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치단엽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치단엽박쥐(Monophyllus redmani)는 꽃혀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전체 길이 73~80mm로 Monophyllus 속에서 가장 크며, 옅은 갈색 또는 회색 털을 가지고 있다. 코잎과 길쭉한 주둥이, 유두가 있는 혀를 가지고 있으며, 혀는 꽃에서 꽃가루를 모으는 데 사용된다. 바하마, 쿠바, 자메이카, 푸에르토리코의 동굴에 대규모 집단을 이루어 서식하며 꿀, 과일, 곤충을 먹는다. IUCN에서는 관심대상으로 분류되었지만, 서식지 감소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1년 기재된 포유류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821년 기재된 포유류 - 큰돌고래
    큰돌고래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지능이 높고 사회적인 돌고래과 포유류로, 소리와 몸짓으로 의사소통하고 반향정위를 사용하며, 인간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겪고 있다.
  • 주걱박쥐과 - 마린켈레칼코박쥐
    마린켈레칼코박쥐는 콜롬비아 동부 사바나 서식지에 서식하며 곤충을 먹는 비교적 큰 칼코박쥐속의 박쥐로, 서식지 파괴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존이 시급하다.
  • 주걱박쥐과 - 슐츠둥근귀박쥐
리치단엽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리치단엽박쥐
리치단엽박쥐
학명Monophyllus redmani
명명자Leach, 1821
이전 학명Monophyllus redmani
생물학적 분류
상태관심 필요
상태 기준IUCN3.1
단엽박쥐속
리치단엽박쥐
추가 정보
백과사전Encyclopedia of Life

2. 형태

리치단엽박쥐는 Monophyllus 속에서 가장 큰 종에 속한다.[3] 다른 꽃혀박쥐아과 박쥐와 비교하면 작거나 중간 크기이며, 털 색깔은 옅은 갈색 또는 회색을 띤다.[3] 외형상 코잎과 길쭉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꽃에서 꽃가루를 효율적으로 모으기 위해 유두가 발달한 특수한 혀를 지니고 있다.[4][5] 화석 기록은 플라이스토세홀로세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

2. 1. 외부 형태

리치단엽박쥐는 전체 길이가 73~80mm로, Monophyllus 속에서 가장 큰 박쥐이다. 두개골 길이는 22.6~23.9mm, 귀 길이는 13~14mm, 앞팔 길이는 37.6~41.0mm이다. 성체의 평균 체중은 8.8g이다. 두개골은 광대뼈 활(광대활)을 가지며, 작은 앞니는 평생 동안 교체된다.[3]

다른 꽃혀과 박쥐와 비교했을 때, 리치단엽박쥐(''M. redmani'')는 작거나 중간 크기이다. 털의 색깔은 옅은 갈색 또는 회색이다. 이 종은 치아 특징으로도 속 내의 다른 종과 구별할 수 있다. 윗니의 앞어금니와 첫 번째 앞어금니 사이의 이개(diastema)는 첫 번째 앞어금니 길이의 절반 이상이며, 다른 종은 첫 번째 앞어금니 길이의 절반 미만이다. 두 번째 앞어금니는 또한 첫 번째 어금니에서 눈에 띄게 분리되지 않고 바로 붙어 있다.[3]

이 박쥐는 코잎, 길쭉한 주둥이, 그리고 유두가 있는 혀를 가지고 있다.[4] 혀는 꽃에서 꽃가루를 모으는 데 사용된다. 박쥐는 개별 유두를 늘려 꽃가루를 핥을 수 있는 "걸레"를 만들 수 있다.[5]

화석 기록은 플라이스토세홀로세 동굴 퇴적물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

2. 2. 골격 및 치아

리치단엽박쥐는 Monophyllus 속에서 가장 큰 박쥐로, 전체 길이는 73mm에서 80mm 사이이다. 두개골 길이는 22.6mm에서 23.9mm 사이이며, 귀 길이는 13~14mm, 앞팔 길이는 37.6mm에서 41mm 사이이다. 성체의 평균 체중은 8.8g이다. 두개골에는 광대뼈활이 있으며, 작은 앞니는 평생 동안 교체된다.[3]

다른 꽃혀박쥐아과 박쥐와 비교했을 때, 리치단엽박쥐(''M. redmani'')는 작거나 중간 크기이다. 털 색깔은 옅은 갈색 또는 회색이다. 이 종은 치아 특징으로 속 내의 다른 종과 구별할 수 있다. 윗니의 앞어금니와 첫 번째 앞어금니 사이의 틈새(diastema)는 첫 번째 앞어금니 길이의 절반 이상이며, 이는 다른 종(첫 번째 앞어금니 길이의 절반 미만)과 다른 점이다. 또한 두 번째 앞어금니는 첫 번째 어금니에서 눈에 띄게 분리되지 않고 바로 붙어 있다.[3]

이 박쥐는 코잎, 길쭉한 주둥이, 그리고 유두가 있는 혀를 가지고 있다.[4] 혀는 꽃에서 꽃가루를 모으는 데 사용되며, 박쥐는 개별 유두를 늘려 꽃가루를 효과적으로 핥을 수 있다.[5]

화석 기록은 플라이스토세홀로세 시기의 동굴 퇴적물에서 발견된다.[3]

3. 분포 및 서식지

이 종은 바하마, 쿠바, 자메이카, 푸에르토리코 전역에 분포한다.[1] 주로 동굴에서 대규모 집단을 이루어 서식하며, 그 수는 수십만 마리에 달할 수 있다.[1]

서식하는 동굴의 환경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자메이카쿠바에서는 습한 동굴에서 표본이 발견되었으나, 바하마에서는 통풍이 잘 되는 동굴에서 발견되었다.[3] 1998년 푸에르토리코에서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리치단엽박쥐는 고온의 동굴을 선호하며 조사된 전체 동굴 중 31%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6] 또한, 서식지의 71%에서는 다른 동굴 서식 박쥐 종들과 함께 발견되었는데, 주로 자메이카 과일 박쥐, 앤틸리스 유령 얼굴 박쥐, 그을린 수염 박쥐 등과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이들은 깊은 동굴과 종유석이 있는 환경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6]

특히 연중 서식하는 고온 동굴은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하는데, 내부 온도가 26°C에서 40°C 사이를 유지하고, 입구가 하나이며, 천장에 함몰된 공간이 있는 구조를 가진다.[6] 이러한 특정 공간을 선호하는 이유는 체온을 효과적으로 보존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6]

4. 생태

리치단엽박쥐는 꿀, 과일, 곤충을 먹는다. 박쥐의 91%는 구아바, 여인의 혀, 머틀, 야생 타마린드 등의 꽃에서 꿀을 먹고, 22%는 파나마 베리, 딱총나무 등의 과일을 먹는다. 곤충도 먹는데, 특히 몸이 부드러운 나비목이나 파리목 곤충을 선호한다.[8] 대앤틸리스 제도의 다른 박쥐들과 비교했을 때, 리치단엽박쥐는 과일보다는 꿀을 먹기에 더 알맞은 턱 구조를 가지고 있다.[7] 필수 영양소인 질소는 주로 꽃가루와 곤충을 통해 얻는다. 이처럼 다양한 먹이를 먹는 습성은 허리케인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생태계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시기별로 구할 수 있는 여러 먹이를 활용하여 다른 박쥐들보다 빠르게 개체수를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8]

푸에르토리코의 같은 서식지에 사는 갈색 꽃 박쥐와는 먹이자원을 나누어 이용한다. 두 박쥐의 혈액 동위원소를 분석한 결과, 리치단엽박쥐는 곤충을 더 많이 먹는 반면, 갈색 꽃 박쥐는 식물을 더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로 다른 먹이를 주로 이용함으로써 경쟁을 피하는 적응 방식으로 여겨진다.[7][9]

리치단엽박쥐를 포함한 세 종의 박쥐를 대상으로 기생충 감염 양상을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외부 기생충 감염률과 헬민스(연충류) 같은 내부 기생충 감염률 사이에 반비례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리치단엽박쥐는 조사된 박쥐 중 외부 기생충에 가장 많이 감염되었지만, 헬민스(내부 기생충)는 발견되지 않았다. 같은 동굴에 사는 박쥐들 사이에서 기생충 감염 정도가 다른 것은 동굴 안에서도 각기 다른 미세 서식지를 선택하고, 이에 따른 온도나 미세 기후의 차이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10]

5. 보존

이 종은 개체수가 많고 분포 범위가 넓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대상으로 분류되었지만, 광업과 관광으로 인해 동굴 서식 공간이 줄어들고 있다.[1]

참조

[1] 간행물 "''Monophyllus redmani''" 2021-11-16
[2] 백과사전 "''Monophyllus redmani'' — Greater Antillean Long-tongued Bat" http://eol.org/pages[...] 2015-03-19
[3] 저널 "''Monophyllus redmani''"
[4] 저널 Histological aspects of the facial glands of the bat, ''Monophyllus redmani portoricensis'' 1979-01-01
[5] 저널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New World nectar-feeding bats https://www.biodiver[...] 1981-01-01
[6] 저널 Nonrandom aggregations and distribution of cave-dwelling bats in Puerto Rico
[7] 저널 Disparate feeding strategies used by syntopic Antillean nectarivorous bats to obtain dietary protein
[8] 저널 Diet of two nectarivorous bats, ''Erophylla sezekorni'' and ''Monophyllus redmani'' (Phyllostomidae), on Puerto Rico 2006-01-01
[9] 저널 Food resource partitioning in syntopic nectarivorous bats on Puerto Rico
[10] 저널 Host-parasite interactions of tropical bats in Puerto Rico
[11] 간행물 Monophyllus redmani
[12] 웹인용 "''Monophyllus redmani'' — Greater Antillean Long-tongued Bat" http://eol.org/pages[...] 2015-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