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 (2018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더는 2018년 방송된 대한민국의 드라마로, 세상의 시선에도 굴하지 않고 엄마와 딸이 되어가는 모녀의 이야기를 그린다. 아동학대를 받는 학생을 납치하다시피 데려와 함께 도피 생활을 하는 임시 교사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사회 문제를 반영하며, 최고 시청률 4.974%를 기록했다. 제54회 백상예술대상에서 드라마 작품상과 여자 신인 연기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동 학대를 소재로 한 작품 - 약속의 네버랜드
《약속의 네버랜드》는 시라이 카이우의 글과 데미즈 포스카의 그림으로 그려진 다크 판타지 만화 및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고아원으로 위장한 인간 농장에서 자란 아이들이 끔찍한 진실을 알게 된 후 탈출하여 인간과 귀신의 공존 및 인간 사냥의 진실과 마주하는 이야기이다. - 아동 학대를 소재로 한 작품 - 나만이 없는 거리
'재상영' 능력을 가진 만화가 후지누마 사토루가 과거로 돌아가 연쇄 유괴 살인사건의 진실을 파헤치고 희생자들을 구하는 이야기인 《나만이 없는 거리》는 시간 여행, 미스터리, 스릴러 요소를 결합하여 사회의 어두운 면과 인간 내면의 갈등을 다루며 아동 학대 문제와 같은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산베 케이의 만화이다. - 정서경 시나리오 작품 - 친절한 금자씨
《친절한 금자씨》는 박찬욱 감독의 2005년 영화로, 억울하게 5세 아이 유괴·살해 혐의로 13년간 복역한 이금자가 출소 후 진범에게 복수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정서경 시나리오 작품 -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박찬욱 감독의 영화 《싸이보그지만 괜찮아》는 자신이 싸이보그라고 믿는 여성과 타인의 특징을 훔칠 수 있다고 믿는 남성이 정신병원에서 만나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로맨틱 코미디 영화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알프레드 바우어상을 수상했다. - 가정폭력을 소재로 한 작품 - IT (미니시리즈)
스티븐 킹의 소설 《그것》을 원작으로 1960년과 1990년을 배경으로 한 2부작 ABC 미니시리즈 《IT (미니시리즈)》는 악당 광대 페니와이즈와 맞서는 "루저 클럽" 아이들의 이야기로, 팀 커리의 페니와이즈 연기가 호평을 받았으며 상업적 성공과 문화적 영향력을 인정받아 2017년 영화 《그것》 시리즈와 관련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도 영향을 미쳤다. - 가정폭력을 소재로 한 작품 - 언니는 살아있다
언니는 살아있다는 2017년 SBS에서 방영된 68부작 드라마로, 복수와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장서희, 오윤아 등이 출연했고 최고 시청률 24.0%를 기록했다.
마더 (2018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마더 |
다른 이름 | Call Me Mother |
장르 | 드라마 서스펜스 |
원작 | 유지 사카모토의 Mother |
개발 | 스튜디오 드래곤 |
극본 | 정서경 |
연출 | 김철규 |
주연 | 이보영 허율 이혜영 남기애 고성희 |
음악 | 정세린 (Movie Closer)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에피소드 수 | 16 |
책임 프로듀서 | 김진이 박지영 |
촬영 방식 | 싱글 카메라 |
러닝 타임 | 60분 |
제작사 | The Unicorn |
방송사 | tvN |
첫 방송 | 2018년 1월 24일 |
마지막 방송 | 2018년 3월 15일 |
관련 작품 | Mother (일본) Anne (터키) Imperfect Love (중국) |
2. 줄거리
세상 사람들이 손가락질하고 둘 사이를 갈라 놓으려 해도, 꽉 잡은 두 손 놓지 않고 천천히 엄마와 딸이 되어가는 모녀지간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하는 드라마다. 초등학교 임시 교사 강수진은 학생 중 한 명인 김혜나(아역)가 집에서 엄마 신자영과 동거남 이설악에게 학대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경찰에 신고했지만, 경찰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어느 날 밤, 아이가 가족 집 밖 길가에 놓인 검은 비닐 봉투 안에 있는 것을 발견한 교사는 충동적으로 아이를 데려가기로 결심한다. 둘은 즉시 유대감을 형성한다. 아이는 곧 교사를 자신의 엄마로 여기고 스스로 김윤복이라는 새 이름을 짓는다. 강수진은 윤복이와 함께 국외로 도피하기를 희망하지만, 아이에게 여권이 없어 둘은 옴짝달싹 못하는 상황에 처한다.
도망자 신세가 되어 갈 곳이 없던 그들은 먼저 노숙자 쉼터를 운영하는 라 여사를 만난다. 라 여사는 위조 여권을 만들 수 있는 뒷세계 사람들과 연줄이 있다. 그러나 경찰이 쉼터를 급습하자, 수진과 윤복은 라 여사와 함께 도망치지만, 라 여사에게 속아 여권을 구하기 위해 건넨 거액의 돈을 잃게 된다. 수진은 윤복이를 생모에게 버려졌던 자신이 자란 보육원으로 데려간다. 그 건물은 이제 버려졌지만, 그곳에는 보육원을 운영했던 클라라 할머니(현재 매우 늙음)가 혼자 살고 있었다. 그들은 클라라 할머니와 며칠간 기억에 남을 만한 시간을 보내지만, 당국이 클라라 할머니를 요양원으로 데려가려고 하자, 그들은 다시 떠나야 했다.
선택지가 줄어들자, 수진은 25년 전에 고아원에서 자신을 입양했던 부유한 여배우의 집으로 혼자 돌아가 돈을 요구한다. 입양 가족과는 소원해졌지만, 여배우는 자신의 딸이 "집으로 돌아온" 것에 기뻐한다. 수진은 윤복이를 먼저 호텔에 두고, 그 후에는 미용실을 운영하는 여자에게서 같은 동네에 있는 작은 아파트를 임대할 수 있게 된다. 여배우와 그녀의 두 딸은 곧 강수진, 즉 "집안의 문제아"에게 자기 자식이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수진은 자신이 아이를 "납치"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는다.
하지만 모녀의 문제는 계속된다. 윤복이가 "할머니"라고 부르기 시작하는 친절한 미용사 아주머니는 사실 수진의 생모였고, 아무도 모르게 딸의 입양 후 삶을 따라가기 위해 그곳으로 이사했던 것이다. 강수진은 그 여자가 자신의 생모라는 사실에 경악하여, 집에서 자신과 아이를 데리고 나간다. 경찰은 처음에는 아이가 실수로 바다에 빠진 것으로 의심했지만, 나중에 아이가 살아 있다는 증거를 확보한다. 강수진은 여전히 모녀인 척하면서 김윤복과 함께 국외로 도피하기를 희망하지만, 이제 그들은 "납치범"을 추적하는 경찰뿐만 아니라 아동 학대를 신고하지 못하도록 아이를 침묵시키려는 아이의 엄마의 남자친구에게 쫓기게 된다.
윤복이의 엄마는 부유한 여배우의 집에서 딸이 사는 것을 발견하고, 그녀의 남자친구는 아이를 "데려가서" 부유한 가족에게서 몸값을 요구한다. 그는 버려진 보육원에 아이를 가두어둔다. 강수진은 경찰이 도착하기 전에 아이를 구출했고, 그 직후 남자친구는 건물에 불을 질러 자살한다. 강수진과 윤복은 중국으로 데려다 줄 배를 타기 직전에 경찰에게 붙잡힌다.
윤복이의 엄마 신자영은 아동 학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아이의 진술을 바탕으로 유죄 판결을 받는다. 강수진 역시 아이를 납치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지지만, 동정심 많은 법원은 그녀에게 3년의 보호 관찰을 선고했지만 징역형은 면제했고, 윤복이와 더 이상 연락하지 말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윤복이는 겉으로는 행복해 보이는 고아원에 맡겨지지만, 그녀를 돌보는 사람들은 그녀가 우울하다는 것을 알아챈다. 그녀는 강수진의 가족 집으로 도망치는 데 성공하지만, 며칠 후에 다시 돌아와야 한다. 동정심 많은 젊은 부부에게 입양되려는 시도는 실패한다. 윤복이는 고아원 원장에게 자신의 "엄마" 강수진이 결국 데리러 올 것이라는 희망으로 고아원에 머물고 싶다고 말한다. 처음에는 윤복이가 "납치범"과 재회하는 것에 경악했지만, 고아원 원장은 결국 그들 사이의 유대감이 위협이 아닌 사랑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윤복이는 결국 강수진과 함께 살게 되며, 곧 강수진에게 정식으로 입양된다.
2. 1. 원작 (일본)
초등학교 임시 교사 강수진은 학생 김혜나(아역)가 집에서 엄마 신자영과 동거남 이설악에게 학대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경찰에 신고했지만, 경찰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어느 날 밤, 아이가 가족 집 밖 길가에 놓인 검은 비닐 봉투 안에 있는 것을 발견한 교사는 충동적으로 아이를 데려가기로 결심한다. 둘은 즉시 유대감을 형성한다. 아이는 곧 교사를 자신의 엄마로 여기고 스스로 김윤복이라는 새 이름을 짓는다. 강수진은 윤복이와 함께 국외로 도피하기를 희망하지만, 아이에게 여권이 없어 둘은 옴짝달싹 못하는 상황에 처한다.도망자 신세가 되어 갈 곳이 없던 그들은 먼저 노숙자 쉼터를 운영하는 라 여사를 만난다. 라 여사는 위조 여권을 만들 수 있는 뒷세계 사람들과 연줄이 있다. 그러나 경찰이 쉼터를 급습하자, 수진과 윤복은 라 여사와 함께 도망치지만, 라 여사에게 속아 여권을 구하기 위해 건넨 거액의 돈을 잃게 된다. 수진은 윤복이를 생모에게 버려졌던 자신이 자란 보육원으로 데려간다. 그 건물은 이제 버려졌지만, 그곳에는 보육원을 운영했던 클라라 할머니(현재 매우 늙음)가 혼자 살고 있었다. 그들은 클라라 할머니와 며칠간 기억에 남을 만한 시간을 보내지만, 당국이 클라라 할머니를 요양원으로 데려가려고 하자, 그들은 다시 떠나야 했다.
선택지가 줄어들자, 수진은 25년 전에 고아원에서 자신을 입양했던 부유한 여배우의 집으로 혼자 돌아가 돈을 요구한다. 입양 가족과는 소원해졌지만, 여배우는 자신의 딸이 "집으로 돌아온" 것에 기뻐한다. 수진은 윤복이를 먼저 호텔에 두고, 그 후에는 미용실을 운영하는 여자에게서 같은 동네에 있는 작은 아파트를 임대할 수 있게 된다. 여배우와 그녀의 두 딸은 곧 강수진, 즉 "집안의 문제아"에게 자기 자식이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수진은 자신이 아이를 "납치"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는다.
하지만 모녀의 문제는 계속된다. 윤복이가 "할머니"라고 부르기 시작하는 친절한 미용사 아주머니는 사실 수진의 생모였고, 아무도 모르게 딸의 입양 후 삶을 따라가기 위해 그곳으로 이사했던 것이다. 강수진은 그 여자가 자신의 생모라는 사실에 경악하여, 집에서 자신과 아이를 데리고 나간다. 경찰은 처음에는 아이가 실수로 바다에 빠진 것으로 의심했지만, 나중에 아이가 살아 있다는 증거를 확보한다. 강수진은 여전히 모녀인 척하면서 김윤복과 함께 국외로 도피하기를 희망하지만, 이제 그들은 "납치범"을 추적하는 경찰뿐만 아니라 아동 학대를 신고하지 못하도록 아이를 침묵시키려는 아이의 엄마의 남자친구에게 쫓기게 된다.
윤복이의 엄마는 부유한 여배우의 집에서 딸이 사는 것을 발견하고, 그녀의 남자친구는 아이를 "데려가서" 부유한 가족에게서 몸값을 요구한다. 그는 버려진 보육원에 아이를 가두어둔다. 강수진은 경찰이 도착하기 전에 아이를 구출했고, 그 직후 남자친구는 건물에 불을 질러 자살한다. 강수진과 윤복은 중국으로 데려다 줄 배를 타기 직전에 경찰에게 붙잡힌다.
윤복이의 엄마 신자영은 아동 학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아이의 진술을 바탕으로 유죄 판결을 받는다. 강수진 역시 아이를 납치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지지만, 동정심 많은 법원은 그녀에게 3년의 보호 관찰을 선고했지만 징역형은 면제했고, 윤복이와 더 이상 연락하지 말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윤복이는 겉으로는 행복해 보이는 고아원에 맡겨지지만, 그녀를 돌보는 사람들은 그녀가 우울하다는 것을 알아챈다. 그녀는 강수진의 가족 집으로 도망치는 데 성공하지만, 며칠 후에 다시 돌아와야 한다. 동정심 많은 젊은 부부에게 입양되려는 시도는 실패한다. 윤복이는 고아원 원장에게 자신의 "엄마" 강수진이 결국 데리러 올 것이라는 희망으로 고아원에 머물고 싶다고 말한다. 처음에는 윤복이가 "납치범"과 재회하는 것에 경악했지만, 고아원 원장은 결국 그들 사이의 유대감이 위협이 아닌 사랑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윤복이는 결국 강수진과 함께 살게 되며, 곧 강수진에게 정식으로 입양된다.
2. 2. 한국판
세상 사람들이 손가락질하고 둘 사이를 갈라 놓으려 해도, 꽉 잡은 두 손 놓지 않고 천천히 엄마와 딸이 되어가는 모녀지간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하는 드라마다. 초등학교 임시 교사 강수진은 학생 중 한 명인 김혜나(아역)가 집에서 엄마 신자영과 동거남 이설악에게 학대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경찰에 신고했지만, 경찰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어느 날 밤, 아이가 가족 집 밖 길가에 놓인 검은 비닐 봉투 안에 있는 것을 발견한 교사는 충동적으로 아이를 데려가기로 결심한다. 둘은 즉시 유대감을 형성한다. 아이는 곧 교사를 자신의 엄마로 여기고 스스로 김윤복이라는 새 이름을 짓는다. 강수진은 윤복이와 함께 국외로 도피하기를 희망하지만, 아이에게 여권이 없어 둘은 옴짝달싹 못하는 상황에 처한다.도망자 신세가 되어 갈 곳이 없던 그들은 먼저 노숙자 쉼터를 운영하는 라 여사를 만난다. 라 여사는 위조 여권을 만들 수 있는 뒷세계 사람들과 연줄이 있다. 그러나 경찰이 쉼터를 급습하자, 수진과 윤복은 라 여사와 함께 도망치지만, 라 여사에게 속아 여권을 구하기 위해 건넨 거액의 돈을 잃게 된다. 수진은 윤복이를 생모에게 버려졌던 자신이 자란 보육원으로 데려간다. 그 건물은 이제 버려졌지만, 그곳에는 보육원을 운영했던 클라라 할머니(현재 매우 늙음)가 혼자 살고 있었다. 그들은 클라라 할머니와 며칠간 기억에 남을 만한 시간을 보내지만, 당국이 클라라 할머니를 요양원으로 데려가려고 하자, 그들은 다시 떠나야 했다.
선택지가 줄어들자, 수진은 25년 전에 고아원에서 자신을 입양했던 부유한 여배우의 집으로 혼자 돌아가 돈을 요구한다. 입양 가족과는 소원해졌지만, 여배우는 자신의 딸이 "집으로 돌아온" 것에 기뻐한다. 수진은 윤복이를 먼저 호텔에 두고, 그 후에는 미용실을 운영하는 여자에게서 같은 동네에 있는 작은 아파트를 임대할 수 있게 된다. 여배우와 그녀의 두 딸은 곧 강수진, 즉 "집안의 문제아"에게 자기 자식이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수진은 자신이 아이를 "납치"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는다.
하지만 모녀의 문제는 계속된다. 윤복이가 "할머니"라고 부르기 시작하는 친절한 미용사 아주머니는 사실 수진의 생모였고, 아무도 모르게 딸의 입양 후 삶을 따라가기 위해 그곳으로 이사했던 것이다. 강수진은 그 여자가 자신의 생모라는 사실에 경악하여, 집에서 자신과 아이를 데리고 나간다. 경찰은 처음에는 아이가 실수로 바다에 빠진 것으로 의심했지만, 나중에 아이가 살아 있다는 증거를 확보한다. 강수진은 여전히 모녀인 척하면서 김윤복과 함께 국외로 도피하기를 희망하지만, 이제 그들은 "납치범"을 추적하는 경찰뿐만 아니라 아동 학대를 신고하지 못하도록 아이를 침묵시키려는 아이의 엄마의 남자친구에게 쫓기게 된다.
윤복이의 엄마는 부유한 여배우의 집에서 딸이 사는 것을 발견하고, 그녀의 남자친구는 아이를 "데려가서" 부유한 가족에게서 몸값을 요구한다. 그는 버려진 보육원에 아이를 가두어둔다. 강수진은 경찰이 도착하기 전에 아이를 구출했고, 그 직후 남자친구는 건물에 불을 질러 자살한다. 강수진과 윤복은 중국으로 데려다 줄 배를 타기 직전에 경찰에게 붙잡힌다.
윤복이의 엄마 신자영은 아동 학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아이의 진술을 바탕으로 유죄 판결을 받는다. 강수진 역시 아이를 납치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지지만, 동정심 많은 법원은 그녀에게 3년의 보호 관찰을 선고했지만 징역형은 면제했고, 윤복이와 더 이상 연락하지 말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윤복이는 겉으로는 행복해 보이는 고아원에 맡겨지지만, 그녀를 돌보는 사람들은 그녀가 우울하다는 것을 알아챈다. 그녀는 강수진의 가족 집으로 도망치는 데 성공하지만, 며칠 후에 다시 돌아와야 한다. 동정심 많은 젊은 부부에게 입양되려는 시도는 실패한다. 윤복이는 고아원 원장에게 자신의 "엄마" 강수진이 결국 데리러 올 것이라는 희망으로 고아원에 머물고 싶다고 말한다. 처음에는 윤복이가 "납치범"과 재회하는 것에 경악했지만, 고아원 원장은 결국 그들 사이의 유대감이 위협이 아닌 사랑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윤복이는 결국 강수진과 함께 살게 되며, 곧 강수진에게 정식으로 입양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 이보영한국어 - 강수진 역: 조류학 연구원 출신 임시 교사. 어릴 적 아동 학대를 받은 경험이 있으며, 혜나(윤복)를 만나 헌신적인 모성애를 보여준다.
- 허율한국어 - 김혜나 / 김윤복 역: 학대받는 초등학생. 자신을 구해준 강수진을 만나 새로운 삶을 꿈꾼다.
- 이혜영한국어 - 차영신 역: 유명 배우이자 강수진의 양어머니. 수진, 이진, 현진 세 자매를 입양하여 길렀다. 수진과의 관계는 복잡하지만, 결국 수진을 이해하고 돕는다.
3. 2. 수진의 주변 인물
남기애는 수진의 친어머니 남홍희 역을 맡았다. 남홍희는 과거 여섯 살이었던 수진을 정애원에 버린 상처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극복하고 수진과 화해한다. 이재윤은 새를 좋아하는 의사 정진홍 역을 맡아 수진과 혜나를 돕는다. 김영재는 수진의 대학 선배인 표은철 역을 연기했다.3. 3. 혜나의 주변 인물
고성희가 연기한 신자영은 혜나의 친어머니로, 아이를 키우는 것에 어려움을 느껴 결국 방치하게 된다. 일본판에서는 미치키 히토미(오노 마치코)가 이 역할을 맡았다. 손석구는 자영의 동거남 이설악 역을 맡았으며, 아이를 장난감처럼 가지고 노는 냉혹하고 잔인한 인물이다. 일본판에서는 우라가미 마사토(아야노 고)가 이설악에 해당하는 역할을 연기했다. 조한철은 아들 셋을 키우는 40대 초반의 집요한 형사 이창근 역을 맡아 혜나 사건을 추적한다.3. 4. 영신의 주변 인물
전혜진은 수진의 동생이자 피아니스트 강이진 역을 맡았다. 강이진은 검사의 아내이자 일곱 살 쌍둥이 아이들의 엄마다. 고보결은 수진의 막내 여동생이자 신문 기자인 강현진 역을 맡았다. 강현진은 강이진과 달리 수진을 좋아하고 따른다. 이정열은 영신의 매니저이자 현진의 생부인 재범 역을 맡았다. 이진의 쌍둥이 남매로는 아들 태훈(이주원 분)과 딸 태미(최유리 분)가 있다.3. 5. 그 외 인물
- 하경 : 박경석 역 - 이창근의 파트너이자 후배 형사이다.
- 임지현 : 젊은 남홍희 역
- 송유현 : 송예은 역 - 백섬초등학교 선생님이다.
- 손영순 : 홈리스 할머니 역 - 수진이 혜나를 데리고 떠나는 것을 목격했다.
- 정종열 : 중년경찰 역
- 박성준 : 경찰 역
- 이윤희
- 김상일
- 문기영
- 김량현
- 홍정민 : 어린 강수진 역
- 최은후 : 백섬초등학교 학생 역 - 김혜나와 같은 반
- 노강민 : 백섬초등학교 학생 역 - 김혜나와 같은 반
- 황가인 : 백섬초등학교 학생 역 - 김혜나와 같은 반
- 백승호
- 박종원
- 강충훈
- 옥주리 : 공인중개사 역
- 김원석
- 최교식
- 백승철
- 오정환
- 김동준
- 이승준
- 이주원 : 이진의 쌍둥이 아들
- 최유리 : 태미 역 - 이진의 쌍둥이 딸
- 성현미
- 남상백
- 윤복성 : 경찰서장 역
- 맹봉학
- 김사훈
- 예수정 : 글라라 역 - 강수진이 자란 '정애원'의 원장선생님이다.
- 봉은선 : 젊은 글라라 역
- 정민성 : 고상덕 변호사 역
- 전미도 : 원희 엄마 역 - 혜나 이전에 살해된 원희의 엄마이다.
- 김미희
- 박진영
- 이재수
- 한이진 : 브로커 역 - 여권 위조
- 이성주
- 임현진 : 삼화이발관에 온 삼남매 역
- 배강민 : 삼화이발관에 온 삼남매 역
- 공수민
- 안지현
- 김민호
- 이민성 : 윤복이를 떼어내는 애 역
- 임한빈 : 윤복이를 떼어내는 애 역
- 김태랑
- 신승용
- 윤미하
- 서정준
- 민대식
- 이규복 : 강이진의 남편 역
- 김성훈 : 흥신소장 역 - 대신기획
- 김종호
- 배기범
- 박소정
- 정제우
- 김민경
- 임지영
- 유지수
- 조선기 : 과거 해나 아버지 역
- 전이랑 : 설악의 지인 역
- 이교엽
- 이화영
- 김태율 : 어린 이설악 역
- 김비비
- 홍예지
- 오기환
- 이봉규 : 심심사 주지스님 역
- 강찬양
- 박수연 : 설악 모 역
- 염지혜
- 엄태옥
- 이호균
- 김현수 : 어린 강수진 역 - 고등학생 시절
- 정지훈 : 장우균 역 - 수진과 혜나가 도주 생활을 할 때 만났던 편부가정의 아이다.
- 하민 : 판사 역
- 전박찬 : 검사 역
- 강홍석
- 최서연 : 사회복지사 역
- 유옥주
- 박현정 : 김혜나를 입양하려는 양엄마 역
- 김성연 : 김혜나를 입양하려는 양아빠 역
- 안수빈
- 백송희
- 이경훈
- 전미도 - 이설악의 전 여자친구 라라 역
- 서이숙 - 쉼터 주인 라 마담 역
3. 6. 특별 출연
4. 제작 과정
4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아역 배우 허율이 김혜나 역으로 발탁되었다.[7] 출연진의 첫 대본 리딩은 2017년 11월 1일 상암동에 있는 스튜디오 드래곤 본사에서 4시간 동안 진행되었다.[8][9]
5. 한국 사회의 반영
5. 1. 아동 학대 문제
5. 2. 미혼모 문제
5. 3. 가족 해체와 새로운 가족 형태
6. 평가 및 반응
wikitext
시청률 조사는 닐슨 코리아가 전국적으로 실시했다.[10]
회 | 최초 방송일 | 평균 시청 점유율 | ||
---|---|---|---|---|
닐슨 코리아[11] | TNmS | |||
전국 | 수도 서울 | 전국 | ||
1 | 2018년 1월 24일 | 2.952% | 3.211% | 3.8% |
2 | 2018년 1월 25일 | 3.494% | 3.629% | 4.1% |
3 | 2018년 1월 31일 | 2.542% | 3.0% | |
4 | 2018년 2월 1일 | 3.267% | 3.448% | 3.5% |
5 | 2018년 2월 7일 | 2.451% | 2.800% | 3.2% |
6 | 2018년 2월 8일 | 4.206% | 4.786% | 3.9% |
7 | 2018년 2월 14일 | 2.694% | 2.747% | 3.4% |
8 | 2018년 2월 15일 | 3.010% | ||
9 | 2018년 2월 21일 | 2.668% | 3.056% | 3.1% |
10 | 2018년 2월 22일 | 4.495% | 4.894% | 4.9% |
11 | 2018년 2월 28일 | 3.138% | 3.476% | 4.3% |
12 | 2018년 3월 1일 | 3.927% | 4.391% | 3.9% |
13 | 2018년 3월 7일 | 3.487% | 3.503% | 3.7% |
14 | 2018년 3월 8일 | 4.584% | 4.810% | 4.6% |
15 | 2018년 3월 14일 | 4.100% | 4.332% | 4.5% |
16 | 2018년 3월 15일 | |||
평균 | ||||
colspan="5" style="font-size:85%" | |
상 | 부문 | 수상자 | 결과 | 참고 |
---|---|---|---|---|
제1회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 | 최고 시리즈 | 마더 | [12][13] | |
제54회 백상예술대상 | 드라마 작품상 | [14][15] | ||
연출상 | 김철규 | |||
여자 최우수 연기상 | 이보영 | |||
극본상 | 장서경 | |||
여자 신인 연기상 | 허율 | |||
제13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 | 미니시리즈 부문 작품상 | 마더 | [16] | |
여자 연기자상 | 이보영 | |||
제6회 APAN 스타 어워즈 | 미니시리즈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 [17] | ||
여자 연기상 | 고성희 | |||
제2회 더 서울어워즈 | [18] |
6. 1. 시청률
2 | 2018년 | 2 | 회차 | 방송일 | AGB 시청률[32] | TNmS 시청률[33] | 2 | 제1회 | 1월 24일 | 2.952% | 3.8% | 2 | 제2회 | 1월 25일 | 3.494% | 4.1% | 2 | 제3회 | 1월 31일 | 2.542% | 3.0% | 2 | 제4회 | 2월 1일 | 3.267% | 3.5% | 2 | 제5회 | 2월 7일 | 2.451% | 3.2% | 2 | 제6회 | 2월 8일 | 4.206% | 3.9% | 2 | 제7회 | 2월 14일 | 2.694% | 3.4% | 2 | 제8회 | 2월 15일 | 2.394% | 1.9% | 2 | 제9회 | 2월 21일 | 2.668% | 3.1% | 2 | 제10회 | 2월 22일 | 4.495% | 4.9% | 2 | 제11회 | 2월 28일 | 3.138% | 4.3% | 2 | 제12회 | 3월 1일 | 3.927% | 3.9% | 2 | 제13회 | 3월 7일 | 3.487% | 3.7% | 2 | 제14회 | 3월 8일 | 4.584% | 4.6% | 2 | 제15회 | 3월 14일 | 4.100% | 4.5% | 2 | 제16회 | 3월 15일 | 4.974% | 5.6% | 2 |
---|
{{Television ratings graph
| title = 마더
| refs = 시청률 조사는 닐슨 코리아가 전국적으로 실시했다.[10]
| average = y
| width = 300
| height = 200
| country = South Korea
| -
|0.674
|0.811
|0.547
|0.728
|0.569
|0.909
|0.556
|0.503
|0.553
|1.039
|0.734
|0.994
|0.705
|1.032
|0.874
|1.064
|0.768
}}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회 | 최초 방송일 | 평균 시청 점유율 | ||
---|---|---|---|---|
닐슨 코리아[11] | TNmS | |||
전국 | 수도 서울 | 전국 | ||
1 | 2018년 1월 24일 | 2.952% | 3.211% | 3.8% |
2 | 2018년 1월 25일 | 3.494% | 3.629% | 4.1% |
3 | 2018년 1월 31일 | 2.542% | 2.029% | 3.0% |
4 | 2018년 2월 1일 | 3.267% | 3.448% | 3.5% |
5 | 2018년 2월 7일 | 2.451% | 2.800% | 3.2% |
6 | 2018년 2월 8일 | 4.206% | 4.786% | 3.9% |
7 | 2018년 2월 14일 | 2.694% | 2.747% | 3.4% |
8 | 2018년 2월 15일 | 2.394% | 3.010% | 1.9% |
9 | 2018년 2월 21일 | 2.668% | 3.056% | 3.1% |
10 | 2018년 2월 22일 | 4.495% | 4.894% | 4.9% |
11 | 2018년 2월 28일 | 3.138% | 3.476% | 4.3% |
12 | 2018년 3월 1일 | 3.927% | 4.391% | 3.9% |
13 | 2018년 3월 7일 | 3.487% | 3.503% | 3.7% |
14 | 2018년 3월 8일 | 4.584% | 4.810% | 4.6% |
15 | 2018년 3월 14일 | 4.100% | 4.332% | 4.5% |
16 | 2018년 3월 15일 | 4.974% | 5.205% | 5.6% |
평균 | 3.460% | 3.707% | 3.8% | |
colspan="5" style="font-size:85%" | |
6. 2. 수상 내역
wikitext연도 | 시상식 | 부문 | 시상자(작) | 결과 |
---|---|---|---|---|
2018 | 제54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작품상 | 마더 | |
TV 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 허율 | |||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이보영 | |||
제13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 | 미니시리즈 최우수 작품상 | 마더 | ||
여자연기자상 | 이보영 | |||
제8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 여자 연기상 | 고성희 | ||
제2회 더 서울어워즈 | 드라마부문 여우조연상 |
2018년, ''마더''는 제54회 백상예술대상에서 TV부문 작품상을 수상했고,[14][15] 허율은 TV 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받았다.[14][15] 같은 해, 서울 드라마 어워즈에서 미니시리즈 최우수 작품상과 여자 연기자상을 받았다.[16] 이보영은 여자 연기자 상을 수상했다.[16]
6. 3. 비평
7. OST
드라마 《마더》의 OST는 파트별 싱글 앨범과 전체 사운드트랙 앨범으로 구성된다.[19][20]
발매일 | 앨범명 | 곡명 | 아티스트 | 작사 | 작곡 | 편곡 |
---|---|---|---|---|---|---|
2018년 2월 1일[21] | 마더 OST Part. 1 | 나인 너에게 | 김윤아 | 김호경 | 1601[23] | 1601 |
2018년 2월 8일[24] | 마더 OST Part. 2 | Next To You | 피터한 | 피터한 | 박우상 | 한재완 |
2018년 2월 15일[26] | 마더 OST Part. 3 | 같이 가자 | 하동균 | 박아셀 | 박아셀 | 박아셀 |
2018년 3월 1일[28] | 마더 OST Part. 4 | 여정 | 선우정아 | 선우정아 | 선우정아 | 선우정아 |
2018년 3월 15일[30] | 마더 OST Part. 5 | 어떤 사랑 | 승관 | 하멜리 | 이상훈 | 이상훈 |
각 싱글 앨범에는 해당 곡의 ইন্সট্রুমেন্টাল(Inst.) 버전도 함께 수록되었다.[22][25][27][29][31]
전체 사운드트랙 앨범에는 싱글 앨범에 수록된 곡들과 드라마 전반에 사용된 배경음악(BGM) 43곡이 포함되어 총 48곡이 수록되었다. 전체 앨범의 총 재생 시간은 137분 37초이다.[19][20] 배경음악은 정세린 음악감독을 중심으로 이윤지, 전세진, 이루리, 김바로, 김정완, 김현주, 노유림, 김예솔, 김현도, 구본춘, 주인로 등 다양한 작곡가들이 참여하여 드라마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했다.
8. 촬영지
드라마 "마더"는 다양한 장소에서 촬영되었다. 천수만 철새도래지, 국립산림과학원, 불은초등학교, 카페 비스트로, 삼척항, 일출로, 한남대학교 선교사촌, 롯데 콘서트홀, 무릉계곡, 삼화사, 약천사 등이 주요 촬영지로 활용되었다.
9. 원작과의 비교
참조
[1]
웹사이트
Mother (2018)
https://watch.cjenm.[...]
2022-03-22
[2]
Youtube
Mother 아이가 다쳐도 '무덤덤'한 엄마 고성희, 상황을 알게 된 이보영 180124 EP.1
https://www.youtube.[...]
tvN Drama
2018-01-25
[3]
뉴스
Nippon TV Announces Deal with CJ E&M for Korean format of its Award-winning Japanese Drama Series "Mother"
https://web.archive.[...]
NewBay Media
2017-12-14
[4]
뉴스
Actress Lee Bo-young Will Be Playing Another Strong-willed Mother Role in 2018
https://www.hancinem[...]
TV Report
2017-12-14
[5]
뉴스
차가운 교사로 완벽 몰입한 '마더'이보영, 무표정한 모습 유지
http://www.sisunnews[...]
Kim Jeong-yeon
2017-12-12
[6]
뉴스
New TV series 'Mother' calls attention to motherhood, child abuse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8-01-18
[7]
뉴스
"[단독] 허율, 400대1 뚫고 tvN '마더' 캐스팅…이보영과 투톱"
http://entertain.nav[...]
TV Report
2017-12-14
[8]
뉴스
"'마더' 이보영·이혜영·고성희·이재윤, 감동의 대본리딩 현장"
http://entertain.nav[...]
Sports Chosun
2017-12-14
[9]
Youtube
Mother (메이킹) 대본리딩 만으로도 몰입도 100%! tvN 새 수목드라마 마더 170124 EP.1
https://www.youtube.[...]
tvN Drama
2018-01-01
[10]
웹사이트
Nielsen Korea
https://www.nielsenk[...]
2020-08-26
[11]
웹사이트
Nielsen Korea
http://www.nielsenko[...]
2018-01-24
[12]
웹사이트
TvN's 'Mother' invited to compete in Canneseries TV festival
http://english.yonha[...]
2018-03-14
[13]
웹사이트
Canneseries Unveils Competition Lineup for Inaugural Edition
https://variety.com/[...]
2018-03-13
[14]
웹사이트
"'1987' shines at Baeksang awards : The annual ceremony honors the best works in local film and television"
http://koreajoongang[...]
2018-05-05
[15]
웹사이트
제54회 백상예술대상, TV·영화 각 부문별 수상 후보자 공개
http://news.jtbc.joi[...]
2018-04-06
[16]
웹사이트
Lee Bo-young wins best actress at drama awards
https://www.koreatim[...]
2018-09-04
[17]
웹사이트
이병헌·손예진·아이유 APAN스타어워즈 노미네이트
https://entertain.na[...]
2018-09-27
[18]
웹사이트
"'제2회 더 서울어워즈' 10월27일 개최, 드라마-영화 각 부문별 후보공개"
https://entertain.na[...]
2018-09-28
[19]
웹인용
FLO2마더 정보
https://www.music2fl[...]
2020-12-04
[20]
웹인용
네이버 바이브2마더 OST 정보
https://vibe.naver.c[...]
2020-12-04
[21]
웹인용
FLO2마더 Part. 1 정보
https://www.music2fl[...]
2020-12-04
[22]
웹인용
네이버 바이브2마더 Part. 1 정보
https://vibe.naver.c[...]
2020-12-04
[23]
웹사이트
https://www.music2fl[...]
[24]
웹인용
FLO2마더 Part. 2 정보
https://www.music2fl[...]
2020-12-04
[25]
웹인용
네이버 바이브2마더 Part. 2 정보
https://vibe.naver.c[...]
2020-12-04
[26]
웹인용
FLO2마더 Part. 3 정보
https://www.music2fl[...]
2020-12-04
[27]
웹인용
네이버 바이브2마더 Part. 3 정보
https://vibe.naver.c[...]
2020-12-04
[28]
웹인용
FLO2마더 Part. 4 정보
https://www.music2fl[...]
2020-12-04
[29]
웹인용
네이버 바이브2마더 Part. 4 정보
https://vibe.naver.c[...]
2020-12-04
[30]
웹인용
FLO2마더 Part. 5 정보
https://www.music2fl[...]
2020-12-04
[31]
웹인용
네이버 바이브2마더 Part. 5 정보
https://vibe.naver.c[...]
2020-12-04
[32]
웹사이트
http://www.nielsenko[...]
[33]
웹사이트
http://www.tnms.tv/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