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비히 보르카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트비히 보르카르트(Ludwig Borchardt)는 1863년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난 이집트학자이다. 아돌프 에르만에게 건축학과 이집트학을 배우고, 가스통 마스페로와 함께 《카이로 박물관 총목록》을 간행했다. 1907년 카이로에 고고학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1912년 아마르나에서 조각가 투트모세의 공방을 찾아 네페르티티 흉상을 발굴하여 가장 유명한 업적을 남겼다. 사후레의 피라미드를 발굴하여 장례 단지를 탐사하고, 헬리오폴리스와 아부 고라브에서 고왕국 무덤 발굴을 지휘하기도 했다. 1933년 나치당 집권으로 인해 모든 고고학적 지위에서 사임하고 파리로 망명했으며, 1938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네페르티티 흉상 반출과 관련하여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고고학자 - 오토 얀
오토 얀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화 연구에 기여한 독일의 고고학자이자 문헌학자, 전기 작가로, 특히 《모차르트 전기》는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지만 자료 해석 방식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독일의 고고학자 - 에른스트 쿠르티우스
에른스트 쿠르티우스는 독일의 고고학자이자 역사가로서, 올림피아 유적 발굴 및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 《그리스사》를 저술했으며, 미국 학계의 인정을 받았다. - 이집트학자 - 하워드 카터
영국의 고고학자이자 이집트학 학자인 하워드 카터는 1922년 투탕카멘의 무덤 발굴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발굴 과정에서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지만 과학적인 고고학 연구를 강조했다. - 이집트학자 - 토머스 영
토머스 영은 1773년에 태어나 1829년에 사망한 영국의 과학자이자 의사로, 빛의 파동설, 영의 계수, 색각 이론 등을 제시하고 이집트 상형 문자 해독에 기여했다. - 독일의 동양학자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독일의 동양학자 - 아우구스트 슐라이허
아우구스트 슐라이허는 언어를 유기체처럼 보고 굴절어, 교착어, 고립어로 분류하여 언어 진화의 계통수 모형을 제시하고 인도유럽어 연구와 비교 언어학 방법론 발전에 기여한 19세기 독일의 언어학자이다.
루트비히 보르카르트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루트비히 보르카르트 |
출생일 | 1863년 10월 5일 |
출생지 | 프로이센, 베를린 |
사망일 | 1938년 8월 12일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국적 | 독일 |
직업 | 이집트 학자 |
2. 생애
1863년 베를린에서 태어나 아돌프 에르만에게서 건축학과 이집트학을 배웠다. 가스통 마스페로와 함께 《카이로 박물관 총목록》을 펴냈다. 1907년 카이로에 독일 고고학 연구소를 세우고, 1912년 아마르나에서 조각가 투트모스의 공방을 찾아 네페르티티 흉상을 발굴했다. 1938년 파리에서 사망하여 카이로에 묻혔다.
루트비히 보르카르트는 고대 이집트 건축에 주력하여 여러 발굴 작업을 통해 이집트학 연구에 기여했다. 그러나 네페르티티 흉상 반출을 둘러싼 논란이 존재한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63년 베를린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상인이었던 아버지 헤르만 보르카르트(Hermann Borchardt, 1830–1890)와 어머니 베르타 레빈(Bertha Levin, 1835–1910) 사이에서 태어난 여섯 자녀 중 둘째였다. 처음에는 건축학을 공부하였고, 이후 아돌프 에르만 밑에서 이집트학을 공부했다. 1895년 카이로로 가서 가스통 마스페로와 함께 《카이로 박물관 총목록》(''Catalogue Général du Musée du Caire'')을 제작했다.[1]2. 2. 이집트에서의 활동과 연구
1895년, 카이로로 가서 가스통 마스페로와 함께 이집트 박물관의 카탈로그(''Catalogue Général du Musée du Caire'')를 제작했다.[1] 그의 주요 관심사는 고대 이집트 건축이었다. 아마르나에서 발굴을 시작했고, 그곳에서 조각가 투트모세의 작업장을 발견했다. 그 안에는 유명한 네페르티티의 흉상이 있었다(현재는 베를린의 노이에스 박물관에 소장).[2] 1902년부터 1908년까지 그는 사후레의 피라미드를 광범위하게 발굴하여 전체 장례 단지를 탐사했다. 그는 자신의 발견을 2권의 연구서인 ''Das Grabdenkmal des Konigs Sahure'', "사후레 왕의 장례 기념비"에 게재했으며, 이는 여전히 사후레의 단지에 대한 표준 연구로 여겨진다.[3]1907년, 보르카르트는 카이로에 독일 고고학 연구소(''Deutsches Archäologische Institut'')를 설립했고, 1928년까지 그 연구소의 소장으로 재직했다.[1] 카이로에 기반을 둔 그는 헬리오폴리스와 아부 고라브에 있는 고왕국의 귀족 무덤 발굴을 지휘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이집트의 고대 유물 관리 서비스를 담당하는 이집트학 위원회의 위원이기도 했다.[5]
최근, 보르카르트가 네페르티티 흉상을 석고로 만든 유물이라고 보고하여 이집트에서 밀반출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러나 스위스 미술사학자 앙리 스티어린은 그 흉상이 1912년에 제작된 복제품이라고 주장했다.[1][6]
2. 3. 결혼과 가족
보르카르트는 에두아르트 코헨과 이다 쿤의 딸 중 한 명인 에밀리(미미) 코헨과 결혼했다. 1903년, 미미는 조부 아브라함 쿤으로부터 15만 마르크(금 53.7kg에 해당)의 유산을 받았다.[4] 미미는 유산의 대부분을 카이로에 있는 빌라를 구입하는 데 사용했다.[4]2. 4. 나치 정권과 망명
1933년 나치가 권력을 잡으면서 보르카르트는 모든 고고학적 지위에서 사임해야 했다.[1] 이후 보르카르트는 파리로 스스로 망명했고, 1938년 8월 12일에 사망했다. 그의 형제인 게오르크 헤르만은 뛰어난 작가였는데, 1943년 11월 19일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나치에 의해 살해당했다.3. 주요 업적과 논란
루트비히 보르카르트는 고대 이집트 건축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으며, 가스통 마스페로와 함께 이집트 박물관의 카탈로그(''Catalogue Général du Musée du Caire'')를 제작하기도 했다.[1]
1928년, 보르카르트는 피라미드 건설에 대한 제안을 발표했는데, 피라미드 높이에 따라 수직으로 뻗어 나가는 바깥쪽 직선 램프를 사용하는 방식이었다.[7][8]
3. 1. 네페르티티 흉상 발굴과 반출 논란
1912년 독일의 고고학자 루트비히 보르카르트는 이집트 아마르나에서 조각가 투트모세의 공방을 발굴하던 중 네페르티티 흉상을 발견했다.[2] 이 흉상은 현재 베를린의 노이에스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최근 보르카르트가 네페르티티 흉상을 석고로 만든 유물이라고 보고하여 이집트에서 밀반출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1][6] 스위스 미술사학자 앙리 스티어린은 이 흉상이 1912년에 제작된 복제품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9][12]
3. 2. 사후레 피라미드 발굴
1902년부터 1908년까지 사후레의 피라미드를 광범위하게 발굴하여 전체 장례 단지를 탐사했다. 그는 자신의 발견을 2권의 연구서인 ''Das Grabdenkmal des Konigs Sahure''(사후레 왕의 장례 기념비)에 게재했으며, 이는 여전히 사후레의 단지에 대한 표준 연구로 여겨진다.[3]3. 3. 기타 연구 업적
1907년 카이로에 독일 고고학 연구소(''Deutsches Archäologische Institut'')를 설립하고 1928년까지 연구소장으로 재직했다.[1] 그는 헬리오폴리스와 아부 고라브에 있는 고왕국 귀족 무덤 발굴을 지휘했으며, 이집트 고대 유물 관리 서비스를 담당하는 이집트학 위원회의 위원이기도 했다.[5]1912년 아마르나에서 조각가 투트모세의 작업장을 발굴하여 유명한 네페르티티 흉상을 발견했다.[2] 1902년부터 1908년까지 사후레의 피라미드를 발굴하고, 전체 장례 단지를 탐사하여 ''Das Grabdenkmal des Konigs Sahure'' (사후레 왕의 장례 기념비)라는 2권의 연구서를 출간했는데, 이는 현재까지도 사후레 단지에 대한 표준 연구로 인정받고 있다.[3]
1928년에는 피라미드 건설에 대한 제안을 발표했는데, 피라미드 높이에 따라 수직으로 뻗어 나가는 바깥쪽 직선 램프를 사용하는 방식이었다.[7][8]
최근에는 보르카르트가 네페르티티 흉상을 석고로 만든 유물이라고 보고하여 이집트에서 밀반출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논란이 일기도 했다.[1][6]
4. 저서
제목 | 출판 연도 |
---|---|
카르나크 아몬 신전의 건축사 | 1905 |
연대기 및 이집트 고왕국의 연대 확정 | 1917 |
이집트 역사 연대 측정을 위한 자료 및 연구 | 1917–1938 |
참조
[1]
NDB
[2]
웹사이트
Staatliche Museen zu Berlin: The Bust
https://www.smb.muse[...]
2024-07-18
[3]
서적
Das Grabdenkmal des Königs Sahurā.
http://digi.ub.uni-h[...]
J. C. Hinrichs, Leipzig
1910-1913
[4]
서적
Deutschland in Ägypten: Orientalistische Netzwerke, Judenverfolgung und das Leben der Frankfurter Jüdin Mimi Borchardt
2017
[5]
논문
Contesting the Lonely Queen
https://www.cambridg[...]
2023-12-04
[6]
뉴스
Famed Nefertiti bust 'a fake': expert
https://www.smh.com.[...]
[7]
서적
Die Entstehung der Pyramide.
Verlag von Julius Springer, Berlin
1928
[8]
간행물
Pyramidenbau mit Rampen und Seilwinden
https://edoc.ub.uni-[...]
[9]
NDB
[10]
서적
Das Grabdenkmal des Königs Sahurā.
http://digi.ub.uni-h[...]
J. C. Hinrichs, Leipzig
1910-1913
[11]
서적
Deutschland in Ägypten: Orientalistische Netzwerke, Judenverfolgung und das Leben der Frankfurter Jüdin Mimi Borchardt
2017
[12]
뉴스
Famed Nefertiti bust 'a fake': expert
https://www.smh.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