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셀 아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셀 아몽은 프랑스의 가수, 배우, 작가로, 1929년 보르도에서 태어나 2023년 사망했다. 1950년대 후반 파리에서 활동을 시작하여 카바레에서 이름을 알렸으며, 1956년 에디트 피아프의 올랭피아 공연으로 주목받았다. 같은 해 영화 《신부는 너무 아름다워》에 출연하며 영화계에도 데뷔했고, 1956년 첫 싱글 《에스카밀로》를 발매하며 음반 활동을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CBS 레코드로 음반사를 옮기고, 1979년에는 베아른 방언으로 공연한 최초의 프랑스 가수로 알려졌다. 2017년에는 65주년 기념 공연을 가졌으며, 2018년에는 새로운 쇼 "마르셀은 말하고 아몽은 노래한다"로 스탠드업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르도 출신 - 프랑수아 모리아크
프랑수아 모리아크는 보르도 지방의 풍물을 배경으로 개인, 가정, 신앙, 욕망 간의 갈등을 다룬 소설을 통해 심리 소설가로서 입지를 다진 프랑스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평론가이며, 노벨 문학상과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상했고 레지스탕스 운동 참여 및 사회, 정치적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 - 보르도 출신 - 로자 보뇌르
로자 보뇌르는 프랑스의 사실주의 화가이자 조각가로, 동물화가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니베르네의 쟁기질》과 《말 시장》 등의 작품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고,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으며, 인습에 얽매이지 않는 삶을 살았다. - 프랑스의 남자 가수 - 앙드레 부르빌
앙드레 부르빌은 프랑스의 배우, 가수, 작곡가로서, 다양한 직업을 거쳐 보드빌리언으로 활동하다 영화에 데뷔, 루이 드 퓨네스와 코미디 명콤비로 인기를 얻고,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과 더불어 다양한 장르의 영화 출연 및 300여 곡의 노래를 작곡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프랑스의 남자 가수 - 앙리 살바도르
프랑스령 기아나 카옌 출신의 프랑스 가수이자 기타 연주자였던 앙리 살바도르는 프랑스 최초의 로큰롤 곡을 발표하고 "Zorro est arrivé", "Le lion est mort ce soir", "Syracuse" 등의 히트곡을 남겼으며, 그의 노래 "Dans mon île"은 브라질 보사노바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1929년 출생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29년 출생 - 정석모
경찰 출신 행정가이자 정치인인 정석모는 치안국장, 도지사, 차관, 6선 국회의원, 내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충청권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고, 정계 은퇴 후에는 건양대학교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마르셀 아몽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르셀 장피에르 발타자르 미라몽 |
출생 | 1929년 4월 1일 |
출생지 | 보르도, 프랑스 |
사망 | 2023년 3월 8일 |
사망지 | 생클루, 프랑스 |
직업 | 음악가, 가수 |
악기 | 기타 |
2. 초기 생애 및 활동
마르셀 아몽은 1950년대부터 가수, 작곡가, 배우로 활동하며 프랑스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에디트 피아프와의 협연, 아카데미 샤를-크로 상 수상, 브리지트 바르도와의 영화 출연 등은 그의 초기 경력에서 중요한 성과이다.
2. 1. 초기 활동
마르셀 아몽은 1929년 4월 1일 보르도에서 철도 직원인 아버지와 간호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대입 시험 후 체육 교사나 연극 배우의 길을 고민하다가 결국 노래를 선택했다. 보르도에서 예술 활동을 시작하여 1950년대 후반 파리에서 활동하면서 카바레에서 이름을 알렸다. 그는 어릴 적부터 재즈와 팝 음악을 즐겨 들었다.1951년, 파리에서 성공하기 위해 여러 카바레에서 공연하며 명성을 쌓았다. 1956년 이전에 에디트 피아프의 첫 번째 공연을 맡게 되면서 그 해의 '발견'으로 빠르게 주목받았다. 첫 번째 공개 녹음을 통해 프랑스 아카데미의 샤를 크로(Charles Cros)에서 그랑프리 드 노벨(Grand Prix de Novela)을 수상했다. 이러한 성공으로 영화계에도 진출하여 영화 《신부는 너무 아름다워》에서 브리지트 바르도와 함께 출연했다.
1956년, 올랭피아에서 에디트 피아프의 첫 번째 공연을 맡았다. 처음에는 "프로그램 보충"으로 고용되었으나, "올해의 발견"으로 인정받아 5주 만에 포스터에서 두 번째 자리를 차지했다. 대중의 인기에 힘입어 첫 앨범을 공개 녹음했고, 아카데미 샤를-크로 상을 세르주 갱스부르, 줄리에트 그레코와 함께 수상했다. 같은 시기 영화 《신부는 너무 아름다워》에서 브리지트 바르도와 함께 출연하며 영화 배우로도 데뷔했다. 또한, 유명 텔레비전 쇼 《36 샹델》에도 자주 출연했다.
영화 《신부는 너무 아름다워》(1956)와 《좌측 통행》(La conduite à gauche, 1961)에 출연하면서 프랑스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
같은 해 폴리도르 레코드와 음반 계약을 맺고 첫 싱글 《에스카밀로》를 발매했다. 1957년에는 첫 앨범 《마르셀 아몽》과 《블루, 블랑, 블론》을 발매했다.
1950년대 후반의 '발견'으로 불린 마르셀 아몽은 1962년 보비노 무대에서 100회 이상 공연했으며, 《투 두 투 두스망》(Tout doux tout doucement, 1959)과 《블루 블랑 블론》(Bleu blanc blond, 1959) 두 앨범을 발매했다.
3. 전성기
마르셀 아몽은 1960년대 초, 5개 이상의 골드 앨범을 기록하며 왕성하게 활동했다. "Les Bleuets d'Azur", "Le balayeur du roy"와 같은 곡으로 성공을 거두었고, 1961년에는 "Dans le coeur de ma blonde"을 8천만 장 판매했다.[1]
이듬해 샤를 아즈나부르가 작곡한 "Un mexicain"을 대중화시켜 프랑스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 곡의 성공으로 대중은 그를 프랑스어권에서 가장 다작하는 가수 중 한 명으로 인식하게 되었지만, 샤를 아즈나부르와 길베르 베코에는 미치지 못했다.[1]
1962년, 보비노에서 3개월 반 동안 첫 단독 공연을 열어 매진시켰다. 그는 자신의 곡 외에도 클로드 누가로가 쓴 "Le Balayeur du Roy", "Penholder", "Tango of Twins", "Le Jazz et la Java" 등을 불렀다. 1963년에는 룩셈부르크에서 첫 투어 콘서트를 열었고, 곧이어 14곡이 수록된 앨범 ''Fantaisie Sur Des Airs D 'Opérettes''를 발매했다.[1]
1965년, 올랭피아에서 5주 동안 공연하며 댄서들과 함께하는 혁신적인 연출을 선보였다. 1969년까지 45rpm 레코드를 계속 녹음했고, 1967년 10월 1일에는 프랑스 텔레비전 역사상 최초의 컬러 텔레비전 쇼(Amont Tour)를 진행했다.[1]
1980년대는 프랑스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20년 이상 쌓아온 그의 예술적 특성은 일본, 러시아 순회 공연, 샌프란시스코의 굴드 재단 리사이틀, 로마의 스튜디오 원 1년 공연 등 해외 진출의 기회를 열었다.[1]
조르주 브라상스의 두 텍스트(과도한 작은 에바, 낡은 화석)에 곡을 붙이기도 했다.[1]
3. 1. 1970년대의 활동
1970년대에 그는 음반사를 CBS 레코드로 옮기고 첫 번째 앨범인 《아몽-투어》를 발매했다. 1970년 올림피아에서 그는 항상 그의 무용수들과 합창단과 함께했고, 전문가들과 함께 특정 연출을 위해 대형 스크린을 사용했다. 그 성공은 5주 동안 쇼가 지속될 정도였다. 이후 그는 역동적이고, 미소 짓고, 밝은 젊은 가수를 구현했으며, 무대적이고 대중적인 레퍼토리를 선보였다. 그는 뮤지컬을 준비 중이었고, 이 때문에 미국 프로듀서와 BBC의 제안을 거절했다.그는 또 다른 북미 버전인 "Can't Take My Eyes Off You"와 프랑스어 버전 "Femme jolie on te yeux"를 발매했는데, 프랑스어 버전은 그가 작사가이기도 했기에 직접 작곡했다. 그는 60년대와 70년대에 수많은 버라이어티 쇼에 참여했는데, 특히 마리티 카르팡티에와 길베르 카르팡티에의 쇼에 출연했다. 1974년에는 일요 쇼 《투탕카몽》의 진행을 맡았다.
다음 해인 1971년 아몽은 5천만 장이 판매된 또 다른 성공작인 "L'amour ça fait passer le temps"을 발표했다. 1976년에는 "르 샤포 드 미레유"를 수상했다.[1]
4. 후기 활동 및 사망
마르셀 아몽은 2023년 3월 8일 생클루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그는 1952년 타마라 블라디미로브나 데이네스와 결혼하여 1959년에 이혼했으며, 슬하에 파스칼, 장, 피에르 세 자녀를 두었다.[1]
4. 1. 말년
1980년, 유럽 송 콘테스트 프랑스 예선에 "Camarade Vigneron"이라는 곡으로 후보에 올랐다. 3월 23일, 에블린 델리아가 진행하는 TF1 최종 예선에서 관객 투표 결과 6명 중 4위를 차지했다.[1]2000년대에 프랑스에서 새로운 삶을 찾았고, 2006년에는 프랑시스 드레퓌스와 시차를 둔 새 앨범으로 돌아왔으며, 아그네스 자우이, 제라르 다르몽, 디디에 로크우드, 비렐리 라그렌과 듀엣곡을 선보였다.[1]
2007년, 생애 첫 방문 이후 50년 만에 올림피아에 섰다.[1]
2008년 말, 기욤 알데베르의 어린이 앨범 ''Enfantillages''에 참여했다.[1]
2년 동안 아이돌 투어인 Tender Age 투어의 3, 4 시즌 스타 중 한 명이었다. 2009년 10월, 파리 그랜드 코미디에서 일련의 리사이틀을 열어 80세 생일을 기념했다.[1]
2010년, 엠마 도마스의 어린이 앨범 Les Larmes de Crodrilo에 참여하여 여러 텍스트를 쓰고 아들 마티아스 미라몽의 음악에 맞춰 그녀와 듀엣으로 노래했다.[1]
2012년, 자서전 Boulevard At the time passes (Editions Pirot)를 출간한 후, 개인 앨범에서 주로 가져온 그림책 "Nevó"를 출판했다(Editions Didier Carpentier). 11월 25일 알함브라에서 60년이 넘는 경력을 기념하기 위해 파리로 돌아왔다. 스탠드업과 노래를 결합하여 대중에게 알려진 히트곡, 작은 무대 걸작, 그리고 충성스러운 팬들과 새로운 세대의 관객을 기쁘게 하는 최근 타이틀을 선보이는 애니메이션적이고 놀랍도록 현대적인 쇼를 제공했다. 2013년에는 그의 노래 "Il has the yellow jersey"가 로랑 투엘 감독의 영화 La Grande Boucle의 사운드트랙에 등장했다.[1]
같은 해, 알츠하이머병과 싸우기 위해 제작된 콜렉티브 Les Marguerites의 노래 "Because the night" 뮤직 비디오에 참여했다.[1]
2014년 1월, Marianne Melodie / Universal Music은 더블 앤솔로지 CD (1959년부터 1975년까지의 성공)를 발매했다. 3월에는 일곱 번째 저서인 《친구들에게 보내는 편지》를 출판했는데, 이 책에는 샤를 아즈나부르, 모리스 슈발리에, 이브 몽탕, 알랭 소숑, 프랑수아 모렐, 앙투안 드 콘 등 그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보낸 가상의 편지들이 수록되어 있다.[1]
2015년에 자서전을 출판했다.[1]
2016년 11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제라르 레르노르망, 실라, 위그 오프레 등과 함께 "아주 어린 나이, 우상들의 투어" 10주년에 참여했다.[1]
2018년, 새로운 쇼 "마르셀은 말하고 아몽은 노래한다"로 스탠드업을 시작했는데, 이 쇼에서 그는 유머 작가의 방식으로 자신의 고향인 남서부에서 현재까지의 삶을 따라가며, 그의 가장 큰 히트곡과 새로운 노래가 자신의 것이든 아니든 스토리를 향상시키는 데 의존한다.[1]
1952년에 타마라 블라디미로브나 데이네스와 결혼하여 1959년에 이혼했다. 파스칼, 장, 피에르 세 자녀를 두었다. 2023년 3월 8일 생클루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5. 유산 및 영향
아몽은 1979년 앨범 ''Que canta en biarnés''를 발매한 후 베아른 방언으로 공연한 최초의 프랑스 가수로 알려져 있다.[1] 2001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다.[2]
2017년에는 65주년 기념 공연을 가졌으며, 매진 사례를 기록하며 음반 판매를 이어갔다.[3] 판매량은 3,500만 장을 넘어, 미셸 사르두와 조니 할리데이에 이어 프랑스 음악 역사상 세 번째로 많이 팔린 프랑스 가수가 되었다.[3]
아몽은 다음과 같은 작곡가들의 고전 음악을 해석했다.[4]
6. 저서
- 《노래, 노래 안에 무엇이 있을까?》 (Seuil, 1989)
- 《말해지고, 써지고, 불려진다》 (Éd. Christian Pirot, 2000)
- 《어떻게 가스코뉴인이 될 수 있는가?》 (Éd. Atlantica, 2001)
- 《가스코뉴의 가장 아름다운 노래들》 (Éd. Sud Ouest, 2006)
- 《지나가는 시간의 대로에서》 (Éd. Christian Pirot, 2009)
- 《눈이 내렸다》 (Éd. Didier Carpentier, 2012)
- 《친구들에게 보내는 편지》 (Éd. Chiflet & Cie, 2014)
7. 음반 목록
마르셀 아몽은 주로 유니버설을 통해 스튜디오 앨범과 싱글을 발매했다.
7. 1. 스튜디오 앨범
연도 | 제목 |
---|---|
1959 | 블뢰, 블랑, 블론 |
1961 | 내 금발의 심장 속에서 |
1961 | 마르셀 아몽 |
1962 | 1962년의 리사이틀 |
1962 | 어떤 멕시코인 |
1962 | 그들의 20년의 우리의 노래 |
1963 | 세비야의 이발사 |
1965 | 아, 일요일에 얼마나 웃었는지 |
1965 | 섬과 다른 곳의 노래 |
1975 | 왜 당신은 노래하지 않나요? |
1979 | 또 다른 아몽 |
2006 | 시차 |
7. 2. 주요 싱글
연도 | 제목 | 작사/작곡 |
---|---|---|
1956 | 에스카미요(Escamillo) | 조르주 쿨롱주 / C. Roi |
1958 | 줄리(Julie) | J. 다틴 - M. 비달랭 |
1958 | 나의 회전목마(Mon manège à moi) | N. 글란즈버그 - J. 콩스탕탱 |
1959 | 모두 부드럽게, 모두 부드럽게(Tout doux, tout doucement) | 그레첸 크리스토퍼 - 피에르 들라노에 |
1959 | 파란색, 흰색, 금발(Bleu blanc blond) | 장 드레작 / H. 그린 |
1960 | 푸른 옥수수꽃(Les bleuets d'azur) | J. 라뤼 / G 마젠타 |
1961 | 내 금발의 마음속에(Dans le cœur de ma blonde) | 장 드레작 / N. 페티 |
1961 | 귀뚜라미의 노래(La chanson du grillon (The cricket song)) | 장 드레작 |
1962 | 멕시코인(Un Mexicain) | J. 플랑트 / 샤를 아즈나부르 |
1963 | 나는 광대(Moi le clown) | J.마르외 - Ch. 아즈나부르 |
1964 | 내 금발의 마음속에(Dans le cœur de ma blonde) | 장 드레작 |
1965 | 마리아와 우유 냄비(Maria et le pot au lait) | M. 아몽 |
1965 | 나의 교외의 무도회에서(Au bal de ma banlieue) | 장 드레작 |
1970 | 날던 신사(Le monsieur qui volait) | 클로드 누가로 / M. 아몽 |
1971 | 사랑은 시간을 보내게 해(L'amour ça fait passer le temps) | 리바 - 토마스 / 빈센트 |
1971 | 신사(Monsieur) | G. 티보 / J. 르나르 |
1971 | 행복한 벤자민(Benjamin le Bienheureux) | Y. 데스카 / E. 샤르댕 |
1971 | 오늘은 일요일이다(Cest aujourdhui dimanche) | 베르나르 에스타르디 - 장-미셸 리바 / F. 토마스 |
1974 | 항상 화가가 있다(Y a toujours un peintre) | JM. 리바 - R. 빈센트 |
1974 | 미레이유의 모자(Le chapeau de Mireille) | 조르주 브라상 |
1975 | 예술가들(Les artistes) | M. 아몽 - J. 레보 / R. 빈센트 |
1976 | 음악이 돌아왔다(La musique est de retour) | M. 아몽 - M. 조르당 / 구스탱 |
1977 | 어린 시절은 낫지 않아(On ne guérit pas de son enfance) | M. 아몽 / M. 시위 |
1979 | 빈(Viennois) | 알랭 수숑 |
1979 | 파리 룸비에르(Paris rombière) | 카반나 / R. 빈센트 |
1979 | 강을 건너기 위해(Pour traverser la rivière) | 질 비네오 |
1979 | 갤리선(La galère) | 막심 르 포레스티에 / 쥘리앵 클레르 |
1982 | 내일 담배를 끊을 거야(Demain j'arrête de fumer) | 아몽 |
1985 | 고릴라의 탐탐(Le tam-tam des gorilles) | 어린이용 45회전 음반 |
1991 | 심파티크(Sympathiq) | M. 아몽 |
2006 | 유행 지난(Démodé) | M. 아몽 / P. 로프레도 |
2009 | 눈이 내렸어(Il a neigé) | M. 아몽 / M. 미라몽 |
발매는 주로 유니버설에서 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Chartsinfrance
http://www.chartsinf[...]
[2]
서적
De L'utopie Au Pragmatisme?: Le Mouvement Occitan 1976-1990
1992
[3]
간행물
Cinéma - Numéros 301 à 312
1984
[4]
웹사이트
Mort de Marcel Amont, l'homme qui donnait tout pour la chanson
https://www.lefigaro[...]
2023-03-08
[5]
웹사이트
Chartsinfrance
http://www.chartsin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