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턴 투 서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턴 투 서울'은 프랑스에 입양된 25세 한국계 여성 프레디가 자신의 뿌리를 찾기 위해 서울을 방문하면서 겪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도쿄행 비행기 취소로 서울에서 2주간 머물게 된 프레디는 친부모를 찾기 위해 입양 센터를 방문하고, 군산에서 친아버지를 만나지만 아버지의 과도한 관심에 부담을 느낀다. 이후 서울에서 겪는 다양한 관계와 정체성 혼란 속에서 프레디는 결국 친어머니와 재회하지만, 이메일 주소 오류로 연락이 닿지 않게 된다. 이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주목받았으며, 아시아 태평양 영화상에서 감독상과 신인 연기상을 수상하는 등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에서 촬영한 영화 - 공동경비구역 JSA
    공동경비구역 JSA는 비무장 지대 내 북한군 사망 사건을 다룬 영화로, 남북 간의 긴장 속에서 벌어진 비극적인 사건과 네 병사의 우정을 그리며 흥행과 비평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 대한민국에서 촬영한 영화 -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2020년에 개봉한 액션 느와르 영화로, 암살자 인남이 딸을 구하기 위해 태국으로 향하고, 형의 복수를 위해 그를 쫓는 야쿠자 레이와 대립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아일라 (2017년 영화)
    한국 전쟁 중 튀르키예 파병군 슐레이만 하사와 고아 소녀 아일라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아일라》는 전쟁터에서 만나 특별한 유대감을 형성한 두 사람의 이야기와 이별을 그리며 인간애를 보여주지만, 터키군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묘사했다는 비판도 있다.
  •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달밤체조2015
    달밤체조2015는 심야 음악 프로그램 진행자를 중심으로 두 남자와의 사랑, 사회적 딜레마를 겪는 사람들의 일, 그리고 삶의 가치를 되새기는 과정을 다룬 드라마이다.
  • 루마니아에서 촬영한 영화 - 스티븐 시걸의 본 투 레이즈 헬
    스티븐 시걸 주연의 액션 영화 《본 투 레이즈 헬》은 9.11 테러 이후 국제 마약 전담반의 활약을 그리며, 시걸은 팀 리더 바비 사무엘스 역을 맡아 루마니아에서 마약왕과 범죄자를 추적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루마니아에서 촬영한 영화 - 세븐 세컨즈
    세븐 세컨즈는 2005년 개봉한 액션 영화로, 전문 도둑 잭 툴리버가 현금 수송 차량 강도 사건에 휘말려 루마니아 조직과 대립하며 신비로운 가방을 되찾는 과정을 그린다.
리턴 투 서울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밤에 도시에서 검은 옷을 입은 여성이 시청자를 바라보고 있다.
프랑스 극장 개봉 포스터
감독다비 추
각본다비 추
제작샬로트 뱅상
카티아 카자크
출연박지민
오광록
한국화
김선영
요안 짐머
허욱숙
루이-도 드 렝크쟁
촬영토마스 파벨
편집두니아 시초브
음악제레미 아르카슈
크리스토프 뮈세
제작사Aurora Films
Vandertastic Films
Frakas Productions
VOO
BeTV
배급사Les Films du Losange (프랑스)
Rapid Eye Movies (독일)
Imagine Film Distribution (벨기에)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북미, 라틴 아메리카, 중동, 호주 및 뉴질랜드)
Westec Media Limited (캄보디아)
개봉일2022년 5월 22일 ()
2022년 11월 18일 (캄보디아)
2023년 1월 25일 (프랑스)
2023년 1월 26일 (독일)
2023년 2월 8일 (벨기에)
2023년 5월 3일 (대한민국)
상영 시간119분
제작 국가프랑스
독일
벨기에
카타르
캄보디아
언어프랑스어
한국어
영어
흥행 수익220만 달러
한국어 제목
제목리턴 투 서울

2. 줄거리

서울로 돌아온 프레디는 아버지의 관심이 억압적이라고 느껴 테나에게 연락을 끊어달라고 부탁한다. 이후 프레디는 서울에서의 첫날 밤에 잠자리를 같이 한 남자의 사랑 고백을 냉혹하게 조롱하고, 테나에게 키스하려 하지만 거부당하며 "정말 슬픈 사람"이라는 말을 듣는다. 프레디는 술집 DJ와 호텔로 돌아가지만, 술 취한 아버지가 연락을 무시했다고 꾸짖어 DJ를 쫓아낸다. 테나가 나타나지만, 아버지는 테나를 무시하고 프레디의 팔을 잡으려 하자, 프레디는 그에게 자신을 만지지 말라고 소리치며 떠난다.[1]

1년 후, 생일에 프레디는 호텔에서 어머니에게 늦게 연락한 것에 대해 사과하는 이메일을 쓰지만, 어머니의 이메일 주소가 유효하지 않아 전송되지 않는다. 프레디는 호텔 로비에서 악보가 있는 피아노를 발견하고, 처음에는 망설이지만 곧 초견으로 아름다운 멜로디를 연주한다.[1]

2. 1. 한국 방문과 친부모 찾기

프레디는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프랑스인 부모에게 입양된 25세 여성이다. 도쿄행 비행기가 취소된 후 2주간의 휴가를 위해 서울에 도착한다. 호텔 데스크 직원인 테나와 친해진 프레디는 테나와 친구들의 소개로 함몬드 입양 센터를 방문하게 된다.[1]

함몬드 입양 센터에서는 법적으로 친부모에 대한 정보를 바로 공개할 수는 없지만, 입양인의 관심사를 알리는 전보를 매년 최대 세 통까지 보낼 수 있었다. 프레디는 친아버지가 있는 군산으로 가서 테나의 통역으로 잠시 어색한 만남을 가진다. 친어머니는 세 통의 전보에 모두 응답하지 않았지만, 프레디는 친아버지 가족과 3일 밤을 보낸다. 프레디의 아버지는 계속 술에 취해 전화를 걸고, 한국어로 문자를 보내며 프레디를 포기한 것을 후회하고 대한민국에서 새로운 삶을 약속한다.[1]

서울로 돌아온 프레디는 아버지의 끊임없는 관심이 억압적으로 느껴져 테나에게 연락을 끊어달라고 부탁한다. 이후 프레디는 친어머니가 자신을 만날 의향이 없다는 후속 전보에 응답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프레디의 아버지는 계속 이메일을 보내지만, 프레디는 대부분 무시한다.[1]

2. 2. 서울에서의 삶과 정체성 혼란

프레디는 군산으로 가서 테나의 통역으로 친아버지와 어색하게 만난다. 친아버지 가족과 3일 밤을 보내지만, 아버지는 술에 취해 계속 전화하고 한국에서 새 삶을 약속하는 문자를 보낸다.

서울로 돌아온 프레디는 아버지의 관심이 억압적이라 느껴 테나에게 연락을 끊어달라고 부탁한다. 서울에서 처음 만난 남자의 고백을 냉정하게 조롱하고, 테나의 키스도 거부하며 "정말 슬픈 사람"이라는 말을 듣는다. 술집 DJ와 호텔로 가지만, 술 취한 아버지가 연락을 무시했다고 꾸짖는다. 테나가 나타나도 아버지는 무시하고 프레디의 팔을 잡으려 하자, 프레디는 소리치며 떠난다.

2년 후, 프레디는 서울에서 무기상인 앙드레와 데이트한다. 생일마다 어머니를 생각하며, 어머니가 만날 의향이 없다는 소식을 듣는다. 아버지는 계속 이메일을 보내지만 대부분 무시한다. 동료에게 함몬드에 연락하라고 하지만, 동료는 한국 문화와 언어를 먼저 배우라고 조언한다.

5년 후, 프레디는 어눌한 한국어로 앙드레와 미사일을 판매한다. 프랑스인 남자친구 막심과 한국에 와서 아버지를 만나고, 아버지가 작곡한 피아노 곡에 감동받는다. 그러나 막심이 프레디의 운명이 한국 전쟁에서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부터 방어하는 것이라고 말하자 짜증을 낸다. 저녁 식사 후 막심과 헤어지고 유흥가로 간다.

프레디는 친어머니가 함몬드 전보에 응답했다는 것을 알고, 함몬드에서 어머니를 만나 눈물 흘린다. 어머니는 이메일 주소를 알려주지만, 1년 후 프레디의 이메일은 전송되지 않는다.

2. 3. 새로운 관계와 성장

2년 후, 프레디는 서울에서 살고 있다. 그녀는 무기상인 앙드레와 데이트를 하고 있으며, 앙드레는 프레디가 자신의 업계에서 잘 해낼 것이라고 말한다. 프레디는 그에게 오늘은 자신의 생일이며, 매년 생일마다 어머니가 자신을 생각하는지 궁금해한다고 말한다. 그녀를 위해 열린 깜짝 생일 파티에서, 그녀는 같은 입양인인 동료에게 마침내 그녀의 어머니가 그녀를 만날 의향이 없다는 후속 전보에 응답했다고 밝힌다. 프레디의 아버지는 여전히 그녀에게 이메일을 보내지만, 그녀는 대부분 무시한다.[1]

5년 후, 프레디는 어눌한 한국어를 구사하며 앙드레와 함께 미사일을 판매하는 일을 한다. 그녀는 프랑스인 남자친구 막심과 함께 대한민국으로 출장을 가서 아버지를 만난다.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에게 자신이 작곡하고 연주한 피아노 곡을 들려주고, 프레디는 그것이 자신에게 감동을 주는 것에 놀란다. 그녀는 막심이 그녀의 아버지에게 프레디가 한국 전쟁에서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부터 방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그녀의 운명이라고 말하자 짜증을 낸다. 저녁 식사 후, 그녀는 그와 헤어진다.[1]

프레디는 그녀의 친어머니가 정책 위반으로 동정심 많은 직원이 보낸 또 다른 함몬드 전보에 긍정적으로 응답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프레디와 그녀의 어머니는 함몬드 시설에서 만나고, 프레디는 그녀의 어머니가 그녀를 껴안자 눈물을 흘린다. 그녀의 어머니는 프레디에게 이메일 주소를 알려주어 연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1]

1년 후, 그녀의 생일에 프레디는 호텔에 도착한다. 그녀는 어머니에게 늦게 연락한 것에 대해 사과하는 이메일을 쓰고, 자신이 행복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어머니의 이메일 주소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아 이메일은 전송되지 않는다. 프레디는 호텔 로비로 가서 악보가 있는 피아노를 발견한다. 그녀는 앉아서 처음에는 망설이며 초견으로 음악을 연주하려 하지만, 곧 아름다운 멜로디를 만들어낸다.[1]

3. 등장인물


  • '''프레데리크 "프레디" 브누아''': 박지민[1]
  • '''프레디의 친아버지''': 오광록[1]
  • '''테나''': 한가현[1]
  • '''프레디의 친고모''': 김선영[1]
  • '''막심''': 요안 지머|요안 지머프랑스어
  • '''앙드레''': 루이-도 드 랑케생
  • '''프레디의 친할머니''': 허옥숙[1]
  • '''루시''': 에멜린 브리포
  • '''프레디의 양어머니''': 레진 비알|레진 비알 골드버그프랑스어
  • '''프레디의 친어머니''': 최조우[1]

3. 1. 주요 인물


  • 프레데리크 "프레디" 브누아: 영화의 주인공으로,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프랑스로 입양된 25세 여성이다. 자신의 뿌리를 찾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온다.[1]
  • 오광록: 프레디의 친아버지 역을 맡았다. 프레디를 한국에서 찾지만,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태도로 프레디에게 상처를 준다.[1]
  • 한가현: 테나 역을 맡았다. 테나는 프레디가 한국에 도착했을 때 처음 만나는 호텔 직원으로, 프레디의 여정을 돕는다.[1]
  • 최조우: 프레디의 친어머니 역을 맡았다. 프레디를 만나기를 주저하지만, 결국 프레디와 만나게 된다.[1]
  • 김선영: 프레디의 친고모 역을 맡았다.[1]
  • 허옥숙: 프레디의 친할머니 역을 맡았다.[1]

3. 2. 조연


  • 요안 지머|요안 짐머프랑스어 : 막심 역. 프레디의 프랑스인 남자친구이다.
  • 루이-도 드 랑케생 : 앙드레 역. 프레디의 직장 동료이자 무기상이다.
  • 김선영 : 프레디의 친고모 역. 프레디 친아버지의 여동생으로, 프레디에게 한국 가족을 소개해준다.
  • 허옥숙 : 프레디의 친할머니 역. 프레디 친아버지의 어머니로, 프레디를 따뜻하게 맞이한다.

4. 제작

다비 추 감독은 2011년 다큐멘터리 영화 《골든 슬럼버》 촬영 중 한국계 프랑스 여성 로르 바두플의 경험을 통해 영화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는 친구, 다른 입양아들과의 대화, 독서를 통해 한국 문화와 입양에 대해 연구했고, 크메르 루주를 피해 캄보디아를 떠난 자신의 삶과 유사점을 발견했다.[6] 박지민을 프레디 역으로 캐스팅하고, 그녀와의 대화를 통해 캐릭터를 발전시켰다.[7]

이 영화는 프랑스, 독일, 벨기에, 카타르, 캄보디아의 국제 합작 영화이며,[8][9] 2021년 말 대한민국과 루마니아에서 6주 동안 촬영되었다.[10]

4. 1. 아이디어와 초기 기획

다비 추 감독은 2011년 다큐멘터리 영화 《골든 슬럼버》 촬영 중 한국인 친부모에게 입양된 20대 한국계 프랑스 여성 로르 바두플과 비슷한 경험을 하면서 이 영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 바두플은 그와 함께 처음으로 친부와 할머니를 만나기 위해 대한민국을 방문했다.[6] 추 감독은 그들의 만남이 얼마나 감동적인지 보고 비슷한 내용의 영화를 만들기로 결심했다. 처음에는 한국 문화나 입양에 대한 경험에 대해 잘 알지 못했기에, 친구와 다른 입양아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책을 읽으면서 이러한 요소들을 연구했다. 그는 캄보디아 이민자 출신으로 크메르 루주가 정권을 잡기 전에 캄보디아를 떠난 자신의 삶과 유사한 점을 발견했다. 추 감독은 지민 박을 "개인적인 소개"를 통해 만나, 그녀가 "프레디의 자유로운 정신의 본질을 공유하는 사람"이라고 보고 프레디 역으로 캐스팅했으며, 그녀는 이 영화가 첫 영화 출연작이 되었다. 그는 박과의 대화를 통해 그녀의 캐릭터를 더욱 발전시켰는데, "남성 감독으로서 그의 몇몇 생각을 반박하고 젊은 프랑스 여성이 한국의 매우 가부장적인 사회의 측면에 어떻게 반응할 수 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7]

4. 2. 캐스팅과 캐릭터 개발

다비 추 감독은 2011년 다큐멘터리 영화 《골든 슬럼버》를 촬영하던 중 한국인 친부모에게 입양된 20대 한국계 프랑스 여성 로르 바두플과 비슷한 경험을 하면서 이 영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 바두플은 그와 함께 처음으로 친부와 할머니를 만나기 위해 대한민국을 방문했다.[6] 추 감독은 박지민을 "개인적인 소개"를 통해 만나, 그녀가 "프레디의 자유로운 정신의 본질을 공유하는 사람"이라고 보고 프레디 역으로 캐스팅했으며, 그녀는 이 영화가 첫 영화 출연작이 되었다. 그는 박지민과의 대화를 통해 그녀의 캐릭터를 더욱 발전시켰는데, "남성 감독으로서 그의 몇몇 생각을 반박하고 젊은 프랑스 여성이 한국의 매우 가부장적인 사회의 측면에 어떻게 반응할 수 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7]

4. 3. 촬영 및 국제 공동 제작

이 영화는 프랑스, 독일, 벨기에, 카타르, 캄보디아의 국제 합작 영화이다.[8][9] 촬영은 2021년 말, 대한민국과 루마니아에서 6주에 걸쳐 진행되었다.[10]

5. 개봉 및 평가

이 영화는 로튼 토마토에서 122개의 비평을 바탕으로 평균 8.1/10점, 신선도 97%를 기록했고, 메타크리틱에서는 37개의 비평을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87점을 기록하는 등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로튼 토마토는 "주인공의 탐구에 민감하게 맞춰진 '리턴 투 서울'은 한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 조건에 대한 보편적인 진실을 탐구한다"고 평했다.[1][2]

다음은 주요 영화제 수상 및 후보 내역이다.

시상식날짜부문수상자결과
아시아 태평양 영화상2022년 11월 11일작품상리턴 투 서울후보[19]
감독상데이비 추수상[20]
신인 연기상박지민수상[20]
아시안 필름 어워드2023년 3월 12일감독상데이비 추후보[21]
남우조연상오광록후보[21]
신인상박지민후보[21]
편집상두니아 시쇼브후보[21]
음악상제레미 아르카슈, 크리스토프 뮈세후보[21]
음향상빈센트 빌라후보[21]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2022년 12월 11일작품상리턴 투 서울수상[22]
칸 영화제2022년 5월 27일주목할 만한 시선데이비 추후보[23]
뤼미에르상2024년 1월 22일여자 신인상박지민후보[24]
마그리트상2024년 3월 9일외국어 영화상리턴 투 서울후보[25]
유망한 남자 배우요안 짐머후보[25]
시드니 영화제2022년 6월 19일작품상리턴 투 서울후보[26]


5. 1. 개봉 정보

이 영화는 2022년 5월 22일 칸 영화제의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서 영어 제목 ''All the People I'll Never Be''로 세계 초연되었다.[11] 칸 영화제 상영 직전에 무비와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Sony Pictures Classics)가 각기 다른 지역에서 이 영화의 배급권을 획득했으며,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는 영화의 영어 제목을 ''Return to Seoul''로 변경했다.[12][13] ''리턴 투 서울''은 2022년 11월 18일 웨스텍 미디어 리미티드를 통해 캄보디아에서 개봉되었고,[14][15] 2023년 1월 25일 레 필름 뒤 로장을 통해 프랑스에서 개봉되었으며,[16] 2023년 1월 26일 라피드 아이 무비를 통해 독일에서 개봉되었고,[17] 2023년 2월 8일 이매진 필름 배급을 통해 벨기에에서 개봉되었다.[9] 미국에서는 2022년 12월 2일부터 뉴욕시와 로스앤젤레스에서 일주일 동안의 시상 자격 상영을 시작으로, 2023년 2월 17일 제한적 개봉되었다.[18]

5. 2. 비평가 반응

영화 비평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22개의 비평을 바탕으로 평균 8.1/10점, 신선도 97%를 기록했다. 웹사이트 측은 "주인공의 탐구에 민감하게 맞춰진 '리턴 투 서울'은 한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 조건에 대한 보편적인 진실을 탐구한다"고 평했다.[1] 메타크리틱에서는 37개의 비평을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87점을 기록했다.[2]

5. 3. 수상 및 후보 내역

시상식시상식 날짜부문수상자결과
아시아 태평양 영화상2022년 11월 11일작품상리턴 투 서울후보[19]
감독상데이비 추수상[20]
신인 연기상박지민수상[20]
아시안 필름 어워드2023년 3월 12일감독상데이비 추후보[21]
남우조연상오광록후보[21]
신인상박지민후보[21]
편집상두니아 시쇼브후보[21]
음악상제레미 아르카슈, 크리스토프 뮈세후보[21]
음향상빈센트 빌라후보[21]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2022년 12월 11일작품상리턴 투 서울수상[22]
칸 영화제2022년 5월 27일주목할 만한 시선데이비 추후보[23]
뤼미에르상2024년 1월 22일여자 신인상박지민후보[24]
마그리트상2024년 3월 9일외국어 영화상리턴 투 서울후보[25]
유망한 남자 배우요안 짐머후보[25]
시드니 영화제2022년 6월 19일작품상리턴 투 서울후보[26]


6. 한국 사회와 영화

(이전 출력이 원본 소스 없이 생성되었기 때문에,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Return to Seoul'' (15)" https://www.bbfc.co.[...]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2023-04-21
[2] Box Office Mojo Return to Seoul (2022) 2024-09-25
[3] 웹사이트 'Return To Seoul': Cannes Review https://www.screenda[...] 2022-05-22
[4] 뉴스 "'Return to Seoul' chosen as Cambodian entry for Oscar" https://www.phnompen[...] 2022-10-19
[5] 잡지 Shortlists for 95th Academy Awards Unveiled https://www.hollywoo[...] 2022-12-21
[6] 뉴스 Metamorphosis of Korean French adoptee Laure Badufle, co-writer and inspiration for 'Return to Seoul' https://www.koreatim[...] 2023-05-02
[7] 잡지 Cannes Hidden Gem: A Visceral Search for Identity in 'Return to Seoul' https://www.hollywoo[...] 2022-05-18
[8] 웹사이트 Return to Seoul (Retour à Séoul) https://cineuropa.or[...] 2023-05-20
[9] 웹사이트 Return to Seoul de Davy Chou (2022) https://en.unifrance[...] Unifrance 2023-05-20
[10] 웹사이트 "EXCLUSIVE: Davy Chou's ''Return to Seoul'' is now in post-production" https://cineuropa.or[...] 2021-12-20
[11] 웹사이트 The films of the Official Selection 2022 https://www.festival[...] Cannes Film Festival 2022-05-20
[12] 잡지 "MUBI Acquires 'Return to Seoul' Ahead of World Premiere at Cannes (EXCLUSIVE)" https://variety.com/[...] 2022-05-21
[13] 잡지 "Sony Pictures Classics Snaps Up Cannes Title 'All The People I'll Never Be,' Renames Film as 'Return to Seoul'" https://variety.com/[...] 2022-05-16
[14] 뉴스 "'Return to Seoul' opens in Cambodian cinemas" https://www.phnompen[...] 2022-11-19
[15] 웹사이트 Movies & Dramas – 2022 https://www.westecme[...] Westec Media Limited 2023-05-20
[16] 웹사이트 Retour à Séoul https://filmsdulosan[...] Les Films du Losange 2023-05-20
[17] 웹사이트 Return to Seoul https://rapideyemovi[...] Rapid Eye Movies 2023-05-20
[18] 웹사이트 "Park Ji-Min is Outstanding in Adoption Drama 'Return to Seoul' Trailer" https://www.firstsho[...] 2023-05-20
[19] 잡지 "Kamila Andini's 'Before Now and Then' Heads APSA Award Nominations, New Zealand's 'Muru' Collects Diversity Prize" https://variety.com/[...] 2022-10-12
[20] 잡지 "'Before, Now And Then' wins top prize at Asia Pacific Screen Awards" https://www.screenda[...] 2022-11-11
[21] 잡지 "'Decision To Leave' leads Asian Film Awards nominations" https://www.screenda[...] 2023-01-06
[22] 뉴스 Boston Society of Film Critics announces 2022 winners — and one surprising tie https://www.bostongl[...] 2022-12-12
[23] 웹사이트 Cannes 2022 Adds Competition Titles, Special Screenings: See the Full Lineup https://www.indiewir[...] 2022-04-21
[24] 웹사이트 Anatomie d'une chute domine les nominations pour les Lumières https://cineuropa.or[...] 2023-12-14
[25] 웹사이트 "Nominations aux Magritte : un record pour le long-métrage 'Augure' de Baloji " https://www.rtbf.be/[...] RTBF 2024-02-09
[26] 웹사이트 Belgian film Close, about teen male friendship, wins Sydney Film Festival's top prize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2-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