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라마는 일반적으로 희극과 비극의 연극 장르 외에 극의 한 종류를 의미하며,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된다. 서양 연극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시대를 거치며 발전해왔고, 동양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등 각 지역의 고유한 연극 전통과 함께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해왔다. 한국 드라마는 전통 연희와 서구 연극의 영향을 받아 신파극, 라디오 드라마 시대를 거쳐 텔레비전 드라마로 발전했으며, 한류 열풍을 통해 세계적으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드라마는 사회 비판, 문화적 다양성, 정체성 형성 등 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마 -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과장된 감정, 극적인 줄거리, 선악이 분명한 인물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마 장르로, 18세기 프랑스에서 음악 반주가 있는 연극으로 시작되어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세기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확장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음악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
  • 드라마 - 희비극
    희비극은 비극과 희극의 요소를 결합한 연극 장르로,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하여 르네상스 시대에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매체에서 사회 비판이나 인간 심리 탐구 등의 주제를 다루는 데 활용된다.
  • 문학에 관한 - 단편 소설
    단편 소설은 완결성을 지닌 짧은 산문 문학 양식으로, 소설처럼 서사 요소를 갖추고 있으나, 소설보다 짧고 한 번에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19세기 매체 발달과 함께 발전했으며, 다양한 작가들의 실험으로 발전하여 현대에는 여러 매체로 각색되기도 한다.
  • 문학에 관한 - 소설
    소설은 작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지만 당대 사회상을 반영하고 비판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유럽에서는 17세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기점으로 근대 소설이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드라마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장르공연
문학
분류문학의 한 종류
로마자 표기drama
특징공연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 작품 형식
형태희곡 또는 각본
특징
공연 요소대사
행동
무대 장치
음악
조명
표현 방식연극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라디오 드라마
역사적 발전
기원고대 그리스의 종교 의식
발전 과정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시작
중세 시대 종교극으로 발전
르네상스 시대 세속극으로 발전
19세기 근대극으로 발전
20세기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
대표적인 하위 장르
장르희극
비극
희비극
멜로드라마
풍자극
역사극
가정극
실험극
문학적 요소
구성 요소줄거리
인물
갈등
주제
배경
작법극작술
추가 정보
관련 분야연극학
영화학
텔레비전학
문학비평
영향다른 예술 장르에 영향
사회 문화적 영향력 행사
관련 문서
참고드라마 (영화 및 텔레비전)
희곡

무대

2. 드라마의 정의 및 특징

드라마는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인간의 삶과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는 서사 양식이다. 서양의 고전적인 연극 장르로는 희극비극이 있는데, 희극은 서민이, 비극은 왕족이나 역사적 인물이 활약하는 것으로 여겨졌다.[76][77] 연극학에서 드라마는 희극과 비극에 속하지 않는 극의 장르를 가리킨다.[79]

영화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IMDb)에서는 각 작품의 장르를 기재하는데, 영화는 22종류,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26종류의 장르가 있으며, 그중 하나가 'Drama(드라마)'이다.[80] 일본어 데이터베이스인 allcinema의 경우에도 35종류의 장르 중 하나가 '드라마'이다.[81]

텔레비전 장르에서는 텔레비전용으로 실사 제작된 텔레비전 드라마를 드라마라고 부른다. 드라마로 분류되는 영화가 텔레비전에서 방영될 때는 '영화'로, 애니메이션 드라마는 '애니메이션'으로 분류된다. 한편, 창의적 드라마는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 환경에서 사용되는 극적인 활동과 게임을 포함한다. 미국의 위니프레드 워드는 드라마의 학문적 활용을 확립하여 교육에서 창의적 드라마의 창시자로 여겨진다.[57]

2. 1. 드라마의 구성 요소

'잘 만들어진 희곡'은 사건을 재래의 기교로 얽어 짜면서 관객을 조바심나게 하고 클라이맥스(climax)로 감동과 흡사한 것을 주며, 행복하고 아름답게 끝맺는 것이지만, 그것은 통속극이지 드라마는 아니다. 드라마는 그 자체가 모순을 내포한 요소를 갖고 있는 생활 속에 어떤 자가 외부로부터 날아 들어와서 그 인간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간에 던진 파문이 인간 상호간의 긴장을 유발하고 그 긴장의 누적과 계속이 극한 지점까지 도달하여, 소위 발견과 급전(急轉)을 도출하고 그리고 최종 지점까지 몰아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을 드라마틱하다고 한다. 그리고 그와 같은 인간이 어떤 역사의 중하(重荷)에 대항하고 있는가가 작가의 예리한 눈을 통하여 선명하게 묘사되었을 때 그것이 드라마가 되는 것이다.[83]

예를 들어 고리키의 밤주막이란 희곡은 물 괸 웅덩이 속과 같이 서로 갈등관계에 있으면서 탈출하고자 하지만, 그 탈출이 거의 불가능한 지하생활자 속으로 루카란 망나니 순례자가 등장하는 데서 전개된다. 거기서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진실이라고만 믿고 더욱이 그것이 어떻게도 되지 않는다고 체념하고 있는 사람들(예를 들면 모자상 보브노프) 속으로, 루카는 거짓이면서도 진실인 듯이 가장된 행동을 한다. 루카가 없다 해도 이 한푼도 없는 인간들을 착취하는 주막주인과의 대립을 중심으로 이 지하생활자 속에서 어떤 사건은 일어날 것이다. 밤주막의 클라이맥스로 여겨지는 3막 종막(終幕) 부분에서 도둑인 와시카 페펠이 주막주인 코스트윌레프를 타살한 뒤, 정부였던 와시리사로부터 고발되고 그것이 연인 나타샤로부터는 두 사람이 공모했다고 오해받게 되는 유명한 종막은, 말하자면 이 희곡의 라이트 모티브의 정점이긴 하지만 위장된 클라이맥스이다. 만일 그것이 루카의 영향이라고 한다면, 2막(二幕)에서 페펠이 주막주인을 교살(絞殺)했을지도 모르는 위기가 루카의 기지(機智)에 의하여 일시 연기되었을 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83]

이 희곡에서의 루카의 진정한 영향은 그가 모습을 감추고 나서부터 남아 있는 사람들 가운데 하나하나 인간의 확인이라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사친이 루카에 대한 다른 여러 인물의 표면적인 비평을 부정한 후 일면 루카를 긍정하면서 다시 그 거짓을 폭로하여 부정하고, 그 위에서 루카의 인간을 존중한다는 휴머니즘을 상기함으로써 스스로의 속에서 잠자고 있던 인간의 확인에 도달한다. 이 과정에서 한 사람은 루카가 준 신기루가 사라지는 데서부터의 스스로의 확인이, 자기를 부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데까지 몰아넣는다(배우). 또 한 사람은 자신 속에서 전설로 되어 있는 영광을 자신의 손으로 파괴함으로써 인간을 확인한다(남작). 또는 일한다는 것을 전근대적 경영주에게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한 사람은 오직 하나 평생동안 가장 소중히 여기고 있던 도구까지 잃어버리고 마는 데서 절망의 밑바닥에 있는 자신을 느끼고 어디에도 인간은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자물쇠 장사). 또 계율을 깨뜨린 이교도(달단인)도 있다. 이리하여 연쇄반응적으로 일어난 인간의 확인이 이 드라마의 발견이자 급전이며 동시에 희곡의 주제로서 도출된다.[83]

2. 2. 드라마틱한 전개

'잘 만들어진 희곡'은 사건을 관객이 조바심을 느끼도록 얽어 짜서 클라이맥스(climax)에서 감동을 주고 행복하게 끝맺지만, 이는 통속극이지 드라마는 아니다. 드라마틱하다는 것은, 모순을 내포한 생활 속에 외부 요소가 들어와 파문을 일으키고, 인간 상호 간의 긴장을 유발하며, 이 긴장이 극한까지 도달하여 발견과 급전(急轉)을 도출하고 최종 지점까지 몰아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이 역사의 무게에 어떻게 대항하는지가 작가의 예리한 시선으로 묘사될 때 드라마가 된다.[83]

예를 들어 고리키의 희곡 《밤주막》은 물 괸 웅덩이처럼 탈출이 어려운 지하생활자들 속에 루카라는 순례자가 등장하면서 전개된다. 루카는 거짓이면서도 진실인 듯 가장된 행동을 하는데, 루카가 없어도 주막주인과의 대립을 중심으로 사건은 일어났을 것이다. 3막 종막에서 도둑인 와시카 페펠이 주막주인을 타살하고 오해받는 장면은 위장된 클라이맥스이다. 루카의 영향이라면, 2막에서 페펠이 주막주인을 교살했을지도 모르는 위기를 루카의 기지로 일시 연기한 것뿐이다.[83]

이 희곡에서 루카의 진정한 영향은 그가 사라진 후, 남은 인물들이 인간을 확인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사친은 루카에 대한 비평을 부정하고 루카를 긍정하면서도 그의 거짓을 폭로하여 부정한다. 그리고 루카의 휴머니즘을 상기시켜 잠자고 있던 인간의 확인에 도달한다. 이 과정에서 어떤 이는 신기루가 사라지면서 자기를 부정하고(배우), 어떤 이는 영광을 파괴함으로써 인간을 확인한다(남작). 또 어떤 이는 도구를 잃고 절망 속에서 인간을 생각하게 되고(자물쇠 장사), 계율을 깨뜨린 이교도(달단인)도 있다. 이렇게 연쇄반응적으로 일어난 인간의 확인이 이 드라마의 발견이자 급전이며 주제이다.[83]

3. 드라마의 역사

고대 그리스에서 연극 문화비극, 희극, 사티로스극의 세 가지 장르를 만들어냈다. 기원전 5세기 디오니소스를 기리는 축제에서 경연이 제도화되었고,[11] 테스피스는 배우("hypokrites")가 등장하여 그리스 합창단과 상호 작용하는 연극을 만들었다.[12] 아이슈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아리스토파네스, 메난드로스 등의 작품이 일부 남아있다.[13]

고대 로마에서는 기원전 270년에서 240년 사이에 그리스 극을 접하게 되었다.[18] 기원전 240년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비극희극을 썼고,[22] 플라우투스와 테렌티우스는 팔리아타 파불라라는 그리스 소재 희극을 썼다.[24]

중세에는 종교극과 도덕극이 주를 이루었다. 종교극은 중세 초기부터 교회에서 성서 사건을 극화한 것이고,[29] 도덕극은 1400년경부터 등장하여 윤리적 이상을 다루었다.[34] 흐로스비타는 여성 극작가로서 종교적 주제의 희곡을 썼다.[31]

르네상스 시대 엘리자베스 시대에는 셰익스피어, 크리스토퍼 말로 등이 5음보격 암시체 희곡을 썼고, 영국 왕정복고 시대에는 존 드라이든, 윌리엄 위처리, 윌리엄 콩그리브 등이 희복기 코미디를 썼다.

근현대에는 헨리크 입센, 베르톨트 브레히트 등에 의해 모더니즘, 사실주의 연극, 실험극 등 다양한 형태의 드라마가 등장하였다.

서양 오페라는 르네상스 시대에 고대 그리스 극을 부활시키려는 시도에서 등장했다.[46] 리하르트 바그너는 음악과 연극의 균형을 강조한 "음악극" 형식을 제시했다. 판토마임은 뮤지컬 무대 공연으로, 동화 등을 바탕으로 한다.[48][49] 광대는 몸짓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며,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했다.[53] 발레는 극적인 춤으로, 백조의 호수 등이 있다.

인도 극의 초기 형태는 산스크리트 극이었다.[58] 10세기와 11세기 이슬람 정복으로 억압되었으나,[60] 이후 마을 극장이 장려되었다.[61] 박티 운동의 영향으로 안키아 나트 등이 발전했다.[63]

중국 극장은 중국 오페라라고 불리며, 베이징 오페라, 쿤커, 잡극(zaju)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能(Noh)극이 14세기와 15세기에 발전했으며,[75] 狂言(Kyōgen)은 희극적 대응물이고, 歌舞伎(Kabuki)는 무용을 포함한다. 현대에는 新劇(shingeki)宝塚歌劇団(Takarazuka Revue)이 있다.

3. 1. 서양 드라마의 역사

서양 드라마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되었으며, 이후 고대 로마 시대를 거쳐 발전했다. 중세 시대에는 종교극과 도덕극이 주를 이루었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엘리자베스 시대와 영국 왕정복고 시대에 다양한 드라마가 발전하였다. 근현대에 들어서는 헨리크 입센, 베르톨트 브레히트 등에 의해 사실주의 연극, 실험극 등 다양한 형태의 드라마가 등장하였다.

3. 1. 1. 고대 그리스 드라마

서양 희곡은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다.[10] 고대 그리스 연극 문화폴리스인 고대 아테네에서 비극, 희극, 그리고 사티로스극의 세 가지 장르를 만들어냈다. 그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5세기에는 신 디오니소스를 기리는 축제의 일환으로 열리는 경연에서 제도화되었다.[11] 역사가들은 많은 고대 그리스 극작가들의 이름을 알고 있으며, 특히 배우("hypokrites")를 창안하여 자신의 목소리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을 연기하고(자신의 목소리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비극적이지 않은 시(디튀람보스, 서정시, 서사시) 공연의 일부였던 그리스 합창단과 지휘자("코리페이오스")와 상호 작용하는 등장인물을 묘사한 테스피스를 꼽는다.[12]

1세기 BC ~ 1세기 AD, 프린스턴 대학교 미술관 소장 ''새 희극 배우 가면을 쓴 앉아있는 극작가( 메난드로스) 석상''


그러나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다섯 명의 극작가 작품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비극 작가 아이슈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와 희극 작가 아리스토파네스, 그리고 4세기 후반의 메난드로스의 완전한 텍스트가 소수 남아있다.[13] 아이슈퀼로스의 역사극 ''페르시아인들''은 가장 오래된 희곡이지만, 기원전 472년 도시 디오니시아 경연에서 1등을 차지했을 때 그는 이미 25년 이상 희곡을 쓰고 있었다.[14] 비극 경연("아공")은 기원전 534년에 시작되었을 수도 있다. 공식 기록("didaskaliai")은 사티로스극이 도입된 기원전 501년부터 시작된다.[15] 비극 작가들은 보통 세 편의 비극과 한 편의 사티로스극으로 구성된 4편의 희곡으로 이루어진 테트롤로기를 발표해야 했다(개별 작품이 반드시 이야기나 주제로 연결될 필요는 없었다). 단, 에우리피데스의 ''알케스티스''(기원전 438년)와 같은 예외도 있었다. 희극은 기원전 487년에서 486년 사이에 경연에서 상을 받으면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도시 디오니시아에서는 다섯 명의 희극 작가가 경쟁했지만(펠로폰네소스 전쟁 동안에는 세 명으로 줄었을 수도 있다), 각각 한 편의 희극을 제공했다.[16] 고대 그리스 희극은 전통적으로 "고대 희극"(기원전 5세기), "중간 희극"(기원전 4세기), "새 희극"(기원전 4세기 후반 ~ 2세기)으로 나뉜다.[17]

3. 1. 2. 고대 로마 드라마

1세기 기원후 로마 비극 배우의 상아 조각상


기원전 270년에서 240년 사이, 로마 공화정이 여러 그리스 영토로 확장되면서 로마는 그리스 극을 접하게 되었다.[18] 그리스 극은 로마 시대 내내 공연되었지만, 기원전 240년은 로마 극의 정기적인 시작을 알리는 해이다.[20]

로마 문학에서 최초로 중요한 작품은 기원전 240년부터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가 쓴 비극희극이었다.[22] 5년 후, 그나이우스 나이비우스도 극작을 시작했다.[22] 두 작가 모두 비극과 희극 장르에서 작품을 썼지만, 안드로니쿠스는 비극으로, 나이비우스는 희극으로 더 인정받았다. 그들의 후계자들은 한쪽에 전문적으로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이후 각 유형의 극의 발전 분리를 초래했다.[22]

기원전 2세기 초, 로마에서는 극이 확고히 자리 잡았고 작가들의 길드(''collegium poetarum'')가 결성되었다.[23] 현존하는 로마 희극은 모두 ''팔리아타 파불라''(그리스 소재를 바탕으로 한 희극)이며, 티투스 마키우스 플라우투스와 푸블리우스 테렌티우스 아페르 두 극작가의 작품이다.[24] 이들은 그리스 원작을 재구성하면서 극을 에피소드로 나누는 합창의 역할을 없애고, 대화에 음악 반주를 도입했다(플라우투스의 희극에서는 대화의 3분의 1, 테렌티우스의 희극에서는 3분의 2).[25] 모든 장면은 거리의 외부 장소에서 설정되며, 그 복잡성은 종종 엿듣기에서 비롯된다.[25]

플라우투스는 기원전 205년에서 184년 사이에 작품을 썼으며 그의 희극 20편이 남아 있다. 그는 익살극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대화의 재치와 다양한 운율의 사용으로 칭찬받았다.[26] 테렌티우스는 기원전 166년에서 160년 사이에 6편의 희극을 썼으며, 모두 남아 있다. 그는 종종 여러 그리스 원작을 결합한 플롯의 복잡성 때문에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그의 이중 플롯은 대조적인 인간 행동을 정교하게 보여줄 수 있게 했다.[26] 초기 로마 비극은 남아 있지 않지만 당시에는 높이 평가받았다. 역사가들은 퀸투스 엔니우스, 마르쿠스 파쿠비우스, 루키우스 악키우스를 초기 비극 작가 3명으로 꼽는다.[25]

제국 시대에는 비극 작가 두 명의 작품이 남아 있는데, 한 명은 알려지지 않은 작가이고 다른 한 명은 스토아 철학자 세네카이다.[27] 세네카의 비극 9편이 남아 있으며, 모두 ''크레피다타 파불라''(그리스 원작을 각색한 비극)이다. 예를 들어 그의 ''파이드라''는 에우리피데스의 ''히폴리투스''를 바탕으로 했다.[28] 역사가들은 ''프래텍스타 파불라''(로마 소재를 바탕으로 한 비극)의 유일한 현존하는 예인 ''옥타비아''를 누가 썼는지 알지 못하지만, 과거에는 비극 속 등장인물로 등장한다는 이유로 세네카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졌다.[27]

3. 1. 3. 중세 드라마

15세기 토착어로 쓰인 도덕극 ''The Castle of Perseverance''(마크로 사본에서 발견됨)의 무대 그림


중세 초기부터 교회에서는 성서의 사건을 극화한 연극인 종교극을 상연하여 연례 행사를 더욱 활기 있게 만들었다.[29] 가장 초기의 예로는 부활절 트로프 ''누구를 찾느냐?(Quem-Quaeritis)'' 가 있다.[30] 두 그룹이 라틴어로 주고받듯이 노래를 불렀지만, 등장인물을 분장하여 연기하는 것은 없었다. 11세기까지 유럽 전역으로 퍼져 러시아, 스칸디나비아, 이탈리아에 이르렀지만, 이슬람 시대 스페인은 제외되었다.

10세기에는 흐로스비타가 테렌티우스의 희극을 본떠 라틴어로 6편의 희곡을 썼지만, 종교적인 주제를 다루었다.[31] 그녀의 희곡은 여성 극작가가 쓴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작품이자 후기 고전 시대의 서구 극의 첫 번째 식별 가능한 작품이다.[31] 나중에 힐데가르트 폰 빙엔음악극 ''Ordo Virtutum''을 썼다.[31]

초기의 유명한 세속적 연극 중 하나는 13세기에 아담 드 라 알이 프랑스어로 쓴 궁정 목가극 ''로빈과 마리옹''이다.[32] 영어로 알려진 가장 초기의 작품 중 하나인 ''The Interlude of the Student and the Girl''는 ''The Boy and the Blind Man''과 같은 동시대 프랑스 익살극과 어조와 형식이 가장 유사하다.[33]

후기 중세에는 프랑스독일에서 많은 연극이 남아 있으며, 거의 모든 유럽 국가에서 어떤 종류의 종교극이 공연되었다. 이러한 연극들 중 많은 수가 희극, 악마, 악당, 광대를 포함하고 있었다.[34] 영국에서는 직업 조합이 토착어로 된 "신비극"을 공연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많은 단막극 또는 "페이지언트"로 구성된 긴 연극 시리즈였으며, 그중 네 가지가 현존한다. 요크(48편), 체스터(24편), 웨이크필드(32편) 그리고 소위 "N-타운"(42편)이다. 웨이크필드 연극 시리즈 중 ''The Second Shepherds' Play''는 도둑맞은 양을 주인공인 막이 자신의 새로 태어난 아이로 속여 보려는 익살스러운 이야기이며, 그가 양을 훔친 목자들이 예수의 탄생에 소환되면서 끝난다.[35]

(현대 용어로) 도덕극은 1400년경에 독립적인 극 형태로 등장하여 영국의 초기 엘리자베스 시대에 번성했다. 등장인물은 종종 서로 다른 윤리적 이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에브리맨''에는 선행, 지식, 힘과 같은 인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관객에게 선과 악 사이의 갈등을 강화한다. ''The Castle of Perseverance'' (1400–1425)는 전형적인 인물의 탄생부터 죽음까지의 과정을 묘사한다. 후기 "혼합 도덕극"이자 영국 복수극의 초기 예 중 하나인 ''Horestes''는 중세 풍유적 전통의 악당과 오레스테스의 고전적인 이야기를 결합하여 희극적인 슬랩스틱 장면과 심각하고 비극적인 장면을 번갈아 보여준다.[36] 이 시대에 중요한 것은 크리스마스 시즌에 공연된 맘머스극의 민속극이었다. 궁정 가면극은 특히 헨리 8세 통치 기간 동안 인기가 많았다.[37]

3. 1. 4. 엘리자베스 시대와 제이콥 시대 드라마

16세기와 17세기 영국에서는 극적인 발전이 있었다. 이 시대의 많은 희곡들은 특히 5음보격 암시체로 쓰여졌다. 셰익스피어 외에도 크리스토퍼 말로, 토마스 미들턴, 벤 존슨과 같은 작가들이 이 시대의 저명한 극작가였다.[1] 중세 시대와 마찬가지로 역사극은 과거 왕들의 삶을 기념하며 튜더 왕조의 이미지를 고양시켰다.[1] 이 시대의 작가들은 줄거리의 일부를 그리스 신화로마 신화, 또는 플라우투스와 테렌티우스와 같은 저명한 로마 극작가들의 희곡에서 따왔다.[1]

3. 1. 5. 영국 왕정복고 시대 드라마

희복기 코미디는 1660년부터 1710년까지 영국 희복기 동안 영국에서 쓰이고 공연된 영국의 코미디를 말한다. 풍속 코미디는 희복기 코미디의 동의어로 사용된다.[38] 공공 극장이 금지된 후, 청교도 정권 하에서, 1660년 찰스 2세의 복위와 함께 극장이 재개장하면서 영국 연극의 르네상스가 시작되었다.[39]

존 밴브러의 ''더 릴랩스(The Relapse)''(1696)에서 사치스럽고 허영심 많은 포핑턴 경 역을 맡은 콜리 시버(Colley Cibber)


희복기 코미디는 성적인 노골성, 세련되고 세계적인 기지, 최신 시사적인 글쓰기, 그리고 혼잡하고 활기찬 줄거리로 유명하다. 희극 작가들은 당대 프랑스와 스페인 무대, 영국 제이콥과 캐롤라인 시대의 연극, 그리고 심지어 그리스와 로마 고전 코미디에서 자유롭게 표절하여 모험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줄거리를 결합했다. 단일 작품 내의 어조 차이는 비난받기보다는 오히려 호평을 받았는데, 관객들은 작품 내부뿐 아니라 작품 사이에서도 "다양성"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희복기 코미디는 두 번 정점을 찍었다. 이 장르는 1670년대 중반 귀족 코미디의 화려함과 함께 놀라운 성숙기에 이르렀다. 1680년대 최초의 여성 전문 극작가인 애프라 벤(Aphra Behn)의 업적은 중요한 예외이지만, 이 짧은 황금기 이후 20년 동안은 침체기를 겪었다. 1690년대 중반, 더 넓은 관객을 대상으로 하는 짧은 두 번째 희복기 코미디 르네상스가 일어났다. 황금기였던 1670년대와 1690년대의 코미디는 서로 상당히 다르다.

존 드라이든(John Dryden), 윌리엄 위처리(William Wycherley), 조지 에서리지(George Etherege)의 감상적이지 않거나 "하드"한 코미디는 궁정 분위기를 반영했고, 끊임없는 성적 음모와 정복이라는 귀족적인 마초적 삶의 방식을 솔직하게 묘사했다. 실제 희복기의 방탕아, 신하, 시인이었던 로체스터 백작 존 윌못(John Wilmot, 2nd Earl of Rochester)은 에서리지의 ''더 맨 오브 모드(The Man of Mode)''(1676)에서 폭력적이고, 재치 있고, 지적이며, 성적으로 매력적인 귀족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후대의 매력적인 희복기 방탕아(실제로 희복기 코미디에서 매우 흔한 인물은 아니었다)에 대한 개념의 원형이 되었다. 당시와 현재 희복기 코미디에 대한 음란물 혐의를 뒷받침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 단일 작품은 아마도 위처리의 걸작 ''더 컨트리 와이프(The Country Wife)''(1675)일 것이다. 이 작품의 제목에는 음탕한 말장난이 포함되어 있으며, 악명 높은 "도자기 장면"은 지속적인 이중적 의미의 연속이다.[40]

1690년대 희복기 코미디의 두 번째 물결 동안, 윌리엄 콩그리브(William Congreve)와 존 밴브러(John Vanbrugh)의 "소프트"한 코미디는 중산층 요소가 강한 더 다양한 사회적 계층의 관객뿐만 아니라 여성 관객에게도 어필하고자 했다. 코미디의 초점은 나이 많은 세대를 능가하는 젊은 연인들에서 부부 관계의 변화로 이동했다. 콩그리브의 ''러브 포 러브(Love for Love)''(1695)와 ''더 웨이 오브 더 월드(The Way of the World)''(1700)에서 서로에 대한 매력을 시험하는 커플의 주고받는 장면들은 후자의 유명한 "단서 조항" 장면과 같이 결혼 전날의 재치 있는 결혼 전 계약 논쟁으로 변형되었다. 밴브러의 ''더 프로보크드 와이프(The Provoked Wife)''(1697)은 가벼운 터치와 더 인간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등장인물을 가지고 있는 반면, ''더 릴랩스(The Relapse)''(1696)는 그 즉흥적인 재치와 어두운 면을 가진 사치스럽고 허영심 많은 부조리한 바보인 포핑턴 경의 캐릭터 묘사로 찬사를 받았다.[41]

17세기 말이 되자, 공공 여론이 극작가들보다 더 빠르게 품위와 진지함으로 돌아서면서 수정된 형태의 희복기 코미디에 대한 관용도 사라지고 있었다.[42] 1700년 5년 만에 나온 콩그리브의 첫 코미디 ''더 웨이 오브 더 월드''의 만장일치의 초연에서 관객들은 그 미묘하고 거의 우울한 작품에 대해 적당한 열정만을 보였다. 성과 재치의 코미디는 감상적 코미디와 모범적인 도덕성의 드라마로 대체되려 하고 있었다.

3. 1. 6. 근현대 드라마

19세기 노르웨이 극작가 헨리크 입센과 20세기 독일 연극 연출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혁신적인 공헌은 현대 극을 지배하며, 많은 현대 최고 극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43] 두 극작가의 작품은 모더니즘과 사실주의 연극이며, 형식적인 실험극, 메타 연극, 사회 비판을 통합하고 있다.[44] 입센의 작품은 자유주의적 비극의 정점으로, 브레히트의 작품은 역사화된 희극과 관련되어 있다.[45]

현대 시대의 다른 중요한 극작가로는 앙토냉 아르토,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 안톤 체호프, 프랑크 베데킨트, 모리스 마테를링크,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유진 오닐, 루이지 피란델로, 조지 버나드 쇼, 에른스트 톨러,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아서 밀러, 테네시 윌리엄스, 장 주네, 외젠 이오네스코, 사무엘 베케트, 해롤드 핀터, 프리드리히 뒤렌마트, 다리오 포, 하이너 뮐러, 캐릴 처칠 등이 있다.

3. 1. 7. 오페라, 판토마임, 마임, 발레

서양 오페라는 르네상스 시대에 고대 그리스 극의 대화, 무용, 노래가 결합된 형태를 부활시키려는 시도에서 등장한 극적인 예술 형식이다.[46] 서양 고전 음악과 밀접하게 연관된 오페라는 지난 4세기 동안 엄청난 변화를 겪었으며 오늘날까지 중요한 연극 형식이다. 19세기 독일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는 오페라에서 음악과 연극의 균형을 강조하며 "음악극"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제시했다.

판토마임(비공식적으로 "판토")[47]은 가족 오락을 위해 고안된 뮤지컬 무대 공연의 일종이다. 영국에서 발전되었으며, 크리스마스와 신년 시즌에 주로 공연된다. 현대 판토마임은 노래, 익살, 슬랩스틱 코미디, 춤, 성별을 넘나드는 배우, 시사 유머를 포함하며, 동화, 우화, 민속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48][49] 관객 참여를 유도하는 형태의 연극이며, 아마추어 연극에서는 지역 유명인사가 무대에 오르기도 한다.[50] 가면극과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정형 캐릭터를 사용하며, 선과 악의 대립을 통해 교훈을 전달한다.

광대는 말 대신 몸짓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연극적 수단이다. 고대 그리스에서 가면을 쓴 무용수 '판토미무스'(Pantomimus)가 공연했으며,[53] 중세 유럽에서는 맘머스극과 무언극으로 발전했다. 19세기 초 파리에서 장-가스파르 드뷔로(Jean-Gaspard Deburau)는 백분장을 한 조용한 인물 등 현대 광대극의 특징을 확립했다.[54] 자크 코포(Jacques Copeau)는 코메디아 델라르테와 일본 노극의 영향을 받아 가면을 사용했고, 그의 제자 에티엔느 드크뢰(Étienne Decroux)는 신체 광대극을 발전시켰다. 자크 르코크(Jacques Lecoq)는 광대극과 신체 연극 훈련 방법에 기여했다.[55]

일부 발레는 "움직임 자체의 선과 패턴"을 강조하지만, 극적인 춤은 "감정, 인물, 그리고 이야기의 행동을 표현하거나 모방"한다.[6] 이러한 발레는 인물이 있고 "이야기를 들려주는"[56] 연극 작품이다. 발레의 춤 동작은 일상적인 신체 표현과 관련되어 행동과 감정을 전달하고, 마임도 사용된다.[56] 예를 들어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의 『백조의 호수』,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로미오와 줄리엣』,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페트루슈카』 등이 있다.

3. 2. 동양 드라마의 역사

콜람(Kollam)시, 인도(India)에서 칼리다사 칼라켄드람(Kalidasa Kalakendram)이 연출한 희곡 ''맥베스''의 한 장면


인도 극의 가장 초기 형태는 산스크리트 극이었다.[58] 기원후 1세기부터 10세기까지는 인도 역사에서 비교적 평화로운 시기였으며, 수백 편의 희곡이 쓰였다.[59] 10세기와 11세기부터 시작된 인도 아대륙의 이슬람 정복으로 인해 극장은 억압되거나 완전히 금지되었다.[60] 이후, 토착 가치관과 사상을 재확립하려는 시도로 아대륙 전역에서 마을 극장이 장려되었고,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다양한 지역 언어로 발전했다.[61] 박티 운동은 여러 지역의 공연에 영향을 미쳤다. 아삼에서는 브라자발리 방언이라는 인공적으로 혼합된 문학 언어로 바이슈나바 극이 등장했는데, 이는 에카사라나 다르마와 관련이 있다.[62] 샹카르데브의 작품에서 안키아 나트라는 독특한 1막극 형태가 발전했으며,[63] 특정한 형태는 바오나라고 불린다.[64] 현대 인도 극장은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영국 제국의 식민 통치 시대 동안 발전했다.[65]

산스크리트 희곡 조각들은 기원후 1세기경의 것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6] 고대 ''베다''에는 대화 형식으로 구성된 소수의 베다가 있긴 하지만, 베다 시대의례는 연극으로 발전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67] 파타냐리의 ''마하바샤''에는 산스크리트 연극의 씨앗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68]

산스크리트 연극에 대한 주요 증거는 ''연극에 관한 논고''(''Nātyaśāstra'')로, 저술 연대는 불확실하며(기원전 200년에서 기원후 200년까지 추정됨) 저자는 바라타 무니로 여겨진다. 이 ''논고''는 고대 세계에서 가장 완전한 연극론 저술이다. 연기, , 음악, 극적 구성, 건축, 의상, 분장, 소품, 극단의 조직, 관객, 경쟁을 다루고 있으며, 연극의 기원에 대한 신화적 설명을 제공한다.[68]

산스크리트 연극은 산스크리트 문학의 최고 성취로 여겨진다.[69] 영웅, 여주인공, 광대와 같은 정형 인물을 활용했고, 배우들은 특정 유형을 전문으로 했을 수 있다. 왕들뿐만 아니라 마을 집회에서도 후원을 받았다. 유명한 초기 극작가로는 바사, ''용기로 얻은 우르바시'', ''말라비카와 아그니미트라'', ''샤쿤탈라의 인식''으로 유명한 칼리다사, ''작은 진흙 수레''로 유명한 수드라카, 아스바고사, 단딘, ''나가난다'', ''라트나발리'', ''프리야다르시카''로 유명한 하르샤 왕이 있다. ''샤쿤탈라''(영어 번역)는 괴테의 ''파우스트''(1808–1832)에 영향을 주었다.[69]

인도 동부 지역에서는 배우와 스태프 전원이 이동하며 임시 무대와 장비를 사용하여 여러 장소에서 공연하는 독특한 형태의 극장이 발전했다. 야트라(벵골어로 "여행"을 의미)는 차이타냐 마하프라부의 바이슈나바 운동이 벵골에서 시작된 전통이다.[70] 아삼에서는 슈리만타 상카르데브가 개척한 바이슈나바 연극이 안키아 나트와 바오나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것들과 서구의 영향은 브라묘만으로 알려진 현대 이동극장의 발전에 영감을 주었다.[71] 현대 브라묘만은 힌두 신화부터 서구 고전과 할리우드 영화의 각색까지 다양한 작품을 무대에 올린다.[72] 아삼 이동극장은 1억 루피 규모의 산업으로 추산된다.[73]

라빈드라나트 타고르는 민족주의, 정체성, 영성 및 물질적 탐욕을 탐구하고 질문하는 것으로 유명한 혁신적인 현대 극작가였다.[74] 그의 희곡은 벵골어로 쓰여졌으며, ''치트라''(''Chitrangada'', 1892), ''어둠의 방의 왕''(''Raja'', 1910), ''우체국''(''Dakghar'', 1913), ''붉은협죽도''(''Raktakarabi'', 1924) 등이 있다.[74] 기리시 카르나드는 역사와 신화를 사용하여 현대적 관련성을 갖는 사상과 이상을 비판하고 문제 삼는 여러 희곡을 쓴 저명한 극작가이다. 카르나드의 ''투글락'', ''하야바다나'', ''탈레단다'', ''나가만달라'' 등의 희곡은 인도 연극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비제이 텐둘카르와 마헤시 다타니는 20세기 주요 인도 극작가들 중 한 명이다. 힌디어의 모한 라케시와 우르두어의 다니시 이크발은 새로운 시대 연극의 설계자로 여겨진다. 모한 라케시의 ''아드헤 아두레''와 다니시 이크발의 ''다라 시코''는 현대 고전으로 간주된다.

중국과 일본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3. 2. 1. 한국 드라마의 역사

주어진 원본 소스는 인도 드라마의 역사에 대한 내용이므로, '한국 드라마의 역사' 섹션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2. 2. 중국 드라마의 역사

중국 극장은 길고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에는 종종 중국 오페라라고 불리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베이징 오페라와 쿤커로 알려진 대중적인 형태를 특히 가리키며, 잡극(zaju)과 같은 다른 많은 형태의 극장도 있었다.

3. 2. 3. 일본 드라마의 역사

能(Noh)극은 드라마, 음악, 무용을 결합하여 완벽한 미적 공연 경험을 선사하는 진지한 드라마 형식이다. 14세기와 15세기에 발전하였으며, 독자적인 악기와 공연 기법을 가지고 있고, 이는 종종 부자 간에 전수되었다. 공연자는 남성 역할과 여성 역할 모두 일반적으로 남성이었지만, 여성 아마추어들도 능극을 공연하기도 했다. 능극은 정부, 특히 군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많은 군 지휘관들이 자신의 극단을 가지고 때로는 직접 공연하기도 했다. 오늘날에도 일본에서 공연되고 있다.[75]

狂言(Kyōgen)은 능극의 희극적인 대응물이다. 음악보다는 대사에 더 중점을 두지만, 능극 연주자들이 쿄겐에도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17세기부터 발전한 歌舞伎(Kabuki)극은 무용을 포함하는 또 다른 희극 형식이다.

현대 연극 및 음악극은 일본에서 新劇(shingeki)宝塚歌劇団(Takarazuka Revue)과 같은 형태로 발전해 왔다.

4. 한국 드라마의 특징과 발전

한국 드라마한국어는 독특한 특징과 함께 발전해 왔다.

4. 1. 현대 드라마의 발전

'잘 만들어진 희곡'은 관객을 조바심나게 하고 감동과 흡사한 것을 주지만, 진정한 드라마는 아니다. 드라마는 모순을 내포한 요소가 있는 생활 속에서 어떤 자극으로 인해 인간 상호 간의 긴장이 유발되고, 그것이 극한 지점까지 도달하여 발견과 급전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이 역사의 무게에 어떻게 대항하는지가 묘사될 때 드라마가 된다.[83]

예를 들어, 고리키의 <밤주막>은 탈출이 불가능한 지하생활자들 속으로 루카라는 순례자가 등장하면서 전개된다. 루카는 거짓된 행동을 하지만, 이는 진실처럼 보인다. 루카가 없어도 주막주인과의 대립으로 사건이 일어날 수 있지만, 루카의 영향은 그가 사라진 후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 사친은 루카를 긍정하면서도 부정하며, 인간 존중의 휴머니즘을 상기시켜 인간의 확인에 도달한다.[83]

라빈드라나트 타고르는 민족주의, 정체성, 영성 등을 탐구한 혁신적인 현대 극작가였다.[74] 그의 희곡은 벵골어로 쓰였으며, ''치트라''(Chitrangada), ''어둠의 방의 왕''(Raja), ''우체국''(Dakghar), ''붉은협죽도''(Raktakarabi) 등이 있다.[74] 기리시 카르나드는 역사와 신화를 사용하여 현대적 사상을 비판하는 희곡을 썼다. 비제이 텐둘카르와 마헤시 다타니는 20세기 주요 인도 극작가이다. 힌디어의 모한 라케시와 우르두어의 다니시 이크발은 새로운 시대 연극의 설계자로 여겨진다.

5. 드라마의 다양한 매체

드라마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된다.



텔레비전 장르에서 드라마는 텔레비전용으로 실사 제작된 텔레비전 드라마를 의미한다. 드라마로 분류되는 영화가 텔레비전에 방영될 때는 '드라마'가 아닌 '영화'로 분류되며, 애니메이션 드라마는 애니메이션으로 분류된다.

6. 드라마의 사회문화적 의미

드라마는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사회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예술 형식이다. '잘 만들어진 희곡'이 관객에게 일시적인 감동을 주는 것과 달리, 진정한 드라마는 현실의 모순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의 모습을 통해 더 깊은 의미를 전달한다.

고리키의 희곡 '밤주막'은 이러한 드라마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잘 보여주는 예시이다. 이 작품은 밑바닥 인생을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들의 갈등과 절망, 그리고 그 속에서 피어나는 인간 존엄성의 회복 과정을 그리고 있다. 특히, 떠돌이 순례자 루카의 등장은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동시에, 각자가 자신의 삶과 가치를 되돌아보는 계기를 제공한다.[83]

6. 1. 사회 비판과 공론장 형성

'잘 만들어진 희곡'은 사건을 전통적인 방식으로 얽어 짜면서 관객을 조바심나게 하고, 클라이맥스를 통해 감동과 비슷한 것을 주며, 행복하고 아름답게 끝맺는다. 하지만 이는 통속극일 뿐, 진정한 드라마는 아니다. 드라마는 그 자체로 모순을 내포한 요소를 가진 생활 속에 어떤 인물이 외부에서 들어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가 던진 파문이 인간 사이의 긴장을 유발하고, 그 긴장의 누적과 계속이 극한 지점까지 도달하여, 소위 발견과 급전(急轉)을 도출하고 최종 지점까지 몰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드라마틱하다고 한다. 그리고 그런 인간이 어떤 역사의 무거운 짐에 대항하고 있는지가 작가의 예리한 시선을 통해 선명하게 묘사될 때 그것이 드라마가 된다.[83]

예를 들어 고리키의 희곡 '밤주막'은 물 괸 웅덩이처럼 서로 갈등 관계에 있으면서 탈출하고자 하지만, 탈출이 거의 불가능한 지하 생활자들 속으로 루카라는 떠돌이 순례자가 등장하면서 전개된다. 거기서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진실이라고 믿고, 더 이상 어떻게 할 수 없다고 체념하는 사람들(예: 모자상 보브노프) 속으로, 루카는 거짓이면서도 진실인 듯이 가장된 행동을 한다. 루카가 없더라도 이 빈털터리 인간들을 착취하는 주막 주인과의 대립을 중심으로 이 지하 생활자들 속에서 어떤 사건은 일어날 것이다. '밤주막'의 클라이맥스로 여겨지는 3막 종막 부분에서 도둑인 와시카 페펠이 주막 주인 코스트윌레프를 때려죽인 뒤, 정부(情婦)였던 와시리사에게 고발되고 그것이 연인 나타샤에게는 두 사람이 공모했다고 오해받는 유명한 장면은, 말하자면 이 희곡의 라이트 모티브의 정점이긴 하지만 위장된 클라이맥스이다. 만일 그것이 루카의 영향이라고 한다면, 2막에서 페펠이 주막 주인을 목 졸라 죽였을지도 모르는 위기가 루카의 기지로 일시 연기되었을 뿐이라고 할 수 있다.[83]

이 희곡에서 루카의 진정한 영향은 그가 모습을 감춘 후부터 나타난다. 남은 사람들 가운데 하나하나 인간의 확인이라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그것도 사친이 루카에 대한 다른 여러 인물의 표면적인 비평을 부정한 후, 일면 루카를 긍정하면서 다시 그 거짓을 폭로하여 부정하고, 그 위에서 루카의 인간 존중이라는 휴머니즘을 상기함으로써 스스로의 속에서 잠자고 있던 인간의 확인에 도달한다. 이 과정에서 어떤 사람은 루카가 준 신기루가 사라지는 데서부터 스스로를 확인하고, 자신을 부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데까지 몰아넣는다(배우). 또 어떤 사람은 자신 속에서 전설로 되어 있는 영광을 자신의 손으로 파괴함으로써 인간을 확인한다(남작). 또는 일한다는 것을 전근대적 경영주에게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사람은 평생 가장 소중히 여기던 도구까지 잃어버리고 마는 데서 절망의 밑바닥에 있는 자신을 느끼고 어디에도 인간은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자물쇠 장사). 또 계율을 깨뜨린 이교도(타타르인)도 있다. 이처럼 연쇄 반응적으로 일어난 인간의 확인이 이 드라마의 발견이자 급전이며 동시에 희곡의 주제로 도출된다.[83]

6. 2. 문화적 다양성과 소통

'잘 만들어진 희곡'은 사건을 전통적인 방식으로 얽어 관객을 조바심 나게 하고, 클라이맥스에서 감동과 비슷한 것을 주며 행복하고 아름답게 끝맺지만, 이는 통속극이지 진정한 드라마는 아니다. 드라마는 모순을 내포한 생활 속에 외부에서 온 인물이 던진 파문이 인간 상호 간의 긴장을 유발하고, 그 긴장이 극한까지 도달하여 발견과 급전을 이끌어내고 최종 지점까지 몰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드라마틱하다고 한다. 그리고 그 인물이 어떤 역사의 무게에 대항하고 있는가를 작가의 예리한 시선으로 묘사했을 때 드라마가 된다.[83]

예를 들어 고리키의 Ночлежка|밤주막ru은 물 괸 웅덩이처럼 서로 갈등하면서 탈출하려 하지만 탈출이 거의 불가능한 지하 생활자들 속으로 루카라는 떠돌이 순례자가 등장하면서 전개된다. 루카는 거짓이면서도 진실인 듯 가장된 행동을 한다. Ночлежка|밤주막ru의 클라이맥스로 여겨지는 3막 종막 부분에서 도둑인 와시카 페펠이 주막 주인 코스트윌레프를 죽이고, 정부였던 와시리사에게 고발되고 연인 나타샤에게는 공모했다고 오해받는 장면은 위장된 클라이맥스이다. 루카의 진정한 영향은 그가 사라진 후 남은 사람들 사이에서 인간의 확인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사친은 루카에 대한 다른 인물들의 표면적인 비평을 부정한 후 루카를 긍정하면서 다시 그 거짓을 폭로하고 부정하며, 루카의 인간 존중 사상을 통해 잠자고 있던 인간의 확인에 도달한다. 이 과정에서 어떤 사람은 신기루가 사라지면서 자기 부정까지 몰아가고(배우), 어떤 사람은 자신의 손으로 영광을 파괴함으로써 인간을 확인한다(남작). 또 어떤 사람은 가장 소중히 여기던 도구까지 잃어버리고 절망 속에서 어디에도 인간은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자물쇠 장사). 이교도(달단인)도 있다. 이렇게 연쇄 반응적으로 일어난 인간의 확인이 이 드라마의 발견이자 급전이며 동시에 희곡의 주제이다.[83]

6. 3. 정체성 형성과 공동체 의식 함양

'잘 만들어진 희곡'은 사건을 기존의 방식으로 얽어 짜면서 관객을 조바심나게 하고 클라이맥스에서 감동과 비슷한 것을 주며, 행복하고 아름답게 끝맺지만, 이는 통속극이지 드라마는 아니다. 드라마는 모순을 내포한 요소를 가진 생활 속에 어떤 인물이 외부에서 들어와 던진 파문이 인간 상호 간의 긴장을 유발하고, 그 긴장이 계속 쌓여 극한 지점에 도달하여 발견과 급전을 이끌어내고 최종 지점까지 몰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드라마틱하다고 한다. 그리고 그런 인간이 어떤 역사의 무게에 대항하고 있는가가 작가의 예리한 시선을 통해 선명하게 묘사되었을 때 그것이 드라마가 된다.[83]

예를 들어 고리키의 Ночлежка|밤주막ru은 물 괸 웅덩이처럼 서로 갈등 관계에 있으면서 탈출하고자 하지만, 탈출이 거의 불가능한 지하 생활자들 속으로 루카라는 떠돌이 순례자가 등장하면서 전개된다. 루카는 거짓이면서도 진실인 듯이 가장된 행동을 한다. Ночлежка|밤주막ru의 클라이맥스로 여겨지는 3막 종막 부분에서 도둑인 와시카 페펠이 주막 주인 코스트윌레프를 때려죽인 뒤, 정부였던 와시리사에게 고발되고 그것이 연인 나타샤에게는 두 사람이 공모했다고 오해받는 장면은, 이 희곡의 라이트 모티브의 정점이긴 하지만 위장된 클라이맥스이다. 루카의 영향이라고 한다면, 2막에서 페펠이 주막 주인을 목 졸라 죽였을지도 모르는 위기가 루카의 재치로 일시 연기되었을 뿐이라고 할 수 있다.[83]

이 희곡에서 루카의 진정한 영향은 그가 모습을 감춘 후부터 남아 있는 사람들 가운데 하나하나 인간의 확인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사친이 루카에 대한 다른 여러 인물의 표면적인 비평을 부정한 후 일면 루카를 긍정하면서 다시 그 거짓을 폭로하여 부정하고, 그 위에서 루카의 인간을 존중한다는 휴머니즘을 상기함으로써 스스로의 속에서 잠자고 있던 인간의 확인에 도달한다. 이 과정에서 어떤 사람은 루카가 준 신기루가 사라지는 데서부터 스스로를 확인하고, 자신을 부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데까지 몰아넣는다(배우). 또 어떤 사람은 자신 속에서 전설로 되어 있는 영광을 자신의 손으로 파괴함으로써 인간을 확인한다(남작). 또는 일하는 것을 전근대적 경영주에게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한 사람은 평생 가장 소중히 여기던 도구까지 잃어버리고 마는 데서 절망의 밑바닥에 있는 자신을 느끼고 어디에도 인간은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자물쇠 장사). 또 계율을 깨뜨린 이교도(타타르인)도 있다. 이렇게 연쇄 반응적으로 일어난 인간의 확인이 이 드라마의 발견이자 급전이며 동시에 희곡의 주제로 도출된다.[83]

참조

[1] 서적 1980
[2] 서적 1949
[3] 서적 1967
[4] 서적 1998
[5] 서적 1977
[6] 웹사이트 https://www.britanni[...]
[7] 서적 1998
[8] 서적 1998
[9] 서적 1963
[10] 서적 2004
[11] 서적 1998
[12] 서적 1998
[13] 논문
[14] 서적 2003
[15] 서적 1998
[16] 서적 1998
[17] 서적 1998
[18] 서적 2003
[19] 서적 2003
[20] 서적 2003
[21] 서적 2003
[22] 서적 2003
[23] 서적 2003
[24] 서적 2003
[25] 서적 2003
[26] 서적 2003
[27] 서적 2003
[28] 서적 2003
[29] 서적 2003
[30] 서적 2003
[31] 서적 2003
[32] 서적 1987
[33] 서적 1981
[34] 서적 2003
[35] 서적 2003
[36] 서적 1958, 1962, 1978
[37] 서적 2003
[38] 서적 British dramatists from Dryden to Sheridan https://books.google[...]
[39] 서적 The Three Faces of Leadership: Manager, Artist, Priest John Wiley & Sons 2009
[40] Youtube The "China scene" from Wycherley's play https://www.youtube.[...]
[41] 웹페이지 The Provoked Wife
[42] 웹페이지 Interconnected causes for this shift in taste
[43] 웹페이지 1993, 2006
[44] 웹페이지 2006, 2007
[45] 서적 1966, 1989
[46] 웹사이트 opera {{!}} History & Facts https://www.britanni[...] 2019-05-21
[47] 서적
[48] 서적 Pantomim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9] 서적 1969
[50] 서적 The Ecologies of Amateur Theatr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10-26
[5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antomime http://www.its-behin[...] 2013-02-10
[52] 서적 Webster's New World Dictionary World Publishing Company 1980
[53] 서적 2007
[54] 서적 1954
[55] 서적 2001
[56] 백과사전 Encyclopaedia Britannica
[57] 서적 1974
[58] 서적 1993
[59] 서적 1997, 1998
[60] 서적 1997, 1998
[61] 서적 1997, 1998, 1993
[62] 서적 1980
[63] 서적 Assamese Drama and Theatre: A Series of Two Lectures Delivered at the Indian School of Drama and Asian Theatre Centre, New Delhi, April 1962 Neog 1975
[64] 서적 Bhaona: The Ritual Play of Assam Sangeet Natak Academy 1984
[65] 서적 1998, 1993
[66] 서적 1981, 1998
[67] 서적 1998
[68] 서적 1998
[69] 서적 1981
[70] 서적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 Afghanistan, Bangladesh, India, Nepal, Pakistan, Sri Lank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3
[71] 간행물 Mobile theatre strikes deep roots in Assam https://www.indiatod[...] 2019-10-26
[72] 뉴스 Mobile theatre is successful because we stage plays in villages https://timesofindia[...]
[73] 뉴스 Screen salute to mobile theatre pioneer – Veteran Ratna Ojha?s documenta Achyut Lahkar https://www.telegrap[...]
[74] 서적
[75] 웹사이트 Background to Noh-Kyogen http://www.iijnet.or[...]
[76] 웹사이트 ドラマ https://kotobank.jp/[...] 小学館、コトバンク 2017-09-17
[77] 웹사이트 市民劇 https://kotobank.jp/[...] 小学館、コトバンク 2017-09-17
[78] 웹사이트 ドラマ https://kotobank.jp/[...] 小学館、コトバンク 2017-09-17
[79] 웹사이트 ドラマ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7-09-17
[80] 웹사이트 IMDb http://www.imdb.com/[...] IMDb 2017-09-17
[81] 웹사이트 allcinema http://www.allcinema[...] allcinema 2017-09-17
[82] 서적 映画賞受賞作品事典 洋画編 日外アソシエーツ 2017-09-17
[83] 웹사이트 드라마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