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턴 스밋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턴 스밋은 네덜란드 출신의 천문학자이다. 라이덴 대학교에서 얀 오르트의 지도를 받아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은하 연구를 수행했다. 1963년 퀘이사 3C 273의 높은 적색 편이를 발견하여 정상 우주론을 반박하는 증거를 제시했고, 1991년에는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멀어지는 퀘이사를 발견했다. 헬렌 B. 워너 상, 카를 슈바르츠실트 메달, 브루스 메달 등을 수상했으며, 소행성 10430 마르트슈미트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로마 천문대 - 새뮤얼 오스친 망원경
새뮤얼 오스틴 망원경은 다양한 CCD 카메라를 활용하여 천체 관측을 수행하고, 대형 유리 건판 사진 자료실을 보유하며, 왜행성 세드나와 에리스 등을 발견했다. - 팔로마 천문대 - 헤일 망원경
헤일 망원경은 1948년 캘리포니아 팔로마 산에 완공된 5.08미터 반사 망원경으로, 천문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현대 망원경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네덜란드의 과학자로서 진자시계와 밸런스 스프링 시계를 발명하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을 발견했으며 빛의 파동설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 안톤 판네쿡
네덜란드 천문학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인 안톤 판네쿡은 은하수 구조 및 항성 분포 연구에 기여하고 천문학사를 저술했으며, 평의회 공산주의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흐로닝언 출신 - 다니엘 베르누이
다니엘 베르누이는 스위스 출신의 수학자, 물리학자, 의사로 유체역학, 특히 베르누이 원리로 유명하며, 유체 운동 이론 제시, 기대효용 이론 연구, 천연두 예방 접종 효과 분석 등 다양한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흐로닝언 출신 -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는 네덜란드의 물리학자로, 저온 물리학 연구의 선구자로서 1908년 세계 최초로 헬륨 액화에 성공하고 1911년 수은의 초전도 현상을 발견하여 191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라이덴 대학교에서 저온 연구소를 설립하여 과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그의 이름이 여러 곳에 기념되었다.
마르턴 스밋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29년 12월 28일 |
출생지 | 흐로닝언, 네덜란드 |
사망일 | 2022년 9월 17일 |
사망지 | 캘리포니아주프레즈노, 미국 |
국적 | 미국 네덜란드 |
연구 분야 | |
분야 | 천문학 |
근무 기관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출신 대학 | 레이던 천문대 |
지도교수 | 얀 오르트 |
제자 | 로버트 우드로 윌슨 |
주요 업적 | 퀘이사 |
수상 | 카를 슈바르츠실트 메달 (1968년) 카블리상 (2008년)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The Rumford Prize |
참고 자료 | The Rate of Star Formation |
참고 자료 | The global Schmidt law in star-forming galaxies |
2. 생애
흐로닝언에서 태어나, 라이덴 대학교에서 얀 오르트와 연구하여 1956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9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미국으로 이주, 은하의 질량 분포와 운동역학을 연구하였다. 이후 전파원의 빛 스펙트럼을 연구하던 중, 1963년 퀘이사 3C 273의 수소 스펙트럼선에서 큰 적색편이를 발견했다. 이는 3C 273이 시속 44,000km(광속의 16%)로 태양계에서 멀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프레드 호일의 정상 우주론을 부정하는 결과였다. 1991년에는 도널드 슈나이더, 제임스 에드워드 건 등과 함께 광속의 94.5%로 멀어지는 퀘이서를 발견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마르턴 스밋은 1929년 12월 28일 네덜란드 흐로닝언에서 태어났다.[1][2] 아버지 빌헬름은 네덜란드 정부에서 회계사로 일했고, 어머니 애니 빌헬미나(하링후이젠)는 주부였다. 스밋은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여 1949년에 학사 학위를, 1950년에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얀 오르트의 지도 아래 라이덴 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하여, 1956년 라이덴 천문대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2. 2. 경력
박사 학위를 마친 후, 스밋은 카네기 펠로우십으로 2년 동안 미국에 거주했다. 1959년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미국에 정착했다.[2] 초기에는 은하의 질량 분포와 역학에 대한 이론을 연구했다. 이 시기에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그가 공식화한 슈미트 법칙으로, 이는 성간 가스의 밀도와 해당 가스에서 발생하는 별의 형성 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3][4]1963년, 팔로마 천문대의 200인치 반사 망원경을 사용하여 3C 273 퀘이사를 발견하고 그 스펙트럼을 분석했다. 3C 273은 별과 같은 외관을 가졌지만, 스펙트럼에서 0.158의 높은 적색편이가 나타났다. 이는 3C 273이 우리 은하 밖에 매우 멀리 떨어져 있으며, 매우 높은 광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했다. 스밋은 3C 273을 "퀘이사"라고 명명했으며, 이후 수천 개의 퀘이사가 확인되었다.[2] 3C 273의 발견은 프레드 호일의 정상 우주론을 부정하는 강력한 증거로 제시되었다.
1991년에는 도널드 슈나이더, 제임스 에드워드 건 등과 함께 광속의 94.5%로 멀어지는 퀘이서를 발견했다.
2. 3. 개인적인 삶
스밋은 1955년 코르넬리아 톰과 결혼하여, 2020년 그녀가 사망할 때까지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 이들은 오르트가 주최한 파티에서 만났으며, 슬하에 세 딸 안네, 엘리자베스, 마리케를 두었다.[1]스밋은 2022년 9월 17일 캘리포니아주 프레즈노의 자택에서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3. 수상 경력 및 영예
연도 | 수상 및 영예 |
---|---|
1964 | 헬렌 B. 워너 상[9] |
1968 | 카를 슈바르츠실트 메달 |
1969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9] |
1978 | 헨리 노리스 러셀 강좌[9] |
1978 | 미국 국립 과학원 회원[9] |
1980 | 영국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9] |
1980 | 미국 업적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 상[9] |
1980 |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통신원[9] |
1991 | 제임스 크레이그 왓슨 메달[9] |
1992 | 브루스 메달[9] |
1995 |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 회원[9] |
2000 | 미국 철학회 회원[9] |
2008 | 카블리상 천체물리학 분야[9] |
(연도 미상) |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9] |
(연도 미상) | 소행성 10430 마르트슈미트[18] |
4.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The Rumford Prize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1969-01
[2]
뉴스
Maarten Schmidt, First Astronomer to Identify a Quasar, Dies at 92
https://www.nytimes.[...]
2022-09-22
[3]
논문
The Rate of Star Formation
1959
[4]
논문
The global Schmidt law in star-forming galaxies
1998
[5]
웹사이트
2008 Kavli Prize Laureates in Astrophysics
http://www.kavlipriz[...]
2008-08-28
[6]
웹사이트
Host Campuses - SSP International
https://summerscienc[...]
2015-11-24
[7]
뉴스
Maarten Schmidt im Alter von 92 Jahren verstorben
https://www.spiegel.[...]
Spiegel
2022-09-20
[8]
뉴스
Caltech Mourns the Passing of Maarten Schmidt, 1929–2022
https://www.caltech.[...]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22-09-19
[9]
간행물
Maarten Schmidt – Mar. 11, 1966
http://www.time.com/[...]
[10]
웹사이트
Maarten Schmidt
https://www.amacad.o[...]
2021-11-30
[11]
웹사이트
Maarten Schmidt
http://www.nasonline[...]
2021-11-30
[12]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13]
웹사이트
M. Schmidt
https://www.knaw.nl/[...]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8-03
[14]
웹사이트
Maarten Schmidt
https://www.leopoldi[...]
German Academy of Sciences Leopoldina
2021-06-01
[15]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11-30
[16]
웹사이트
Gruppe 2: Fysikkfag (herunder astronomi, fysikk og geofysikk)
http://www.dnva.no/c[...]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10-10-07
[17]
웹사이트
Maarten Schmidt
http://phys-astro.so[...]
Sonoma State University
2022-09-22
[18]
웹사이트
(10430) Martschmidt = 1978 RH4 = 1996 PT2 = 4030 P-L = PLS4030
https://minorplanetc[...]
MPC
2021-08-13
[19]
저널
The Rumford Prize
http://www.jstor.org[...]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2009-06-26
[20]
저널
The Rate of Star Formation
https://archive.org/[...]
[21]
저널
The global Schmidt law in star-forming galaxies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