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베네딕토 15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1914년부터 1922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유럽의 자살'이라 칭하며 전쟁의 중단을 호소하고, 평화 중재를 위해 노력했다. 전쟁 포로들을 위한 인도주의적 활동을 펼쳤으며, 러시아 혁명 이후 기근 피해자들을 구호했다. 또한, 신생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가톨릭 신자들의 정치 참여를 허용하는 등 교회 행정 발전에 힘썼다. 그는 가톨릭 선교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교회법 개정을 완료했으며, 1922년 67세의 나이로 선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베네딕토 15세 - 교황 비오 10세
    교황 비오 10세는 1835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교황으로 선출된 후 전례 개혁, 근대주의 단죄, 세계 각지 사목 활동을 펼치다 1914년 선종하고 195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교황 베네딕토 15세 - 페루 로마 교황청립 리마 가톨릭 대학교
    페루 로마 교황청립 리마 가톨릭 대학교는 1917년 리마에 설립된 사립 가톨릭 대학교로, 교황청립 칭호를 받았으며 페루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고 한다.
  • 20세기 교황 -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마무리하고 교회 개혁을 추진한 교황으로, 교황청 개혁과 전례 개혁을 단행하고 교회 일치 운동에 기여했으나, 인공 피임 금지 회칙과 교회 개혁 논란으로 복잡한 시기를 겪었으며 시복 및 시성되었다.
  • 20세기 교황 - 교황 비오 11세
    교황 비오 11세는 1922년부터 1939년까지 재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으로, 라테라노 조약 체결을 통해 바티칸 시국 독립을 이끌고 나치 독일을 비판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교황에 관한 - 교황 베네딕토 16세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제265대 교황으로 재임하며, 가톨릭 교리를 수호하고 교회 일치와 종교 간 대화를 위해 노력했으나, 보수적인 신념과 스캔들 대처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교황에 관한 - 교황 비오 9세
    교황 비오 9세는 1846년부터 1878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이자 교황령의 국가원수로서, 초기 자유주의적 개혁에서 보수적 입장으로 전환하여 이탈리아 통일 운동과 대립하고 교황권 강화에 기여했으며, 긴 재위 기간 동안 교회의 중앙집권화를 이끌고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를 교리로 선포했다.
교황 베네딕토 15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교황
이름베네딕토 15세
직책로마 교구 주교
베네딕토 15세 (1915년)
본명자코모 파올로 조반니 바티스타 델라 키에사
종교가톨릭교회
임기 시작1914년 9월 3일
임기 종료1922년 1월 22일
선임자비오 10세
후임자비오 11세
서품1878년 12월 21일
서품자라파엘레 모나코 라 발레타
주교 서임1907년 12월 22일
주교 서임자교황 비오 10세
추기경 서임1914년 5월 25일
추기경 서임자교황 비오 10세
출생일1854년 11월 21일
출생지페글리, 제노바, 사르데냐 왕국
사망일1922년 1월 22일
사망지사도 궁전, 로마, 이탈리아 왕국
이전 직책국무원 차관 (1901–1907)
볼로냐 대주교 (1907–1914)
산티 콰트로 코로나티 성당 추기경 사제 (1914)
좌우명 (번역)주여, 제가 당신을 믿었으니, 영원히 당황하지 않게 하소서.
서명
성직 서품
사제 서품자라파엘레 모나코 라 발레타
사제 서품일1878년 12월 21일
주교 서임자비오 10세
주교 서임일1907년 12월 22일
주교 1안토니오 레가
주교 서임일 11914년 6월 21일
주교 2세바스티아노 니코트라
주교 서임일 21917년 1월 6일
주교 3에우제니오 마리아 주세페 조반니 파첼리
주교 서임일 31917년 5월 13일
주교 4빌럼 마리뉘스 판 로쉼
주교 서임일 41918년 5월 19일
주교 5에르실리오 멘차니
주교 서임일 51921년 1월 25일
주교 6페데리코 테데스키니
주교 서임일 61921년 5월 5일
주교 7카를로 크레모네시
주교 서임일 71922년 1월 8일
로마자 표기
이탈리아어Benedetto XV
이탈리아어 (본명)Giacomo Della Chiesa
기타 정보
묘비명자코모 델라 키에사
출생 이름James Paul John Baptist of the Church
문장

2. 생애 초기

1866년 12세 시절의 자코모


자코모 델라 키에사는 1854년 11월 21일 이탈리아 제노바 교외 펠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사제가 되기를 원했으나, 아버지의 강요로 법조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110] 1875년 제노바 대학교에서 민법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아버지의 허락을 받아 신학교에 입학하였다.

1878년 교황 비오 9세가 선종하고 교황 레오 13세가 즉위하면서, 자코모는 로마의 알모 카프라니카 대학교에 입학하여 신학 공부를 시작했다. 같은 해 12월 21일 사제 서품을 받고,[111] 1878년부터 1883년까지 교황청 교회 학술원에서 공부하였다. 이때 마리아노 람폴라 추기경의 눈에 띄어 1882년 그의 서기로 발탁되어 마드리드로 파견되었으며,[112] 이후 람폴라 추기경이 교황청 국무원장에 임명되면서 그를 보좌하였다. 이 시기에 자코모 델라 키에사는 람폴라 추기경을 도와 캐롤라인 제도 분쟁 중재와 콜레라 피해를 입은 스페인 시민 구제에 참여하였다.

람폴라 추기경은 자코모의 어머니에게 "당신의 아들은 단지 몇 걸음만을 떼었지만, 그것은 하나하나 큰 걸음들입니다."라고 말하며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113]

교황 레오 13세 선종 직후, 람폴라 추기경은 자코모를 콘클라베의 서기로 추천했으나, 추기경단은 라파엘 메리 델 발을 지명하였다. 람폴라 추기경은 교황 비오 10세가 선출되면서 요직에서 물러났고, 자코모 델라 키에사는 자신의 직책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

2. 1. 출생과 가문

자코모 델라 키에사의 페글리 출생지


자코모 델라 키에사는 1854년 11월 21일 이탈리아 제노바 교외 펠리에서 주세페 델라 키에사 후작과 그의 아내 조반나 밀리오라티 후작 부인의 삼남으로 태어났다.[109] 그의 부계 가문은 교황 갈리스토 2세와 이탈리아 국왕 베렌가리오 2세를 배출한 명문가였으며, 모계 가문 역시 교황 인노첸시오 7세를 배출한 명문가였다.[109]

2. 2. 교육 및 사제 서품

어린 시절 자코모는 사제가 되기를 원했지만, 그의 아버지는 아들이 법조인이 되기를 강요하였다.[110] 1875년 8월 2일, 21세가 된 자코모는 제노바 대학교에서 민법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당시 사회는 이탈리아 통일 이후 반가톨릭주의와 반성직자주의가 만연해 있었다. 성년이 되어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사제가 되기 위해 신학교에 들어가게 해달라고 아버지에게 다시 요청하였고, 아버지는 결국 마지못해 허락하였다.

1878년 교황 비오 9세가 선종하고 교황 레오 13세가 즉위한 시기에 자코모는 로마에 있는 알모 카프라니카 대학교에 입학하였다. 새 교황은 즉위 후 며칠 뒤 카프라니카 학생들과 알현 자리를 가졌고, 얼마 지나지 않아 1878년 12월 21일 자코모 델라 키에사는 라파엘레 모나코 라 발레타 추기경의 주재 아래 사제 서품을 받았다.[111]

1878년부터 1883년까지 자코모는 교황청 교회 학술원에서 공부하였다. 그곳에서 매주 목요일마다 학생들은 추기경들과 교황청 고위 관료들을 초대하여 연구 서류들의 보호를 요청하였다. 이때 마리아노 람폴라 추기경은 자코모 델라 키에사를 눈여겨보았으며, 1882년 바티칸의 외교 업무를 시작하면서 그를 자신의 서기로 고용하여 마드리드로 파견하였다.[112] 이후 람폴라 추기경이 교황청 국무원장으로 임명되었을 때도 자코모 델라 키에사는 그를 보좌하였다.

3. 교황청 외교관 시절

1878년부터 1903년까지 교황 레오 13세의 외교 정책을 주도한 마리아노 람폴라 추기경의 비서로 발탁되어, 그의 지휘 아래에서 외교 업무를 수행했다.[19] 1887년에는 스페인 마드리드로 파견되어 람폴라 추기경을 보좌했다. 그곳에서 람폴라 추기경을 도와 카롤린 제도 분쟁을 중재하고, 스페인에 콜레라가 발생했을 때 구호 활동을 조직하는 데 참여했다.[19]

1903년 교황 레오 13세가 선종하고, 비오 10세가 선출된 콘클라베에서 람폴라 추기경은 유력한 교황 후보였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거부권 행사로 인해 교황으로 선출되지 못했다. 델라 키에사는 이 콘클라베에서 서기로 임명될 뻔했으나, 보수적인 성향의 라파엘 메리 델 발 추기경이 대신 임명되었다.[19]

4. 주교와 추기경 시절

자코모 델라 키에사는 교황 레오 13세의 외교 정책을 담당했던 람폴라 추기경과의 친분으로 국무원에서 지위가 위태로웠다. 1907년 4월 15일, 이탈리아 언론들은 아리스티데 리날디니 대주교의 추기경 서임과 함께 자코모 델라 키에사가 마드리드 주재 교황 대사로 임명되었다고 보도했다. 교황 비오 10세는 이를 보고 "언론인들이 내가 그를 볼로냐 대교구장으로 지명했다는 사실은 빠트린 것 같군."이라고 지적했다.[114]

볼로냐 대교구장은 전통적으로 추기경에 서임되는 것이 관례였으나, 비오 10세는 7년 가까이 자코모 델라 키에사를 추기경에 서임하지 않았다. 비오 10세는 자코모 델라 키에사의 추기경 서임을 요청하는 볼로냐 시 사절단에게 “미안합니다. 아직 추기경 의복을 만들 사르토(Sarto, 이탈리아어로 재단사를 의미함)를 구하지 못해서요.”라고 농담으로 답했다. 일각에서는 비오 10세나 그의 측근들이 람폴라 추기경의 측근이 추기경단에 들어오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이라고 추정한다.

4. 1. 볼로냐 대교구장

1907년 12월 18일 교황 비오 10세의 집전 아래 바티칸에서 주교 서품을 받는 자코모 델라 키에사


자코모 델라 키에사는 1907년 볼로냐 대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114] 주교 서품식에는 외교관, 주교, 추기경, 그리고 그의 오랜 친구 람폴라 추기경이 참석했다. 교황 비오 10세는 자코모 델라 키에사에게 자신이 사용하던 주교 지팡이주교 반지를 하사했다.[115] 그의 사목 표어는 "In Te Domine Speravi, Non Confundar In Aeternum." (주님, 제가 당신께 피신하니 영원히 수치를 당하지 않게 하소서. - 시편 71,1)이다.[116]

1908년 2월 23일 볼로냐 대교구에 착좌했을 당시 교구민은 700,000명, 사제는 750명, 수사는 19명, 수녀는 78명이었다. 신학교 교수는 25명, 신학생은 120명이었다.[117] 그는 대교구 내 모든 본당을 방문하고, 말을 타야만 갈 수 있는 산속 작은 본당도 찾아갔다. 강론을 중요한 책무로 여겨 모든 성당의 청결과 모금 활동을 촉구하며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돈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118]

또한, 신학교 교육 개혁을 주도하여 과학과 고전 교육 과목을 추가했다.[119] 성모 발현 50주년을 맞아 이탈리아 로레토프랑스 루르드를 성지 순례했다.[120] 1913년 오랜 친구이자 지지자였던 람폴라 추기경의 갑작스러운 선종으로 큰 슬픔에 잠겼다.[18]

4. 2. 추기경 서임

1914년 5월 25일 자코모 델라 키에사는 산티 콰트로 코로나티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121] 추기경 서임 직후 이탈리아 중부 지역에서 사회주의자, 왕정 타도주의자, 반가톨릭주의자 등의 반란과 총파업이 일어났으나, 볼로냐 시민들은 이에 동참하지 않았다.[122] 유럽 전역에 전쟁의 기운이 감돌자, 이탈리아는 어느 편에 서야 할지에 대한 문제가 논의되었고, 자코모 델라 키에사는 대교구장으로서 사제들에게 평화와 전쟁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회가 중립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하였다.[123]

5. 교황 재위 (1914년 - 1922년)

1914년 교황 베네딕토 15세의 대관식


교황 비오 10세가 선종한 후 1914년 8월 말 콘클라베가 소집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이었으므로 새 교황의 주요 사안은 전쟁 문제일 것으로 전망되었다. 추기경단은 외교 능력이 뛰어난 교황을 원했고, 1914년 9월 3일 자코모 델라 키에사 추기경이 교황 베네딕토 14세를 기리는 의미로 베네딕토 15세로 선출되었다.

베네딕토 15세는 즉위 기간 내내 제1차 세계 대전을 '유럽의 자살 행위'라고 표현하며 강하게 반대했다.[124] 그는 1914년 크리스마스 정전에 앞서 교전국들에게 예수 성탄 대축일(크리스마스)에 종전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묵살되었다.

교황 레오 13세는 이탈리아 가톨릭 신자들의 지역 정치 참여는 허용했지만 국가 정치 참여는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베네딕토 15세는 전임 교황들과 달리 이탈리아와의 관계를 개선하고 가톨릭 신자들의 총선 참여를 허용했다.[47] 이는 루이지 스투르초가 이끄는 이탈리아 국민당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47] 이탈리아 국왕 역시 교황의 형제 사망에 애도를 표하며 관계 개선의 신호를 보냈다.[140] 바티칸 근무자들의 근로 환경도 크게 개선되었으며, 양측은 로마 문제 해결을 위해 만남을 가졌다. 또한, 베네딕토 15세는 대부분의 여성이 교회의 전통적인 입장을 지지할 것이라 판단하여 여성 참정권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141]

베네딕토 15세는 교황으로서 바티칸의 중립을 선언하고 평화 실현을 위해 다양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19세기 이후 교회와 국가의 단절이 이어져 그의 노력은 계속해서 무시되었다. 전후가 되자 세속 국가의 중재자로서 바티칸을 지향한 그의 지속적인 노력이 드디어 결실을 맺기 시작했지만, 그는 그 성과를 보지 못하고 1922년 겨울에 세상을 떠났다.

그는 재위 중에 잔 다르크와 리지외의 테레사를 포함한 4명을 시성하고, 루이즈 드 마리야크 등 36명을 시복했다.

5. 1. 교황 선출

1914년 8월 말, 교황 비오 10세가 선종하면서 새로운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가 소집되었다. 당시 제1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새 교황의 주요 과제는 자연스럽게 전쟁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추기경단은 이러한 난국을 헤쳐나갈 수 있는 외교 능력이 뛰어난 교황을 원했고, 총 열 번의 투표 끝에 1914년 9월 3일 자코모 델라 키에사 추기경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교황 베네딕토 14세를 기리기 위해 자신의 교황명을 베네딕토 15세로 선택하였다.

교황 선출 후, 부제급 추기경 단장은 성 베드로 대성전 발코니에서 하베무스 파팜을 통해 교황 선출 소식을 알렸다. 그러나 베네딕토 15세는 로마 문제로 인해 이전 교황들의 예를 따라 성 베드로 대성전 발코니에서 우르비 에트 오르비를 하지 않았다. 또한, 베네딕토 15세는 전쟁이 장기화되고 있다는 이유로 1914년 9월 6일 시스티나 경당에서 간소하게 대관식을 거행하였고,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로마 주교좌 착좌 미사도 집전하지 않았다.[140]

5. 2. 제1차 세계 대전과 평화 노력

베네딕토 15세는 제1차 세계 대전을 '유럽의 자살 행위'라고 부르며 강하게 반대하였고, 전쟁 당사국들에 중립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124] 1914년 예수 성탄 대축일(크리스마스)에 휴전할 것을 제안했으나, 전쟁 당사국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124]

베네딕토 15세의 평화 제의를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에게 전달하기 위해 독일 궁정을 방문한 교황 특사 에우제니오 파첼리.


1916년과 1917년, 베네딕토 15세는 전쟁 당사국들 사이에서 평화를 중재하려 노력했지만, 연합국과 동맹국 모두 그의 제안을 거부했다.[124] 독일의 개신교 단체들은 교황이 연합국에 기울어져 있다고 비난하며, 그의 중재를 반대했다.[124] 프랑스의 정치가 조르주 클레망스는 바티칸의 주도가 반(反)프랑스적이라고 주장했다.

1917년 8월 1일, 베네딕토 15세는 7개 항으로 구성된 평화 제안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무력 대신 법의 도덕적 힘을 우선시한다.

# 군비를 축소한다.

# 국제 중재 재판소를 설치한다.

# 항해의 자유를 보장한다.

# 전쟁으로 인한 피해 배상을 포기한다.

# 점령 지역을 반환한다.

# 영토 문제를 평화적으로 검토한다.

영국은 이 제안에 긍정적이었지만,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은 반대했다. 불가리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찬성했으나, 독일은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127][128] 베네딕토 15세는 징병제 폐지를 주장하기도 했다.[129] 그의 제안 중 일부는 1918년 1월 윌슨 대통령의 14개조 평화 원칙에 반영되기도 했다.[131]

베네딕토 15세의 평화 노력은 실패했지만, 교황의 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외교적 노력은 후임 교황들에게 영향을 주어, 제2차 세계 대전교황 비오 12세, 베트남 전쟁 당시 교황 바오로 6세, 이라크 전쟁 전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평화 활동으로 이어졌다.

5. 3. 인도주의적 활동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전쟁 포로 교환, 부상병 송환, 민간인 교환 등 인도주의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24] 전쟁 포로 정보 교환을 위해 국제 행방 불명국(Opera dei Prigionieri)을 설립하여 운영했다.[124]

벨기에, 리투아니아, 폴란드 등지의 굶주리는 어린이들을 위한 구호 활동을 펼쳤다.[124] 오스만 제국의 아르메니아인 학살에 항의하고, 터키 술탄에게 서신을 보냈으나, 큰 성과는 없었다.[124]

5. 4. 종전 이후 활동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이탈리아 정부의 외교적 조치로 바티칸은 배제되었다.[136] 이는 로마 문제[136]와 교황령 상실 이후 교황청의 정치적, 외교적 소외라는 역사적 상황과 연관되어 있었다.[41] 그럼에도 베네딕토 15세는 전쟁을 불필요한 대학살로 규정하고, 회칙 《평화와 그리스도인 화해에 관하여》(Pacem, Dei Munus Pulcherrimum)를 통해 국제적 화해를 호소했다.[42]

전쟁이 끝난 후, 베네딕토 15세는 유럽의 빈곤 및 기근 문제 해결과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 제국의 해체 이후 새로 세워진 여러 나라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는 데 집중했다. 전쟁 포로 지원 정책으로 유럽 내에서 교황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베르사유 조약에서 독일에 막대한 배상금을 부과하는 결정에 대해 바티칸은 유럽 전체의 경제적 안정을 위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피에트로 가스파리 추기경은 이러한 평화 조건이 독일의 자존심을 건드려 또 다른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137] 바티칸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가 독일을 강화할 것이라고 우려했고,[138] 신생 소규모 국가들의 경제적 어려움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139] 베네딕토 15세는 국제 연맹이 기독교적 가치관에 기반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가입을 거부했다.[46] 그는 1920년대 민족주의 열풍을 비판하고, 회칙 《평화와 그리스도인 화해에 관하여》에서 유럽의 단결을 호소했다.

러시아 혁명블라디미르 레닌 정부의 반종교 정책에 대해 깊이 우려한 교황은 러시아 기근 피해자들을 돕기 위해 노력하여 1921년에만 5백만 명을 구호했다. 오스만 제국 해체 이후 성지에 거주하는 가톨릭교도들의 안전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베네딕토 15세는 러시아 혁명으로 인해 이전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5. 5. 외교 관계

베네딕토 15세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 புதிதாக 수립된 여러 국가를 인정하고 외교 관계를 맺었다.[139] 폴란드,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 핀란드 등이 이에 해당한다.[139]

교황 레오 13세는 이탈리아 가톨릭 신자들의 지역 정치 참여는 허용했지만, 국가 정치 참여는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베네딕토 15세는 이탈리아와의 관계를 개선하고, 가톨릭 신자들의 총선 참여를 허용했다.[47] 이는 루이지 스투르초가 이끄는 이탈리아 국민당의 성장에 기여했고, 반가톨릭 성향 정치인들이 중도 성향으로 바뀌는 데 영향을 주었다.[47]

베네딕토 15세는 프랑스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1920년 프랑스의 국가 영웅인 잔 다르크성녀시성했다.[142] 1921년 프랑스는 바티칸과의 외교 관계를 재개했다.[142]

발트 3국폴란드가 러시아로부터 독립하면서, 이들 국가의 가톨릭 교회는 이전보다 자유로운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에스토니아는 1922년 5월 30일 바티칸과 정교 조약을 체결하여 가톨릭 교회의 자유, 교구 설립, 성직자 병역 면제, 신학교 및 가톨릭 재단 학교 설립, 교회 재산권 보장 등을 승인받았다.[143]

리투아니아와의 관계는 빌뉴스 문제로 인해 복잡했다. 폴란드가 빌뉴스를 점령하고 가톨릭 신학교에서 만행을 저지르자, 리투아니아는 교황청에 항의했다.[53]

베네딕토 15세는 1918년 10월 폴란드의 독립을 환영했다.[145] 1919년 3월, 그는 아킬레 라티(훗날의 교황 비오 11세)를 주폴란드 교황 대사로 파견했다.

6. 교회 내부 문제

베네딕토 15세는 비오 10세의 근대주의 신학자 단죄 정책을 이어갔지만, 교회 내 반근대주의 운동의 과열은 진정시키려 노력했다. 레오 13세의 뒤를 이어 교황청 동방 대학을 설립하여 동방 가톨릭 교회에 대한 관심을 이어갔다.

1919년 11월 30일 회칙 《가장 위대한 일》(Maximum Illud)을 반포하여 선교에 있어서 문화 적응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베네딕토 15세는 선교사들에게는 자신의 것으로 여기지 말고 다른 사람들을 환영하며 주변 사람들과 협력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동양에서 선교를 위해서는 적절한 준비와 언어 능력 습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말로 하는 설교보다 본보기로 하는 설교가 훨씬 유익"하므로, 개인적인 성덕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요청하고, 선교 활동에 헌신하는 여성 수도자들의 활동을 칭찬했다.[87]

6. 1. 신학과 교회법

베네딕토 15세는 비오 10세의 근대주의 신학자 단죄 정책을 이어갔으며, 회칙 《복된 사도들에게》(Ad Beatissimi Apostolorum)를 통해 근대 철학사상의 오류들을 비판하였다.[146] 그러나 교회 내 반근대주의 운동의 과열은 진정시키려 노력했다. 1920년 7월 25일에는 자의교서 《건강한 선》(Bonum sane)을 반포하여 자연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

1917년 5월 27일, 베네딕토 15세는 가톨릭 교회의 첫 교회 법전인 '비오-베네딕토 법전'을 반포하였다.[146] 이 법전은 1918년부터 시행되었으며, 이전까지 지역별로 달랐던 교회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교회 전반에 걸쳐 신앙 생활의 활기를 불어넣었다. 또한, 레오 13세의 뒤를 이어 교황청 동방 대학을 설립하여 동방 가톨릭 교회에 대한 관심을 이어갔다.

6. 2. 가톨릭 선교

1919년 11월 30일 베네딕토 15세는 회칙 《가장 위대한 일》(Maximum Illud)을 반포하여 선교에 있어서 문화 적응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회칙에서 베네딕토 15세는 선교사들의 서구 우월주의를 비판하고, 각 지역의 문화를 존중하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현지 성직자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베네딕토 15세는 서구 선교사들이 현지 문화를 무시하고 서구 문화를 강요하면,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현지 주민들의 큰 반발을 불러와 많은 선교사가 추방되거나 감금될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가장 위대한 일》에서 베네딕토 15세는 주교들에게 선교 활동을 지원할 책임을 상기시키고, 선교사들에게는 자신의 것으로 여기지 말고 다른 사람들을 환영하며 주변 사람들과 협력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동양에서 선교를 위해서는 적절한 준비와 언어 능력 습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말로 하는 설교보다 본보기로 하는 설교가 훨씬 유익"하므로, 개인적인 성덕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요청하고, 선교 활동에 헌신하는 여성 수도자들의 활동을 칭찬했다.[87] 베네딕토 15세는 "선교"는 "선교사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가톨릭 신자들은 기도의 사도직, 소명 지원, 재정적 지원을 통해 참여해야 한다"고 하였다.[88]

7. 죽음과 유산

베네딕토 15세는 성녀 마르타 호텔에서 수녀들과 함께 미사를 봉헌한 후, 비를 맞으며 마부를 기다리다 독감에 걸렸고, 이는 폐렴으로까지 발전하였다.[97] 1922년 1월 22일, 병상에서 한 달 동안 앓던 그는 조카들이 임종을 지키는 가운데 향년 67세의 나이로 선종하였다. 그의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 묘소에 안장되기 전, 성 베드로 대성전에 전시되어 많은 신자가 참배할 수 있었다.[98]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 묘소에 있는 베네딕토 15세의 무덤


20세기 교황들 가운데 베네딕토 15세는 제1차 세계대전을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칭송받지 못한 불우한 영웅으로 기억되고 있다. 2005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교황으로 선출되었을 때 베네딕토 15세와 같은 이름을 선택함으로써 과거 전임자가 실천했던 평화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베네딕토 15세는 제1차 세계대전 동안 인도주의적 접근을 하였는데, 이는 당시 세속 통치자들의 행동과는 완전히 상반된 것이었다.

생전 그의 업적에 대한 평가는 터키인들로부터 보답을 받았다. 터키 정부는 이스탄불 시내에 베네딕토 15세의 동상을 세웠으며, 그 아래에 “비극적 세계에서 국가와 종교에 상관 없이 모든 사람에게 은혜를 베푼 위대한 교황”이라는 헌시가 새겨져 있다. 이 동상은 오늘날 이스탄불의 성령 대성당의 마당에 자리잡고 있다.

이스탄불 생트스프리 대성당 안뜰에 있는 베네딕토 15세 동상


비오 12세는 베네딕토 15세에 대해 높은 존경심을 보였는데, 베네딕토 15세는 1917년 5월 13일, 파티마 성모의 축성을 통해 그를 주교로 서임하였다. 비오 12세는 베네딕토 15세를 진정으로 평화를 위해 노력한 하나님의 사람이라고 생각했다.[102] 그는 전쟁 포로들과 극심한 시대에 도움이 필요했던 많은 사람들을 도왔고, 러시아에 매우 관대했다.[103]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2005년 4월 19일 교황으로 선출된 후 베네딕토 15세에 대한 자신의 존경심을 보였다. 2005년 4월 27일 성 베드로 광장에서 그의 첫 번째 삼종기도에서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자신의 선택을 설명하면서 베네딕토 15세에게 경의를 표했다.[106]

참조

[1] 웹사이트 Miranda, Salvador. "Della Chiesa, Giacomo",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https://webdept.fiu.[...] 2019-07-06
[2] 웹사이트 CHIESA 1922 GENNAIO http://www.araldicav[...] Araldicavaticana.com 2013-04-22
[3] 서적 Franzen
[4] 간행물 AAS
[5] 서적 Franzen
[6] 웹사이트 Giacomo Paolo Giovanni Battista della Chiesa, aka Pope Benedict XV https://www.familyse[...] 2023-01-04
[7]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8] 웹사이트 Consistory of March 27, 1882 (IV) https://cardinals.fi[...]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2022-02-15
[9] 서적 The Unknown Pope: Benedict XV, 1914–1922 and the Pursuit of Peace
[10] 서적 De Waal
[11] 서적 De Waal
[12] 뉴스 The New Pope https://www.newspape[...] The Wall Street Journal 1914-09-04
[13] 서적 De Waal
[14] 서적 De Waal
[15] 서적 De Waal
[16] 서적 De Waal
[17] 서적 De Waal
[18] 기타 1913
[19] 서적 De Waal
[20] 서적 De Waal
[21] 서적 De Waal
[22] 저널 Holy Father blesses Benedictine Order 1921-01
[23] 기타
[24] 웹사이트 Sede Vacante 1914 http://www.csun.edu/[...] 2007
[25] 웹사이트 Benedict XV 100 years after his death: the pacifist pope https://www.ruetir.c[...] Ruetir 2022-01-20
[26] 웹사이트 World War I's Pope Benedict XV and the pursuit of peace https://www.ncronlin[...] National Catholic Reporter 2014-07-19
[27] 서적 Handbuch der Religiösen Gegenwartsfragen Herder Freiburg
[28] 서적 Gröber
[29] 서적 Pollard
[30] 저널 The Pope's Peace Note of 1917: the British response http://australiancat[...]
[31] 저널 Europe 1914–1945: Attempts at Peace http://www.loyno.edu[...] Loyola University New Orleans
[32] 웹사이트 Five of seven points of Benedict XV's peace plan http://wwi.lib.byu.e[...] Brigham Young university
[33] 뉴스 Pope in New Note to Ban Conscription https://timesmachine[...] New York Times 1917-09-23
[34] 뉴스 Pope would clinch peace. Urges abolition of conscription as way to disarmament https://timesmachine[...] New York Times 1921-11-16
[35] 뉴스 Pope's Name Pays Homage To Benedict XV, Took Inspiration From An Anti-War Pontiff http://wcbstv.com/na[...] WCBSTV 2005-04-20
[36] 웹사이트 Prayer for Peace from Pope Benedict http://archives.chic[...] 1915-03-14
[37] 서적 Pollard 114
[38] 서적 Pollard 113
[39] 서적 Pollard 115
[40] 서적 Pollard 116
[41] 서적 Pollard 141 ff
[42] 웹사이트 PACEM DEI MUNUS PULCHERRIMUM ENCYCLICAL OF POPE BENEDICT XV ON PEACE AND CHRISTIAN RECONCILIATION TO THE PATRIARCHS, PRIMATES, ARCHBISHOPS, BISHOPS, AND ORDINARIES IN PEACE AND COMMUNION WITH THE HOLY SEE https://www.vatican.[...]
[43] 서적 Pollard 144
[44] 서적 Pollard, 145
[45] 서적 Pollard 145
[46] 서적 Pollard 147
[47] 서적 Pollard 163
[48] 서적 Pollard 173
[49] 서적 Pollard 174
[50] 웹사이트 Storia del P.I.O. https://unipio.org/i[...] 2017-12-20
[51] 서적 Franzen 381
[52] 서적 Schmidlin III, 305
[53] 서적 Schmidlin III, 306.
[54] 서적 Schmidlin III, 306
[55] 서적 Schmidlin III, 307
[56] 간행물 AAS 1921, 566
[57] 서적 Stehle 25
[58] 서적 Stehle 26
[59] 서적 Schmidlin IV, 15
[60] 뉴스 How the Balfour Declaration Became Part of International Law https://mosaicmagazi[...] 2017-06-12
[61] 웹사이트 When presidents and popes meet: Woodrow Wilson and Benedict XV https://www.americam[...] 2015-09-04
[62] 웹사이트 Documents on Irish Foreign Policy – Volume 1 https://www.difp.ie/[...]
[63] 웹사이트 Peace conference continues despite furore over de Valera telegram to Vatican https://www.rte.ie/c[...] Century Ireland 1921-10-25
[64] 웹사이트 Pope Benedict XV prays for the peace settlement https://www.creative[...] The Scotsman 1921-10-20
[65] 웹사이트 Catholic world in mourning over death of Pope Benedict XV https://www.rte.ie/c[...] Century Ireland 1922-01-24
[66] 웹사이트 Did Benedict XV, 'the Pope of Peace', Bless the Easter Rising? https://www.irishcat[...] The Irish Catholic 2019-01-03
[67] 위키 Ethiopian Catholic Church
[68] 간행물 AAS 1916 146 Baumann in Marienkunde; 673
[69] 서적 Schmidlin 179–339
[70] 서적 C VII, § 50
[71] 서적 Bonum Sane Vatican 1920-07-25
[72] 간행물 AAS 1918
[73] 서적 Ad beatissimi Apostolorum
[74] 서적 Ad beatissimi Apostolorum
[75] 성경 John
[76] 성경 John
[77] 서적 Ad beatissimi Apostolorum
[78] 서적 Humani generis redemptionem
[79] 서적 Humani generis redemptionem
[80] 서적 Sess., xxiv, De. Ref., c.iv
[81] 성경 I Cor.
[82] 서적 Humani generis redemptionem
[83] 서적 Humani generis redemptionem
[84] 웹사이트 Quod Iam Diu (December 1, 1918) BENEDICT XV https://www.vatican.[...] 2024-08-24
[85] 서적 Quod iam diu
[86] 서적 Quod iam diu
[87] 서적 Maximum illud
[88] 서적 Maximum Illud
[89] 서적 Maximum illud
[90] 웹사이트 Maximum illud (30 novembre 1919) BENEDETTO XV https://w2.vatican.v[...] 2017-12-20
[91] 웹사이트 Consistory of December 4, 1916 (II) http://webdept.fiu.e[...]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2019-01-20
[92] 서적 Pius XI: The Pope and the Man https://books.google[...] Pickle Partners Publishing 2022-02-16
[93] 서적 The Pope and Mussolini: The Secret History of Pius XI and the Rise of Fascism in Europ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4] 서적 Sacred Causes: The Clash of Religion and Politics from the Great War to the War on Terror HarperCollins 2007
[95] 서적
[96] 서적
[97] 웹사이트 SEDE VACANTE 1922 http://www.csun.edu/[...] 2020-10-05
[98] 뉴스 POPE BENEDICT DYING http://nla.gov.au/nl[...] Mail (Adelaide, SA : 1912–1954) 2020-10-05
[99] 뉴스 The Houston Post. (Houston, Tex.), Vol. 37, No. 293, Ed. 1 Sunday, January 22, 1922 https://texashistory[...] 2020-10-05
[100] 뉴스 POPE BENEDICT. http://nla.gov.au/nl[...] Argus (Melbourne, Vic. : 1848–1957) 2020-10-05
[101] 서적 Discorsi Roma 1939-1958
[102] 서적 Discorsi
[103] 서적 Discorsi
[104] 서적 Discorsi
[105] 서적 Discorsi
[106] 웹사이트 To Reflect on the Name I Have Chosen https://www.catholic[...] Catholic Culture 2005-04-27
[107] 서적 Franzen
[108] 서적 Franzen
[109]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2004
[110] 서적 De Waal
[111] 서적 De Waal
[112] 서적 De Waal
[113] 서적 Pollard
[114] 서적 De Waal
[115] 서적 De Waal
[116] 웹인용 CHIESA 1922 GENNAIO http://www.araldicav[...] Araldicavaticana.com
[117] 서적 De Waal
[118] 서적 De Waal
[119] 서적 De Waal
[120] 서적 De Waal
[121] 서적 De Waal
[122] 서적 De Waal
[123] 서적 De Waal
[124] 서적 Handbuch der Religiösen Gegenwartsfragen Herder Freiburg, Germany 1937
[125] 서적 Gröber
[126] 서적 Pollard
[127] 간행물 Europe 1914–1945: Attempts at Peace http://www.loyno.edu[...] Loyola University New Orleans The Student Historical Journal 1994-1995
[128] 웹사이트 Five of seven points of Benedict XV's peace plan http://wwi.lib.byu.e[...]
[129] 뉴스 Pope in New Note to Ban Conscription http://query.nytimes[...] 뉴욕 타임스 1917-09-23
[130] 뉴스 Pope would clinch peace. Urges abolition of conscription as way to disarmament http://query.nytimes[...] 뉴욕 타임스 1921-11-16
[131] 뉴스 Pope's Name Pays Homage To Benedict XV, Took Inspiration From An Anti-War Pontiff http://wcbstv.com/na[...] WCBSTV 2005-04-20
[132] 서적 Pollard
[133] 서적 Pollard
[134] 서적 Pollard
[135] 서적 Pollard
[136] 서적 Pollard
[137] 서적 Pollard
[138] 서적 Pollard
[139] 서적 Pollard
[140] 서적 Pollard
[141] 서적 Pollard
[142] 서적 Franzen
[143] 서적 Schmidlin III
[144] 서적 Schmidlin III
[145] 서적 Schmidlin III
[146] 웹사이트 CanonLaw.info http://canonlaw.inf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