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로런스 테일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는 1962년 5월 19일에 태어난 영국의 수학자이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앤드루 와일스의 지도를 받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테일러는 타니야마-시무라 추측, 국소 랭글랜즈 추측, 사토-테이트 추측 등 수론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여러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선출되고, 화이트헤드 상, 페르마 상, 쇼 상, 브레이크스루 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레이 연구상 수상자 - 앤드루 와일스
앤드루 와일스는 1953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수학자이며, 1995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여 수학계에 기여했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클레이 연구상 수상자 - 리처드 S. 해밀턴
리처드 S. 해밀턴은 기하 해석 분야에 획기적인 공헌을 한 미국의 수학자로, 리치 흐름을 발견하고 기하화 추측 증명에 중요한 연구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내시-모저 정리, 조화 사상 열류, 평균 곡률 흐름, 열 방정식에 대한 하낙 부등식 확장 등의 업적과 함께 여러 상을 수상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뉴 칼리지 교수 - 해럴드 윌슨
해럴드 윌슨은 1964년부터 1970년, 1974년부터 1976년까지 두 차례 영국 총리를 역임하며 사회 개혁, 경제 정책, 외교 정책을 추진했고, 노동당 대표로서 사형 폐지 등 사회적 개혁을 이끌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뉴 칼리지 교수 - 리처드 도킨스
영국의 진화생물학자이자 저술가인 리처드 도킨스는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로서 '밈' 개념을 제시하고 유전자 중심 진화론을 대중화했으며, 창조과학과 종교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적극적으로 표명해왔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동문 - 조너선 스펜스
조너선 스펜스는 1936년 영국에서 태어나 2021년 사망한 영국의 중국사 연구 권위자이며, 예일대학교에서 40년 이상 강의하며 《현대 중국을 찾아서》 등 중국 관련 저서를 집필하고 미국역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동문 - 앤드루 와일스
앤드루 와일스는 1953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수학자이며, 1995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여 수학계에 기여했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 |
출생일 | 1962년 5월 19일 |
출생지 | 영국, 케임브리지 |
국적 | 영국, 미국 |
학력 | |
학사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
박사 | 프린스턴 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모듈러 형식 사이의 합동에 대하여 (On congruences between modular forms) |
박사 학위 논문 URL | 박사 학위 논문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1988년 |
지도 교수 | 앤드루 와일스 |
주요 지도 학생 | 케빈 버저드 아나 카라이아니 엘레나 만토반 데이비드 게라티 수그 우 신 |
경력 | |
근무 기관 | 옥스퍼드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고등연구소 스탠퍼드 대학교 |
연구 분야 | |
분야 | 수학 |
수상 | |
수상 내역 | 화이트헤드 상 (1990년) 페르마 상 (2001년) 오스트로프스키 상 (2001년) 콜 상 (2002년) 쇼 상 (2007년) 클레이 연구상 (2007년) 수학 브레이크스루 상 (2015년) |
기타 | 왕립 학회 회원 (1995년) 미국 수학회 회원 |
업적 | |
주요 업적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완성 모듈러성 정리 증명 완성 랭글랜즈 프로그램 연구 |
2. 생애
1962년 5월 19일 영국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존 C. 테일러( John C. Taylor영어 )는 영국의 저명한 물리학자다. 그는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고 있다.[19]
2. 1. 학력 및 경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1984년 졸업).[5][9] 재학 중에는 전임자의 사임으로 1981년부터 1982년까지 아르키메데스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6]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앤드루 와일스의 지도를 받아 "모듈러 형식의 합동"(Congruences between modular forms|콩그루언시스 비트윈 모듈러 폼스영어)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1988년 수학 철학 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7]박사 학위 취득 후 여러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활동했으며,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직위 | 소속 기관 |
---|---|---|
1988년–1995년 | 펠로우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
1988년–1989년 | 왕립 학회 IHÉS 교환 유학 펠로우 | 왕립 학회 / IHÉS |
1989년–1995년 | 조교수, 강사, 리더(Reader)[8] | 케임브리지 대학교 |
1992년 | 객원 조교수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1994년 | 객원 교수 | 하버드 대학교 |
1995년–1996년 | 새빌 기하학 석좌 교수 및 특별 연구원/펠로우[5][8][9] | 옥스퍼드 대학교 뉴 칼리지 |
1996년–2012년 | 수학 교수, 허셸 스미스 수학 교수[8] | 하버드 대학교 |
1999년 | 객원 교수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2010년–2011년 | 특별 초빙 교수 | 프린스턴 대학교 |
2012년–2019년 | 로버트와 루이사 페른홀츠 교수[8] | 고등연구소 |
2018년–현재 | 바바라 킴벌 브라우닝 교수[4] | 스탠퍼드 대학교 (인문과학 분야) |
리처드 테일러는 수론 및 자동형식 분야에서 중요한 여러 연구 업적을 남겼다. 그는 앤드루 와일스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을 돕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증명 논문 중 하나를 공동 저술했다.[10] 또한, 마이클 해리스와 함께 수체 위의 GL(''n'')에 대한 국소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했다.[11] 타니야마-시무라 추측의 증명에도 기여하여, 크리스토프 브뢰유, 브라이언 콘래드, 프레드 다이아몬드 등과 함께 어려운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며 추측의 완전한 증명에 기여했다.[13] 더 나아가, Laurent Clozel|로랑 클로젤eng, 마이클 해리스, Nicholas Shepherd-Barron|닉 셰퍼드-배런eng과 공동으로 특정 조건의 타원 곡선에 대한 사토-테이트 추측을 증명하는 등[14] 수론 분야의 주요 난제 해결에 크게 기여했다.
3. 연구 업적
3. 1.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앤드루 와일스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와일스가 발표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관련 논문 두 편 중 하나는 테일러와 공동으로 저술한 것이다.[10] 이를 통해 테일러는 와일스의 증명을 완성하는 데 핵심적으로 기여했다.
3. 2. 타니야마-시무라 추측 증명
리처드 테일러는 타니야마-시무라 추측의 증명에 중요한 기여를 한 수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먼저 앤드루 와일스와 협력하여 반안정 타원 곡선에 대한 타니야마-시무라 추측의 증명을 도왔다. 이 작업은 와일스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데 핵심적인 부분이었으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두 편의 논문 중 하나는 테일러와 와일스의 공동 저작이다.[10]
이후 테일러는 크리스토프 브뢰유, 브라이언 콘래드, 프레드 다이아몬드와 함께 타니야마-시무라 추측의 나머지 경우에 대한 증명을 완성하는 데 참여했다. 특히 이들은 가법 환원(additive reduction)의 경우에 대한 매우 어려운 기술적 계산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타니야마-시무라 추측 전체를 증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3]
3. 3. 국소 랭글랜즈 추측 증명
마이클 해리스와 함께 표수 0의 국소체 상의 GL(''n'')에 대한 국소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하였다.[11] 이는 수론 분야의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거의 동시에 기 헤니아트가 더 간단한 증명을 제시했고,[12] 이후 페터 숄체도 다른 증명을 제시했다.
3. 4. 사토-테이트 추측 부분 증명
2008년, 테일러는 마이클 해리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Laurent Clozel|로랑 클로젤eng, 마이클 해리스, Nicholas Shepherd-Barron|닉 셰퍼드-배런eng과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14] 이 연구를 통해 정수가 아닌 j-불변량을 갖는 타원 곡선에 대한 사토-테이트 추측의 증명을 발표했다.[14] 이는 앤드루 와일스가 증명한 반안정 타원 곡선의 모듈성에 대한 정리를 활용한 결과이다.[14]
더 구체적으로는, 수체 상에서 정의되고 특정 소수에서 곱셈적 소거(multiplicative reduction)를 갖는 타원 곡선의 경우에 대한 증명이며, 이 연구 결과는 테일러 자신의 홈페이지에 공개되었고 일부는 정식으로 출판되었다.
4. 수상 및 영예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는 수학 분야에서의 뛰어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다수의 권위 있는 상을 수상했으며 여러 학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자동형식 이론, 타니야마-베유 추측, 국소 랑글란츠 추측, 사토-테이트 추측 등에서 이룬 획기적인 결과들을 인정받아 2007년 쇼 상[8], 2015년 수학 분야의 브레이크스루 상[15] 등을 수상했다. 또한 1995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된[8] 것을 비롯하여 미국 수학회[16],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17], 미국 철학회[18] 등 주요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학계에 기여하고 있다.
4. 1. 수상 내역
테일러는 수학 분야에서의 뛰어난 업적으로 다수의 권위 있는 상을 수상했으며, 여러 주요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주요 수상 및 회원 선출 내역은 다음과 같다.연도 | 내용 | 비고 |
---|---|---|
1990년 | 화이트헤드 상 | [8] |
1992년 |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프랑코-브리타닉 상 | |
1995년 | 왕립 학회 회원 선출 | [8] |
2001년 | 페르마 상 | 웬델린 베르너와 공동 수상[8] |
2001년 | 오스트로프스키 상 | 헨리크 이와니에츠, 피터 사르낙과 공동 수상[8] |
2002년 | ICM 전체 강연 | 베이징 개최 |
2002년 | 콜 상 (수론 부문) | 헨리크 이와니에츠와 공동 수상[8] |
2002년, 2003년 | 구겐하임 펠로우십 | |
2005년 | 괴팅겐 과학 아카데미 대니 하이네만 상 | |
2007년 | 클레이 연구상 | |
2007년 | 쇼 상 (수학 부문) | 로버트 랭글랜즈와 공동 수상[8] |
2012년 | 미국 수학회 회원 선출 | [16] |
2012년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 |
2015년 | 수학 분야의 브레이크스루 상 | "자동형식 이론에서 타니야마-베유 추측, 일반 선형군에 대한 국소 랑글란츠 추측, 사토-테이트 추측을 포함한 수많은 획기적인 결과"로 수상[15] |
2015년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 [17] |
2018년 | 미국 철학회 회원 선출 | [18] |
4. 2. 회원
- 1995년: 왕립 학회 회원[8]
- 2012년: 미국 수학회 회원[16]
- 2012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 2015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17]
- 2018년: 미국 철학회 회원[18]
5. 개인사
1962년 5월 19일 태어났다. 아버지는 영국의 물리학자 존 C. 테일러이다. 그는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고 있다.[19]
참조
[1]
MathGenealogy
[2]
웹사이트
Member Directory: Richard L. Taylor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3]
간행물
Preuve de la conjecture de Langlands locale pour GLn: travaux de Harris–Taylor et Henniart
http://www.numdam.or[...]
[4]
웹사이트
Taylor's staff page at Stanford.
https://mathematics.[...]
[5]
webarchive
SAVILIAN PROFESSORSHIP OF GEOMETRY in NOTICES, University Gazette 23.3.95 No. 4359
http://www.ox.ac.uk/[...]
2007-10-10
[6]
웹사이트
List of Presidents of The Archimedeans
https://www.archim.o[...]
2018-06-15
[7]
서적
On congruences between modular forms
https://catalog.prin[...]
1988
[8]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https://virtualmath1[...]
2023-02-14
[9]
문서
'TAYLOR, Prof. Richard Lawrence'
http://www.ukwhoswho[...]
Who's Who 2008, A & C Black
2008
[10]
논문
Ring theoretic properties of certain Hecke algebras
[11]
서적
The geometry and cohomology of some simple Shimura varie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harvnb
[13]
논문
On the modularity of elliptic curves over Q: wild 3-adic exercises
[14]
논문
Automorphy for some l-adic lifts of automorphic mod l representations. II
[15]
웹사이트
Breakthrough Prize
https://breakthrough[...]
Breakthrough Prize
2014-08-14
[16]
웹사이트
List of Fellow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http://www.ams.org/p[...]
2013-08-25
[17]
웹사이트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Member Directory
http://www.nasonline[...]
2016-04-30
[18]
웹사이트
Election of New Members at the 2018 Spring Meeting |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https://www.amphilso[...]
[19]
웹사이트
Autobiography of Richard Taylor
http://www.shawprize[...]
The Shaw Prize Foundation
[20]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The Shaw Laureates 2007
http://www.shawprize[...]
The Shaw Prize
2007-06-12
[21]
웹사이트
List of Fellow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http://www.ams.org/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