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카르도 자코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카르도 자코니는 이탈리아 출신의 천문학자이다. 그는 X선 천문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2002년 "천체 X선원의 발견을 이끈 천체물리학에 대한 선구적인 공헌"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자코니는 우주 X선 망원경 개발에 힘썼고, 허블 우주 망원경의 과학 운영 센터 초대 소장, 유럽 남방 천문대 사무총장, Associated Universities, Inc.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1966년 헬렌 B. 워너 천문학상, 1981년 브루스 메달 등을 수상했으며, 소행성 3371 자코니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라노 대학교 동문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이탈리아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으로, 세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미디어셋 설립, 포르차 이탈리아 창당, 친미 외교 정책, 탈세 및 성 스캔들 등 여러 법적 문제와 논란에 휘말렸다. - 밀라노 대학교 동문 - 베티노 크락시
베티노 크락시는 이탈리아 사회당 서기장과 총리를 역임하며 임금-물가 연동제 폐지, 라테라노 조약 개정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친미, 친아랍 외교를 펼쳤으나, 마니 풀리테 수사 중 부패 혐의로 망명 생활을 하다 사망한 정치인이다. - 이탈리아의 노벨상 수상자 - 카를로 루비아
카를로 루비아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에서 사이먼 판 데르 메르와 함께 W와 Z 보손을 발견한 공로로 1984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이탈리아의 입자물리학자이다. - 이탈리아의 노벨상 수상자 - 다니엘 보베
다니엘 보베는 스위스 출신의 생리학자이자 약리학자이며, 항히스타민제 및 근육 이완제 개발에 기여했다. - 제노바 출신 - 교황 베네딕토 15세
자코모 델라 키에사라는 본명을 가진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평화 중재 노력을 펼쳤으나 실패하였고, 전후 인도주의 활동, 외교 관계 수립, 교회법 개정, 선교 활동 강조 등 교회 발전에 기여하였다. - 제노바 출신 - 니콜로 파가니니
니콜로 파가니니는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뛰어난 연주 기교로 명성을 얻었으며 24개의 카프리스와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작곡하고 후대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리카르도 자코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31년 10월 6일 |
출생지 | 제노바, 이탈리아 왕국 |
사망일 | 2018년 12월 9일 |
사망지 |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 미국 |
국적 | 이탈리아 미국 |
연구 분야 | |
분야 | 물리학 |
연구 기관 | 존스 홉킨스 대학교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
모교 | 밀라노 대학교 |
수상 | |
수상 내역 | 엘리엇 크레슨 메달 (1980년) 대니 하이네만 천체물리학상 (1981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1987년)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1982년) 노벨 물리학상 (2002년) |
수상 이유 | 우주 엑스선원의 발견에 기여한 천체물리학 분야의 선구자적 공헌 |
2. 생애
리카르도 자코니는 1931년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밀라노에서 자랐다. 1948년 밀라노 대학교에 입학하여 박사학위인 라우레아(Laurea) 학위를 받았다. 이후 천문학 연구 경력을 쌓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다.[15]
우주 X선은 지구 대기에 흡수되기 때문에 X선 천문학에는 우주 기반 망원경이 필요했다. 자코니는 이 문제에 몰두하여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의 로켓 탑재형 탐지기부터 1970년대 최초의 궤도 X선 천문 위성인 우후루까지 X선 천문학 장비 개발에 힘썼다.[1] 그의 선구적인 연구는 1978년 우주에 배치된 최초의 완전한 영상 X선 망원경인 아인슈타인 관측소와 1999년에 발사되어 현재도 운용 중인 찬드라 X선 관측소에서 이어졌다.[1]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태어난 자코니는 밀라노 대학교 물리학과에서 Laurea를 받은 후 미국으로 건너가 천체물리학 연구 경력을 쌓았다. 1956년, 풀브라이트 펠로우십으로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물리학 교수 R. W. 톰슨과 협력했다.[1]
[1]
웹사이트
Nobel prize citation
http://nobelprize.or[...]
1956년, 풀브라이트 펠로우십을 통해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물리학 교수 R. W. 톰슨과 협력했다.
우주 X선은 지구 대기에 흡수되기 때문에 X선 천문학에는 우주 기반 망원경이 필요했다. 자코니는 이 문제에 몰두하여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의 로켓 탑재형 탐지기부터 1970년대 최초의 궤도 X선 천문 위성인 우후루까지 X선 천문학 장비 개발에 힘썼다. 그의 선구적인 연구는 1978년 우주에 배치된 최초의 완전한 영상 X선 망원경인 아인슈타인 관측소와 1999년에 발사되어 현재도 운용 중인 찬드라 X선 관측소로 이어졌다.
허블 우주 망원경의 과학 운영 센터인 우주 망원경 과학 연구소의 초대 상임 소장(1981-1993)을 역임했다. 그 후 1993년부터 1999년까지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초대형 망원경 건설을 감독했으며, 1999년부터 2004년까지 Associated Universities, Inc.의 회장으로서 ALMA 초창기를 관리했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1982년부터 1997년까지 물리학 및 천문학 교수로, 1998년 이후로는 연구 교수로 재직했다. 2000년대에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찬드라 X선 관측소를 이용한 주요 찬드라 딥 필드-사우스 프로젝트의 주요 연구자였다.
2002년, 우주 X선원을 발견하여 천체물리학에 선구적인 기여를 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 같은 해 고시바 마사토시, 레이먼드 데이비스 주니어와 함께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018년 12월 9일,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3][4]
3. X선 천문학에의 공헌
X선은 굴절률이 작아 가시광선이나 적외선과 같은 망원경을 만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자코니 등은 포물면 거울로 X선을 전반사시켜 X선을 집광하고, X선원의 동정이 가능한 X선 망원경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X선 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962년 6월 18일, 자코니는 로켓을 이용한 관측으로 처음으로 태양계 밖의 X선 천체를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1]
4. 수상 내역
연도 수상 내역 1966년 헬렌 B. 워너 천문학상 1971년 미국 국립 과학원 회원 [5] 1971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6] 1975년 리히트마이어 기념상 1980년 엘리엇 크레슨 메달 1981년 브루스 메달 [7] 1981년 헨리 노리스 러셀 강연상 1981년 하이네만상 1982년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 1986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01년 미국 철학회 회원 [8] 2002년 노벨 물리학상 2003년 미국 국가 과학 메달 기타 소행성 3371 자코니
5. 기타
자코니는 허블 우주 망원경의 과학 운영 센터인 우주 망원경 과학 연구소의 초대 상임 소장(1981-1993)을 역임했다. 1993년부터 1999년까지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초대형 망원경 건설을 감독했으며, 1999년부터 2004년까지 Associated Universities, Inc.의 회장으로서 ALMA 초창기를 관리했다.[1]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물리학 및 천문학 교수(1982–1997) 및 연구 교수(1998년부터 2018년 사망 시까지)를 역임했으며, 대학 교수직을 맡았다. 2000년대 동안 그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찬드라 X선 관측소를 이용한 주요 찬드라 딥 필드-사우스 프로젝트의 주요 연구자였다. 자코니는 2018년 12월 9일에 사망했다.[2][3][4]
참조
[2]
뉴스
Riccardo Giacconi, 87, Explorer of the Universe Through X-Rays, Dies
https://www.nytimes.[...]
2018-12-13
[3]
뉴스
e_morto_il_fisico_riccardo_giacconi_nobel_nel_2002_padre_dell_astronomia_a_raggi_x-213929786/
https://www.repubbli[...]
[4]
웹사이트
Nobel Prize-winning astrophysicist Riccardo Giacconi dies at 87
https://hub.jhu.edu/[...]
2018-12-12
[5]
웹사이트
Riccardo Giacconi
http://www.nasonline[...]
2021-10-15
[6]
웹사이트
Riccardo Giacconi
https://www.amacad.o[...]
2021-10-15
[7]
웹사이트
Bruce Medal page
http://www.phys-astr[...]
[8]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10-15
[9]
뉴스
Riccardo Giacconi, 87, Explorer of the Universe Through X-Rays, Dies
https://www.nytimes.[...]
2018-12-13
[10]
뉴스
'È morto il fisico Riccardo Giacconi, Nobel nel 2002, padre dell''Astronomia a raggi X'
https://www.repubbli[...]
[11]
웹사이트
Nobel Prize-winning astrophysicist Riccardo Giacconi dies at 87
https://hub.jhu.edu/[...]
2018-12-12
[1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2
https://www.nobelpri[...]
[13]
웹사이트
Bruce Medal page
http://www.phys-astr[...]
[14]
웹사이트
(3371) Giacconi = 1955 RZ = 1955 TP = 1975 BK1
https://minorplanetc[...]
MPC
2021-08-13
[15]
웹사이트
Nobel prize citation
http://nobelpriz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