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는 1997년 창단된 WNBA 소속 농구팀이다. 2001년, 2002년, 2016년에 WNBA 챔피언십을 차지했으며, 리사 레슬리를 비롯한 여러 명의 명예의 전당 헌액 선수와 올스타 선수들을 배출했다. 현재는 린 로버츠가 감독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우드 (캘리포니아주)의 스포츠 - 소파이 스타디움
소파이 스타디움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잉글우드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HKS사가 설계하고 최대 100,240명을 수용 가능하며, NFL팀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슈퍼볼, 레슬매니아, 월드컵, 올림픽 등 주요 행사가 개최될 예정이다. - 잉글우드 (캘리포니아주)의 스포츠 - KIA 포럼
KIA 포럼은 1967년 건설된 다목적 경기장으로, NBA와 NHL 팀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기아자동차에 명명권이 판매되어 다양한 스포츠 경기와 콘서트가 개최되는 곳이다. - 로스앤젤레스의 스포츠 -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스포츠 아레나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스포츠 아레나는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다목적 실내 경기장으로, NBA 레이커스와 클리퍼스, NHL 킹스 등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1960년 민주당 전당대회, 1984년 하계 올림픽 복싱 경기, 레슬매니아 VII과 같은 주요 이벤트가 개최되었으나 2016년 BMO 스타디움 건설을 위해 철거되었다. - 로스앤젤레스의 스포츠 - 2028년 하계 패럴림픽
2028년 하계 패럴림픽은 2028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23개 종목으로 개최될 예정이며, 파라클라이밍이 포함된다. - 캘리포니아주의 농구팀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는 1946년 창단되어 미네소타를 거쳐 로스앤젤레스로 연고지를 옮긴 NBA 농구팀으로, 17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NBA 최다 우승팀 중 하나이다. - 캘리포니아주의 농구팀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는 NBA 서부 컨퍼런스 퍼시픽 디비전 소속의 로스앤젤레스 연고 프로 농구단으로, 1970년 창단 후 샌디에이고를 거쳐 로스앤젤레스로 이전했으며, '롭 시티' 시대를 거쳐 카와이 레너드와 폴 조지 영입 후 서부 컨퍼런스 우승을 노리고 2024-25 시즌부터 인튜이트 돔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 |
원어 명칭 | Los Angeles Sparks |
종목 | 농구 |
리그 | WNBA |
콘퍼런스 | 서부 콘퍼런스 |
연고지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홈 경기장 | 크립토닷컴 아레나 |
창단 | 1997년 |
역사 |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 (1997년~현재) |
상징색 | 스파크스 퍼플, 금색, 틸색, 검정색 |
스폰서 | EquiTrust Life Insurance |
웹사이트 | sparks.wnba.com |
![]() | |
구단 정보 | |
구단주 | 스파크스 LA 스포츠 (Sparks LA Sports) |
구단주 구성원 | 마크 월터, 매직 존슨, 스탠 카스텐, 토드 보엘리, 바비 패튼, 에릭 홀먼 |
단장 | 레이건 페블리 |
감독 | 린 로버츠 |
성적 | |
리그 우승 | 3회 (2001, 2002, 2016) |
콘퍼런스 우승 | 5회 (2001, 2002, 2003, 2016, 2017) |
유니폼 |
2. 역사
1997년 WNBA 창립과 함께 리그에 참가한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는 초창기에는 플레이오프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 1999년 리사 레슬리를 중심으로 첫 플레이오프에 진출, 서부 컨퍼런스 결승까지 올랐으나 휴스턴 코메츠에게 패했다. 2000년 정규리그에서 28승 4패의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다시 코메츠에게 발목을 잡혔다.
2001년 마이클 쿠퍼 감독 부임 후, 스파크스는 다시 한번 정규리그 28승 4패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 코메츠를 꺾고 WNBA 파이널에 진출하여 샬럿 스팅을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1] 2002년 WNBA 파이널에서 뉴욕 리버티를 꺾고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1] 2003년 3년 연속 우승에 도전했지만, WNBA 파이널에서 디트로이트 쇼크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1]
이후 스파크스는 침체기를 겪으며 플레이오프 진출과 탈락을 반복했다. 2006년 시즌 후 구단주 변경, 리사 레슬리의 임신으로 인한 결장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1]
캔데이스 파커를 중심으로 팀을 재정비한 스파크스는 2016년 14년 만에 WNBA 파이널에서 미네소타 링스를 꺾고 세 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6]
2. 1. 창단 초기 (1997-2000)
1997년 WNBA 시즌은 리그의 첫 번째 시즌으로,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와 뉴욕 리버티의 경기 (잉글우드)의 스파크스 홈 경기장(더 포럼)에서 시작되었다. 스파크스는 이 경기에서 57-67로 패했다. 스파크스 선수 페니 톨러는 경기 시작 59초 만에 레이업 슛으로 리그 첫 2득점을 기록했다. 스파크스는 14승 14패의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다. 팀은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해 경쟁했지만,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피닉스 머큐리에게 패배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1998년 WNBA 시즌에서 스파크스는 12승 18패로 다시 한번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1999 시즌은 리사 레슬리의 성장과 스파크스의 첫 플레이오프 진출을 특징으로 하며, 스파크스는 20승 12패의 기록을 세웠다. 스파크스는 새크라멘토 모나크스를 꺾고 첫 플레이오프 경기와 시리즈에서 승리했다. 서부 컨퍼런스 결승전에서, 스파크스는 3경기 시리즈에서 디펜딩 챔피언 휴스턴 코메츠에게 2-1로 패했다.
2000 시즌은 스파크스가 28승 4패의 기록을 세우면서 역대 최고의 시즌 중 하나가 되었으며, 이는 리그 역사상 최고 기록이며 1998년 휴스턴 코메츠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좋은 기록이었다. 플레이오프에서 스파크스는 1라운드에서 피닉스 머큐리를 꺾었지만, 서부 컨퍼런스 결승전에서 다시 코메츠에게 휩쓸리면서 패했다. 결국, 스파크스는 최초의 4번의 WNBA 챔피언십을 차지한 코메츠의 그림자에 가려졌다.
2. 2. 전성기 (2001-2003)
마이클 쿠퍼를 감독으로 임명하면서 코칭 스태프에 변화를 준 스파크스는 2001년 정규 시즌에서 28승 4패의 성적을 다시 기록했다. 2001년 플레이오프에서 스파크스는 마침내 코메츠를 꺾고 1라운드에서 스윕을 달성했다. 스파크스는 3경기를 모두 승리하며 모나크스를 탈락시키고, WNBA 파이널에 처음 진출하여 샬럿 스팅을 2–0으로 스윕하며 구단 역사상 첫 번째 리그 챔피언십을 차지했다.[1]2002년에는 레슬리가 리그 역사상 최초로 경기 중 덩크슛을 성공시켰고, 스파크스는 다시 정규 시즌을 지배하며 25승 7패의 성적을 기록했다. 스파크스는 이후 플레이오프에서 시애틀 스톰과 유타 스타즈를 모두 스윕하며 승리했다. 파이널에서 스파크스는 첫 번째 챔피언십을 노리는 리버티와 맞붙었다. 니키 티즐리가 2차전 막판에 3점 슛을 성공시키면서 스파크스는 2연패를 달성했다.[1]
2003년, 스파크스는 24승 10패의 성적을 기록하며 "3연패"를 노리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미네소타 링크스와 새크라멘토 모나크스를 꺾고, 1, 2라운드 모두 3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했다. 스파크스는 결승전에서 신흥 강호 디트로이트 쇼크를 만났다. 쇼크는 2002년 WNBA 시즌에 WNBA 최악의 팀이었지만, 놀라운 반전을 보여주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은 마이클 쿠퍼 (스파크스)와 빌 레임비어 (쇼크) 감독의 관계에 불이 붙어 치열한 경기가 펼쳐졌다. 두 감독은 NBA 시절부터 앙숙 관계였다. 결승까지의 험난한 여정과 쇼크의 거친 플레이는 스파크스를 지치게 했고, 결국 2승 1패로 시리즈에서 패배하며 3연패에 실패했다.[1]
2. 3. 침체와 재도약 (2004-2015)
뉴욕 리버티에서 뛰었던 타미카 휘트모어와 테레사 웨더스푼을 영입했다. 시즌 초반 스파크스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코퍼 코치가 시즌 중반에 NBA 코치직을 구하기 위해 팀을 떠났다. 코치의 부재는 팀의 시즌 부진에 영향을 미쳤고, 최종 성적은 25승 9패로 마무리되었다. 플레이오프에서 팀은 새크라멘토 모나크스에게 3경기 만에 패했다.[1]2005년, 스파크스는 17승 17패로 부진한 시즌을 보냈다. 4번 시드로 간신히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1라운드에서 챔피언이 된 모나크스에게 완패했다.[1]
2006년, 스파크스는 25승 9패로 좋은 성적을 거두며 플레이오프에 진출, 시애틀 스톰을 3경기 만에 꺾었다. 그러나 서부 컨퍼런스 결승에서 모나크스에게 패하며 시즌을 마감했다.[1]
2006 시즌 후, 구단주 제리 버스는 스파크스를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2006년 12월 7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캐시 굿먼과 칼라 크리스토퍼슨이 이끄는 투자 그룹에 매각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굿먼은 인터미디어 필름스(Intermedia Films)의 전 임원이고, 크리스토퍼슨은 오멜버니 & 마이어스(O’Melveny & Myers) 법률 회사의 소송 변호사이며, 1989년 미스 노스다코타 USA였다. 매각 발표 다음 날, 팀의 스타 선수 리사 레슬리는 임신으로 2007 시즌에 출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스파크스는 10승 24패로 리그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며 1998년 이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1]
2. 4. 두 번째 전성기 (2016-2020)
캔데이스 파커의 부상 복귀와 여러 선수 영입에도 불구하고,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는 2016년 이전까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거두었다. 2014년과 2015년 시즌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각각 피닉스 머큐리와 미네소타 링스에게 1라운드에서 패배했다.[6]2. 5. 현재 (2021-)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2021년 이후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3. 역대 경기장
경기장 | 사용기간 | 수용인원 | 장소 | 비고 |
---|---|---|---|---|
그레이트 웨스턴 포럼 | 1997년~2000년 | 17,500명 | 캘리포니아주 잉글우드 | 더 포럼 (1997년~1998년) |
크립토닷컴 아레나 | 2001년~현재 | 19,060명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스테이플스 센터 (2001년~2021년) NBA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의 홈경기장 |
게일런 센터 | 2012년, 2016년 | 10,258명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2012년 콘퍼런스 세미파이널 1차전 홈 경기장 2016년 WNBA 파이널 3차전 홈 경기장 |
월터 피라미드 | 2016년, 2024년 | 4,200명 | 캘리포니아주 롱비치 | 2016년 플레이오프 2라운드 홈 경기장 2024년 정규시즌 2경기 개최 |
로스앤젤레스 컨벤션 센터 | 2021년 | -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제2홈 구장[39] |
4. 선수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는 리사 레슬리(9번), 페니 톨러(11번)를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27][28][29] 톨러는 선수 은퇴 후 2000년부터 현재까지 단장으로 재직 중이다.
2017 시즌, 스파크스는 선수단 변화를 겪었다. 톨리버는 워싱턴 미스틱스로 이적했고, 첼시 그레이가 주전 포인트 가드가 되었으며, 오디세이 심스 영입, 시드니 비제를 드래프트했다. 핵심 선수들을 유지하며 리그 2위(26승 8패)를 기록, 준결승에서 피닉스 머큐리를 꺾고 2시즌 연속 결승에 진출했다.
2018년, 스파크스는 19승 15패(6번 시드)로 플레이오프에 진출, 미네소타 링스를 꺾었으나 2라운드에서 워싱턴 미스틱스에게 패했다.
2018 시즌 후 브라이언 애글러 코치가 사임하고,[11] 데릭 피셔가 후임으로 임명되었다.[12] 2019 시즌 후에는 페니 톨러 단장이 해임되었다.[13]
4. 1. 영구 결번
4. 2. 역대 주요 선수
다음은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에서 활약한 주요 선수들의 기록이다.연도 | 선수 | 포지션 | 비고 |
---|---|---|---|
1997 | 리사 레슬리 | 센터 | 올-WNBA 퍼스트 팀, 정해하 스포츠 정신상 수상 |
1998 | 리사 레슬리 | 센터 | 올-WNBA 세컨드 팀 |
1999 | 리사 레슬리 | 센터 | 올-WNBA 세컨드 팀, 올스타전 MVP |
2000 | 리사 레슬리 | 센터 | 올-WNBA 퍼스트 팀, 마이클 쿠퍼 올해의 코치상 수상 |
므와디 마비카 | 포워드 | ||
델리샤 밀턴 | 가드 | ||
2001 | 타메카 딕슨 | 가드 | 올-WNBA 세컨드 팀 |
리사 레슬리 | 센터 | 최우수 선수, 파이널 MVP, 올-WNBA 퍼스트 팀, 올스타전 MVP, 라타샤 바이어스 최고의 선수(FG%) | |
라타샤 바이어스 | 포워드 | ||
2002 | 타메카 딕슨 | 가드 | |
리사 레슬리 | 센터 | 올-WNBA 퍼스트 팀, 파이널 MVP, 올스타전 MVP | |
므와디 마비카 | 포워드 | 올-WNBA 퍼스트 팀 | |
2003 | 타메카 딕슨 | 가드 | |
리사 레슬리 | 센터 | 올-WNBA 퍼스트 팀 | |
니키 티즐리 | 가드 | 올-WNBA 세컨드 팀, 올스타전 MVP | |
2004 | 므와디 마비카 | 포워드 | |
니키 티즐리 | 가드 | 올-WNBA 세컨드 팀, 리사 레슬리 최우수 선수, 올해의 수비 선수, 최고의 선수(리바운드) | |
2005 | 셰미크 홀즈클로 | 포워드 | |
리사 레슬리 | 센터 | 올-WNBA 세컨드 팀, 올-디펜시브 세컨드 팀 | |
2006 | 리사 레슬리 | 센터 | 최우수 선수, 올-데케이드 팀, 올-WNBA 퍼스트 팀,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
2007 | 타지 맥윌리엄스-프랭클린 | 포워드 | 마르타 페르난데스, 시드니 스펜서 올-루키 팀 |
2008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최우수 선수, 올해의 신인, 올-WNBA 퍼스트 팀, 리사 레슬리 올해의 수비 선수,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올-루키 팀, 최고의 선수(리바운드) |
2009 | 리사 레슬리 | 센터 | 올-WNBA 세컨드 팀, 올-디펜시브 세컨드 팀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올-WNBA 세컨드 팀, 올-디펜시브 세컨드 팀, 최고의 선수(리바운드) | |
2010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티샤 페니체이루 최고의 선수(어시스트) |
2011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
2012 | 은네카 오그우미케 | 포워드 | 올해의 신인, 올-루키 팀 |
크리스티 톨리버 | 가드 | 기량 발전상 |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올-WNBA 퍼스트 팀, 올-디펜시브 세컨드 팀 | |
알라나 비어드 | 가드/포워드 |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캐롤 로스 올해의 코치상 수상 | |
2013 | 은네카 오그우미케 | 포워드 |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최우수 선수, 올-WNBA 퍼스트 팀 | |
크리스티 톨리버 | 가드 | ||
2014 | 은네카 오그우미케 | 포워드 | 올-WNBA 세컨드 팀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올-WNBA 퍼스트 팀, 알라나 비어드 올-디펜시브 세컨드 팀 | |
2015 | 잰텔 라벤더 | 센터 | |
은네카 오그우미케 | 포워드 |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올-WNBA 세컨드 팀, 아나 다보비치 올-루키 팀 | |
2016 | 아나 다보비치 | 가드 | |
은네카 오그우미케 | 포워드 | 최우수 선수,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파이널 MVP | |
알라나 비어드 | 가드/포워드 |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잰텔 라벤더 올해의 식스 우먼상 수상 | |
2017 | 첼시 그레이 | 가드 | 올-WNBA 세컨드 팀 |
은네카 오그우미케 | 포워드 | 올-WNBA 세컨드 팀 | |
알라나 비어드 | 가드/포워드 | 올해의 수비 선수 | |
2018 | 첼시 그레이 | 가드 |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올-WNBA 세컨드 팀 | |
알라나 비어드 | 가드/포워드 | 올해의 수비 선수 | |
2019 | 첼시 그레이 | 가드 | 올-WNBA 퍼스트 팀 |
은네카 오그우미케 | 포워드 | 올-WNBA 세컨드 팀,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킴 페롯 스포츠 정신상 수상 |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
2020 | 브리트니 사이크스 | 가드 | 올-디펜시브 세컨드 팀 |
캔데이스 파커 | 포워드 | 올-WNBA 퍼스트 팀, 올해의 수비 선수, 최고의 선수(리바운드) | |
은네카 오그우미케 | 포워드 | ||
첼시 그레이 | 가드 | ||
2021 | 브리트니 사이크스 | 가드 |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
2022 | 은네카 오그우미케 | 포워드 | 올-WNBA 세컨드 팀, 브리트니 사이크스 올-디펜시브 세컨드 팀 |
2023 | 은네카 오그우미케 | 포워드 | 올-WNBA 세컨드 팀, 올-디펜시브 세컨드 팀 |
조딘 캐나다 | 가드 |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 |
데아리카 햄비 | 포워드 | ||
첼시 그레이 | 가드 | ||
2024 | 데아리카 햄비 | 포워드 | 킴 페롯 스포츠 정신상, 미국 3x3 |
4. 3. 현재 로스터
번호 | 이름 | 포지션 | 신장 | 몸무게 | 생년월일 | 경력 | 출신 | 국적 | 비고 |
---|---|---|---|---|---|---|---|---|---|
20 | 줄리 알레망 Julie Allemand|줄리 알레망BEL | G | 약 1.52m 약 20.32cm | 약 66.68kg | 1996-07-07 | 2 | 벨기에 | S | |
22 | 캐머런 브링크 | F | 약 1.83m 약 10.16cm | 약 77.11kg | 2001-12-31 | R | 스탠퍼드 | 부상 | |
4 | 렉시 브라운 | G | 약 1.52m 약 22.86cm | 약 73.48kg | 1994-10-24 | 6 | 듀크 | 부상 | |
12 | 레이 버렐 | F/G | 약 1.83m 약 5.08cm | 약 76.20kg | 2000-06-21 | 2 | 테네시 | ||
1 | 지아 쿡 | G | 약 1.52m 약 22.86cm | 약 73.94kg | 2001-01-09 | 1 | 사우스캐롤라이나 | ||
14 | 크리스탈 댕저필드 | G | 약 1.52m 약 12.70cm | 약 58.97kg | 1998-05-11 | 4 | 코네티컷 | ||
5 | 데어리카 햄비 | F | 약 1.83m 약 7.62cm | 약 85.73kg | 1993-11-06 | 9 | 웨이크 포레스트 | ||
2 | 리키아 잭슨 | F | 약 1.83m 약 5.08cm | 약 79.38kg | 2001-03-16 | R | 테네시 | ||
15 | 아리 맥도날드 | G | 약 1.52m 약 15.24cm | 약 63.96kg | 1998-08-20 | 3 | 애리조나 | 부상 | |
10 | 키아 너스 | G | 약 1.83m 약 0.00cm | 약 82.10kg | 1996-02-22 | 5 | 코네티컷 | ||
6 | 오디세이 심스 | G | 약 1.52m 약 20.32cm | 약 70.31kg | 1992-07-13 | 10 | 베일러 | ||
23 | 아주라 스티븐스 | F/C | 약 1.83m 약 15.24cm | 약 81.65kg | 1996-02-01 | 6 | 코네티컷 | ||
28 | 리위루 | C | 약 1.83m 약 17.78cm | 1999-03-28 | 1 | 중국 |
- S: 시즌 아웃
- R: 루키
5. 코칭 스태프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의 코칭 스태프 정보는 명시적으로 제공되지 않았지만, '역대 감독' 하위 섹션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스파크스는 1997년 WNBA 창립 시즌부터 리그에 참가했으며, 린다 샤프가 초대 감독을 맡았다. 이후 줄리 루소, 올랜도 울리지, 마이클 쿠퍼 등 여러 감독들이 팀을 이끌었다. 특히, 마이클 쿠퍼 감독 시절(2000~2003년, 2007~2009년) 팀은 3번의 WNBA 파이널 우승(2001, 2002, 2016년)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고, 2000년에는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현재 감독은 커트 밀러이다. 자세한 내용은 '역대 감독'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5. 1. 역대 감독
J. 루소 (10–7)O. 울리지 (5–5)
패 컨퍼런스 파이널 (휴스턴, 1–2)
패 컨퍼런스 파이널 (휴스턴, 0–2)
승리 컨퍼런스 파이널 (새크라멘토, 2–1)
승리 WNBA 파이널 (샬럿, 2–0)
리사 레슬리 (MVP)
리사 레슬리 (FMVP)
승리 컨퍼런스 파이널 (유타, 2–0)
승리 WNBA 파이널 (뉴욕, 2–0)
리사 레슬리 (FMVP)
승리 컨퍼런스 파이널 (새크라멘토, 2–1)
패 WNBA 파이널 (디트로이트, 1–2)
리사 레슬리 (DPOY)
K. 톰슨 (11–3)
J. 브라이언트 (4–2)
패 컨퍼런스 파이널 (새크라멘토, 0–2)
패 컨퍼런스 파이널 (샌안토니오, 1–2)
캔데이스 파커 (ROY)
리사 레슬리 (DPOY)
패 컨퍼런스 파이널 (피닉스, 1–2)
J. 브라이언트 (11–13)
패 컨퍼런스 파이널 (미네소타, 0–2)
크리스티 톨리버 (MIP)
캐롤 로스 (COY)
P. 톨러 (6–6)
승리 WNBA 파이널 (미네소타, 3–2)
네카 오그부미케 (MVP)
캔데이스 파커 (FMVP)
패 WNBA 파이널 (미네소타, 2–3)
패 2라운드 (워싱턴, 0–1)
패 WNBA 준결승 (코네티컷, 0–3)
프레드 윌리엄스 (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