 간행물 A Report on the Robert Hart Papers at Queen's University, Belfast NI. https://www.jstor.or[...] 1974
[30] 웹사이트 SOAS University of London http://www.soas.ac.u[...]
[31] 뉴스 Latest intelligence -China The Times 1901-12-13
[32] 뉴스 Court Circular The Times 1901-03-12
[33] 웹사이트 Rue Hart http://www.drben.net[...]
[34] 웹사이트 Hart Memorial Primary School http://www.hartmemor[...] 2014-09-29
[35]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36] 서적 Burke's Peerage
[37] 웹사이트 Grants and Confirmations of Arms, Vol. H https://catalogue.nl[...] National Library of Ireland 1880-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