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홀로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홀로세는 약 1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지질 시대로, 충적세 또는 현세라고도 불린다. 플라이스토세의 빙하기 이후 시작되었으며, 신생대 제4기에 속한다. 홀로세라는 이름은 "전체"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holos'와 "새로운"을 의미하는 'kainós'에서 유래되어 "완전히 새로운" 시대를 의미한다. 홀로세에는 비교적 대륙 이동은 없었지만, 빙하 융해로 해수면이 급격히 상승하고 기후가 안정되었다. 인류는 농업과 목축을 시작하며 정착 생활을 시작했고, 이는 문명의 발달로 이어졌다. 현재 홀로세는 인류의 활동으로 인한 생물종 멸종, 즉 '제6의 대멸종'이 진행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홀로세 - 신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만 년경부터 기원전 2천 년경까지 간석기 사용, 농경과 목축의 시작을 특징으로 하며, 지역에 따라 토기 사용이나 정착 생활 등이 추가적인 기준이 되고, 서남아시아에서 시작된 문화가 확산되어 농업과 목축의 발전으로 신석기 혁명이 일어났고, 각 지역의 환경과 문화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문화가 발전하다 청동기 또는 철기 시대의 도래와 함께 종료되었다.
  • 홀로세 - 중석기 시대
    중석기 시대는 빙하기 후 기후 변화에 따른 문화적, 기술적 변화 시기로, 수렵, 어로, 채집 경제와 잔석기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지역별로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고 유럽에서는 홍적세 말기부터 농업 시작 전까지를 지칭한다.
  • 세 (지질학) - 플라이스토세
    플라이스토세는 약 258만 년 전부터 1만 2천 년 전까지의 지질 시대로,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되며 매머드와 같은 대형 포유류가 번성하고 인류가 진화하여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했다.
  • 세 (지질학) - 올리고세
    올리고세는 3390만 년 전부터 2320만 년 전까지 지속된 지질 시대의 한 시기로, 대륙 이동과 기후 냉각, 생물권 변화가 나타났다.
  • 지질학에 관한 - 석탄
    석탄은 식물이 지하에서 석탄화 과정을 거쳐 생성된 고체 연료로, 산업 혁명 이후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었으며, 탄소 함량에 따라 등급이 나뉘고 화력 발전, 제철 등에 사용되지만, 연소 과정에서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 지질학에 관한 -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은 곤드와나 대륙 분열로 형성되어 인도판과 오스트레일리아판으로 나뉘며,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을 형성했고, 주변 판들과 복잡한 경계를 이루어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발생한다.
홀로세
지도
현재 완신세, 메갈라야절 동안의 지구 지도
시대 정보
명칭완신세
이름 형식공식
사용 정보
천체지구
사용전 지구 (ICS)
시간 척도ICS 시간 척도
정의
연대 단위시대
지층 단위
시간 폭 형식공식
하위 경계 정의영거 드라이아스 아빙기의 끝.
하위 GSSP 위치NGRIP2 아이스 코어, 그린란드
하위 GSSP 승인일2008
상위 경계 정의현재
상위 GSSP 위치N/A
상위 GSSP 좌표N/A
상위 GSSP 승인일N/A
대기 및 기후 데이터

2. 명칭

홀로세(Holocene영어)는 약 1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지질 시대를 말한다. 충적세(沖積世) 또는 현세(現世)라고도 부른다. 홀로세(Holocene)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ὅλος|홀로스grc''(ὅλος, "전체")와 ''καινός|카이노스grc''(καινός, "새로운")에서 유래되었으며, "완전히 새로운" 시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7][8][9]

17세기 유럽에서는 이 시대의 지층이 노아의 홍수 이후에 생성되었다고 믿었기 때문에 충적세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그러나 현재는 신화와 연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더 엄밀한 정의가 필요하게 되어 충적세라는 명칭은 사용하지 않는다.

3. 지질학적 특징

홀로세는 기간이 짧기 때문에 판구조론에 따른 대규모 대륙 이동은 없었지만, 홀로세 초기에는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130m 이상 급격히 상승했다.[28] 특히 홀로세 기후 최적기에는 현재보다 해수면이 3~5m 정도 높았다고 추정된다. 그 후 해수면은 완만하게 하강하여 최근 2,000년 정도는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해수면 상승과 일시적인 지반 침강으로 인해 현재는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 바닷물이 일시적으로 유입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홀로세 지층의 해양 화석이 버몬트와 미시간과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기도 했다.[28]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지형 변화가 나타났다.



한국의 서해안과 남해안은 복잡한 해안선(리아스식 해안)을 형성하게 되었는데, 이는 홀로세 해수면 상승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4. 기후

홀로세 동안 기후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었지만, 몇 차례의 변동이 있었다. 빙상핵 기록에 따르면, 최종 빙기 말기 이후 전 지구적인 온난화가 있었지만, 영거 드라이아스기에는 일시적인 한랭기가 나타났으며, 8,200년 전에도 한랭 사건이 발생했다.[125] 국제층서위원회는 홀로세가 기원후(CE) 2000년 이전 약 11,700년 전(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보정 연대 기원전 9700년 또는 기원전 11,650년)에 시작되었다고 정의한다.[4]

홀로세 최적기(Holocene climatic optimum)에는 전 세계적으로 온난한 기후가 나타났지만, 지역에 따라 시기와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홀로세 중기 이후에는 신빙기(Neoglacial)라고 불리는 점진적인 냉각화 경향이 나타났으며, 중세 온난기와 소빙하기와 같은 기후 변동이 있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홀로세 초기와 중기에 현재보다 습윤한 기후가 나타났다.[79] 한국에서는 중기 즐문 시대(기원전 5,500년~5,000년)에 인구가 급증했다가 기후 변화로 인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중동에서는 홀로세에 이전의 춥고 건조했던 영거 드라이아스와는 대조적으로 더 따뜻하고 습한 기후가 찾아왔다. 홀로세 초기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농업이 시작되어 퍼져나갔다. 양, 염소, 소, 그리고 나중에는 돼지가 가축화되었고, 밀과 보리 같은 곡물과 콩과 식물도 가축화되었다.

일본해에서는 홀로세 중기가 따뜻한 기후로 주목할 만하며, 400~500년과 1,000년마다 주기적인 기온 변동이 있었다.[84]

4. 1. 세부 기후 변동

Holocene영어는 기후 변동을 기반으로 다음 다섯 개의 시간 간격 또는 연대층서로 세분할 수 있다.[16]

  • 프레보레알(10 ka–9 ka BP)
  • 보레알(9 ka–8 ka BP)
  • 아틀란틱(8 ka–5 ka BP)
  • 서브보레알(5 ka–2.5 ka BP)
  • 서브아틀란틱(2.5 ka BP–현재)


: ''참고: "ka BP"는 "킬로년 전(Before Present)", 즉 1950년 이전 1,000년(보정되지 않은

그린란드의 빙상 코어에서 구해진 빙상 표면의 대기 온도 변화. 아빙기의 얀거드리아스기가 약 11,700년 전 마지막 10년 동안 기온이 8.3℃ 상승하여 아간빙기의 프레보레알기로 이행한다.


홀로세 동안 기후는 꽤 안정적이었다. 빙상핵의 기록은 홀로세 이전에 한랭한 시기였던 최종 빙기 말기 이후에 전지구적인 온난화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영거 드라이아스기에 접어들면서 기후는 지역에 따라 일시적으로 빙기 상태로 되돌아가기도 하였다.

서로 다른 지역에서 일하는 지질학자들은 해수면, 이탄 습지, 빙핵 샘플을 연구하여 블리트-세르난데르 순서를 더욱 검증하고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블리트-세르난데르 순서는 처음에 이탄 이끼의 식물 유체를 기반으로 정의된 기후 시대의 분류이다.[17] 이 방법은 한때 주장된 연대층서와 일치하지 않는 이탄의 14C 연대 측정을 기반으로 거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18] 연구자들은 유라시아북아메리카 전역에서 일반적인 대응 관계를 발견했다. 이 체계는 북유럽을 위해 정의되었지만, 기후 변동성과 변화는 더 널리 발생하는 것으로 주장되었다. 이 체계의 시대는 최종 빙기의 마지막 몇몇 진동과 더 최근의 선사 시대의 기후를 포함한다.[19]

현재 사하라 사막(Sahara Desert)이 지배적인 북아프리카는 초기 및 중기 홀로세 동안 아프리카 습윤기(African Humid Period, AHP)로 알려진 대형 호수가 점점이 있는 사바나였다.[55] 아프리카 습윤기(AHP)는 열대 수렴대(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 ITCZ)의 북쪽 이동으로 북아프리카에 계절풍 강우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57] 사하라의 무성한 초목은 목축(pastoralism)의 증가를 가져왔다.[58] AHP는 약 5,500년 전에 끝났고, 그 후 사하라는 건조해져 오늘날과 같은 사막이 되었다.[59]

중기 홀로세 동안 강해진 동아프리카 계절풍으로 동아프리카의 강수량이 증가하고 호수 수위가 상승했다.[60] 서기 800년경 또는 1,150년 전에 아프리카 남동부에서 해침(marine transgression)이 발생했다. 룽궤 호(Lake Lungué) 분지에서는 이 해수면 고점이 서기 740년에서 910년, 즉 1,210년에서 1,040년 전에 발생했는데, 이는 당시 호수가 인도양과 연결되었다는 증거이다. 이 해침 이후 590년 전까지 지속된 전환기가 있었고, 그 후 이 지역은 심각한 건조화를 경험했으며 가축 방목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기 시작했다.[61]

칼라하리 사막(Kalahari Desert)의 홀로세 기후는 전반적으로 매우 안정적이었고 환경 변화의 진폭은 낮았다. 4,000년 전부터 비교적 서늘한 조건이 지속되었다.[62]

5. 생태학적 변화

Holocene영어 동안 동식물의 큰 진화는 없었지만, 개체 수와 분포에 큰 변화가 있었다. 매머드마스토돈을 포함한 많은 대형 동물과, ''스밀로돈''과 ''호모테리움''과 같은 검치호 및 거대 나무늘보는 플라이스토세 후기와 홀로세 초기에 멸종했다. 이러한 멸종은 대부분 인류의 사냥 활동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97]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클로비스 첨두를 사용한 클로비스 문화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97]

전 세계적으로 이전에는 지역적으로 분포했던 서늘한 기후의 생태계는 고도가 높은 생태적 "섬"에 고립되었다.[99] 관목, 초본, 이끼류도 플라이스토세에서 홀로세로의 상대적 풍부함이 영구 동토층 코어 샘플에 의해 확인되었다.[98]

6. 인류의 발전

홀로세의 시작은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중석기 시대의 시작과 일치한다. 근동아나톨리아 같은 지역에서는 중석기 시대 대신 후기 구석기 시대라는 용어가 선호되는데, 이는 거의 같은 시기를 가리키기 때문이다. 이 시대의 문화에는 함부르크 문화, 페더메서 문화, 나투프 문화 등이 있으며, 이 시대에 텔 술탄(예리코)과 같이 지구상에 아직까지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거주지가 근동에 처음으로 정착했다. 괴베클리 테페와 같은 곳에서는 원시 종교의 진화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도 기원전 9천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홀로세에는 식물과 동물의 가축화를 통해 인간은 중앙 집중식 위치에 마을과 도시를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기원전 10,000년에서 7,000년 사이 (BP) 아시아, 아프리카, 중앙 아메리카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식물과 동물의 빠른 가축화가 일어났다. 농업의 발전으로 인간은 수렵 채집인 유목 문화에서 벗어나 더 지속 가능한 정주 생활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생활 방식의 변화는 인간이 도시와 마을을 건설하게 하였고, 오늘날 알려진 세계를 탄생시켰다. 식물과 동물의 가축화는 행성의 열대 지역에서 홀로세 초기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남아메리카의 문화 발전과 인구 변화는 중기 홀로세(8.2~4.2 k cal BP)의 기후 변동성으로 인한 수문 기후의 급증과 관련이 있다.[106] 한국 한반도에서는 기후 변화로 기원전 5,500년에서 5,000년까지의 중기 즐문 시대에 인구 급증이 일어났지만, 기원전 5,000년에서 4,000년까지 그리고 4,000년에서 3,500년까지의 후기 및 최종 즐문 시대에는 그에 따른 감소가 있었다.[108]

7. 인류세

20세기 이후 인류의 활동이 지구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새로운 지질 시대인 '인류세'(Anthropocene)가 제안되었다.[21] 인류세는 파울 J. 크뤼천과 유진 스토어머가 2000년에 만들어낸 용어로, 인간 활동에 의해 많은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조건과 과정이 심각하게 변화된 현재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어 왔다.

국제층서위원회(ICS)의 제4기층서소위원회(SQS)는 인류세를 공식적인 연대층서 단위로 인정하는 것에 대한 제안을 했으나, 2024년 3월 SQS는 얕은 퇴적 기록과 매우 최근에 제안된 시작 날짜를 이유로 이 제안을 거부했다.[23][24] ICS와 국제지질과학연맹은 나중에 거의 만장일치로 지질 시대표에 인류세 제안 포함을 거부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25][26][27]

인류세는 아직 공식적으로 인정된 지질 시대는 아니지만, 많은 과학자들이 인류의 영향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8. 홀로세 멸종

홀로세 멸종은 '제6의 대멸종' 또는 '인류세 멸종'이라고도 불리며,[109][110] 현재 홀로세 (최근 시기는 인류세라고도 함)에 일어나고 있는 생물종의 멸종 사건이다.[111][112][113][114] 이는 인간 활동의 결과로 발생한다. 여기에는 다수의 균류[115], 식물[116][117], 그리고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무척추동물을 포함한 동물의 멸종이 포함된다. 산호초열대 우림과 같은 생물 다양성이 높은 서식지와 다른 지역의 광범위한 훼손으로 인해, 이러한 멸종의 대다수는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멸종 당시에 해당 종이 발견되지 않았거나, 아직 멸종 사실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의 종 멸종 속도는 자연적 배경 멸종률보다 100배에서 1,000배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112][118][119]

참조

[1] 논문 The Global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GSSP) for the base of the Holocene Series/Epoch (Quaternary System/Period) in the NGRIP ice core 2008-06-01
[2] 백과사전 Holocene Merriam-Webster 2018-02-11
[3] 백과사전 Holocene Dictionary.com 2018-02-11
[4] 논문 Formal definition and dating of the GSSP (Global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for the base of the Holocene using the Greenland NGRIP ice core, and selected auxiliary records https://stratigraphy[...] 2013-09-03
[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http://www.stratigra[...] 2016-06-18
[6] 뉴스 Welcome to the Meghalayan Age a new phase in history https://www.bbc.com/[...] 2018-07-18
[7] 논문 Sur la répartition des mammifères fossiles entre les différents étages tertiaires qui concourent à former le sol de la France https://babel.hathit[...] 2018-07-15
[8]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Holocene https://www.etymonli[...] 2019-08-08
[9]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suffix -cene https://www.etymonli[...] 2019-08-08
[10] 논문 Chapter 30 - The Quaternary Period https://www.scienced[...] Elsevier 2022-04-21
[11] 논문 Chronology of late wisconsinan glaciation in middle North America
[12] 논문 Maximum extent of the Eurasian ice sheets in the Barents and Kara Sea region during the Weichselian http://www.folk.uib.[...] 2018-02-11
[13] 논문 The Late Devensian (<22,000 BP) Irish Sea Basin: The sedimentary record of a collapsed ice sheet margin
[14] 논문 Geomorphology, stratigraphy, and radiocarbon chronology of LlanquihueDrift in the area of the Southern Lake District, Seno Reloncavi, and Isla Grande de Chiloe, Chile https://pdfs.semanti[...]
[15] 논문 A terrestrial palynological record for the last two glacial cycles from southwestern New Zealand 2007-02-01
[16] 논문 Quaternary stratigraphy of Norden: a proposal for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http://folk.uib.no/n[...] 2013-09-15
[17] 논문 Widespread evidence of 1500 yr climate variability in North America during the past 14 000 yr 2002-05-01
[18] 백과사전 Peat bogs as sources of proxy climatic data: Past approaches and future research https://link.springe[...] Springer 2020-11-20
[19] 논문 10,000 years of climate change and human impact on the environment in the area surrounding Lejre
[20] 웹사이트 Middle Ages Definition, Dates, Characteristics, & Facts https://www.britanni[...] 2021-06-04
[21] 서적 With Speed and Violence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22] 웹사이트 Working Group on the "Anthropocene" http://quaternary.s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2017-06-18
[23] 뉴스 Are We in the 'Anthropocene,' the Human Age? Nope, Scientists Say. https://www.nytimes.[...] 2024-03-05
[24] 뉴스 Geologists Make It Official: We're Not in an 'Anthropocene' Epoch https://www.nytimes.[...] 2024-04-19
[2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https://stratigraphy[...]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2024-04-07
[26] 웹사이트 What is the Anthropocene? – current definition and status http://quaternary.st[...] Subcommission on Quaternary Stratigraphy, Working Group on the 'Anthropocene' 2024-04-07
[27] 간행물 The Anthropocene: IUGS-ICS Statement https://www.iugs.org[...] 2024-03-20
[28] 뉴스 England is sinking while Scotland rises above sea levels, according to new study https://www.telegrap[...] 2014-06-10
[29] 논문 The Nastapoka drift belt, eastern Hudson Bay: implications of a stillstand of the Quebec-Labrador ice margin in the Tyrrell Sea at 8 ka BP
[30] 논문 A Pervasive Millennial-Scale Cycle in North Atlantic Holocene and Glacial Climates http://rivernet.ncsu[...]
[31] 논문 Persistent Solar Influence on North Atlantic Climate During the Holocene
[32] 논문 Holocene periodicity in North Atlantic climate and deep-ocean flow south of Iceland
[33] 논문 Millennial-scale temperature variations in North America during the Holocene
[34] 논문 Evidence from wavelet analysis for a mid-Holocene transition in global climate forcing https://hal-insu.arc[...] 2018-12-16
[35] 논문 Discovery of Holocene millennial climate cycles in the Asian continental interior: Has the sun been governing the continental climate?.
[36] 논문 Dampened predictable decadal North Atlantic climate fluctuations due to ice melting https://www.nature.c[...] 2023-03-23
[37] 논문 Complexity of Holocene Climate as Reconstructed from a Greenland Ice Core https://www.science.[...] 1995-12-22
[38] 논문 Hunter-gatherer impact on European interglacial vegetation: A modelling approach https://www.scienced[...] 2024-01-15
[39] 논문 Late Holocene climate: Natural or anthropogenic? 2016-02-15
[40] 논문 Maximum Northern Hemisphere warming rates before and after 1880 during the Common Era 2023-03-03
[41] 논문 The history of climate and society: a review of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the human past 2022-10-01
[42] 논문 Global climate change, war, and population decline in recent human history 2007-12-04
[43] 논문 Mid- to Late Holocene climate change: an overview https://www.scienced[...] 2008-10-01
[44] 논문 Early Holocene climate oscillations—causes and consequences https://www.scienced[...] 2007-08-01
[45] 논문 Asynchronous Holocene Climate Optimum across mid-latitude Asia https://linkinghub.e[...] 2019-03-15
[46] 논문 A robust spatial reconstruction of April to September temperature in Europe: Comparisons between the medieval period and the recent warming with a focus on extreme values https://www.scienced[...] 2012-03-01
[47] 논문 Holocene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a data-based review https://www.lyellcol[...] 2014-10-17
[48] 논문 A 449 year warm season temperature reconstruction in the southeastern Tibetan Plateau and its relation to solar activity: Temperature reconstruction in the Tibet 2014-10-27
[49] 논문 Solar trends and global warming 2009-07-27
[50] 논문 Geophysical,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evidence support a solar-output model for climate change 2000-11-07
[51] 논문 Early Holocene deglaciation of Drangajökull, Vestfirðir, Iceland https://linkinghub.e[...] 2016-12-01
[52] 논문 The record of climatic change in the geological archives of shallow marine, coastal, and adjacent lowland areas of Northern Germany https://www.research[...] 2003-01-01
[53] 논문 Evolution of the alpine Critical Zone since the Last Glacial Period using Li isotopes from lake sediments https://www.scienced[...] 2023-12-15
[54] 논문 Climate variability in SE Europe since 1450 AD based on a varved sediment record from Etoliko Lagoon (Western Greece) https://linkinghub.e[...] 2017-03-01
[55] 논문 West African monsoon dynamics inferred from abrupt fluctuations of Lake Mega-Chad 2015-07-14
[56] 논문 Alluvial records of the African Humid Period from the NW African highlands (Moulouya basin, NE Morocco) 2021-03-01
[57] 논문 How Far North Did the African Monsoon Fringe Expand During the African Humid Period? Insights From Southwest Moroccan Speleothems 2019-12-16
[58] 논문 The demographic response to Holocene climate change in the Sahara 2014-10-01
[59] 논문 The "African humid period" and the record of marine upwelling from excess 230 Th in Ocean Drilling Program Hole 658C: Th NORMALIZED FLUXES OFF NORTH AFRICA 2006-10-20
[60] 논문 Variations in water level for Lake Turkana in the past 8500 years near Mt. Porr, Kenya and the transition from the African Humid Period to Holocene aridity https://www.scienced[...] 2014-08-01
[61] 논문 Late Holocene sea-level changes and paleoclimate recorded in Lake Lungué, southern Mozambique https://www.scienced[...] 2017-11-01
[62] 논문 Late Quaternary paleoenvironments in the southwestern Kalahari https://dx.doi.org/1[...] 1989-05-01
[63] 논문 Agricultural sustainability in the semi-arid Near East https://cp.copernicu[...] 2007-05-11
[64] 논문 The middle Holocene climatic records from Arabia: Reassessing lacustrine environments, shift of ITCZ in Arabian Sea, and impacts of the southwest Indian and African monsoons https://academiccomm[...] 2015-01-01
[65] 논문 Refining Late-Holocene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Akko coastal plain and its impacts on the settlement and anchorage patterns of Tel Akko (Israel) 2022-05-01
[66] 논문 Contrasting early Holocene temperature variations between monsoonal East Asia and westerly dominated Central Asia https://linkinghub.e[...] 2017-12-15
[71] 논문 Holocene moisture changes in western China, Central Asia, inferred from stalagmites https://linkinghub.e[...] 2017-02-15
[72] 논문 Late glacial and Holocene vegetation, Indian monsoon and westerly circulation in the Trans-Himalaya recorded in the lacustrine pollen sequence from Tso Kar, Ladakh, NW India https://linkinghub.e[...] 2023-09-27
[73] 논문 Multiproxy record of monsoon variability from the Ganga Plain during 400–1200 A.D. https://www.scienced[...] 2023-09-10
[74] 논문 Linking Holocene drying trends from Lonar Lake in monsoonal central India to North Atlantic cooling events https://www.scienced[...] 2023-09-15
[75] 논문 Holocene monsoon and sea-level variability from coastal lowlands of Kerala, SW India https://linkinghub.e[...] 2023-09-10
[76] 논문 Temperature changes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and early Holocene in southwest China https://linkinghub.e[...] 2024-06-09
[77] 논문 Holocene non-orbital climatic events in present-day arid areas of northern Africa and China https://linkinghub.e[...] 2023-09-10
[78] 논문 Prolonged cooling interrupted the Bronze Age cultures in northeastern China 3500 years ago https://www.scienced[...] 2023-10-15
[79] 논문 Vegetation response to Holocene climate change in monsoon-influenced region of China https://www.scienced[...] 2023-09-10
[80] 논문 Biogeochemical evidence of Holocene East Asian summer and winter monsoon variability from a tropical maar lake in southern China https://www.scienced[...] 2023-09-10
[81] 논문 Solar and tropical ocean forcing of late-Holocene climate change in coastal East Asia https://www.scienced[...] 2023-09-15
[82] 논문 Branched GDGT-based paleotemperature reconstruction of the last 30,000 years in humid monsoon region of Southeast China https://linkinghub.e[...] 2024-07-19
[83] 논문 High-resolution palynological record of Holocene climatic and oceanographic changes in the northern South China Sea https://linkinghub.e[...] 2024-07-19
[84] 논문 Diatom-derived SSTs (Td′ ratio) indicate warm seas off Japan during the middle Holocene (8.2–3.3 kyr BP) https://www.scienced[...] 2024-10-11
[85] 논문 Evolution of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Gulf of Thailand since the last deglaciation https://www.scienced[...] 2023-09-15
[86] 논문 Oxygen isotope records of Holocene climate variability in the Pacific Northwest 2016-06-15
[87] 논문 Mid to late Holocene strengthening of the East Greenland Current linked to warm subsurface Atlantic water https://www.scienced[...] 2023-09-11
[88] 논문 The Late Holocene Dry Period: multiproxy evidence for an extended drought between 2800 and 1850 cal yr BP across the central Great Basin, USA https://www.scienced[...] 2023-09-10
[89] 논문 The structure of Holocene climate change in mid-latitude North America 2016-06-01
[90] 논문 The Impacts of the Middle Holocene High Sea-Level Stand and Climatic Changes on Mangroves of the Jucuruçu River, Southern Bahia – Northeastern Brazil 2017-02
[91] 논문 A critical review of mid- to late-Holocene sea-level fluctuations on the eastern Brazilian coastline https://www.scienced[...] 2023-09-17
[92] 논문 Paleo-sea levels, Late-Holocene evolution, an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boulders at the Rocas Atoll, southwestern Equatorial Atlantic https://www.scienced[...] 2023-09-17
[93] 논문 See–saw relationship of the Holocene East Asian–Australian summer monsoon 2016-09-26
[94] 논문 Evidence for a Holocene Climatic Optimum in the southwest Pacific: A multiproxy study: Holocene Optimum in SW Pacific http://doi.wiley.com[...] 2017-08
[95] 논문 Holocene sedimentary record from Lake Tutira: A template for upland watershed erosion proximal to the Waipaoa Sedimentary System, northeastern New Zealand https://www.scienced[...] 2023-09-11
[96] 논문 El Niño evolution during the Holocene revealed by a biomarker rain gauge in the Galápagos Islands https://www.scienced[...] 2014-10-15
[97] 논문 Megafauna extinctions in the late-Quaternary are linked to human range expansion, not climate change 2023-12-01
[98] 논문 Diverse Plant and Animal Genetic Records from Holocene and Pleistocene Sediments 2003-05-02
[99] 서적 One Planet, Many People: Atlas of Our Changing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7-06-28
[100] 논문
[106] 논문 Widespread population decline in South America correlates with mid-Holocene climate change https://www.research[...] 2023-10-15
[107] 서적 Chapter 6 - Abrupt Climate Change and Pre-Columbian Cultural Collapse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2-04-23
[108] 논문 Bayesian analyses question the role of climate in Chulmun demography 2021-12-10
[109] 논문 The Anthropocene Mass Extinction: An Emerging Curriculum Theme for Science Educators https://online.ucpre[...] 2011
[110] 뉴스 What to expect from the world's sixth mass extinction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22-02-05
[111] 논문 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A Second Notice http://scientistswar[...] 2022-10-04
[112] 논문 The misunderstood sixth mass extinction https://www.science.[...] 2018-06-08
[113] 논문 Defaunation in the Anthropocene http://www.uv.mx/per[...] 2014
[114] 논문 The Sixth Mass Extinction: fact, fiction or speculation? 2022
[115] 뉴스 Around 40% of the world's plant species are threatened with extinction https://www.cnn.com/[...] CNN 2021-09-01
[116] 뉴스 Almost 600 plant species have become extinct in the last 250 years https://www.cnn.com/[...] CNN 2020-01-14
[117] 뉴스 Up to half of world's wild tree species could be at risk of extinction https://www.theguard[...] 2021-09-01
[118] 논문 Estimating the normal background rate of species extinction https://www.zora.uzh[...] 2014-08-26
[119] 논문 The biodiversity of species and their rates of extinction, distribution, and protection http://static.square[...] 2014-05-30
[120] 일반
[121] 일반
[122] 일반
[123] 논문 Formal definition and dating of the GSSP (Global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for the base of the Holocene using the Greenland NGRIP ice core, and selected auxiliary records http://www.stratigra[...] 2009
[124] 서적 気候変化と人間 -1万年の歴史- 原書房 2004
[125] 서적 地球史が語る近未来の環境 東京大学出版会 2007
[126] 서적 地球史が語る近未来の環境 東京大学出版会 2007
[127] 서적 持続的資源利用の人類史 東京大学出版会 20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