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리 다이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터리 다이얼은 전화를 걸 때 사용자가 숫자를 다이얼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다이얼 방식의 전화 부품이다. 1836년 전신 신호 전송을 위한 다이얼에 대한 제안이 있었고, 1891년 앨먼 브라운 스트로저가 전화 다이얼을 발명했다. 1892년 자동 전화 교환기와 함께 최초로 상업적으로 설치되었으며, 손가락 구멍에 손가락을 넣고 핑거 스톱에 닿을 때까지 돌린 다음 놓아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국가별로 펄스 체계가 다르며, 미국에서는 전화 교환국 이름을 나타내기 위해 숫자와 문자를 함께 사용하기도 했다.
1836년 이래로, 전신 신호를 보내기 위한 다이얼에 대한 다양한 제안과 발명이 보고되었다.[2] 1878년 최초의 상업용 전화 교환기가 설치된 후, 전화 통화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방식의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앨먼 브라운 스트로저는 기술적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1891년에 전화 다이얼을 발명했다.[2] 1891년 이전에는 다이얼, 푸시 버튼 및 유사한 메커니즘에 대한 수많은 경쟁 발명품과 26개의 특허가 구독자가 호출하려는 대상 전화국에 신호를 보내는 방법을 명시했다.
사용자는 전화번호의 각 숫자에 해당하는 구멍에 손가락을 넣고, 핑거 스톱(finger stop)에 닿을 때까지 시계 방향으로 다이얼을 돌린다. 그런 다음 손가락을 떼면 다이얼 샤프트 주변의 스프링이 다이얼을 원래 위치로 되돌린다. 이 과정에서 다이얼은 로컬 루프의 전기적 연속성을 끊고, 다이얼 전면에 표시된 각 숫자에 대해 특정 횟수만큼 전류 흐름을 중단시키는 전기 접점을 작동시킨다.
2. 역사
전화 다이얼의 첫 번째 상업적 설치는 1892년 인디애나주 라포트에 99개의 회선을 가진 자동 전화 교환기와 함께 이루어졌으며, 이는 1891년 스트로저 설계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3] 최초의 다이얼은 복잡한 작동 시퀀스를 필요로 했다. 작동 가능한 시스템은 오토매틱 일렉트릭 컴퍼니에서 전화기에 세 개의 푸시 버튼을 사용하여 발명되었다. 이 버튼은 전화 번호의 백, 십, 그리고 단위를 나타냈다. 예를 들어, 163번으로 전화할 때 사용자는 백 버튼을 한 번 누른 다음 십 버튼을 여섯 번 누르고 단위 버튼을 세 번 눌러야 했다.[3] 1896년에 이 시스템은 자동 '접촉 메이킹 머신', 또는 '호출 장치'로 대체되었다. 추가 개발은 1890년대와 1900년대 초 스위칭 기술의 개선과 함께 계속되었다.
앨먼 브라운 스트로저는 1891년 12월 21일에 회전식 다이얼에 대한 특허를 처음으로 출원했으며, 이는 1892년 11월 29일에 수여되었다.[4][5] 초기 회전식 다이얼은 구멍 대신 손가락 판의 러그를 사용했고, 펄스 열차는 휠의 전진 운동에 스프링 작동이나 조절기의 제어 없이 생성되었으며, 이는 올바르게 작동하기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2. 1. 초기 발전
1836년 이래로, 전신 신호를 보내기 위한 다이얼에 대한 다양한 제안과 발명이 보고되었다.[2] 1878년 최초의 상업용 전화 교환기가 설치된 후, 전화 통화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방식의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앨먼 브라운 스트로저는 기술적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1891년에 전화 다이얼을 발명했다.[2] 1891년 이전에는 다이얼, 푸시 버튼 및 유사한 메커니즘에 대한 수많은 경쟁 발명품과 26개의 특허가 구독자가 호출하려는 대상 전화국에 신호를 보내는 방법을 명시했다.
전화 다이얼의 첫 번째 상업적 설치는 1892년 인디애나주 라포트에 99개의 회선을 가진 자동 전화 교환기의 첫 번째 상업적 설치와 함께 이루어졌으며, 이는 1891년 스트로저 설계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3] 최초의 다이얼은 복잡한 작동 시퀀스를 필요로 했다. 오토매틱 일렉트릭 컴퍼니에서 전화기에 세 개의 푸시 버튼을 사용하여 발명한 작동 가능한 시스템은 전화 번호의 백, 십, 그리고 단위를 나타냈으며, 예를 들어, 구독자 번호 163으로 전화할 때 사용자는 백 버튼을 한 번 누른 다음 십 버튼을 여섯 번 누르고 단위 버튼을 세 번 눌러야 했다.[3] 1896년에 이 시스템은 자동 '접촉 메이킹 머신', 또는 '호출 장치'로 대체되었다. 추가 개발은 1890년대와 1900년대 초 스위칭 기술의 개선과 함께 계속되었다.
앨먼 브라운 스트로저는 1891년 12월 21일에 회전식 다이얼에 대한 특허를 처음으로 출원했으며, 이는 1892년 11월 29일에 로 수여되었다.[4][5] 초기 회전식 다이얼은 구멍 대신 손가락 판의 러그를 사용했고, 펄스 열차는 휠의 전진 운동에 스프링 작동이나 조절기의 제어 없이 생성되었으며, 이는 올바르게 작동하기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2. 2. 자동 전화 교환기의 등장
1836년 이래로, 전신 신호를 보내기 위한 다이얼에 대한 다양한 제안과 발명이 보고되었다.[2] 1878년 최초의 상업용 전화 교환기가 설치된 후, 전화 통화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방식의 필요성이 분명해졌다.[2] 앨먼 브라운 스트로저는 기술적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1891년에 전화 다이얼을 발명했다.[2]
1891년 이전에는 다이얼, 푸시 버튼 및 유사한 메커니즘에 대한 수많은 경쟁 발명품과 26개의 특허가 구독자가 호출하려는 대상 전화국에 신호를 보내는 방법을 명시했다. 대부분의 발명품은 비용이 많이 드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복잡한 조작을 수행해야 했다.
전화 다이얼의 첫 번째 상업적 설치는 1892년 인디애나주 라포트에 99개의 회선을 가진 자동 전화 교환기와 함께 이루어졌으며, 이는 1891년 스트로저 설계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3] 최초의 다이얼은 복잡한 작동 시퀀스를 필요로 했다. 오토매틱 일렉트릭 컴퍼니에서 전화기에 세 개의 푸시 버튼을 사용하여 발명된, 작동 가능한 시스템이 나왔지만 오류가 발생하기 쉬웠다. 이 버튼은 전화 번호의 백, 십, 그리고 단위를 나타냈다. 예를 들어, 구독자 번호 163으로 전화할 때 사용자는 백 버튼을 한 번 누른 다음 십 버튼을 여섯 번 누르고 단위 버튼을 세 번 눌러야 했다.[3] 1896년에 이 시스템은 자동 '접촉 메이킹 머신', 또는 '호출 장치'로 대체되었다. 추가 개발은 1890년대와 1900년대 초 스위칭 기술의 개선과 함께 계속되었다.
앨먼 브라운 스트로저는 1891년 12월 21일에 회전식 다이얼에 대한 특허를 처음으로 출원했으며, 이는 1892년 11월 29일에 로 수여되었다.[4][5] 초기 회전식 다이얼은 구멍 대신 손가락 판의 러그를 사용했고, 교환기 스위치의 릴레이 제어를 위해 두 개의 독립적인 회로를 중단했다. 펄스 열차는 휠의 전진 운동에 스프링 작동이나 조절기의 제어 없이 생성되었으며, 이는 올바르게 작동하기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2. 3. 회전식 다이얼의 등장과 발전
1836년 이래로, 전신 신호를 보내기 위한 다이얼에 대한 다양한 제안과 발명이 보고되었다.[2] 1878년 최초의 상업용 전화 교환기가 설치된 후, 전화 통화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방식의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앨먼 브라운 스트로저는 기술적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1891년에 전화 다이얼을 발명했다.[2] 1891년 이전에는 다이얼, 푸시 버튼 및 유사한 메커니즘에 대한 수많은 경쟁 발명품과 26개의 특허가 구독자가 호출하려는 대상 전화국에 신호를 보내는 방법을 명시했다.
전화 다이얼의 첫 번째 상업적 설치는 1892년 인디애나주 라포트에 99개의 회선을 가진 자동 전화 교환기와 함께 이루어졌으며, 이는 1891년 스트로저 설계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3] 최초의 다이얼은 복잡한 작동 시퀀스를 필요로 했다. 작동 가능한 시스템은 오토매틱 일렉트릭 컴퍼니에서 전화기에 세 개의 푸시 버튼을 사용하여 발명되었다. 이 버튼은 전화 번호의 백, 십, 그리고 단위를 나타냈다. 예를 들어, 163번으로 전화할 때 사용자는 백 버튼을 한 번 누른 다음 십 버튼을 여섯 번 누르고 단위 버튼을 세 번 눌러야 했다.[3] 1896년에 이 시스템은 자동 '접촉 메이킹 머신', 또는 '호출 장치'로 대체되었다. 추가 개발은 1890년대와 1900년대 초 스위칭 기술의 개선과 함께 계속되었다.
앨먼 브라운 스트로저는 1891년 12월 21일에 회전식 다이얼에 대한 특허를 처음으로 출원했으며, 이는 1892년 11월 29일에 수여되었다.[4][5] 초기 회전식 다이얼은 구멍 대신 손가락 판의 러그를 사용했고, 펄스 열차는 휠의 전진 운동에 스프링 작동이나 조절기의 제어 없이 생성되었으며, 이는 올바르게 작동하기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3. 기능
각 숫자에 대해 전송되는 펄스 수는 사용 중인 다이얼 시스템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이는 국가 또는 전화 시스템 제조업체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었다. 예를 들어, 스웨덴에서는 숫자 0을 신호하기 위해 한 개의 펄스를 사용했고, 숫자 9를 신호하기 위해 열 개의 펄스를 사용했다. 핀란드에서는 스웨덴에서 제조된 전화기가 많았는데, 한 개의 펄스는 숫자 ''1''을, 열 개의 펄스는 ''0''을 신호했다. 뉴질랜드에서는 원하는 숫자에서 10을 뺀 값을 사용했기 때문에, 숫자 ''7''을 다이얼하면 세 개의 펄스가 생성되었다. 노르웨이에서는 숫자 ''1''이 한 개의 펄스에 해당하는 북미 시스템을 사용했지만, 수도인 오슬로는 뉴질랜드와 동일한 "역" 시스템을 사용했다.
로터리 다이얼에는 재다이얼 기능이 없다. 따라서 통화를 시도할 때마다 전체 전화번호를 다이얼해야 했다. 다이얼링에 걸리는 시간은 숫자에 따라, 즉 다이얼이 정지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얼마나 멀리 회전해야 하는지에 따라 달라졌다.
3. 1. 펄스 생성 원리
사용자는 전화번호의 숫자를 다이얼하기 위해 해당 손가락 구멍에 손가락을 넣고 손가락 멈춤쇠에 닿을 때까지 다이얼을 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그런 다음 손가락을 빼고 손가락 휠을 놓으면 다이얼 샤프트 주변의 스프링이 다이얼을 정지 위치로 되돌린다. 이 반환 과정에서 다이얼은 로컬 루프의 전기적 연속성을 끊고, 각 숫자에 대해 특정 횟수만큼 전류 흐름을 중단하는 전기 접점을 작동시킨다.
각 숫자에 대해 전송되는 펄스 수는 국가 또는 전화 시스템 제조업체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스웨덴은 숫자 0을 신호하기 위해 한 개의 펄스를, 숫자 9를 신호하기 위해 열 개의 펄스를 사용했다. 핀란드에서는 많은 전화기가 스웨덴에서 제조되었는데, 한 개의 펄스는 숫자 1을, 열 개의 펄스는 0을 신호했다. 뉴질랜드는 10에서 원하는 숫자를 뺀 값을 사용했다. 따라서 7을 다이얼하면 세 개의 펄스가 생성된다. 노르웨이는 숫자 1이 한 개의 펄스에 해당하는 북미 시스템을 사용했지만, 수도인 오슬로는 뉴질랜드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했다.
로터리 다이얼에는 재다이얼 기능이 없으므로 모든 통화를 시도하려면 전체 전화번호를 다이얼해야 한다. 다이얼링 시간은 숫자에 따라, 즉 다이얼이 정지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얼마나 멀리 이동해야 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3. 2. 국가별 펄스 체계
로터리 다이얼의 문자 코드는 북미 지역에서 전화 교환국 이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1917년 AT&T의 W. G. 블라우벨트가 개발한 패턴은 1에, 2 ABC, 3 DEF, 4 GHI, 5 JKL, 6 MNO, 7 PRS, 8 TUV, 9 WXY, 0 (때로는 Z) 교환원과 같이 각 숫자에 문자를 할당하는 방식이었다.[10] 예를 들어 "RE7-3456"은 "REgent 7-3456"을 의미했다.
1940년대 후반에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숫자와 문자를 손가락 휠 바깥쪽 링에 표시한 전화기가 재설계되었다.[11]
4. 구조
로터리 다이얼은 일반적으로 원형 구조를 가진다. 기계식 스위칭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샤프트는 원주에 가깝게 정렬된 10개의 손가락 구멍이 있는 디스크인 지문 바퀴에 의해 구동된다. 지문 바퀴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하여 숫자판을 볼 수 있는데, 이 숫자판(페이스 플레이트)은 각 손가락 구멍에 해당하는 숫자와 문자로 인쇄되어 있다. 숫자 1은 보통 다이얼 전면의 오른쪽 위 사분면에 위치하며, 숫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진행된다. 곡선형 장치인 ''손가락 멈춤''은 오른쪽 아래 사분면에 위치한다.
다이얼이 원래 위치로 회전하는 속도는 다이얼의 일정한 전기적 펄스 속도를 보장하는 기계적 조절 장치인 ''거버너''에 의해 제어된다. 일부 다이얼링 메커니즘은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물리적 잠금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었다. 잠금 장치는 전화기 자체에 통합되거나, 다이얼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손가락 멈춤에 가장 가까운 손가락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4. 1. 주요 부품
로터리 다이얼은 원형 구조를 가지며, 기계식 스위칭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샤프트는 원주에 가깝게 정렬된 10개의 손가락 구멍이 있는 디스크인 지문 바퀴에 의해 구동된다. 지문 바퀴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하여 숫자판을 볼 수 있는데, 숫자판은 각 손가락 구멍에 해당하는 숫자와 문자로 인쇄되어 있다. 숫자 1은 보통 다이얼 전면의 오른쪽 위 사분면에 있고, 숫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며, 곡선형 장치인 손가락 멈춤은 오른쪽 아래 사분면에 위치한다.
다이얼이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속도는 다이얼의 일정한 전기 펄스 속도를 보장하는 기계적 조절 장치인 거버너에 의해 제어된다. 일부 다이얼링 메커니즘은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물리적 잠금 메커니즘을 사용하기도 한다. 잠금 장치는 전화기 자체에 통합되거나, 다이얼 회전을 막기 위해 손가락 멈춤에 가장 가까운 손가락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4. 2. 미국의 주요 다이얼 메커니즘
미국에서는 주요 제조업체의 엔지니어링 연구소에서 두 가지 주요 다이얼 메커니즘이 등장했는데, 하나는 웨스턴 일렉트릭 컴퍼니가 벨 시스템을 위해 개발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오토매틱 일렉트릭 컴퍼니가 개발한 것이다.웨스턴 일렉트릭 다이얼은 거버너를 구동하기 위해 스퍼 기어를 사용했으므로, 거버너의 축은 다이얼 샤프트와 평행했다. 오토매틱 일렉트릭 거버너 샤프트는 다이얼 평면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다이얼 샤프트와 직각을 이뤘다. 거버너 샤프트는 웜 기어를 사용했는데, 매우 이례적으로 기어가 웜을 구동했다. 고도로 연마된 웜은 극심한 피치를 가지고 있었고, 이빨은 축과 약 45°를 이루었다. 이는 전통적인 뮤직 박스의 속도 제한 팬에 사용된 기어와 동일했다. 웨스턴 일렉트릭 거버너는 마찰 패드가 있는 스프링 장착 회전추를 둘러싼 컵 형태였다. 오토매틱 일렉트릭 거버너는 스트립 재질로 만들어진 곡선 스프링의 중앙에 추를 가지고 있었다. 다이얼을 놓으면 속도가 빨라지면서 추는 바깥쪽으로 움직여 스프링의 끝을 함께 당겼다. 스프링은 한쪽 끝에서는 샤프트의 칼라에, 다른 쪽 끝에서는 슬라이딩 브레이크 디스크의 허브에 고정되었다. 속도가 빨라지면 브레이크 디스크가 마찰 패드에 닿았다. 이 거버너는 20세기 초 스프링 구동식 축음기 턴테이블의 거버너와 유사했다.
두 유형 모두 거버너를 구동하기 위해 랩 스프링 클러치를 사용했다. 다이얼 복귀 스프링을 감을 때, 이 클러치는 다이얼이 빠르게 회전하도록 분리되었다. 다이얼을 놓으면 클러치 스프링이 꽉 조여져 거버너를 구동했다.
다이얼을 감는 동안, 웨스턴 일렉트릭 다이얼의 스프링 중심 폴은 다이얼 샤프트의 캠에 의해 구동될 때 중심에서 벗어났다. 그 캠의 이빨은 다이얼 구멍 간격과 동일한 각도로 떨어져 있었다. 감는 동안 폴은 평상시 닫힌 펄스 접촉부에서 멀어지도록 중심에서 벗어났다. 다이얼을 놓으면 캠 이빨이 폴을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다이얼 접촉부를 열고 해제했다. 오토매틱 일렉트릭 다이얼에서는 펄스 캠과 거버너가 다이얼이 돌아올 때 랩 스프링 클러치에 의해 구동되었다. 감을 때는 그 클러치가 캠과 거버너를 모두 분리했다.
4. 3. 반동 스프링
초기 다이얼은 직접 또는 정방향 회전 동작으로 작동했으며, 펄스는 다이얼이 손가락 멈춤 위치를 향해 회전하면서 생성되었다. 사용자의 손 움직임이 불규칙하면 잘못된 숫자가 생성될 수 있었다. 19세기 후반, 다이얼은 반동 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개선되었다. 사용자는 다이얼할 숫자를 선택하고, 다이얼을 손가락 멈춤까지 돌린 다음 놓았다. 스프링은 다이얼이 홈 위치로 다시 회전하도록 했으며, 이 과정에서 원심 거버너를 사용하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했다.사용자 스테이션의 다이얼은 일반적으로 초당 10 펄스(PPS)의 속도로 펄스를 생성했지만, 크로스바 또는 전자 교환기의 운영자 콘솔의 다이얼은 종종 18 PPS로 펄스를 생성했다.
로터리 다이얼 거버너는 마모 및 노후화의 영향을 받으며, 기술자가 주기적으로 청소, 윤활 및 조정해야 할 수 있다. 비디오에서 녹색 LED는 다이얼 임펄스 펄스를 표시하고 빨간색 LED는 다이얼의 비정상 접점 기능을 표시한다.
비정상 접점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추가 기능을 수행한다. 전화기의 모든 내부 임피던스를 제거하여 다이얼의 펄스 신호를 최대화하기 위해 송신기 회로 및 유도 코일에 션트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기능은 다이얼링 중에 전화 수신기를 단락시키거나 중단하여 전화 사용자가 딸깍거리는 소리를 듣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5. 국가별 특징
10개의 숫자 외에도 다이얼에는 각 위치에 해당하는 문자가 인쇄되는 경우가 많다.
북미 지역의 전통적인 다이얼은 손가락 구멍 아래의 숫자에 다음과 같은 패턴으로 문자 코드가 표시된다. : 1, 2 ABC, 3 DEF, 4 GHI, 5 JKL, 6 MNO, 7 PRS, 8 TUV, 9 WXY, 0 (때로는 Z) 교환원. 여러 개의 중앙 사무실이 필요한 지역 사회에서 문자는 전화 교환국 이름을 나타내기 위해 다이얼 번호와 연결되었다.[10] 예를 들어 "RE7-3456"은 "REgent 7-3456"을 나타냈다.
1917년, AT&T의 W. G. 블라우벨트는 각 숫자에 할당된 문자의 조합 패턴을 개발했는데, 이것이 북미 지역의 표준이 되었다. 뉴욕시와 같은 대도시는 궁극적으로 7자리 전화 번호를 필요로 할 것이다. 1900년대 초반의 몇몇 테스트에서는 많은 사람들의 단기 기억 능력이 7자리에 미치지 못해 다이얼링 오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에는 수동 및 자동 교환기가 수년 동안 모두 존재했기 때문에, 수동 또는 자동 교환기의 번호는 동일한 형식을 사용했으며, 말하거나 다이얼할 수 있었다.
1940년대 후반에는 손가락 휠 바깥쪽의 링에 숫자와 문자를 표시하여 시인성을 높인 전화기가 재설계되었다.[11]
5. 1. 미국
10개의 숫자 외에도 다이얼에는 각 위치에 해당하는 문자가 인쇄되는 경우가 많다.북미 지역의 전통적인 다이얼은 손가락 구멍 아래의 숫자에 다음과 같은 패턴으로 문자 코드가 표시된다. : 1, 2 ABC, 3 DEF, 4 GHI, 5 JKL, 6 MNO, 7 PRS, 8 TUV, 9 WXY, 0 (때로는 Z) 교환원. 여러 개의 중앙 사무실이 필요한 지역 사회에서 문자는 전화 교환국 이름을 나타내기 위해 다이얼 번호와 연결되었다.[10] 예를 들어 "RE7-3456"은 "REgent 7-3456"을 나타냈다.
1917년, AT&T의 W. G. 블라우벨트는 각 숫자에 할당된 문자의 조합 패턴을 개발했는데, 이것이 북미 지역의 표준이 되었다. 뉴욕시와 같은 대도시는 궁극적으로 7자리 전화 번호를 필요로 할 것이다. 1900년대 초반의 몇몇 테스트에서는 많은 사람들의 단기 기억 능력이 7자리에 미치지 못해 다이얼링 오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에는 수동 및 자동 교환기가 수년 동안 모두 존재했기 때문에, 수동 또는 자동 교환기의 번호는 동일한 형식을 사용했으며, 말하거나 다이얼할 수 있었다.
1940년대 후반에는 손가락 휠 바깥쪽의 링에 숫자와 문자를 표시하여 시인성을 높인 전화기가 재설계되었다.[11]
5. 2. 영국
영국에서는 문자 "O"가 숫자 "6"이 아닌 숫자 "0"과 결합되었다. 대도시에서는 7자리 전화번호가 교환국 이름을 나타내는 3개의 문자, 그 뒤에 4개의 숫자로 구성되었다.
5. 3. 호주
1960년 이전의 오스트레일리아 로터리 다이얼 전화기에는 각 숫자에 해당하는 문자가 플레이트 중앙의 종이 디스크에 인쇄되어 있었고, 구독자가 전화번호를 추가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다. 이 종이는 일종의 유지 링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 투명 플라스틱 디스크로 보호되었으며, 이는 디스크의 방사형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도 했다. 호주의 문자-숫자 매핑은 A=1, B=2, F=3, J=4, L=5, M=6, U=7, W=8, X=9, Y=0이었으므로, 전화번호 BX 3701은 실제로는 29 3701이었다. 오스트레일리아가 1960년경에 모두 숫자 전화 다이얼로 변경했을 때, 사람들에게 문자와 숫자를 연관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기억술은 "All Big Fish Jump Like Mad Under Water eXcept Yabbies"였다.
5. 4. 동유럽
키릴 문자를 사용한 전화 교환기의 문자 지정(각 숫자 1부터 0까지에 대해 А, Б, В, Г, Д, Е, Ж, И, К, Л)이 1950년대와 1960년대 소련에서 잠시 사용되었지만, 다음 10년 동안 이 관행은 대부분 중단되었다.[8][9] 동유럽 국가에서는 모든 국가에서 문자 코드를 사용하지는 않았다.5. 5.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는 뉴질랜드식 역순 다이얼이 각 숫자 "1"이 중앙 사무소/전화 교환국으로 9 펄스를 보내도록(영국의 "9"처럼) 하기 때문에, 영국식 교환 장비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111이 선택되었다.6. 긴급 전화번호
영국은 공중전화 다이얼을 개조하여 무료 통화를 쉽게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999를 긴급 전화번호로 선택했다. 교환원 번호인 "0"은 이미 무료였고, 다이얼을 "0" 위치로 돌릴 때 회선에서 션트를 제거하는 캠을 인접한 숫자 "9"(필요한 경우 "8"도)를 포함하도록 변경하여 동전을 넣지 않고도 "0"과 "999"로 전화를 걸 수 있었다. 뉴질랜드에서는 111이 선택되었는데, 이는 뉴질랜드식 역순 다이얼이 각 숫자 "1"이 중앙 사무소/전화 교환국으로 9 펄스를 보내도록(영국의 "9"처럼) 하기 때문에 영국식 교환 장비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7. 현대 사회에서의 의의
7. 1. 특수 용도
7. 2. 대한민국에서의 사용
7. 3. 역사적 보존
8. 푸시 버튼 펄스 다이얼링
대부분 지역에서 푸시 버튼 키패드를 사용한 DTMF 다이얼링으로 전환된 후에도 펄스 다이얼링 전화기는 한동안 계속 생산되었으며, 일부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다이얼링용 키패드가 장착되기도 했다.[12] 이러한 전화기 중 일부는 기호 '#'과 '*'가 없는 키가 없다는 점으로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일부 전화기에는 펄스 다이얼링 또는 DTMF 다이얼링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있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 look at the evolution of the Dial Telephone
http://www.arctos.co[...]
2016-01-15
[2]
서적
Fiber Optics Weekly Update
https://books.google[...]
Information Gatekeepers Inc
[3]
문서
Automatic Telephony
McGraw-Hill
[4]
웹사이트
When Dials Were Round and Clicks Were Plentiful
http://oldphones.com[...]
1999-10-07
[5]
웹사이트
Automatic Telephone or Other Electrical Exchange
https://patents.goog[...]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6]
서적
To Serve and Protect: Privatization and Community in Criminal Justice
https://archive.org/[...]
NYU Press
[7]
뉴스
Route 66 still has some kicks
http://www.sfgate.co[...]
2012-10-08
[8]
Webarchive
History of Moscow City Telephone Network
http://www.mgts.ru/p[...]
2014-07-09
[9]
문서
A short history of telephone numbers
http://www.artlebede[...]
Moscow City Telephone Network
[10]
서적
A History of Engineering and Science in the Bell System: The Early Years (1875-1925)
Bell Telephone Laboratories
[11]
뉴스
Hello?
http://www.slate.com[...]
2017-02-04
[12]
웹사이트
TELEPHONE No. 728
http://www.britishte[...]
2017-05-06
[13]
웹인용
A look at the evolution of the Dial Telephone
http://www.arctos.co[...]
2016-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