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샤오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샤오광은 중국의 바둑 기사이다. 13세에 바둑을 시작하여 1982년 프로 6단이 되었고, 1988년 9단으로 승단했다. 전국 바둑 개인전 2회 우승, 천원전 4회 우승, 명인전 1회 우승 등 다수의 국내 기전에서 우승했으며, 중일 천원전에서 1993년 우승을 차지했다. 중국 기전 타이틀 총 획득 수 8위에 랭크되어 있다. 1994년에는 『천살성 류샤오광 자전 백국』을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이펑시 출신 - 북송 진종
북송의 제3대 황제인 진종은 문치주의 정책 추진, 과거 제도 정비, 황제 독재 권력 강화, 요나라와의 전연의 맹 체결, 참파 벼 도입, 도교 장려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 카이펑시 출신 - 북송 휘종
북송 휘종은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으나 정치적 실정과 외교적 실패로 금나라에 포로로 잡혀 비참한 최후를 맞은 북송의 제8대 황제이다. - 중국의 바둑 기사 - 커제
커제는 중국 저장성 출신의 바둑 기사로, 2008년 프로 입단 후 국내외 바둑 대회에서 다수 우승하며 세계적인 기사로 인정받았고, 알파고와의 대결과 몽백합배, 삼성화재배, 백령배 등 국제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칭화대학교 졸업 후 프로 기사와 사회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 중국의 바둑 기사 - 오청원
중국 출신 바둑 기사 오청원은 20세기 최고의 기사 중 한 명으로, 신포석 창안, 십번기 압승, 본인방 슈사이와의 명승부 등 바둑사에 큰 족적을 남겼으며 그의 이론과 철학은 현대 바둑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960년 출생 - 정진석 (정치인)
정진석은 1960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한국일보 기자 출신이며, 16, 17, 18, 20,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 1960년 출생 - 정태인
정태인은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참여정부에서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나 행담도 개발 사업 논란으로 물러난 후, 한미 FTA를 비판하고 진보신당 창당에 참여한 경제학자이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류샤오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류샤오광 (刘小光) |
본명 | 류샤오광 |
출생일 | 1960년 3월 20일 |
출생지 | 카이펑 시, 허난 성, 중국 |
거주지 | 중국 |
소속 | 중국 위기 협회 |
기사 정보 | |
입단 | 1982년 |
단 | 9단 |
소속 리그 | 중국기원 |
타이틀 | |
타이틀 내역 | 명인 1회 천원 4회 |
2. 경력
류샤오광은 13세에 바둑을 시작하여 빠르게 성장, 1980년대와 1990년대 중국 바둑계를 대표하는 기사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1982년 프로 기사가 되었고, 1988년에는 중국기원으로부터 9단 면허를 받았다.[2]
국내에서는 전국 바둑 개인전, 천원전, 명인전 등 주요 기전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정상급 기량를 선보였다. 특히 1988년에는 초대 명인위에 오르고 천원전 3연패를 시작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다.
국제 무대에서는 중일 슈퍼매치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는데, 1987년 제3회 대회에서 일본 기사 4명을 연파하는 기록을 세웠다.[3] 중일 천원전에서는 여러 차례 준우승 끝에 1993년 우승을 차지했으며, 세계 기전인 후지쯔배에서도 1992년 3위에 오르는 등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 1. 주요 경력
13세에 바둑을 배우기 시작하여 14세에 바둑 집중 훈련대에 들어갔다. 1980년 전국 바둑 개인전에서 처음 우승했으며, 같은 해 세계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4위, 이듬해인 1981년에는 5위를 기록했다. 1982년 중국의 새로운 단위 제도가 시행되면서 프로 6단으로 인정받았고, 1985년에는 8단으로 승단했다. 1988년에는 중국기원으로부터 9단 면허를 받았다.[2]국내외 기전에서 꾸준히 활약했다. 1988년 제1기 명인전 결승 5번기에서 위빈을 3-1로 꺾고 초대 명인위에 올랐으며, 같은 해부터 천원전 3연패를 달성하는 등 전성기를 구가했다. 국제 무대에서는 특히 중일 슈퍼매치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는데, 1987년 제3회 대회에서 미야자와 고로, 이시이 쿠니오, 고바야시 사토루, 쿠도 노리오 등 일본 기사 4명을 연파하며 4연승을 기록했고[3], 1994년 제9회 대회에서도 3연승을 거두었다.
중일 천원전에서는 1988년부터 3년 연속 조치훈, 린하이펑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으나, 당시 일본의 후지사와 히데유키는 "조치훈에게 이만큼 둘 수 있는 기사는 일본에도 흔치 않다"고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1993년에는 린하이펑에게 2-0으로 승리하며 중일 천원전 우승을 차지했다. 세계 기전인 후지쯔배에서는 1992년 3위, 1996년 4위를 기록했다.
2001년에는 마샤오춘과의 화산배 3번기에서 2-1로 승리했다. 중국 갑조 리그에도 꾸준히 참가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 주요 기전 성적 ===
==== 국내 기전 ====
기전명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
전국 바둑 개인전 | 1980, 1990 | 1988 |
천원전 | 1988, 1989, 1990, 1993 | 1991, 1994, 1996, 1999 |
명인전 | 1988 | 1989, 1995, 1996, 1998 |
국수전 | 1986 | |
왕위전 | 1992 | |
우정배 리그전 | 1995 | |
교통배 국수 초청전 | 1997 | |
CCTV배 | 1990 |
==== 국제 기전 ====
기전명 | 연도 | 성적 | 상대 기사 |
---|---|---|---|
세계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 | 1980 | 4위 | |
1981 | 5위 | ||
중일 천원전 | 1988 | 준우승 (0-2) | 조치훈 |
1989 | 준우승 (0-2) | 조치훈 | |
1990 | 준우승 (1-2) | 린하이펑 | |
1993 | 우승 (2-0) | 린하이펑 | |
중일 명인전 | 1988 | 준우승 (0-2) | 고바야시 코이치 |
후지쯔배 | 1992 | 3위 | |
1996 | 4위 |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 1993 | 0-1 패 | 린하이펑 |
1994 | 0-1 패 | 서봉수 | |
롯데배 중한 바둑 대항전 | 1996 | 0-2 패 | 서능욱, 목진석 |
==== 중일 슈퍼매치 전적 ====
회차 (연도) | 최종 성적 | 상세 결과 |
---|---|---|
제1회 (1985) | 0승 1패 | × 고바야시 코이치 |
제2회 (1986) | 0승 1패 | × 고바야시 사토루 |
제3회 (1987) | 4승 1패 | ○ 미야자와 고로, ○ 이시이 쿠니오, ○ 고바야시 사토루, ○ 쿠도 노리오, × 오오히라 슈조 |
제4회 (1988) | 0승 1패 | × 요다 노리모토 |
제8회 (1992) | 0승 1패 | × 고바야시 사토루 |
제9회 (1994) | 3승 1패 | ○ 야마다 키미오, ○ 코마츠 히데키, ○ 요다 노리모토, × 야마시로 히로시 |
제11회 (1996) | 0승 1패 | × 오오타케 히데오 |
=== 중국 갑조 리그 성적 ===
- 1999년: 허난 싼위안 소속, 3승 3패
- 2000년: 허난 바둑 소속, 7승 8패
- 2003년: 베이징 하이뎬 소속, 12승 9패
- 2005년: 다롄 상팡 소속
- 2006년: 다롄 상팡 - 베이징 치린 즈청 소속
2. 2. 국제 기전 경력
세계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는 1980년 4위, 1981년 5위를 기록했다. 프로 기사로서는 중일 슈퍼매치와 중일 천원전 등 국제 기전에서 활약했다. 특히 중일 슈퍼매치에서는 1987년 제3회 대회에서 일본 프로 기사 4명을 연파했으며[3], 1994년 제9회 대회에서도 3연승을 거두었다. 중일 천원전에서는 1988년부터 3년 연속 준우승에 머물렀으나, 1993년에는 린하이펑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후지쯔배에서는 1992년에 3위를 기록했다.대회명 | 연도 | 성적 | 비고 |
---|---|---|---|
세계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 | 1980년 | 4위 | |
세계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 | 1981년 | 5위 | |
중일 슈퍼매치 | 1987년 (제3회) | 4연승 | [3] |
중일 천원전 | 1988년 | 준우승 | |
중일 천원전 | 1989년 | 준우승 | |
중일 천원전 | 1990년 | 준우승 | |
후지쯔배 | 1992년 | 3위 | |
중일 천원전 | 1993년 | 우승 | vs 린하이펑 2-0 |
중일 슈퍼매치 | 1994년 (제9회) | 3연승 |
2. 3. 기타 경력
13세에 바둑을 배우기 시작하여 14세에 바둑 집중 훈련대에 들어갔다. 아마추어 시절에는 세계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1980년 4위, 1981년 5위를 기록했다. 1982년 중국의 새로운 바둑 단위 제도가 시행되면서 프로 6단으로 인정받았고, 1985년 8단으로 승단했으며, 1988년에는 중국기원으로부터 9단 면허를 받았다.[2]프로 입단 후 주요 국내외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명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비고 (연도) |
---|---|---|---|
전국 바둑 개인전 | 2 | 1 | 우승 (1980, 1990), 준우승 (1988) | |||
천원전 | 4 | 4 | 우승 (1988, 1989, 1990, 1993), 준우승 (1991, 1994, 1996, 1999). 1988년부터 3연패. | |||
명인전 | 1 | 4 | 우승 (1988, 결승에서 위빈 3-1 승), 준우승 (1989, 1995, 1996, 1998) | |||
0 | 1 | 준우승 (1990) |
대회명 | 최고 성적 | 연도 | 비고 |
---|---|---|---|
후지쯔배 | 3위 | 1992 | 1996년 4위 | |||
중일 천원전 | 우승 | 1993 | 린하이펑에게 2-0 승리. 준우승 3회 (1988, 1989, 1990). 1988, 1989년 조치훈에게 패배. |
국가대항전 및 단체전에서는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중일 슈퍼매치에서 활약했는데, 1987년 제3회 대회에서는 일본 기사 4명을 연파하는 4연승을 기록했고[3], 1994년 제9회 대회에서도 3연승을 달성했다.
대회명 | 연도 | 결과 (상대 기사) |
---|---|---|
중일 슈퍼매치 | 1985 | 0-1 (×고바야시 코이치) | ||
중일 슈퍼매치 | 1986 | 0-1 (×고바야시 사토루) | ||
중일 슈퍼매치 | 1987 | 4-1 (○미야자와 고로, ○이시이 쿠니오, ○고바야시 사토루, ○쿠도 노리오, ×오오히라 슈조) | ||
중일 슈퍼매치 | 1988 | 0-1 (×요다 노리모토) | ||
중일 슈퍼매치 | 1992 | 0-1 (×고바야시 사토루) | ||
중일 슈퍼매치 | 1994 | 3-1 (○야마다 키미오, ○코마츠 히데키, ○요다 노리모토, ×야마시로 히로시) | ||
중일 슈퍼매치 | 1996 | 0-1 (×오오타케 히데오) | ||
1988 | 0-2 (vs 고바야시 코이치) | ||
중일 천원전 | 1988 | 0-2 (vs 조치훈) | ||
중일 천원전 | 1989 | 0-2 (vs 조치훈) | ||
중일 천원전 | 1990 | 1-2 (vs 린하이펑) | ||
1996 | 0-2 (×서능욱, ×목진석) | ||
1993 | 0-1 (×린하이펑) | ||
1994 | 0-1 (×서봉수) |
2001년에는 마샤오춘과 화산배 3번기를 두어 2-1로 승리했다.
중국 갑조 리그에는 여러 팀 소속으로 참가했다.
연도 | 소속팀 | 성적 (승-패) |
---|---|---|
허난 싼위안 | 3-3 | ||
허난 바둑 | 7-8 | ||
베이징 하이뎬 | 12-9 | ||
다롄 상팡 | - | ||
다롄 상팡 - 베이징 치린 즈청 | - |
그는 중국 내 기전 타이틀 총 획득 수 8위에 랭크되어 있다.
3. 수상 기록
국내 기전 기전 우승 준우승 전국위기개인전 2 (1980, 1990) 1 (1988) 국수전 1 (1986) 십단전 1 (1988) 명인전 1 (1988) 4 (1989, 1995–1996, 1998) 천원전 4 (1988–1990, 1993) 4 (1991, 1994, 1996, 1999) CCTV 바둑 컵 1 (1990) 왕위전 1 (1994) 우칭 컵 1 (1995) 보성 컵 1 (1998) 남방 증권배 1 (2000) 화산배 1 (2001) 합계 13 11 대륙간 기전 중일 천원전 1 (1993) 3 (1988–1990) 합계 1 3 통산 전적 합계 14 14
4. 저서
참조
[1]
웹사이트
Games List: Liu Xiaoguang
http://fuseki.info/g[...]
Fuseki Info
2010-12-28
[2]
웹사이트
Liu Xiaoguang 9p
http://www.gogamewor[...]
gogameworld.com
2011-06-24
[3]
웹사이트
3rd China-Japan Supermatch 1987
http://gobase.org/ga[...]
gobase.org
2011-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