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 (체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링은 체조 경기에 사용되는 기구로, 두 개의 링이 강철 케이블에 매달려 있다. 링의 규격은 국제 체조 연맹(FIG)의 규정에 따라 정해지며, 링 운동은 스윙, 힘, 유지 동작으로 구성된다. 경기 방식은 단체 및 개인 종합에서 진행되며, 연기는 링에 매달린 상태에서 시작하여 착지 동작으로 종료된다. 채점은 기술의 난이도와 수행의 정확성에 따라 이루어진다. 링 종목은 정지 기술과 근력 기술이 강조되는 특징을 가지며, 안전을 위해 부상 위험과 사고 예방 대책에 대한 정보도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계 체조 기구 - 평행봉
평행봉은 남자 체조에서 사용되는 기구로, 두 개의 평행한 봉으로 구성되어 지지, 매달리기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연기하며, 얀에 의해 발명되어 국제 규정에 따라 경기가 진행된다. - 기계 체조 기구 - 철봉
철봉은 고대부터 사용되어 체조에 도입된 운동 기구로, 매달리기, 돌기 등의 기술을 통해 근육 발달을 돕고 기술 난이도와 수행 정확성에 따라 채점하는 경기 종목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링 (체조) | |
---|---|
개요 | |
![]() | |
종목 | 기계 체조 |
성별 | 남자 |
첫 올림픽 경기 | 1896년 |
기구 정보 | |
높이 | 5.8 미터 (19 피트) |
매달리는 높이 | 2.8 미터 (9 피트 2 인치) |
링 간 간격 | 50 센티미터 (20 인치) |
링 내부 직경 | 18 센티미터 (7.1 인치) |
기술 요소 | |
정지 동작 | 힘, 균형 및 제어력 |
스윙 동작 | 운동량과 타이밍 |
역사 | |
기원 | 고대 그리스 |
현대 발전 | 19세기 |
안전 | |
매트 | 안전을 위한 필수품 |
스팟터 | 고급 기술 시 필요 |
특징 | |
설명 | 링은 기계 체조에서 남성만 사용하는 종목이다. |
기술 | 힘, 균형, 운동량 및 타이밍이 필요한 스윙 및 정지 기술이 포함된다. |
평가 | 선수들은 기술, 형태 및 루틴의 어려움에 따라 평가받는다. |
추가 정보 | |
다른 이름 | 吊り輪 (つり輪) (일본어), 고리운동 (문화어), 륜 (문화어) |
2. 기구
링 기구는 단단한 금속 프레임에 자유롭게 매달린 두 개의 링으로 구성된다.[1] 각 링은 금속 프레임에 연결된 강철 케이블에 스트랩으로 지지된다. 체조 선수는 각 손으로 링 하나를 잡고 링과 자신의 신체 움직임을 항상 제어해야 한다.[1]
링은 수지, 금속 또는 나무로 만들며, 로프나 와이어로 바닥에서 280cm 높이에 매달아 각 링이 자유롭게 움직인다. 링의 내경은 18cm이고, 링 간 간격은 50cm이다. 매달린 와이어는 비틀어도 꼬이지 않도록 윗부분에 장치가 되어 있다.[1]
2. 1. 규격
국제 체조 연맹(FIG)에서 발행하는 ''기구 규정'' 문서에 따르면 링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2]항목 | 규격 |
---|---|
내부 직경 | 18cm ± 0.1cm [1] |
프로파일 직경 | 2.8cm ± 0.1cm [1] |
고정 지점에서 링 하단 안쪽까지의 거리 | 300cm ± 1cm [1] |
두 고정 지점 사이의 거리 | 50cm ± 0.5cm [1] |
링은 수지, 금속 또는 나무로 만들며, 로프나 와이어로 바닥에서 280cm 높이에 매달아 놓는다. 각 링은 자유롭게 움직이며, 링의 내경은 18cm, 링 간의 폭은 50cm이다. 매달린 와이어는 비틀어도 꼬이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2. 2. 설치
링은 단단한 금속 프레임에 자유롭게 매달려 있다.[1] 각 링은 스트랩으로 지지되며, 이 스트랩은 다시 강철 케이블에 연결되어 금속 프레임에 매달린다.[1] 체조 선수는 양손으로 각각 링을 잡고 링과 자신의 신체 움직임을 모두 제어해야 한다.[1]링은 수지, 금속 또는 나무로 만들어지며 로프나 와이어로 매달아 놓아 각 링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링의 내경은 18cm이고, 링 간의 간격은 50cm이며, 바닥에서 280cm 높이에 매달려 있다.[1] 또한, 매달린 와이어는 아무리 비틀어도 꼬이지 않도록 윗부분에 장치가 되어 있다.
3. 경기 방식
링 종목은 연기자가 연기를 하고 심판이 채점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다른 종목에 비해 동작은 적지만, 고정되지 않은 링에서 몸을 지탱하는 절묘한 균형과 두 팔만으로 몸을 지탱하는 힘이 중요하며, 남자만 실시하는 가장 완력이 요구되는 종목이다.[1]
지난 수십 년간 체조 경기의 규칙 개정을 보면, 전반적으로 '''진동 기술'''을 중시하며 다른 종목에서는 정지 기술이 현저하게 제한되고 있다. 규칙이 개정될 때마다 정지 기술과 근력 기술에 대한 제한이 엄격해지고, 멈추지 않고 유연하게 이어지는 연기가 평가받게 되었다. 이 가운데 링만은 반대로 진동 기술이 제한되는 흐름이 있어, 링 종목의 특수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종합 종목을 하는 선수 입장에서는 링만 방향성이 크게 달라져 링과 다른 종목을 병행하기 어려워졌고, 이는 올라운더가 줄어드는 경향의 원인이 되고 있다. 2001년 규칙 개정으로 단체 종목 결승에서의 연기 실시 인원이 감소(5명 → 3명)하면서 링 스페셜리스트의 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에, 앞으로 올라운더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1]
3. 1. 경기 진행
링 종목은 단체 및 개인 종합에서 진행되며, 종목별로 단독으로도 진행된다.[1]연기는 링에 매달린 상태에서 시작하여, 최종 기술로 착지하거나, 연기자가 도중에 기권할 때까지 진행된다.[1] 이때 스스로 뛰어 매달리는 것은 물론, 도마나 보조자의 도움을 받는 것도 허용된다.[1] 연기 종료는 착지 동작을 완료한 시점이며, 착지 시에 정지하지 못하고 발을 내딛거나 넘어지는 경우에는 감점 대상이 된다.[1] 연기 시작부터 최종 기술을 수행할 때까지 손을 떼서는 안 된다.[1]
3. 2. 채점 방식
링 종목의 채점은 선수의 연기 가치 점수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연기 가치 점수는 기초 실시점에 기술 난이도에 따라 추가되는 난도 가점을 더한 후, 불완전한 기술에 대한 감점을 빼서 계산된다. 따라서, 아무리 아름다운 연기를 하더라도 난이도가 낮은 기술만으로는 높은 점수를 얻기 어렵다.[3]선수는 자세에 대한 감점을 받는다. 링에서는 팔을 굽히거나 스트랩/케이블을 사용하여 몸을 지탱하거나 균형을 잡는 경우에도 감점이 적용된다. 홀드(hold) 자세에서 머리를 중립적인 위치로 유지하지 않거나, 찡그리지 않는 중립적인 표정을 짓지 않거나, 끙끙거리는 소리를 내는 경우에도 추가 감점이 있다. 링이 불필요하게 흔들려도 감점 대상이다.[3]
링에서는 연속적인 정지 자세 동작을 수행하면 채점 규정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받을 수 있다.[3]
3. 3. 기술 요소
링 운동은 스윙, 힘, 유지 동작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체조 선수는 핸드 스탠드를 위한 스윙, 정적인 힘 유지, 공중 하차를 포함한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3] 더 숙련된 체조 선수는 하나 이상의 힘 동작을 수행하며, 때로는 유지 자세로 스윙하거나 서로 다른 유지를 연속적으로 수행하기도 한다.[3]링에서의 동작은 채점 규정에 따라 규제된다. 링 루틴은 최소한 다음 모든 요소 그룹에서 한 개 이상의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3]
- I. 킵 및 스윙 요소, 스윙을 통한 또는 윗몸 일으키기
- II. 힘 요소 및 홀드 요소
- III. 힘 홀드 요소로의 스윙
- IV. 하차
'''링 종목'''은 선수가 연기를 하고 심판이 채점하는 방식이다. 다른 종목에 비해 동작은 적지만, 고정되지 않은 링에서 몸을 지탱하는 절묘한 균형과 두 팔만으로 몸을 지탱하는 힘이 중요하며, 남자만 실시하는 가장 완력이 요구되는 종목이다.
지난 수십 년간 체조 경기의 규칙 개정을 보면, 전반적으로 '''진동 기술'''을 중시하며 다른 종목에서는 정지 기술이 현저하게 제한되고 있다. 규칙이 개정될 때마다 정지 기술과 근력 기술에 대한 제한이 엄격해지고, 멈추지 않고 유연하게 이어지는 연기가 평가받게 되었다. 이 가운데 링만은 반대로 진동 기술이 제한되는 흐름이 있어, 링 종목의 특수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종합 종목을 하는 선수 입장에서는 링만 방향성이 크게 달라져 링과 다른 종목을 병행하기 어려워졌고, 이는 올라운더가 줄어드는 경향의 원인이 되고 있다. 2001년 규칙 개정으로 단체 종목 결승에서의 연기 실시 인원이 감소(5명 → 3명)하면서 링 스페셜리스트의 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에, 앞으로 올라운더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3. 3. 1. 기술 종류
링 체조 기술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흔들기 진동 기술: 몸을 흔들거나 회전시키는 기술로, 순발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매달린 상태에서 링 위로 올라가는 '차오르기'나, 물구나무 상태에서 공중제비를 돌아 매달리는 '구초기(뒤 공중돌기 2회전 현수)' 등이 있다.[3]
- 진동 물구나무 기술: 몸을 흔들거나 회전시킨 후 물구나무 자세로 정지하는 기술로, 균형 감각이 중요하다.[3]
- 힘 기술: 매달린 상태에서 흔들림이나 반동 없이 지지 상태로 이동하거나 천천히 회전하는 등 근력이 필요한 기술이다.[3]
- 정지 기술: 몸을 지지한 상태에서 2초간 정지하는 기술로, 근력이 요구된다. 2초간 정지하지 못하면 감점되며, 1초도 버티지 못하면 기술로 인정되지 않는다.[3]
- 진동으로부터의 힘 정지 기술: 몸을 흔들거나 회전시킨 후, 지지 자세나 십자 현수 등의 힘 기술로 정지하는 기술이다.[3]
- 종말 기술: 링에서 손을 놓고 착지하는 기술로, 모두 진동 기술에 해당한다.[3]
과거에는 진동 중에 몸을 비틀어 로프를 교차시키는 기술이 있었지만, 현재는 로프 교차가 허용되지 않는다.[3]
링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 중 하나는 '''아이언 크로스'''로, 양팔을 몸 옆으로 쭉 뻗은 채 공중에 매달려 최소 2초 동안 유지하는 동작이다. 이 외에도 '''인버티드 크로스'''(수직으로 뒤집힌 아이언 크로스), '''몰타 크로스'''(팔을 옆으로 뻗은 채 몸을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하는 동작) 등이 있다.[3] 스윙 동작에는 평행봉에서와 유사하게 앞뒤 방향으로 자이언트 스윙을 하는 동작이 포함된다.[3]
몸의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용어 | 설명 |
---|---|
매달리기 | 단순히 링에 매달린 상태. 머리를 위로 하고 팔을 위로 수직으로 뻗거나, 팔을 수평으로 하여 몸을 지탱한다. 팔을 수평으로 하여 몸을 지탱하는 것을 십자 매달리기라고 한다. |
지지 | 팔을 아래로 수직으로 뻗어 팔의 힘으로 몸을 지탱하거나, 몸을 수평으로 지탱하는 상태. 몸을 수평으로 지탱하는 것을 수평 지지라고 한다. |
물구나무 | 머리를 아래로 하고 몸을 지탱하는 상태. 팔을 수평으로 한 경우에는 십자 물구나무, 팔을 머리 방향으로 뻗어 물구나무를 서는 것을 역 물구나무라고 한다. |
3. 3. 2. 금지 행위
체조 선수는 다른 기구와 마찬가지로 자세에 대한 감점을 받게 된다. 링에서는 거의 모든 기술을 수행하는 동안 팔을 굽히거나 스트랩/케이블을 사용하여 몸을 지탱하거나 균형을 잡는 경우에도 감점이 적용된다. 홀드(hold)를 하는 동안 머리를 중립적인 위치로 유지하지 못하거나, 찡그리지 않는 중립적인 표정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끙끙거리는 소리를 내는 선수에게 추가 감점이 적용된다. 또한 루틴을 수행하는 동안 케이블이 불필요하게 흔들릴 때마다 감점이 있다. 링에서 보너스 점수는 채점 규정에 나열된 두 동작의 문자 값을 기준으로 연속적인 정지 자세 동작을 수행하여 얻을 수 있다.다음은 금지 행위이며, 이를 어길 시 0점이 된다. 감점이 부과되는 경우도 있다.
- '''기구에서 낙하''': 링에서 떨어지면 1.0의 감점을 받는다.
- '''링의 교차''': 링을 지탱하는 로프를 교차시켜서는 안 된다. 고의로 교차시키면 0점이 된다.
- '''굴완 차륜''': 굴완에서의 차륜 운동은 금지된다.
- '''착지 위반''': 발 이외의 부위로 착지하면 0점이 된다. 체조의 다른 종목에서도 마지막 기술에서 발 이외의 부위로 착지하는 기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는 기본 규칙 중 하나이다. 고의로 옆으로 착지하는 경우에도 0점이 된다.
4. 링 종목의 역사와 한국 체조
체조에서 링 종목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 체조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링 종목의 초기 형태는 단순한 근력 운동 중심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기술적인 요소가 강조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내용 없음)
4. 1. 국제 링 종목의 변화
지난 수십 년간 체조 경기의 규칙 개정을 되돌아보면, 전반적으로 '''진동 기술'''을 중시하며, 다른 종목에서는 정지 기술이 현저하게 제한되고 있다.[1] 규칙 개정 때마다 정지 기술과 근력 기술에 대한 제한이 엄격해지고, 멈추지 않고 유연하게 이어지는 연기가 평가받게 되었다.[1] 이 가운데 링만은 반대로 진동 기술이 제한되는 흐름이 있어, 링 종목의 특수성이 커지고 있다.[1] 이는 각 종목의 특징을 충분히 발휘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환영할 만하다.[1]한편, 종합 종목을 하는 선수 입장에서는 링만 방향성이 크게 달라져 링과 다른 종목을 양립하기가 어려워졌고, 이는 올라운더가 줄어드는 경향의 원인이 되고 있다.[1] 2001년 규칙 개정으로 단체 종목 결승에서의 연기 실시 인원이 감소(5명 → 3명)하면서, 링 스페셜리스트의 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에, 앞으로 올라운더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1]
5. 안전성
부상 방지를 위해, 부원은 학교 관리하에 안전한 연습과 연기를 수행해야 하며, 사전 사고 예방책이 필요하다. 링 사고・소송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5. 1. 부상 위험
체조 선수는 링에서 거의 모든 기술을 수행하는 동안 팔을 굽히거나 스트랩/케이블을 사용하여 몸을 지탱하거나 균형을 잡는 경우 감점을 받는다. 홀드(hold) 자세에서 머리를 중립적인 위치로 유지하지 않거나, 중립적인 표정을 유지하지 않거나, 끙끙거리는 소리를 내는 선수에게는 추가 감점이 적용된다. 또한 루틴을 수행하는 동안 케이블이 불필요하게 흔들릴 때마다 감점이 있다.부상 방지를 위해, 부원은 학교 관리하에 안전한 연습과 연기를 수행해야 하며, 사전 사고 예방책이 필요하다. 링 사고・소송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5. 2. 사고 예방 대책
부상 방지를 위해 학교 체육 현장에서는 링 운동 시 안전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사고 예방을 위한 지도가 필요하다. 링 사고・소송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6. 기타
체조 경기에 사용되는 링보다 크고 높낮이를 다르게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 링은 그네에 사용된다.[4]
참조
[1]
서적
Gymnastics Skills and Rules
Pinnacle Technology
[2]
웹사이트
Apparatus Norms
http://www.fig-gymna[...]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Gymnastique
2020-06-21
[3]
서적
A World-Class Gymnast
https://archive.org/[...]
Heinemann-Raintree Library
[4]
서적
子どものための体育施設・用具
大修館書店
[5]
간행물
링 운동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