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푸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오푸메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 장제스의 첫 번째 부인이다. 1901년 장제스와 결혼하여 아들 장징궈를 낳았으나, 장제스와는 1927년 이혼했다. 이혼 후 불교에 귀의하여 마하전을 건립하고 아들의 안녕을 빌며 살았으며, 1939년 일본군의 폭격으로 사망했다. 그녀의 묘는 문화 대혁명 시기에 훼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제스의 배우자 - 야오예청
야오예청은 장제스의 측실이었으며, 장웨이궈를 양육하고 대만으로 이주했으며, 파킨슨병으로 투병하다 1972년에 사망했다. - 장제스의 배우자 - 천제루
장제스의 첩이자 후에 이혼한 배우자였던 천제루는 장제스와 결혼 후 6년간 그의 딸을 양육했고, 이혼 후 미국 유학을 거쳐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을 지냈으며, 사후 출간된 회고록을 통해 장제스와의 관계가 재조명받았다. - 화기 사고로 죽은 사람 - 김영랑
김영랑은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후까지 활동한 시인으로, '모란이 피기까지는'과 같은 서정시와 민족주의적 저항 의식을 담은 시를 동시에 선보였으며, 1935년에 시집 『영랑시집』을 발간했다. - 화기 사고로 죽은 사람 - 이한열
이한열은 1987년 6월 항쟁을 격화시킨 연세대생 민주화 운동가로, 시위 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여 민주국민장으로 장례가 치러졌고 연세대학교 명예 학사 학위가 추서되었으며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 장제스가 - 장웨이궈
장웨이궈는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장제스의 양자이자 다이 지타오의 친아들이라는 설이 있으며, 독일 육군에서 군사 교육을 받고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한 후 중화민국에서 고위직을 역임하며 국가안전회의 사무총장을 지내고 리덩후이의 대만화 운동에 반대하며 정치적 활동을 했다. - 장제스가 - 장징궈
장징궈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이자 군인, 장제스의 아들이며, 권위주의 통치로 경제 성장을 이끌고 말년에는 민주화 기틀을 마련했으나, 비밀경찰 운영과 반체제 인사 탄압은 논란이 되는 1978년부터 1988년까지 중화민국 총통을 지낸 인물이다.
마오푸메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오푸메이 |
원어 이름 | 毛福梅 |
로마자 표기 | Mao Fumei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882년 11월 9일 |
출생지 | 청나라 저장성 펑화 현 |
사망일 | 1939년 12월 12일 |
사망지 | 중화민국 저장성 시커우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장제스 (1901년 결혼, 1921년 이혼) |
자녀 | 장징궈 |
아버지 | 마오 딩허 (毛鼎和) |
2. 생애
마오푸메이는 저장 성 펑화 시 출신으로, 장제스의 첫 번째 부인이다. 1901년 장제스의 어머니의 뜻에 따라 15세의 장제스와 결혼하여 1909년 장징궈를 낳았다. 그러나 장제스는 마오푸메이에게 애정이 없었고, 1927년 장제스의 어머니가 사망하자 둘은 이혼했다. 이후 마오푸메이는 불교에 귀의하여 아들의 성장을 빌며 살았다.[5]
1939년, 일본군의 폭격으로 마오푸메이가 사망하자, 장징궈는 항일 결의를 다지는 석비를 세웠으나 일본군에 의해 파괴되었다. 이 비석은 나중에 재건되어 현재 원창각 내의 작은 양옥에 있다. 문화 대혁명 때 홍위병에 의해 마오푸메이의 묘가 파괴되었다.[5]
2. 1. 결혼과 이혼
1901년 겨울, 19세의 마오푸메이는 장제스의 어머니의 뜻에 따라 15세의 장제스와 결혼했다. 1909년 장징궈를 낳았으나, 장제스는 마오푸메이에게 애정이 없었다. 1927년 장제스의 어머니가 사망하자 둘은 이혼했다.[5] 이혼 후, 마오푸메이는 불교에 귀의하여 마하전을 건립하고 아들의 성장을 빌며 살았다.2. 2. 불교 귀의와 죽음
1927년 장제스와 이혼한 후 불교에 귀의하여 마하전을 건립하고 아들 장징궈의 성장을 빌며 살았다.[5] 1939년, 일본군의 폭격을 받아 펑화 현 시커우 진의 사저 펑하오팡에도 수 발의 탄이 떨어졌고, 부엌 밖으로 도망가다가 다리와 허리에 여러 발의 탄을 맞고 쓰러진 건물에 깔려 사망했다.[5] 장징궈는 어머니가 쓰러진 부엌 밖의 통로에 "피로 피를 씻다(以血洗血)"라는 네 글자를 새긴 석비를 세워 항일의 결의를 다졌다.[5] 이 비석은 그 후 점령한 일본군에 의해 파괴되었지만, 일본군이 떠난 후 다시 국민당 펑화 현 서기 왕쓰번의 초본에 의해 재건되었으며, 현재 원창각 내의 작은 양옥에 있다.[5]마오푸메이의 묘는 문화 대혁명 때 왕차이위(장제스의 어머니)의 묘와 함께 홍위병에 의해 파괴되었다.[5]
2. 3. 사후 묘소 훼손
문화 대혁명 때 홍위병에 의해 마오푸메이의 묘가 파괴되었으며, 장제스의 어머니 왕차이위의 묘도 함께 파괴되었다.[5]3. 가계도
wikitext
장제스 가계도 | |||||||||
---|---|---|---|---|---|---|---|---|---|
장조총 | 왕채옥 | 장제스 | 마오푸메이 | ||||||
장개경 | 蔣經國|장징궈중국어 | 장팡량 | |||||||
蔣孝文|장효문중국어 | |||||||||
蔣孝章|장효장중국어 | |||||||||
蔣孝武|장효무중국어 | |||||||||
장효용 | 蔣方智怡|팡즈이중국어 | ||||||||
장유백 | |||||||||
林姮怡|린헝이중국어 | |||||||||
蔣友常|장유창중국어 | |||||||||
蔣友青|장유칭중국어 | |||||||||
장제스 | 쑹메이링 | 다이지타오 | |||||||
장웨이궈 | |||||||||
장제스 | 야오예청 | ||||||||
장제스 | 천제루 | ||||||||
장징궈 | 장아약 | ||||||||
章孝慈|장효자중국어 | |||||||||
장효엄 | 황메이룬 | ||||||||
蔣蕙蘭|장혜란중국어 | |||||||||
장혜균 | |||||||||
장완안 |
참조
[1]
서적
Chiang Kai Shek: China's Generalissimo and the Nation He Lost
https://books.google[...]
Hachette Books
2019-05-10
[2]
서적
The Early Chiang Kai-shek: A STUDY OF HIS PERSONALITY AND POLITICS, 1887-1924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1
[3]
서적
Historic World Leaders: Africa, Middle East, Asia, Pacific
https://books.google[...]
Gale Research Incorporated
[4]
서적
Guang Hua
https://books.google[...]
Kwang Haw Pub. (USA)
[5]
웹사이트
文革时红卫兵把蔣发妻毛福梅和蔣母王采玉的墓砸了
http://bbs.wenxuecit[...]
[6]
문서
1914년 4월 25일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 출신으로 1918년 11월 2일 천연두로 인한 요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