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스버그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버그 전투는 1758년 프랑스-인디언 전쟁 중 영국군이 루이스버그 요새를 공격하여 승리한 전투이다. 세인트로렌스 강 입구에 위치한 루이스버그 요새는 캐나다 내륙으로 진입하는 관문이자 프랑스 해군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영국은 1757년의 실패를 딛고 윌리엄 피트의 지휘 아래 제프리 애머스트를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재공격을 시도했다. 영국군은 에드워드 보스카웬 제독의 해군 지원을 받아 요새를 포위 공격하여 프랑스 함대를 격파하고, 요새를 점령했다. 이 전투의 승리로 영국은 북미 지역에서 프랑스의 해군력을 약화시키고 세인트로렌스 강을 장악하여 퀘벡 공격의 발판을 마련했으며, 북미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8년 7월 - 카리용 전투
카리용 전투는 프렌치 인디언 전쟁 중 타이컨더로가 요새 인근에서 영국군이 프랑스군에게 패배한 전투로, 프랑스군 지휘관 몽칼름은 지형적 이점을 활용하여 영국군의 공격을 막아냈다. - 1758년 6월 - 크레펠트 전투
7년 전쟁 중 1758년 6월 23일에 벌어진 크레펠트 전투는 프로이센-하노버 연합군이 프랑스군을 격파한 전투로, 프랑스군 지휘관의 교체와 프로이센-하노버 연합군의 뒤셀도르프 점령을 야기했으며 현재 크레펠트에는 이를 기념하는 기념비와 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 1758년 6월 - 돔슈테트 전투
1758년 6월 30일 7년 전쟁 중 프로이센이 모라비아의 올로모우츠를 포위하는 동안 벌어진 돔슈테트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이 프로이센군의 대규모 보급 부대를 공격하여 승리함으로써 프로이센군의 보급 부족을 야기, 프리드리히 대왕이 올로모우츠 포위를 포기하고 보헤미아로 퇴각하게 만들었다.
| 루이스버그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전투 개요 | |
| 분쟁 | 프렌치 인디언 전쟁 |
| 전투명 | 루이스버그 전투 |
| 영어 명칭 | Battle of Louisbourg |
| 프랑스어 명칭 | Siége de Louisbourg |
| 날짜 | 1758년 6월 8일 - 1758년 7월 26일 |
| 장소 | 프랑스 왕국 일-루아얄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루이스버그) |
| 결과 | 영국의 승리 |
| 교전 세력 | |
| 교전국 1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 교전국 1-1 | 영국령 아메리카 |
| 교전국 2 | 프랑스 왕국 |
| 교전국 2-1 | 미크마크족 |
| 지휘관 | |
| 영국군 지휘관 | 제프리 애머스트 |
| 영국군 지휘관 2 | 제임스 울프 |
| 영국군 지휘관 3 | 찰스 로렌스 |
| 영국군 지휘관 4 | 에드워드 휘트모어 |
| 영국군 지휘관 5 | 에드워드 보스카웬 |
| 영국군 지휘관 6 | 로버트 로저스 |
| 프랑스군 지휘관 | 오귀스탱 드 보쉔리 드 드뤼쿠르 |
| 프랑스군 지휘관 2 | 루이-조제프 보시에 드 릴 |
| 병력 규모 | |
| 영국군 병력 | 정규군: 14,000명 해군 및 해병대: 12,000명 군함: 40척 수송선: 150척 |
| 프랑스군 병력 | 정규군: 3,500명 해군 및 해병대: 3,500명 전함: 7척 프리깃함: 4척 플루트: 1척 |
| 피해 규모 | |
| 영국군 피해 | 전사: 172명 부상: 355명 |
| 프랑스군 피해 | 전사: 102명 부상: 303명 포로: 6,600명 전함 파괴: 3척 전함 나포: 2척 전함 자침: 1척 프리깃함 자침: 2척 플루트 나포: 1척 |
| 기타 정보 | |
![]() | |
![]() | |
2. 배경
영국 정부는 프랑스 통제 하의 루이스버그 요새 때문에 영국 해군이 세인트로렌스강을 무사히 통과하여 퀘벡을 공략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1757년 로던 경이 이끌었던 루이스버그 원정이 프랑스 해군의 강력한 배치로 인해 실패하자, 윌리엄 피트가 이끄는 영국은 새로운 사령관을 임명하여 다시 공략하기로 결정했다.
피트는 요새 공략 임무를 제프리 애머스트에게 맡겼다. 애머스트의 군대에는 찰스 로렌스, 제임스 울프, 에드워드 휘트모어가 있었고, 해군 작전 명령은 에드워드 보스카웬 제독에게 맡겨졌다. 공병사령관은 존 헨리 배스타이드로 1745년 첫 공략에 참가했던 인물이었다.
1757년 프랑스는 대규모 해군 증강을 통해 루이스버그 방어를 계획하고, 툴롱에서부터 함대를 항해해 오게 했다. 그러나 영국군에 의해 카르타헤나에서 막혔으며, 구원군은 카르타헤나 전투에서 패전했다. 프랑스는 지중해로부터 루이스버그를 증강하려던 시도를 포기해야 했으며, 이는 영국군이 루이스버그로 떠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배가 없음을 의미했다.
대부분의 대포와 병력이 요새 안으로 옮겨졌고, 다섯 척의 함선(''아폴론'', ''피델'', ''셰브르'', ''비슈'', ''디안'')이 항구 입구를 막기 위해 침몰했다.[5] 7월 9일, ''에코''는 짙은 안개를 틈타 항구에서 빠져나가려 했지만, HMS ''스카버러''와 HMS ''주논''에 의해 가로막혀 나포되었다. 이로 인해 프랑스군은 ''셀레브르''(64), ''앙트르프레낭''(74), ''카프리슈''(64), ''프뤼덩''(74) 및 ''비앙페상''(64) 등 절반 정도 비어 있는 다섯 척의 함선만 항구에 남게 되었다.
영국군은 노바스코샤 핼리팩스에 집결하여 육군과 해군 부대가 5월 대부분을 거대한 침공 함대가 결성되면서 함께 훈련을 했다. 그레이트 폰택에서의 대규모 집결 후, 5월 29일, 영국 해군 함대는 루이스버그를 향해 핼리팩스를 출발했다.
2. 1. 루이스버그 요새의 전략적 중요성
세인트로렌스 강 입구에 위치한 루이스버그 요새는 캐나다 내륙으로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했다. 영국 정부는 프랑스 통제 하에 있는 이 요새 때문에 영국 해군이 세인트로렌스강을 통해 퀘벡을 공격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식했다.[5] 1757년 로던 경이 이끌었던 루이스버그 원정이 실패한 후, 윌리엄 피트가 이끄는 영국은 새로운 사령관을 임명하여 다시 요새 공략을 시도했다.루이스버그 요새는 프랑스 해군의 주요 거점 중 하나로, 북미 지역에서 영국 해군의 활동을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757년 프랑스는 대규모 해군 증강을 통해 루이스버그를 방어하려 했으나, 영국군이 툴롱에서 출발한 프랑스 함대를 카르타헤나에서 봉쇄하고, 카르타헤나 해전에서 프랑스 구원 부대를 격파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5] 이로 인해 프랑스는 지중해에서 루이스버그를 지원하려는 시도를 포기해야 했고, 루이스버그 앞바다에는 11척의 함선만이 영국군에 대항할 수 있었다.[5]
2. 2. 영국군의 초기 시도와 실패
1757년 라우던 경이 이끌었던 루이스버그 원정은 프랑스 해군의 강력한 배치로 인해 실패했다.[5] 영국 정부는 프랑스령인 루이스버그 요새가 있는 한 영국 해군이 퀘벡 공격을 위해 세인트로렌스 강을 안전하게 항해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윌리엄 피트의 지도 아래 영국은 새로운 사령관을 임명하여 다시 요새 공략을 시도하기로 결정했다.[5]1757년과 마찬가지로 프랑스군은 대규모 해군 증강을 통해 루이스버그를 방어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영국군은 툴롱에서 출발한 프랑스 함대가 카르타헤나에 도착했을 때 봉쇄했고, 카르타헤나 해전에서 프랑스 구원 부대를 격파했다.[5] 그 결과 프랑스는 지중해에서 루이스버그를 지원하려는 시도를 포기했고, 루이스버그 앞에서는 단 11척의 함선만 영국군에 대항할 수 있었다.[5]
2. 3. 윌리엄 피트의 결단과 새로운 전략
윌리엄 피트는 루이스버그 요새 재점령을 위해 제프리 애머스트 소장을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새로운 전략을 수립했다. 애머스트의 부하로는 찰스 로렌스, 제임스 울프, 에드워드 휘트모어 준장이 있었고, 해군 작전 지휘는 에드워드 보스카웬 제독이 맡았다.[5] 수석 기술자는 존 헨리 바스티드였는데, 그는 1745년 루이스버그 포위전과 1756년 미노르카 섬 전투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5]프랑스군은 1757년 루이스버그 원정 때처럼 대규모 해군 증강을 통해 루이스버그를 방어하려 했으나, 영국군은 툴롱에서 출발한 프랑스 함대를 카르타헤나에서 봉쇄하고 카르타헤나 해전에서 격파하여 프랑스의 지중해 방면 지원 시도를 차단했다.[5]
3. 영국군 원정
1758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끝난 후 엑스라샤펠 조약으로 프랑스에 반환되었던 루이스버그를 탈환하기 위해 영국군은 대규모 원정을 준비했다. 프랑스 주둔군은 3,000명에 불과했지만, 영국군의 기습에 대비하여 5척의 군함이 항구를 방어하기 위해 배치되었다.[23]
3. 1. 영국군의 준비
1758년 5월 하순, 에드워드 보스카웬 제독이 이끄는 영국 함대가 노바스코샤의 핼리팩스에 집결했다. 제프리 애머스트가 육군을 지휘했으며, 이들은 상륙 계획을 짰다.
영국군 병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 지휘관 | 부대 |
|---|---|
| 제프리 애머스트 제독(General) | 정규군 약 11,000명과 미국 레인저(식민지군) 200명[6][7] |
| 로저스 레인저스 3개 중대[8] | |
| 고럼 레인저스(Gorham's Rangers) (1개 중대) – 식민지 매사추세츠 | |
| 루이부르 척탄병 (제22, 45, 40 연대의 척탄병으로 구성된 혼성 부대) | |
| 포병 및 공병 사령관[9] | |
| 오드 대위 부대, 영국 왕립 포병대 | |
| 광부 11명 | |
| 공병 11명 | |
| 목수 100명[10] | |
| 영국 왕립 포병대 열차 (324명) | |
| 에드워드 휘트모어 준장 | 휘트모어 여단 |
| 제1대대, 제1 보병 연대 | |
| 제22 보병 연대 | |
| 제40 보병 연대 | |
| 제48 보병 연대 | |
| 제3대대, 제60 (왕립 아메리카) 보병 연대 | |
| 제임스 울프 준장 | 울프 여단 |
| 제17 보병 연대 | |
| 제35 보병 연대 | |
| 제47 보병 연대 | |
| 제2대대, 제60 (왕립 아메리카) 보병 연대 | |
| 찰스 로렌스 준장 | 로렌스 여단 |
| 제15 보병 연대 | |
| 제28 보병 연대 | |
| 제45 보병 연대 | |
| 제58 보병 연대 | |
| 제78 연대 (프레이저 하이랜더) |
존 헨리 배스타이드를 비롯한 숙련된 공병 장교들이 공성전을 준비했다.
3. 2. 프랑스군의 방어 태세
오귀스탱 드 보쉔리 드 드루쿠르 총독은 영국군의 공격을 예상하고 방어 준비를 강화했다. 1758년 초봄, 영국군의 기습에 대비하여 항구를 보호하기 위해 5척의 군함을 파견했다.[23] 또한, 가바러스 만 해안에는 참호를 파고 포대를 설치했으며, 항구에는 5척의 전투 준비를 마친 함대를 배치하여 영국군의 접근을 막으려 했다.[24]많은 해군 병력이 프랑스에서 루이스버그로 파견되었지만, 대부분은 제때 도착하지 못했다. 지원을 위해 파견된 사단과 함대는 다음과 같다.[12][13]
| 사단 | 함선 | 함종 | 비고 |
|---|---|---|---|
| 장-앙투안 드 샤리 데 구트 사단 | 프뤼당 | 74문급 전열함 | 7월 26일 나포 후 파괴 |
| 레조나블 | 64문급 전열함 | 4월 29일 나포 | |
| 라폴론 | 56문급 전열함 | 6월 28일 자침 | |
| 디안 | 24문급 프리깃함 | 6월 29일 자침 | |
| 뮈틴 | 24문급 프리깃함 | 운명 불명 | |
| 피델 | 24문급 프리깃함 | 6월 28일 자침 | |
| 갈라테 | 24문급 프리깃함 | 12척의 수송선단을 호위하며 보르도를 떠나다가 4월에 나포됨 (수송선단도 함께 나포) | |
| (함선 미상) | 메사제 | 12문급 플루트함 | 3월 13일 레조나블과 충돌 후 로슈포르로 귀환 |
| 슈브르 | 10문급 플루트함 | 6월 28일 자침 | |
| 루이-조제프 보시에 드 릴 사단 | 앙트르프레낭 | 74문급 전열함 | 7월 21일 셀레브르의 화염 잔해에 의해 파괴 |
| 비자르 | 64문급 전열함 | 6월 8일 루이스버그를 떠나 퀘벡 포위전에 참여, 루이 샤를 뒤 샤포 드 베스네의 사단에 합류 후 9월 로리앙으로 귀환 | |
| 셀레브르 | 64문급 전열함 | 7월 21일 파괴 | |
| 카프리시외 | 64문급 전열함 | 7월 21일 셀레브르의 화염 잔해에 의해 파괴 | |
| 비앙페상 | 64문급 전열함 | 7월 25/26일 나포, 영국 해군에 편입 | |
| (함선 미상) | 콩테트 | 30문급 프리깃함 | 포위전 시작 시 루이스버그를 떠나 프랑스로 단독 귀환 |
| 레코 | 28문급 프리깃함 | 루이스버그 포위전을 퀘벡 주둔군에게 알리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5월 25일 나포 |
4. 전개
6월 첫째 주에는 날씨가 좋지 않아 영국군은 상륙 작전을 펼칠 수 없었다. 영국군은 프리깃함에서 가바루스 만에 있는 임시 해안 방어 시설에 포격을 가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6월 8일 새벽, 상황이 나아지자 제프리 애머스트는 7개 사단으로 구성된 대형 보트 함대를 이용해 공격을 시작했다. 각 사단은 그의 준장 중 한 명이 지휘했다. 프랑스군은 처음에는 방어에 성공했고, 큰 피해를 입은 제임스 울프는 퇴각을 명령했다. 하지만 마지막 순간, 울프 사단 소속 하우의 경보병을 태운 보트 한 척이 프랑스군의 공격을 받지 않는 바위투성이 입구를 발견하여 교두보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24] 울프는 나머지 사단에게 이들을 따라오도록 지시했다. 측면 공격을 받은 프랑스군은 요새로 급히 후퇴했다.
거친 파도와 질퍽한 지형 때문에 공성 장비를 옮기는 데 어려움을 겪어 정식 공성전은 늦어졌다. 그동안 울프는 1,220명의 정예 병사들을 이끌고 항구를 돌아 등대 포인트를 점령했고, 6월 12일에 이를 해냈다. 6월 19일, 영국 포병 부대가 자리를 잡았고 프랑스군에 대한 포격을 시작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영국 포대는 모든 크기의 대포와 박격포 70문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몇 시간 안에 대포는 벽을 파괴하고 여러 건물을 손상시켰다.
7월 21일, 등대 포인트에 있던 영국군의 대포에서 발사된 박격포탄이 64문 프랑스 전열함인 ''르 셀레브르''에 명중하여 불이 붙었다. 거센 바람이 불길을 부채질했고, ''르 셀레브르''에 불이 붙은 직후, 다른 두 척의 프랑스 군함인 랑트레프레낭과 ''르 카프리시외''에도 불이 붙었다. ''랑트레프레낭''은 그날 늦게 침몰하여 프랑스군은 루이스버그 함대에서 가장 큰 군함을 잃게 되었다.
7월 23일 저녁 10시, 영국군의 "열탄"이 왕의 요새에 불을 질렀다. 왕의 요새는 요새 본부였으며 1758년 북미에서 가장 큰 건물이었다. 이 요새의 파괴는 프랑스군의 사기를 크게 떨어뜨렸다.
7월 25일, 안개 속에서 보스카웬 제독은 마지막 두 척의 프랑스 함선을 파괴하기 위해 상륙 부대를 보냈다. 영국 습격대는 이 두 척의 프랑스 전열함을 제거하여 나포하고, ''Prudent''를 불태워 왕립 해군이 항구에 진입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훗날 탐험가로 유명해진 제임스 쿡은 이 작전에 참여하여 자신의 선박 일지에 기록했다.[14]

4. 1. 영국군의 상륙 작전
6월 첫째 주에는 날씨가 좋지 않아 상륙 작전을 펼칠 수 없었다. 영국군은 프리깃함에서 가바루스 만에 있는 임시 해안 방어 시설에 포격을 가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6월 8일 새벽, 상황이 나아지자 앰허스트는 7개 사단으로 구성된 대형 보트 함대를 이용해 공격을 시작했다. 각 사단은 그의 준장 중 한 명이 지휘했다. 프랑스군은 처음에는 방어에 성공했고, 큰 피해를 입은 제임스 울프는 퇴각을 명령했다. 하지만 마지막 순간, 울프 사단 소속 하우의 경보병을 태운 보트 한 척이 프랑스군의 공격을 받지 않는 바위투성이 입구를 발견하여 교두보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24] 울프는 나머지 사단에게 이들을 따라오도록 지시했다. 측면 공격을 받은 프랑스군은 요새로 급히 후퇴했다.4. 2. 공성전
6월 첫째 주에는 날씨가 좋지 않아 영국군은 상륙할 수 없었고, 프리깃함에서 가바루스 만의 임시 해안 방어 시설에 포격을 가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6월 8일 새벽, 앰허스트는 7개 사단으로 구성된 대형 보트 함대를 이끌고 공격을 시작했다. 프랑스군은 처음에는 방어에 성공하여 영국군에 큰 피해를 입혔고, 울프는 퇴각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마지막 순간에 울프 사단의 하우의 경보병을 태운 보트 한 척이 프랑스군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되는 바위가 많은 입구를 발견하고 교두보를 확보했다. 울프는 나머지 사단에게 이를 따라가도록 지시했고, 측면을 공격당한 프랑스군은 요새로 급히 후퇴했다.거친 파도와 질퍽한 지형 때문에 공성 장비를 옮기는 데 어려움을 겪어 정식 공성전은 늦어졌다. 그동안 울프는 1,220명의 정예 병사들을 이끌고 항구를 돌아 등대 포인트를 점령하러 갔고, 6월 12일에 이를 해냈다. 6월 19일, 영국 포병 부대가 자리를 잡았고 프랑스군에 대한 포격을 시작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영국 포대는 모든 크기의 대포와 박격포 70문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몇 시간 안에 대포는 벽을 파괴하고 여러 건물을 손상시켰다.
7월 21일, 등대 포인트에 있던 영국군의 대포에서 발사된 박격포탄이 64문 프랑스 전열함인 ''르 셀레브르''에 명중하여 불이 붙었다. 거센 바람이 불길을 부채질했고, ''르 셀레브르''에 불이 붙은 직후, 다른 두 척의 프랑스 군함인 랑트레프레낭과 ''르 카프리시외''에도 불이 붙었다. ''랑트레프레낭''은 그날 늦게 침몰하여 프랑스군은 루이스버그 함대에서 가장 큰 군함을 잃게 되었다.
7월 23일 저녁 10시, 영국군의 "열탄"이 왕의 요새에 불을 질렀다. 왕의 요새는 요새 본부였으며 1758년 북미에서 가장 큰 건물이었다. 이 요새의 파괴는 프랑스군의 사기를 크게 떨어뜨렸다.
7월 25일, 안개 속에서 보스카웬 제독은 마지막 두 척의 프랑스 함선을 파괴하기 위해 상륙 부대를 보냈다. 영국 습격대는 이 두 척의 프랑스 전열함을 제거하여 를 나포하고, ''Prudent''를 불태워 왕립 해군이 항구에 진입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훗날 탐험가로 유명해진 제임스 쿡은 이 작전에 참여하여 자신의 선박 일지에 기록했다.[14]
4. 3. 프랑스군의 항복
7월 26일, 오귀스탱 드 보쉔리 드 드루쿠르는 항복했다.[15] 격렬한 방어전을 펼친 프랑스군은 미노르카 해전에서 항복한 영국군에게 했던 것처럼 전쟁의 명예를 부여받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제프리 애머스트는 오스웨고 요새와 윌리엄 헨리 요새 포위전에서 프랑스 원주민 동맹군이 저지른 잔혹 행위를 이유로 프랑스군에게 명예로운 항복을 허용하지 않았다. 루이스버그의 수비군은 모든 무기, 장비 및 깃발을 항복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 조치에 드루쿠르는 분노했지만, 루이스버그 비전투원 주민들의 안전이 그에게 달려 있었기 때문에 마지못해 항복 조건을 받아들였다. 캉비 연대는 항복 조건을 존중하기를 거부하고, 영국 승리자에게 넘겨주는 대신 소총을 부수고 연대 깃발을 불태웠다.[16]5. 결과 및 영향
루이스버그 함락은 북미 지역에서 영국과 프랑스 간의 세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국은 세인트로렌스 강 장악을 통해 1759년 퀘벡 점령의 발판을 마련했고,[23] 아카디아인을 추방하며 북미 지역 지배를 강화했다.[15]
프랑스는 루이스버그 요새 상실로 대서양 캐나다 전역에서 영토를 잃었고, 해군 방어력을 상실하여 세인트로렌스 강이 공격에 노출되었다.[18] 이는 1759년 퀘벡 포위전으로 이어져 북미에서의 프랑스 통치가 종식되는 결과를 낳았다.[18]
영국군은 루이스버그 요새를 체계적으로 파괴하여 프랑스에 다시 반환될 가능성을 차단했으며,[18] 1763년 파리 조약을 통해 프랑스는 케이프 브레턴 섬을 포함한 캐나다를 영국에 공식적으로 양도했다.[18]
5. 1. 영국의 북미 지배 강화
루이스버그 함락으로 영국은 세인트로렌스 강을 장악하여, 1759년 퀘벡 점령의 발판을 마련했다.[23] 이후 영국군은 세인트존 강 작전, 케이프 세이블 작전, 프티코디악 강 작전, 일 생장 작전, 세인트로렌스 만 작전 (1758) 등을 통해 아카디아인을 추방하고 북미 지역 지배를 강화했다.[15]5. 2. 프랑스 세력의 약화
루이스버그 요새 함락은 대서양 캐나다 전역에서 프랑스 영토 상실로 이어졌다. 영국군은 그해 남은 기간 동안 현재의 뉴브런즈윅,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뉴펀들랜드에 있는 프랑스군을 몰아내고 프랑스 정착지를 점령했다. 아카디아인 추방의 두 번째 물결이 시작되었으며, 영국군은 세인트존 강 작전, 케이프 세이블 작전, 프티코디악 강 작전, 일 생장 작전, 세인트로렌스 만 작전 (1758)에서 아카디아인을 제거하는 작전에 참여했다.[15]루이스버그 상실은 뉴프랑스에서 해군 방어를 빼앗아 세인트로렌스 강을 공격에 노출시켰다.[18] 이는 1759년 울프 장군의 퀘벡 포위전의 발판이 되어 북미에서의 프랑스 통치를 종식하는 결과를 가져왔다.[18] 루이스버그에서의 영국 승전 소식은 뒤케인 요새와 프롱트낙 함락 직후에 전해져 이후 영국군의 전투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23]
5. 3. 전후 처리
루이스버그 요새가 함락되면서, 영국군은 그해 남은 기간 동안 현재의 뉴브런즈윅,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뉴펀들랜드에 있는 프랑스군을 몰아내고 프랑스 정착지를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아카디아인 추방의 두 번째 물결이 시작되었다.[15] 영국군은 요새를 체계적으로 파괴하여 프랑스에 다시 반환될 가능성을 차단했으며, 1760년까지 요새 전체는 잔해 더미로 변했다.[18] 1763년 파리 조약에 따라 프랑스는 케이프 브레턴 섬을 포함한 캐나다를 영국에 공식적으로 양도했다.[18]6. 참전 부대
제프리 애머스트가 지휘하는 영국군은 정규군 약 11,000명과 미국 레인저(식민지군) 200명으로 구성되었다.[6][7] 이들은 로저스 레인저스 3개 중대,[8] 고럼 레인저스(1개 중대),[8] 그리고 척탄병 부대를 포함했다.
'''포병 및 공병 사령관'''[9]
'''여단'''
- '''휘트모어 여단''' (에드워드 휘트모어 준장 지휘): 제1 보병 연대 제1대대, 제22 보병 연대, 제40 보병 연대, 제48 보병 연대, 제60 (왕립 아메리카) 보병 연대 제3대대
- '''울프 여단''' (제임스 울프 준장 지휘): 제17 보병 연대, 제35 보병 연대, 제47 보병 연대, 제60 (왕립 아메리카) 보병 연대 제2대대
- '''로렌스 여단''' (찰스 로렌스 준장 지휘): 제15 보병 연대, 제28 보병 연대, 제45 보병 연대, 제58 보병 연대, 제78 연대 (프레이저 하이랜더)
'''해군'''
| 함선 | 포문 수 | 제독 | 함장 |
|---|---|---|---|
| 나무르 | 90 | 에드워드 보스카웬 | 버클 |
| 로열 윌리엄 | 84 | 찰스 하디 경 | 에반스 |
| 프린세스 아멜리아 | 80 | 필립 듀렐 | 브레이 |
| 인빈시블 | 74 | 벤틀리 | |
| 더블린 | 74 | 조지 로드니 | |
| 테리블 | 74 | 콜린스 | |
| 노섬벌랜드 | 70 | 콜빌 경 | |
| 뱅가드 | 70 | 스윈턴 | |
| 오퍼드 | 70 | 리처드 스프리 | |
| 버포드 | 70 | 제임스 갬비어 | |
| 서머셋 | 70 | 에드워드 휴스 | |
| 랭커스터 | 70 | 조지 에지컴 | |
| 데번셔 | 66 | 고든 | |
| 베드포드 | 64 | 포크 | |
| 캡틴 | 64 | 존 앰허스트 | |
| 프린스 프레데릭 | 64 | 만 | |
| 펨브로크 | 60 | 존 심코 | |
| 킹스턴 | 60 | 패리 | |
| 요크 | 60 | 휴 피곳 | |
| 프린스 오브 오렌지 | 60 | 퍼거슨 | |
| 디파이언스 | 60 | 패트릭 베어드 | |
| 노팅엄 | 60 | 사무엘 마셜 | |
| 센츄리온 | 54 | 윌리엄 만텔 | |
| 서덜랜드 | 50 | 존 루스 |
오귀스탱 드 보쉔리 드 드루쿠르가 지휘한 루이스버그 요새의 프랑스 수비대는 1755년부터 1758년 사이 1,200명에서 약 6,000명으로 증가했다.[6]
| 부대 종류 | 부대명 | 병력 |
|---|---|---|
| 육군 | 아르투아 연대 제2대대, 부르고뉴 연대 제2대대 | 520명 |
| 육군 | 캉브리 연대 제2대대 | 650명 |
| 육군 | 외국인 의용 연대 제2대대 | 660명 |
| 해군 | 해병대 자유 부대 소속 분견대 | 1,000명 |
| 해군 | 해병대 폭격병 | 120명 |
| 기타 | 캐나다 민병대 | 700명 |
| 기타 | 프랑스 동맹 인디언 |
프랑스 해군 증원군은 대부분 제때 도착하지 못했다.
- '''장-앙투안 드 샤리 데 구트 사단'''[12]
- 74문급 전열함 ''프뤼당'' - 7월 26일 나포 후 파괴
- 64문급 전열함 ''레조나블'' - 4월 29일 나포
- 56문급 전열함 ''라폴론'' - 6월 28일 자침
- 24문급 프리깃함 ''디안'' - 6월 29일 자침
- 24문급 프리깃함 ''뮈틴'' - 운명 불명
- 24문급 프리깃함 ''피델'' - 6월 28일 자침
- 24문급 프리깃함 ''갈라테'' - 4월 나포
- 12문급 플루트함 ''메사제'' - 3월 13일 로슈포르로 귀환
- 10문급 플루트함 ''슈브르'' - 6월 28일 자침
- '''루이-조제프 보시에 드 릴 사단'''[13]
- 74문급 전열함 ''앙트르프레낭'' - 7월 21일 파괴
- 64문급 전열함 ''비자르'' - 6월 8일 퀘벡 포위전에 참여, 9월 로리앙 귀환
- 64문급 전열함 ''셀레브르'' - 7월 21일 파괴
- 64문급 전열함 ''카프리시외'' - 7월 21일 파괴
- 64문급 전열함 ''비앙페상'' - 7월 25/26일 나포, 영국 해군 편입
- 30문급 프리깃함 ''콩테트'' - 프랑스로 단독 귀환
- 28문급 프리깃함 ''레코'' - 5월 25일 나포
6. 1. 영국군
제프리 애머스트가 지휘하는 영국군은 약 11,000명의 정규군과 200명의 미국 레인저(식민지군)로 구성되었다.[6][7] 이들은 로저스 레인저스 3개 중대,[8] 고럼 레인저스(1개 중대),[8] 그리고 제22, 45, 40 연대의 척탄병으로 구성된 루이부르 척탄병 부대를 포함했다.'''포병 및 공병 사령관'''[9]
'''여단'''
- '''휘트모어 여단''' (에드워드 휘트모어 준장 지휘)
- 제1 보병 연대 제1대대
- 제22 보병 연대
- 제40 보병 연대
- 제48 보병 연대
- 제60 (왕립 아메리카) 보병 연대 제3대대
- '''울프 여단''' (제임스 울프 준장 지휘)
- 제17 보병 연대
- 제35 보병 연대
- 제47 보병 연대
- 제60 (왕립 아메리카) 보병 연대 제2대대
- '''로렌스 여단''' (찰스 로렌스 준장 지휘)
- 제15 보병 연대
- 제28 보병 연대
- 제45 보병 연대
- 제58 보병 연대
- 제78 연대 (프레이저 하이랜더)
'''해군'''
| 함선 | 포문 수 | 제독 | 함장 |
|---|---|---|---|
| 나무르 | 90 | 에드워드 보스카웬 | 버클 |
| 로열 윌리엄 | 84 | 찰스 하디 경 | 에반스 |
| 프린세스 아멜리아 | 80 | 필립 듀렐 | 브레이 |
| 인빈시블 | 74 | 벤틀리 | |
| 더블린 | 74 | 조지 로드니 | |
| 테리블 | 74 | 콜린스 | |
| 노섬벌랜드 | 70 | 콜빌 경 | |
| 뱅가드 | 70 | 스윈턴 | |
| 오퍼드 | 70 | 리처드 스프리 | |
| 버포드 | 70 | 제임스 갬비어 | |
| 서머셋 | 70 | 에드워드 휴스 | |
| 랭커스터 | 70 | 조지 에지컴 | |
| 데번셔 | 66 | 고든 | |
| 베드포드 | 64 | 포크 | |
| 캡틴 | 64 | 존 앰허스트 | |
| 프린스 프레데릭 | 64 | 만 | |
| 펨브로크 | 60 | 존 심코 | |
| 킹스턴 | 60 | 패리 | |
| 요크 | 60 | 휴 피곳 | |
| 프린스 오브 오렌지 | 60 | 퍼거슨 | |
| 디파이언스 | 60 | 패트릭 베어드 | |
| 노팅엄 | 60 | 사무엘 마셜 | |
| 센츄리온 | 54 | 윌리엄 만텔 | |
| 서덜랜드 | 50 | 존 루스 |
6. 2. 프랑스군
오귀스탱 드 보쉔리 드 드루쿠르가 루이스버그 요새의 프랑스 수비대를 지휘했다. 1755년부터 1758년 사이 수비대는 1,200명에서 약 6,000명으로 증가했다.[6] 수비대는 다음과 같은 병력으로 구성되었다.[7][11]| 부대 종류 | 부대명 | 병력 |
|---|---|---|
| 육군 | 아르투아 연대 제2대대 | 520명 |
| 육군 | 부르고뉴 연대 제2대대 | 520명 |
| 육군 | 캉브리 연대 제2대대 | 650명 |
| 육군 | 외국인 의용 연대 제2대대 | 660명 |
| 해군 | 해병대 자유 부대 소속 분견대 | 1,000명 |
| 해군 | 해병대 폭격병 | 120명 |
| 기타 | 캐나다 민병대 | 700명 |
| 기타 | 프랑스 동맹 인디언 |
많은 해군 병력이 프랑스에서 루이스버그로 파견되었지만, 대부분은 제때 도착하지 못했다. 지원을 위해 파견된 사단과 함대는 다음과 같다.
- '''장-앙투안 드 샤리 데 구트 사단''' (3월 9일 일 드 엑스에서 출발, 루이스버그 도착 날짜는 미상)[12]
- 74문급 전열함 ''프뤼당'' - 7월 26일 나포 후 파괴
- 64문급 전열함 ''레조나블'' - 4월 29일 나포
- 56문급 전열함 ''라폴론'' - 6월 28일 자침
- 24문급 프리깃함 ''디안'' - 6월 29일 자침
- 24문급 프리깃함 ''뮈틴'' - 운명 불명
- 24문급 프리깃함 ''피델'' - 6월 28일 자침
- 24문급 프리깃함 ''갈라테'' - 12척의 수송선단을 호위하며 보르도를 떠나다가 4월에 나포됨 (수송선단도 함께 나포)
- 12문급 플루트함 ''메사제'' - 3월 13일 ''레조나블''과 충돌 후 로슈포르로 귀환
- 10문급 플루트함 ''슈브르'' - 6월 28일 자침
- '''루이-조제프 보시에 드 릴 사단''' (4월 10일 브레스트에서 출발, 루이스버그 도착 날짜는 미상)[13]
- 74문급 전열함 ''앙트르프레낭'' - 7월 21일 ''셀레브르''의 화염 잔해에 의해 파괴
- 64문급 전열함 ''비자르'' - 6월 8일 루이스버그를 떠나 퀘벡 포위전에 참여, 루이 샤를 뒤 샤포 드 베스네의 사단에 합류 후 9월 로리앙으로 귀환
- 64문급 전열함 ''셀레브르'' - 7월 21일 파괴
- 64문급 전열함 ''카프리시외'' - 7월 21일 ''셀레브르''의 화염 잔해에 의해 파괴
- 64문급 전열함 ''비앙페상'' - 7월 25/26일 나포, 영국 해군에 편입
- 30문급 프리깃함 ''콩테트'' - 포위전 시작 시 루이스버그를 떠나 프랑스로 단독 귀환
- 28문급 프리깃함 ''레코'' - 루이스버그 포위전을 퀘벡 주둔군에게 알리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5월 25일 나포
참조
[1]
서적
New France was doomed
[2]
서적
[3]
서적
[4]
서적
Endgame 1758: The Promise, the Glory and the Despair of Louisbourg's Last Decad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
웹사이트
Guerre du Canada. 1756–1760. Montcalm et Lévis
http://gallica.bnf.f[...]
2017-10-01
[6]
웹사이트
Capture of Louisburg 1758
https://www.britishb[...]
2020-02-25
[7]
웹사이트
Glossems on Historical Events: The English and French Regiments at Louisbourg: 1758.
http://www.blupete.c[...]
2020-08-16
[8]
웹사이트
1757 – British expedition against Louisbourg – Project Seven Years War
http://www.kronoskaf[...]
2020-08-16
[9]
서적
History of the Royal Artillery
[10]
웹사이트
1757 – British expedition against Louisbourg – Project Seven Years War
http://www.kronoskaf[...]
2020-08-16
[11]
서적
Louisbourg 1758
Osprey Publishing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웹사이트
Siege of Louisbourg (1758)
http://biographi.ca/[...]
2024-07-27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The Naval Chronicle
[20]
서적
New France was doomed
[21]
서적
[22]
서적
[23]
웹사이트
Louisbourg
http://www.u-s-histo[...]
[24]
웹사이트
The Seige of Louisvourg, 1758
http://www.militaryh[...]
[25]
문서
この地域では、今もルイブールの戦いの再演が行われている。
[26]
서적
[27]
서적
図説 イングランド海軍の歴史
原書房
[28]
웹사이트
Siege of Louibourg French and Indian War Siege of Louisbourg
http://militaryhisto[...]
[29]
서적
The Naval Chronic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