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제스는 1887년 청나라에서 태어나 중화민국 국민정부 주석, 중화민국 총통을 역임한 중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그는 쑨원의 뒤를 이어 국민당을 이끌었으며, 신해혁명 이후 혁명군을 지휘하며 군사적 재능을 보였다. 1920년대 북벌을 통해 중국 통일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국공 내전에서 패배하여 타이완으로 정부를 이전했다. 이후 타이완에서 경제 발전을 이끌었으며, 반공주의를 표방하며 미국 등 서방 세계의 지원을 받았다. 1975년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아들 장징궈가 국민당 주석직을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대만의 극우 정치 - 신당 (대만)
    신당은 1993년 중국국민당에서 분당되어 이등휘 주석의 정책에 반대하는 의원들이 결성한 정당으로, 초기에는 대통령 직선제와 중국 본토와의 경제 협력을 주장했으나, 2000년대 이후 친중 성향 강화와 일국양제 지지로 정치적 영향력을 상실하고 우익 또는 극우 정당으로 분류된다.
  • 대만의 극우 정치 - 중화통일촉진당
    중화통일촉진당은 2005년 장안락이 설립한 대만의 정당으로, 중국과의 통일 지지, 중화민국 정부 비판, 중국 문화 홍보를 주요 활동으로 하지만, 조직 범죄 연루 의혹과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 의혹 등으로 사회적 비판을 받으며 강제 해산 추진 중이다.
  • 허베이 대학 동문 - 장췬
    장췬은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시기까지 활동한 군인, 정치인, 외교관으로, 군사 교육을 받고 신해혁명에 참여하여 쑨원을 지지했으며, 국민혁명군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하고 중일 전쟁 시기 후방 지원, 국공내전 시기 평화 협상 참여, 타이완에서 외교 및 대일 관계에 기여했다.
  • 허베이 대학 동문 - 잔푸루이
    잔푸루이는 1954년 베이징에서 태어난 중국의 문학 평론가이자 중국 국가도서관 관장 및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를 역임한 인물로서, 문학 연구와 도서 보존, 사회적 약자 정책 마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중국 문학 연구와 사회 발전에 기여했다.
장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5년 공식 초상화
1955년 공식 초상화
이름장제스
원어 이름蔣介石
로마자 표기Jiǎng Jièshí
출생 이름장루이위안
다른 이름장저우타이
장지칭
장중정
별명대원수
붉은 장군
큰 총
중국의 나폴레옹
출생일1887년 10월 31일
출생지청나라 저장성 시커우
사망일1975년 4월 5일
사망지타이베이, 타이완
안장 장소츠후 영묘, 타오위안, 타이완
국적중국인
정당중국국민당
학력바오딩 육군 군관학교
도쿄 신부 학교
배우자마오푸메이 (1901년–1921년, 이혼)
야오예청 (첩, 1913년–1927년)
천제루 (1921년–1927년)
쑹메이링 (1927년 12월 1일–사망)
자녀장징궈
장웨이궈(양자)
서명
명예 칭호국광훈장
청천백일훈장
보정훈장
경성훈장
경운훈장
운휘훈장
보성훈장
각성사자검
군 복무일본 제국 육군
국민혁명군
중화민국 육군
복무 기간1909년–1975년
계급특급상장
참전 전투신해혁명
북벌
중원대전
시노-티베트 전쟁
쿠물 반란
소련의 신장 침공
중국 내전
중일 전쟁
국민당 이슬람 반란
음성 파일
정치 경력
중화민국 국가 주석1943년 10월 10일–1948년 5월 20일 (대리: 1943년 8월 1일–1943년 10월 10일)
국가 주석 대리1943년 8월 1일–1943년 10월 10일
부주석쑨커
전임 주석린썬
후임 주석직책 폐지
중화민국 총통1950년 3월 1일–1975년 4월 5일
부총통리쭝런
천청
옌자간
전임 총통리쭝런(대리)
후임 총통옌자간
행정원장1930년 12월 4일–1931년 12월 15일
전임 행정원장쑹쯔원
후임 행정원장천밍수(대리)
행정원장 대리1947년 3월 1일–1947년 4월 18일
전임 행정원장 대리쑹쯔원
후임 행정원장 대리장췬
행정원장1935년 12월 9일–1938년 1월 1일
전임 행정원장왕징웨이
후임 행정원장쿵샹시
행정원장1939년 11월 20일–1945년 5월 31일
전임 행정원장쿵샹시
후임 행정원장쑹쯔원
군사위원회 위원장1931년 12월 15일–1946년 5월 31일
전임 위원장직책 신설
후임 위원장직책 폐지
중국국민당 관련 직책
중국국민당 주석1926년 7월 6일–1927년 3월 11일
전임 주석장런제
후임 주석우즈후이 및 리위잉
중국국민당 주석1936년 5월 12일–1938년 4월 1일
전임 주석후한민
후임 주석자신 (총재)
중국국민당 총재1938년 4월 1일–1975년 4월 5일
전임 총재직책 신설
후임 총재장징궈
부총재왕징웨이
천청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Jiǎng Jièshí
Jeang Jiehshyr
Chiang³ Chieh⁴-shih²
Chiúⁿ Kài-se̍k
Jéung Gaai-sehk
Zoeng2 Gaai3-sek6
Cheung Kai-shek
Tsian Ka Zah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Jiǎng Zhōutài
Jeang Joutay
Chiang³ Chou¹-tʻai⁴
Tsian Tseu Tha
Zoeng2 zau1 taai3
Jiǎng Ruìyuán
Jeang Ruey'yuan
Chiang³ Jui⁴-yüan²
Tsian Zoe Yoe
Zoeng2 seoi6 jyun4
Jiǎng Zhìqīng
Jeang Jyhching
Chiang³ Chih⁴-chʻing¹

Zoeng2 zi3 cing1
Jiǎng Zhōngzhèng
Jeang Jongjenq
Chiang³ Chung¹-cheng⁴

Zoeng2 zung1 zing3
Jéung Jūng-jing

2. 생애

장제스는 일생 동안 여러 이름을 사용했으며, 서양에는 주로 광둥어 발음인 '장개석(Chiang Kai-shek)'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1887년 10월 31일 청나라 저장성 닝보시 봉화현 시커우(Xikou) 마을에서 태어났다.[299] 소금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초기에는 전통적인 한학 교육을 받았으나, 이후 신식 학교를 거쳐 군인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

청년기에는 일본으로 유학하여 동경진무학교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고, 일본 제국 육군에서 복무하기도 했다.[174] 이 시기 쑨원(孫文)의 혁명 사상에 영향을 받아 중국동맹회에 가입했으며, 1911년 신해혁명이 발발하자 귀국하여 혁명에 참여했다. 혁명 초기에는 천치메이(陳其美)의 휘하에서 활동하며 군사적 경험을 쌓고 상하이 등지에서 영향력을 키웠다.

1923년 쑨원의 지시로 소련을 방문하여 군사 제도를 시찰했으며, 귀국 후 1924년 광저우에 설립된 황포군관학교 교장에 임명되어 국민혁명군의 기반이 될 군사 인력을 양성했다. 1925년 쑨원 사후, 국민당 내 권력 투쟁을 거치며 점차 지도자의 위치에 올랐다. 1926년 국민혁명군 총사령관으로서 북방 군벌 타도를 목표로 북벌을 개시했다. 북벌 과정 중이던 1927년 4.12 상하이 쿠데타를 일으켜 중국 공산당 세력을 숙청하고 난징에 독자적인 국민정부를 수립했으며, 1928년 베이징을 점령하며 명목상 중국 통일을 이루었다.

1928년 국민정부 주석에 취임하여 이후 약 10년간 중국을 통치했다(난징 십년). 이 시기 그는 반공 정책을 강화하고 내부 군벌 세력과의 중원대전 등을 겪으며 권력을 공고히 하려 했으나, 1931년 만주사변1937년 중일 전쟁 발발로 일본의 침략에 맞서야 했다. 중일 전쟁 기간 동안 수도를 충칭으로 옮기고 연합국의 일원으로 항일 전쟁을 이끌었으며, 1943년 카이로 회담에 참석하여 전후 처리 문제를 논의하는 등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1945년 중일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곧이어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과의 국공 내전이 재개되었다. 1948년 초대 총통에 선출되었으나, 내전에서 패배하여 1949년 중화민국 정부를 이끌고 타이완으로 이전했다.

타이완에서는 1950년 총통직에 복귀하여 사망할 때까지 장기 집권했다. 그는 계엄령 하에 강력한 반공주의 정책을 펼치며 중화민국의 정통성을 주장하고 대륙 수복을 목표로 삼았다. 이 시기 미국의 지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기도 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로 비판받기도 했다. 1969년 교통사고 이후 건강이 악화되었고, 1975년 4월 5일 타이베이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장제스 생애 주요 연표'''
연도내용
1887저장성 봉화현 출생
1902모복매와 결혼
1906보정육군군관학교 입학, 일본 유학 시도
1907동경진무학교 입학
1909일본 제국 육군 복무 (~1911)
1910장남 장징궈 출생, 쑨원과 첫 만남
1911신해혁명 참가
1916장위국을 양자로 입양
1923소련 군사 시찰
1924황포군관학교 교장 취임
1926북벌 개시
1927상하이 쿠데타 단행, 쑹메이링과 결혼
1928국민정부 주석 취임, 명목상 중국 통일
1931만주사변 발발, 국민정부 주석 사임
1936서안 사건 발생
1937중일 전쟁 발발, 수도 충칭 이전
1943국민정부 주석 재취임, 카이로 회담 참가
1945중일 전쟁 승리, 쌍십협정 체결
1946국공 내전 재개
1948초대 총통 취임
1949국공 내전 패배, 타이완으로 이전
1950타이완에서 총통 복귀 (이후 5선 연임)
1969교통사고로 건강 악화
19754월 5일 타이베이에서 사망 (향년 87세)


2. 1. 어린 시절

장제스는 1887년 10월 31일 청나라 저장성 닝보시 봉화현의 시커우(Xikou) 마을에서 태어났다.[299] 그의 집안은 소금 상인으로 비교적 부유했으나, 8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홀어머니 왕채옥(王采玉) 밑에서 자랐다. 장제스는 어머니를 "유교적 미덕의 화신"으로 묘사했으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가문의 명예를 지켜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꼈다고 회고했다.[3] 그는 어린 시절부터 군사 분야에 관심을 보였다.[299]

초기에는 전통적인 한학 교육을 받았으나, 이후 신식 학교에서 서양 학문을 접하며 새로운 사상에 눈을 떴다.[172] 당시 중국은 만주족이 지배하는 청나라 말기의 혼란기로, 군사적 패배, 자연재해, 불평등 조약, 내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장제스는 군인의 길을 걷기로 결심하고, 1906년 보정육군군관학교에서 군사 훈련을 시작했다.

같은 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군사 교육을 이어가고자 했으며, 이 과정에서 쑨원(孫文)의 혁명 운동에 참여하던 천치메이(陳其美) 등과 교류하며 혁명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173] 그는 '만주족을 몰아내고 중국을 회복'하려는 강한 민족주의적 감정을 품게 되었다.[4] 1907년에는 일본의 동경진무학교에 입학했고, 이후 1909년부터 1911년까지 일본 제국 육군에서 복무하며 군사 경험을 쌓았다. 이러한 경험은 훗날 그의 군사 및 정치 활동의 밑거름이 되었다.

2. 1. 1. 출생과 유소년기

보정육군군관학교 재학 시절의 장제스(1907년)


장제스는 1887년 10월 31일 청 제국 절강성(浙江省) 닝보시 봉화현(奉化縣) 계구진(溪口鎮, Xikou)에서 태어났다.[299] 이곳은 닝보 중심부에서 서쪽으로 약 30km 떨어진 곳이다. 그의 본가(本家, Ancestral home)는 장쑤성 이싱(宜興, Yixing)현 허차오(河橋, Heqiao) 마을로, 우시(無錫, Wuxi) 중심부에서 남서쪽으로 약 38km, 태호(太湖) 기슭에서 약 10km 떨어져 있었다. 아버지는 소금과 술을 취급하는 상인 장조총(蔣肇聰, 1842–1895)이었고, 어머니는 그의 세 번째 부인인 왕채옥(王采玉, 1863–1921)이었다.[299] 할아버지 장사천(蔣斯千) 대에 시작한 소금 상업 덕분에 집안은 중산층에 속했다.

장제스의 원래 이름(아명)은 서원(瑞元)이고, 족보 이름은 주태(周泰)이다.[169] 학교에서 사용한 초기 이름(학명)은 지청(志清)이었으나 후에 중정(中正)으로 개명하였고, 자(字)는 계석(介石)이다.[170] 서양에서는 주로 광둥어 발음에 기반한 '장개석(Chiang Kai-shek)'으로 알려져 있다.

장제스가 9살(만 8세) 되던 해 아버지가 갑자기 사망하면서 가정 형편이 어려워졌다.[299] 어머니 왕채옥은 재혼하지 않고 홀로 장제스 남매를 키웠다. 그녀는 독실한 불교 신자였으며, 자녀 교육에 엄격하고 근면한 성격으로, 장제스는 훗날 어머니를 "유교적 미덕의 화신"으로 묘사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가문의 명예가 자신에게 달려있음을 의식했으며, 장난기 많은 아이였지만 군사 분야에 일찍부터 관심을 보였다. 그는 어머니가 주변의 불량배나 지방 유력자들에게 시달리는 모습을 보며 정의감과 불굴의 정신을 키웠다고 회고했다.[3]

6세부터 16세까지 고향의 여러 사숙(私塾)을 다니며 전통 한학을 공부했다. 8세에 《대학》과 《중용》을 읽기 시작했고, 13세에는 《상서》와 당시(唐詩)를, 14세에는 《역경》(易經)을, 15세에는 《좌전》(左傳)을 읽고 책론(策論)을 배웠으며, 16세에는 모사성(毛思誠) 문하에서 《좌전》을 다시 배우고 《통감》(通鑑)을 공부했다. 이러한 전통 학문 소양은 훗날 그의 민족주의 성향과 중국 전통 가치 중시 사상의 바탕이 되었다.[299]

14세가 되던 1901년(일부 기록에는 1902년), 당시 관행에 따라 어머니가 정해준 5살 연상의 마오푸메이(毛福梅, 모복매, 당시 19세)와 결혼했다.[299][172] 그녀는 훗날 장남 장징궈(蔣經國, 장경국, 1910년 출생)와 딸 장젠화(蔣建華)를 낳았다.

17세인 1904년부터 신식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 펑화현의 봉록학당(鳳麓學堂)에서 영어, 산술, 이화학 등을 배웠고, 이듬해 닝보(寧波)의 전금학당(箭金學堂)으로 전학하여 서양 법률 등을 공부했다.[299][172] 이곳에서 혁신적 사상을 가진 스승 가오칭롄(高淸廉)을 만나 쑨원(孫文, 손문)의 혁명 운동과 서구 문물에 대해 듣고 쑨원을 존경하게 되면서 혁명에 투신할 뜻을 품고 일본에서 군사학을 배우기로 결심했다.[299] 1906년 초, 장제스는 청나라 남성들의 상징이었던 상투(Queue)를 잘라 집으로 보내 고향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1906년 4월,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진무학교(東京振武學校) 입학을 시도했으나, 당시 보정육군속성학당(保定陸軍速成學堂) 관계자만 입학이 허용되었기에 실패했다. 그러나 이 시기 쑨원이 이끄는 중국동맹회(中國同盟會)의 핵심 인물이자 혁명 활동가였던 천치메이(陳其美, 진기미)를 만나 교류하며 혁명 운동에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했다.[173] 같은 해 겨울 귀국하여 보정육군속성학당에 입학해 군사 교육을 받았다.

이듬해인 1907년 7월, 다시 일본으로 유학하여 동경진무학교에 입학했다. 2년간의 교육 과정을 마친 후, 1909년부터 1911년까지 일본 제국 육군 제13사단 예하 야포병 제19연대(니가타현 고다 주둔)에서 사관후보생으로 근무했다.[174] 그는 이때 경험한 일본군 병영 생활이 중국 군사 교육의 근간이 되어야 한다고 회고했다.[175]

1910년은 장제스에게 중요한 해였다. 3월에는 장남 장징궈가 태어났고,[176] 6월에는 도쿄에서 천치메이의 소개로 쑨원과 처음 만났다. 이 자리에서 장제스는 자신이 중국동맹회 회원임을 밝히고 혁명에 군사적으로 기여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당시 쑨원은 장제스를 "혁명의 실행자"는 될 수 있겠으나 "혁명의 지도자" 감으로는 생각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176]

1911년 10월 10일, 무창기의가 발발하자(신해혁명) 천치메이로부터 귀국 요청을 받았다. 그는 부대장의 허가 없이 부대를 이탈하여 상하이행 배를 타고 귀국길에 올랐다. 10월 30일 상하이에 도착한 장제스는 천치메이 휘하에서 활동하며 항저우 점령 작전에 투입되었다. 120명의 결사대를 이끌고 항저우를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절강성의 독립 선포에 기여했는데, 이는 그의 첫 전투 경험이었다.[177][178] 이후 상하이 도독이 된 천치메이는 장제스를 상하이로 불러들여 호군(滬軍) 제1사 부사장 겸 제1단 단장으로 임명했다. 이 시기 장제스는 천치메이 및 황푸(黃郛, 황부)와 의형제를 맺으며 신뢰 관계를 구축했다.

1912년 초, 천치메이의 정적이었던 타오청장(陶成章, 도성장) 암살 사건에 연루되었다. 장제스가 직접 암살에 가담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천치메이를 위해 책임을 자처했다는 설이 있다.[179] 천치메이는 장제스의 이러한 호전적인 성향을 군 지휘관에게 필요한 자질로 여겨 그를 높이 평가했다.

1912년 1월 1일 중화민국이 건국되고 쑨원이 임시대총통에 취임했으나, 곧 위안스카이(袁世凱, 원세개)에게 총통직을 넘겨주는 등 정국이 급변했다. 이 시기 장제스는 3월부터 12월까지 다시 일본에 머물며 군사 잡지 《군성》(軍聲)을 발행했다. 그는 잡지에 기고한 글에서 군사와 정치의 통일 필요성 및 이를 이끌 지도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80]

2. 1. 2. 청년기

일본 유학 시절의 장제스


장제스는 1887년 10월 31일 중국 저장성 닝보시 봉화현 시커우(Xikou) 마을에서 태어났다.[169] 이곳은 닝보 중심부에서 서쪽으로 약 30km 떨어진 곳이다. 그의 본가(本家)는 장쑤성 이싱현 허차오(Heqiao) 마을에 있었다. 아버지는 소금과 술을 취급하는 상인 장조총(蔣肇聰)이었고, 어머니는 왕채옥(王采玉)이었다. 집안은 비교적 부유했으나, 아버지는 장제스가 9세(만 8세) 때 사망하여 이후 어머니 손에서 자랐다. 당시 중국의 봉건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모자 가정의 생활은 어려웠으며, 장제스는 어머니가 "이웃 불량배와 지방 유력자들의 잔혹한 착취에 시달렸다"고 회고했다.[3] 그는 어머니를 "유교적 미덕의 화신"으로 묘사하며, 가문의 명예를 짊어져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꼈다고 한다. 어린 시절 장난기 많은 아이였으나 군사에 관심을 보였다. 어머니의 교육열 덕분에 6세부터 사숙과 가정교사에게서 중국 고전을 배웠고, 1904년부터는 봉화의 봉록학당과 닝보의 전금학당에서 영어, 수학, 서양 법률 등 신식 학문을 접했다.[172] 1902년, 14세의 나이에 모복매(당시 19세)와 결혼했다. 1906년 초에는 청나라 남성들에게 요구되던 상투를 잘라 집으로 보내는 등 변화하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장제스가 청소년기를 보낸 시기는 중국 군벌의 할거와 외세의 침입으로 국가적 혼란이 극심했던 때였다. 군인의 길을 가기로 결심한 장제스는 1906년 4월 보정육군군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 교육을 받았다. 같은 해 일본 유학을 시도했으나, 동경진무학교 입학 자격 미비로 바로 입학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 시기 일본에서 쑨원이 이끄는 중국동맹회의 일원이자 혁명 운동가인 천치메이를 만나 교류를 시작했다.[173] 이는 장제스가 혁명 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907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진무학교에 입학하여 1909년까지 수학했다. 졸업 후 일본육군사관학교에는 입학하지 못하고, 1909년부터 1911년까지 일본 제국 육군에서 복무했다. 그는 니가타현 고다의 제13사단 야포병 제19연대에서 사관후보생으로 근무하며 일본군의 병영 생활을 경험했고, 이를 훗날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중국 군사 교육의 근간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했다.[175] 1910년에는 장남 장징궈가 태어났으며, 같은 해 6월 도쿄에서 망명 중이던 쑨원을 처음 만나 혁명에 군사적으로 기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176]

장제스와 쑨원


1911년 10월 신해혁명우창 봉기 소식을 접한 장제스는 복무 중이던 일본군 부대를 무단 이탈하여 중국으로 귀국, 혁명군에 가담했다. 그는 천치메이의 지휘 아래 상하이와 항저우 등지에서 활동했다. 특히 항저우 점령 작전에서는 120명의 결사대를 이끌고 전투를 치렀는데, 이는 그의 첫 실전 경험이었다. 그는 죽음을 각오하고 어머니와 아내, 아들에게 유서를 남기기도 했다.[178] 항저우 함락 후 상하이로 돌아와 천치메이의 두터운 신임을 얻었으며, 황복(黃郛) 등과 의형제를 맺었다. 이 시기 장제스는 천치메이의 정적이었던 도성장 암살 사건(1912년)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살에 직접 가담했는지는 불분명하나, 천치메이의 부담을 덜기 위해 책임을 자처했다는 설도 있다.[179] 또한 상하이 활동 중 지하 범죄 조직인 청방과도 관계를 맺었다.

1912년 1월 1일 난징에서 중화민국의 건국이 선포되었고, 쑨원이 임시대총통에 올랐다. 2월 12일 선통제가 퇴위하고 청나라가 멸망하면서 국민당이 창설되자 장제스는 창립 멤버가 되었다. 그러나 위안스카이가 권력을 장악하고 1913년 제2차 혁명이 실패로 돌아가자, 장제스는 다른 국민당 동료들처럼 일본 망명과 상하이 조계를 오가며 활동했다. 1912년에는 잠시 일본으로 건너가 군사 잡지 《군성(軍聲)》을 발행하며 군사 및 정치 통일의 중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180] 1916년 의형제였던 천치메이가 위안스카이 측에 의해 암살되자, 장제스는 상하이에서 그의 뒤를 이어 중국혁명당의 지도자 역할을 맡게 되었다.

2. 2. 황포군관학교 교장 시절

1920년대 초 장제스


소련의 지원을 받은 황포군관학교 개교식에서 쑨원과 장제스


쑨원은 1923년 초 운남 출신 용병과 코민테른의 도움으로 다시 광저우를 장악했다. 그는 국민당 개혁을 추진하며 중국을 국민당 지휘하에 통일하려는 혁명 정부를 수립했다. 같은 해 쑨원은 장제스를 모스크바로 보냈고, 장제스는 3개월 동안 소련의 정치 및 군사 체제를 연구했다. 장제스는 트로츠키와 다른 소련 지도자들을 만났지만, 러시아 정부 모델이 중국에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장제스는 나중에 그의 장남 장징궈를 러시아로 유학 보냈다. 1927년 아버지가 제1차 국공합작에서 이탈한 후, 장경국은 1937년까지 인질로 러시아에 남아 있었다. 장제스는 장개석 일기에 "아들의 이익을 위해 나라의 이익을 희생할 가치는 없다"라고 적었다.

1924년 장제스가 귀국하자 쑨원은 그를 황포군관학교 교장으로 임명했다. 장제스는 코민테른과 쑨원의 긴밀한 협력에 반대하여 한 달 만에 사임했지만, 쑨원의 요청으로 돌아와 저우언라이를 정치위원으로 받아들였다. 황포군관학교 초기, 장제스는 국민당과 자신에게 충성하는 젊은 장교들을 육성할 수 있었다.

권력 상승 과정에서 장제스는 쑨원도 속해 있던 민족주의 단체 천지회 회원이었던 것으로부터도 이익을 얻었고, 이는 그가 국민당을 이끄는 동안 지속적인 지원의 원천이 되었다.[9]

장제스(오른쪽)와 왕징웨이(왼쪽), 1926년


쑨원은 1925년 3월 12일에 사망하여[10] 중국국민당 내에 권력 공백을 남겼다. 왕징웨이, 랴오중카이, 후한민 사이에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 8월, 랴오중카이가 암살당하고 후한민은 암살자들과의 연루 혐의로 체포되었다. 광저우 정권의 주석으로 쑨원의 뒤를 이은 왕징웨이는 우세한 듯 보였으나 광저우 쿠데타 이후 장제스에 의해 망명을 강요당했다. 쑨원을 기리는 의미로 중산함으로 개명된 SS ''Yungfeng''호는 장저우섬[11]에 나타났는데,[11] 이곳은 황푸 군관학교가 있던 곳이었다. 배의 출현은 허위 명령에 따른 것으로 보였으며, 장제스의 위치를 확인하려는 일련의 이상한 전화 통화가 있었다. 장제스는 처음에는 광둥성에서 도망칠 것을 고려했고 심지어 일본 증기선을 예약하기도 했지만, 이후 군부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1926년 3월 20일 계엄령을 선포하고 국민혁명군, 군관학교 및 당에 대한 공산당 및 소련의 영향력을 진압하기로 결정했다. 당의 우익은 그를 지지했고, 소련의 영향력을 유지하기를 간절히 원했던 조세프 스탈린은 그의 부하들에게 장제스의 요구를 수용하도록 했다. 즉, 국민당 지도부 내 공산당의 영향력 축소를 대가로 특정한 다른 양보를 하도록 한 것이다. 지도부의 신속한 교체를 통해 장제스는 5월 15일 이후 군부에 대한 민간의 감독을 효과적으로 종식시켰지만, 군의 지역적 구성과 분열된 충성심으로 인해 그의 권위는 다소 제한적이었다.

1926년 6월 5일, 그는 국민혁명군(NRA)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7월 27일 마침내 쑨원이 오랫동안 지연시켰던 북벌을 시작하여 북방의 군벌들을 정복하고 중국을 국민당 통치 아래 통일하려 했다.

2. 3. 국민혁명과 북벌

1925년 3월 12일 쑨원이 사망하자[10] 중국국민당 내에는 권력 공백이 발생했고, 왕징웨이, 랴오중카이, 후한민 사이에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 같은 해 8월 랴오중카이가 암살되고 후한민이 연루 혐의로 체포되면서 왕징웨이가 유리한 고지를 점하는 듯했으나, 이듬해 발생한 중산함 사건(광저우 쿠데타) 이후 장제스에 의해 망명길에 오르게 되었다.

1926년 3월 20일, 쑨원을 기리기 위해 중산함으로 이름이 바뀐 군함(구 융펑함)이 황푸 군관학교가 위치한 장저우 섬[11] 인근에 나타났다.[11] 이 사건은 허위 명령에 따른 것으로 보였으며, 장제스의 소재를 파악하려는 의심스러운 전화 통화가 이어졌다. 장제스는 처음에는 광둥성을 떠나려 했으나, 이내 군부 내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해 계엄령을 선포하고 당내 중국 공산당 및 소련 고문단의 영향력을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국민당 우파는 장제스를 지지했고,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 역시 중국 내 영향력 유지를 위해 장제스의 요구(공산당원의 고위직 배제 등)를 수용하도록 지시했다. 이 쿠데타를 통해 장제스는 군부에 대한 당의 통제를 약화시키고 자신의 권력을 크게 강화했지만, 군 내부의 지역주의와 파벌로 인해 완전한 장악에는 한계가 있었다.

1926년 6월 5일, 장제스는 국민혁명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7월 27일, 쑨원의 오랜 숙원이던 북벌을 개시했다. 북벌의 목표는 북양 군벌들을 타도하고 중국을 국민당의 통치 아래 통일하는 것이었다. 국민혁명군은 세 갈래로 나뉘어 진군했는데, 왕징웨이가 이끄는 부대는 서쪽으로 우한을 향했고, 백숭희 부대는 동쪽으로 상하이를 목표로 했으며, 장제스 자신은 중간 경로를 맡아 난징을 점령한 뒤 최종적으로 베이징을 점령할 계획이었다.

1927년 1월, 왕징웨이와 국민당 좌파 세력은 미하일 보로딘 등 소련 고문의 지원을 받아 우한을 점령하고, 그곳을 새로운 국민정부의 수도로 선포하며 장제스의 난창 군사령부와 대립각을 세웠다. 장제스는 이에 맞서 1927년 4월 12일, 상하이에서 4.12 사건을 일으켜 공산당원 및 노조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을 감행했다. 이 사건은 전국적인 백색 테러로 확산되어 수많은 공산당원과 좌파 인사들이 학살당했으며, 상하이에서만 12,00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3] 이 숙청으로 공산당 세력은 도시 지역에서 큰 타격을 입고 농촌 지역으로 활동 기반을 옮기게 되었다. 이후 1년 동안 국민당에 의해 살해된 사람은 30만 명이 넘는다는 주장도 있으며,[14] 백색 테러 전체 희생자 규모는 수백만 명에 이를 수 있다는 추정도 있지만 정확한 수치는 확인되지 않는다.[15] 아이러니하게도 장제스는 숙청 이후 소련 고문 미하일 보로딘과 소련 장군 바실리 블류헤르가 안전하게 중국을 떠나도록 허용했다.[16]

장제스와 펑위샹 1928년


장제스는 난징에 독자적인 국민정부를 수립하고, 후한민을 비롯한 보수파의 지지를 등에 업고 공산당 및 소련 고문 축출에 나서면서 제1차 국공 내전의 서막을 열었다. 왕징웨이의 우한 정부는 군사적으로 열세였고, 결국 리쭝런 등 신계계 군벌의 지원을 받은 장제스에게 흡수되었다. 왕징웨이와 좌파 세력은 장제스에게 항복하고 난징 정부에 합류했다. 그러나 공산당 숙청 이후 장제스와 전통적인 우파 세력인 서산회의파 사이에도 균열이 발생했고, 장제스는 결국 후한민을 연금하기도 했다.

국민혁명군은 북진을 계속하여 남중국과 중부 지역을 장악했으나, 산둥성에서 주둔 중이던 일본군과 충돌하며 제남 사건(1928년)이 발생하는 등 난관에 부딪혔다. 국제적 정통성 확보를 위해 베이핑 점령이 필수적이었던 장제스는 1928년 장쭤린황고둔 사건으로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장쉐량동북역치를 통해 국민당 정부에 합류하기로 결정하면서 베이징을 손에 넣을 수 있었다. 펑위샹옌시산의 군벌 연합으로부터 베이핑을 확보하고 옌시산이 점령하면서 북벌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고, 장제스는 명목상 중국을 통일하며 군벌 시대의 종식을 선언했다.

그러나 통일은 잠정적이었다. 1929년 군축 회의 직후, 북벌 과정에서 협력했던 옌시산, 펑위샹, 리쭝런, 장쉐량 등은 장제스에게 등을 돌리고 반장(反蔣) 연합을 결성하여 난징 정부의 정통성에 도전했다. 이어진 중원대전(1930년)에서 장제스는 약 25만 명의 사상자를 내는 등 막대한 인적, 물적 손실을 입었지만 결국 승리하여 국민당 내 권력을 공고히 했다. 이 전쟁은 국민당 정부를 거의 파산 직전으로 몰아넣었다.

권력 강화 과정에서 장제스는 쑨원의 공식 후계자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힘썼다. 1927년 12월 1일, 그는 쑨원의 처제이자 쑹칭링의 여동생인 쑹메이링과 결혼했다. 이는 정치적으로 중요한 결합이었으며, 장제스는 결혼을 위해 본처와 이혼하고 기독교를 받아들이겠다고 약속한 뒤 실제로 세례를 받았다. 그의 개종이 정치적 계산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그의 일기 연구에 따르면 그의 신앙심은 깊었으며 기독교가 유교적 가치를 보완한다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북벌 완료 후 장제스는 베이핑에 있던 쑨원의 시신을 난징으로 옮겨 중산릉에 안장하며 후계자로서의 정통성을 과시했다.

북벌 기간 동안 장제스는 서방과 소련 양측에서 복합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소련은 초기 북벌을 지원하며 그를 "붉은 장군"으로 칭하기도 했고, 모스크바 쑨원 대학에는 그의 초상화가 걸렸으며, 5·1절 퍼레이드에서는 마르크스, 레닌, 스탈린 등 공산주의 지도자들의 초상화와 함께 장제스의 초상화가 등장하기도 했다. 반면 서방, 특히 상하이의 미국 영사관 등은 북벌군의 빠른 진격과 장제스의 부상에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17]

3. 중화민국 국민정부 주석

카이로 회담. 왼쪽부터 장제스, 루스벨트, 처칠


유엔 헌장에 서명하는 장제스(1945)


1931년 만주사변 이후 국민정부 주석직에서 잠시 물러났다가 복귀한 장제스는 중국 공산당 세력 소탕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추진했으나, 이는 일본의 침략에 소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1936년 시안 사건으로 인해 제2차 국공합작이 이루어지면서 항일 전쟁 국면으로 전환되었다.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장제스는 수도를 난징에서 우한, 다시 충칭으로 옮기며 장기 항전을 이끌었다. 전쟁 초기 상하이 전투 등에서 큰 손실을 입었으나, 중국의 끈질긴 저항은 일본의 단기 점령 계획을 좌절시켰다. 그러나 전쟁 과정에서 황허 제방 파괴나 창사 대화재와 같은 초토화 작전으로 인해 막대한 민간인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태평양 전쟁 발발 후 중국은 연합국의 일원이 되었고, 장제스는 중국 전구 최고사령관을 맡는 등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 1943년 11월에는 미국루스벨트, 영국처칠과 함께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카이로 회담에 참석하여 전후 처리 문제를 논의했다. 이 회담에서 장제스는 한국의 독립 문제를 제기하여 "적당한 시기에 한국을 독립시킨다"는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다.[301] 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그의 지원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외교적 성과였다. 김구는 장제스가 카이로 회담에서 한국 독립을 주장한 배경에 윤봉길 의거가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302]

전쟁 기간 동안 장제스는 미국의 지원을 받았으나, 조지프 스틸웰 장군 등 미군 관계자들과의 갈등, 국민당 내부의 부패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특히 1944년 일본의 일호 작전 공세에 국민당군이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그의 지도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39][35]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했으나, 국민당 정권 내부의 부패는 더욱 심화되었다. 전후 처리 과정에서 미국의 지원에 의존하며 점령 지역을 회복하려 했으나, 국민당 관리들의 부패와 비효율적인 행정은 민심 이반을 초래했다.[39] 곧이어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과의 국공 내전이 재개되었고, 1949년 결국 패배하여 정부를 타이완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타이완으로 건너간 후에도 국민당 지도자들과 함께 정부를 재건하고 중국 대륙에 대한 반격을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3. 1. 주석 취임 초기

1930년대 중국 전역을 명목상 통치했던 난징의 국민당 정부


1931년 4월, 장제스는 장학량과 마복상 장군과 함께 난징에서 열린 전국 지도자 회의에 참석하여 일본의 침략에 맞서 만주중국 영토임을 주장했다. 그러나 같은 해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장제스는 국민정부 주석직에서 사퇴했다. 그는 곧 복귀하여 "내부 평정 후 외부 저항"(攘外必先安內)이라는 구호를 내걸었다. 이는 일본과의 전면전을 피하고 반공 진압을 우선시하는 정책이었으며, 이로 인해 광범위한 비판과 전국적인 항의 시위를 불러일으켰다.[53]

1932년, 장제스가 공산당 토벌에 집중하려 할 때, 일본은 일이팔사변을 일으켜 상하이를 공격하고 난징을 폭격했다. 이는 장제스의 공산당 공격 계획을 일시적으로 방해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충돌에서 일본군에 맞서 주로 싸운 것은 허한민의 광둥 정부 북부 파벌, 특히 19로군이었다. 전투 직후 국민혁명군에 편입된 19로군은 장제스 휘하에서 짧은 활동을 마감했다.

1936년 12월, 장제스는 서안으로 이동하여 연안으로 후퇴한 홍군과 중국 공산당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을 조율하고자 했다. 하지만 그의 동맹 사령관이었던 장학량은 자신의 부대가 공산당 공격에 동원되는 것과 최근 일본에게 침략당한 고향 만주의 상황을 고려하여 공산당 공격에 반대했다. 결국 12월 12일, 장학량과 양호성 등 다른 국민당 장군들은 시안사변으로 알려진 사건을 일으켜 장제스를 2주 동안 구금했다. 그들은 장제스에게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 공산당과 제2차 국공합작을 결성하도록 강요했다. 장제스를 석방하고 그와 함께 난징으로 돌아온 장학량은 가택 연금에 처해졌고, 그를 도왔던 다른 장군들은 처형되었다. 제2차 국공합작은 장제스에게는 명목상의 약속에 불과했으며 1941년 사실상 와해되었다.

3. 2. 중일 전쟁과 국공합작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장제스는 국민정부 주석직에서 잠시 사퇴했으나 곧 복귀하여 "내부 평정 후 외부 저항(先安內 後攘外)"이라는 구호를 내걸었다. 이는 중국공산당 세력을 먼저 제거한 뒤 일본의 침략에 맞서겠다는 방침이었으나, 일본과의 전면전을 피하고 공산당 소탕을 우선시하는 그의 정책은 광범위한 비판과 전국적인 항의를 불러일으켰다.[53] 장제스가 공산당 토벌에 집중하던 1932년, 일본은 일이팔사변을 일으켜 상하이를 공격하고 난징을 폭격했다. 이로 인해 공산당 공격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으나, 이 전투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운 것은 주로 광둥 정부 북부 파벌(특히 19로군)이었다. 전투 후 국민혁명군에 편입된 19로군은 사회주의적 경향을 보인다는 이유로 곧 해산되었다.

계속되는 토벌전으로 중국공산당은 주요 근거지였던 장시 소비에트를 잃고, 홍군은 중국 대륙을 가로지르는 필사적인 후퇴 작전인 장정을 감행했다. 장제스는 옌안을 중심으로 새로운 근거지를 마련한 공산당에 대한 총공격을 준비하고 있었다.

장제스와 그의 부인 쑹메이링, 스틸웰


그러나 1936년 12월 12일, 장제스의 부하이자 동북군 사령관이었던 장쉐량시안 사건을 일으켰다. 장쉐량은 자신의 부대가 공산당 토벌에 동원되는 것과 일본에게 고향인 만주를 빼앗긴 상황을 고려하여 공산당 공격에 반대했다. 장쉐량과 양후청 등 다른 국민당 장군들은 시안에서 장제스를 2주간 감금하고,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 공산당과 협력할 것을 강요했다. 결국 장제스는 제2차 국공 합작 결성에 동의하며 풀려났고, 이로써 항일 전쟁 국면으로 전환되었다. 장쉐량은 장제스와 함께 난징으로 돌아왔으나 이후 가택 연금에 처해졌고, 시안 사건에 가담했던 다른 장군들은 처형되었다. 제2차 국공 합작은 명목상의 약속에 그쳤으며, 1941년 신사군 사건 이후 사실상 와해되었다.

중일전쟁 발발 후, 잡지 《량유(良友)》 표지에 장제스가 등장했다.


1937년 7월, 일본의 침략으로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장제스는 공산당 섬멸 작전을 중단하고 국공 합작을 통해 일본군에 맞서 싸우게 되었다. 8월에는 정예 병력 60만 명을 투입하여 상하이 전투를 벌였으나, 20만 명이 넘는 사상자를 내고 패배했다. 이 전투에서 장제스는 황푸군관학교 출신 정예 장교들을 다수 잃었지만, 일본이 단기간에 중국을 정복할 수 있다는 예상을 깨뜨리고 서방 세계에 항전 의지를 보여주었다. 12월에는 수도 난징이 함락되고 난징 대학살이 발생했다. 장제스는 국민정부를 우한으로, 이후 다시 충칭으로 옮기며 항전을 이어갔다.

주요 경제 및 산업 중심지를 상실한 장제스는 내륙으로 후퇴하며 일본군의 보급선을 길게 늘어뜨리고 광활한 중국 내륙에서 장기전을 펼치는 전략을 택했다. 이 과정에서 초토화 전술(scorched-earth tactics)을 승인하여 많은 민간인 피해를 야기했다. 1938년 정저우에서 후퇴할 당시, 국민혁명군은 일본군의 진격을 늦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황허 제방을 파괴했다. 이로 인해 발생한 1938년 황하 홍수는 약 80만 명에서 100만 명의 사망자를 냈고,[54] 40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54] 장제스와 국민당 정부는 재난 구호에 미흡한 모습을 보였다.[54] 같은 해 가을, 일본군이 우한을 점령하자 국민당 정부는 충칭으로 다시 이전했다. 충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국민당군은 초토화 정책의 일환으로 1938년 창사 대화재를 일으켰다. 이 화재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고 약 2만 명의 민간인이 사망했으며 수십만 명이 집을 잃었다. 시민들에게 사전 경고 없이 화재가 발생했으며, 국민당은 조직적인 실수였다고 주장하며 현지 사령관 3명에게 책임을 물어 처형했다. 이 사건은 국민당에 대한 국민적 지지 상실에 영향을 미쳤다.[55]

1939년, 무슬림 지도자 이사 유수프 알프테킨과 마 푸량은 장제스의 지시로 이집트, 터키, 시리아 등 여러 중동 국가에 파견되어 일본과의 전쟁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고 무슬림에 대한 장제스의 지지를 표명했다.[56]

만주국과 중국 동부 해안 대부분을 장악한 일본은 왕징웨이를 난징 주변 점령 지역의 괴뢰 통치자로 내세웠다. 왕징웨이는 행정원 원장 겸 주석을 자처하며 반 장제스, 반 공산주의 세력을 규합했다. 그는 2차 세계대전 종전 1년 전인 1944년에 사망했다.

후이족 희도당은 국민당 집권 후 충성을 맹세했고, 후이족 장군 백충희1941년 충칭에서 장제스에게 희도당 교주 마밍런을 소개했다.[57]

전쟁 기간 동안 장제스는 김구, 김규식, 김원봉, 조소앙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과 꾸준히 접촉하며 임시정부와 조선의용대를 지원했다. 1941년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을 비롯한 연합국이 일본에 선전포고하면서 중국은 연합국의 일원으로 참전하게 되었다. 이전 4년 동안 중국은 단독으로 일본과 싸우고 있었다.

1943년 11월 이집트 카이로에서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윈스턴 처칠과 함께한 장제스


1942년 장제스는 중국 북서부의 신장, 감숙, 닝샤, 산시, 칭하이를 순방하며 무슬림 장군 마부칭, 마부팡, 마홍빈, 마홍쿠이 등을 만났다.[58] 또한 티베트와의 국경 분쟁이 발생하자 마부팡에게 티베트 독립 운동을 막기 위해 유슈 공항을 수리하도록 명령하고,[59] 티베트 침공에 대비하여 병력을 대기시키라고 지시했다.[60] 티베트인들이 일본과 협력할 경우 공중 폭격을 가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 마부팡은 1941년 티베트 불교 찬스 수도원을 공격했으며,[62] 라브랑 수도원을 지속적으로 공격했다.[63]

태평양 전쟁 발발 후 중국은 연합국의 주요 구성원이 되었고, 장제스는 중국 전구 연합군 최고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미국에서는 장제스와 그의 부인 쑹메이링이 기독교 신앙과 민주주의 가치를 내세우며 차이나 로비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장제스는 1942년 대영제국 훈장 기사 대십자 훈장을 받았다.[64] 1943년에는 카이로 회담에 참석하여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윈스턴 처칠과 함께 전후 처리 문제를 논의했다. 이 회담에서 루스벨트는 장제스에게 전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통치를 제안했으나, 장제스는 이를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68]

장제스와 윈스턴 처칠


그러나 미국과의 관계는 순탄치만은 않았다. 중국에 파견된 미군 고문 조셉 스틸웰 장군은 장제스와 국민당 군대의 무능과 부패를 강하게 비판했다.[65] 1944년 미 육군 항공대가 중국 본토 기지에서 일본 본토를 폭격하기 위한 매터호른 작전을 개시했을 때, 장제스 측근들의 부패 문제가 불거졌다. 스틸웰은 공군 기지 건설 자금 1억달러 중 절반 이상이 국민당 관리들에게 횡령되었다고 추산했다.[66] 같은 해 일본의 일호 작전 공세에 국민당군이 연이어 패배하면서 장제스의 군사적 무능함이 부각되었고,[39] 이는 루스벨트 행정부 내에서 장제스와 국민당에 대한 평가를 크게 떨어뜨렸다.[35] 장제스는 패배의 원인이 스틸웰이 너무 많은 중국군 병력을 버마 전역에 투입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39] 내부적으로는 자금 문제와 관련하여 쑹메이링과 측근들의 부패가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장제스는 전쟁 중 중국 내 소련과 미국의 영향력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그는 미국에게 소련과의 회담 참여를 환영한다고 하면서도, 비밀리에 소련에게는 미국의 입장이 중요하지 않다고 전했다. 또한 소련의 영향력 확대에 맞서 미국의 지원과 군사력을 이용하려 했다.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는 중일전쟁 중 중국의 낙태 관련 법률을 강화했다.[67] 1945년, 장제스는 백인과 중국인 간의 혼인을 장려하여 우수한 형질을 결합하려는 우생학적 인구 정책을 채택했으나 성공적으로 시행되지는 못했다.[67]

막대한 피해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끝까지 항전했고, 중국과의 전쟁에서 발이 묶인 일본은 결국 연합국에 항복했다. 이로써 중국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이자 4대 강대국의 하나로 인정받게 되었다. 일본 항복 후, 장제스는 점령 지역 회복을 위해 미국의 지원에 의존해야 했다.[39] 그러나 국민당 관리들의 부패와 약탈, 비효율적인 행정은 국민당의 정당성을 훼손했다.[39]

전쟁 후 장제스는 루한 장군 지휘 하에 20만 명의 병력을 북부 인도차이나(북위 16도 이북)에 파견하여 일본군의 항복을 받았다.[69] 중국군은 1946년 프랑스군이 복귀할 때까지 주둔하며 중국 국민당의 베트남 지부인 베트남 국민당(VNQDD)을 이용하여 영향력을 확대하고 반대 세력을 압박했다.[71] 장제스는 프랑스와 호찌민 세력 간의 갈등을 이용하여 프랑스에 평화 협정을 압박했고, 프랑스가 중국 내 모든 조차지를 포기하고 치외법권을 포기하는 대가로 중국군의 철수와 프랑스군의 북부 인도차이나 재점령을 허용했다.[72] [73] [74] [75] 1946년 3월 프랑스군이 하이퐁에 상륙하면서 중국군은 철수를 시작했다.

3. 3. 태평양 전쟁 전후



1931년 4월, 장제스는 장학량과 마복상 장군과 함께 난징에서 열린 전국 지도자 회의에 참석하여 일본의 침략에 맞서 만주가 중국 영토임을 단호하게 주장했다. 같은 해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장제스는 국민정부 주석직에서 사퇴했으나 곧 복귀하여 "내부 평정 후 외부 저항"(攘外必先安内)이라는 구호를 내걸었다. 그러나 일본과의 전면전을 피하고 중국 공산당 소탕을 우선시하는 그의 정책은 광범위한 비판을 받았고 전국적인 항의 시위를 불러일으켰다.[53] 1932년 장제스가 공산당 토벌에 집중하려 할 때, 일본은 일이팔사변을 일으켜 상하이를 공격하고 난징을 폭격했다. 이로 인해 장제스의 공산당 공격은 잠시 중단되었으나, 이 소규모 충돌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운 것은 주로 허한민의 광둥 정부 북부 파벌, 특히 19로군이었다. 전투 직후 국민혁명군에 편입된 19로군은 사회주의적 경향을 보인다는 이유로 곧 해산되었다.

1936년 12월, 장제스는 옌안으로 후퇴한 홍군과 중국 공산당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을 조율하기 위해 시안으로 갔다. 그러나 그의 휘하 사령관인 장학량은 자신의 부대가 공산당 공격에 동원되는 것과 최근 일본에게 침략당한 고향 만주를 생각해 공산당 공격을 지지하지 않았다. 12월 12일, 장학량과 양호성 등 다른 국민당 장군들은 시안 사건을 일으켜 장제스를 2주간 감금했다. 그들은 장제스에게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 공산당과 제2차 국공합작을 맺도록 강요했다. 장제스를 석방하고 난징으로 함께 돌아온 장학량은 가택 연금에 처해졌고, 그를 도왔던 장군들은 처형되었다. 제2차 국공합작은 장제스에게 명목상의 약속에 불과했으며 1941년에는 사실상 와해되었다.

중일전쟁은 1937년 7월에 발발했고, 8월 장제스는 정예 병력 60만 명을 투입하여 상하이 전투에서 상하이를 방어했다. 이 전투에서 중국군은 20만 명이 넘는 사상자를 냈고, 장제스는 황푸군관학교 출신 정예 장교들을 상당수 잃었다. 군사적으로는 패배했지만, 이 전투는 일본이 3개월 안에 중국을 정복할 수 있다는 주장을 무너뜨렸고, 서방 열강에게 중국이 계속 싸울 것임을 보여주었다. 12월에는 수도 난징이 일본군에게 함락되어 난징 대학살이 벌어졌다. 장제스는 정부를 우한으로, 이후에는 충칭으로 옮겼다.

중국의 주요 경제 및 산업 중심지를 잃은 장제스는 내륙으로 후퇴하며 일본군의 보급선을 길게 늘이고 광활한 중국 내륙에 일본군을 묶어두는 전략을 택했다. 장기전 전략의 일환으로, 그는 초토화 전술(scorched-earth tactics)을 승인했는데, 이는 수많은 민간인 희생을 낳았다. 국민혁명군이 정저우에서 후퇴할 당시, 일본군의 진격을 늦추기 위해 정저우 주변의 황하 제방을 의도적으로 파괴했다. 이로 인해 발생한 1938년 황하 대홍수는 80만 명에서 100만 명에 달하는 사망자를 냈고,[54] 40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54] 장제스와 국민당 정부는 재난 구호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54]

격렬한 전투 끝에 일본군은 1938년 가을 우한을 점령했고, 국민당 정부는 더 내륙인 충칭으로 후퇴했다. 충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국민당군은 초토화 정책의 일환으로 창사 대화재를 고의로 일으켰다. 이 화재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고 약 2만 명의 민간인이 사망했으며 수십만 명이 집을 잃었다. 조직적인 실수(라고 주장되었다)로 인해 시민들에게 사전 경고 없이 화재가 발생했다. 국민당은 결국 이 화재의 책임을 현지 사령관 3명에게 돌려 처형했다. 중국 전역의 신문들은 이 화재를 (국민당이 아닌) 방화범에게 돌렸지만, 이 사건은 국민당에 대한 전국적인 지지 상실에 기여했다.[55]

1939년, 무슬림 지도자 이사 유수프 알프테킨과 마푸량은 장제스에 의해 이집트, 터키, 시리아 등 여러 중동 국가로 파견되어 일본과의 전쟁에 대한 지지를 얻고 무슬림에 대한 그의 지지를 표명했다.[56]

만주국과 중국 동부 해안 대부분을 장악한 일본은 왕징웨이를 난징 주변 점령 지역의 괴뢰 통치자로 임명했다. 왕징웨이는 자신을 행정원장 겸 주석으로 임명하고, 그의 옛 동지들에 반대하는 반 장제스, 반 공산주의 중국인들을 이끌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1년 전인 1944년에 사망했다.

후이족 희도당은 국민당이 집권한 후 국민당에 충성을 맹세했고, 후이족 장군 백충희는 1941년 충칭에서 장제스에게 희도당 교주 마밍런을 소개했다.[57]

1942년 장제스는 중국 북서부의 신장, 감숙, 닝샤, 산시, 칭하이를 순방하며 무슬림 장군 마부칭과 마부팡을 만났다.[58] 그는 또한 무슬림 장군 마홍빈과 마홍쿠이를 따로 만났다.

1942년 티베트와의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장제스의 명령에 따라 마부팡은 티베트 분리주의자들의 독립 시도를 막기 위해 유슈 공항을 수리했다.[59] 장제스는 또한 1942년 마부팡에게 티베트 침공에 대비하여 무슬림 병력을 대기시키라고 명령했다.[60] 마부팡은 이에 따라 수천 명의 병력을 티베트 국경으로 이동시켰다.[61] 장제스는 또한 티베트인들이 일본과 협력할 경우 공중 폭격으로 위협했다. 마부팡은 1941년 티베트 불교 찬스 수도원을 공격했다.[62] 그는 또한 라브랑 수도원을 끊임없이 공격했다.[63]

진주만 공격태평양 전쟁 발발 후, 중국은 연합국 중 하나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이후, 장제스와 미국에서 교육받은 그의 아내 쑹메이링(미국에서는 "마담 장"으로 알려짐)은 기독교적이고 민주적인 중국에 대한 희망을 보았던 미국의 차이나 로비의 지지를 받았다. 장제스는 심지어 중국 전구 연합군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1942년 대영 제국 훈장 작위 기사 대십자 훈장을 받았다.[64]

제2차 세계 대전 중 장제스의 미국 군사 고문이었던 조지프 스틸웰 장군은 스틸웰이 보기에 무능하고 부패하다고 생각했던 장제스와 그의 장군들을 강하게 비판했다.[65] 1944년, 미국 육군 항공대는 중국 본토에 건설될 기지에서 일본의 제철소를 폭격하기 위해 매터호른 작전을 개시했다. 이는 1944년 11월까지 일본에 대한 폭격 작전을 시작하겠다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장제스에 대한 약속을 이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장제스의 부하들은 대규모 횡령을 허용할 만큼 충분한 자금이 전달될 때까지 공군 기지 건설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스틸웰은 공군 기지 건설에 사용된 1억달러 중 적어도 절반이 국민당 관리들에 의해 횡령되었다고 추산했다.[66]

일본의 일호 작전 중 국민당군의 부진은 장제스가 무능하다는 인식을 심화시켰다.[39] 그들의 부진은 루스벨트 행정부의 눈에 장제스와 국민당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혔다.[35] 장제스는 미국, 특히 스틸웰이 너무 많은 중국군을 버마 전역에 배치했기 때문에 실패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39]

일본의 항복 후, 장제스는 점령 지역을 되찾기 위해 미국의 지원에 의존해야 했다.[39] 중국인이 아닌 사람들은 이 군대와 함께하는 관리들의 행동이 국민당의 정당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국민당군은 부패, 약탈, 비효율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엉터리 해방"에 참여했기 때문이다.[39]

장제스는 전쟁 중 중국에서 소련과 미국의 영향력을 균형 있게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먼저 미국에게 소련과 중국 간의 회담에 미국이 참여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말한 다음, 은밀히 소련에게 미국은 중요하지 않고 그들의 의견은 고려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제스는 또한 소련의 중국 지배 야망에 맞서 중국에서 미국의 지원과 군사력을 이용했다. 이는 미국이 소련에 대한 군사 행동으로 위협함으로써 소련이 중국 상황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을 막았다.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는 중일전쟁 중 낙태에 관한 법률을 더욱 강화했다.[67] 1945년, 장제스는 유럽인의 밝은 피부와 우수한 중국인의 지능을 결합하여 잡종 강세를 촉진하려는 우생학적 인구 정책을 채택했다.[67] 채택되었지만, 이 정책은 성공적으로 시행되지 않았다.[67]

1943년 카이로 회담 당시 만찬 회의록에 따르면, 루스벨트는 장제스에게 중국이 일본으로부터 반환받을 영토로 류큐 제도를 원하는지 질문했고, 장제스는 중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점령 및 통치하는 것에 동의할 것이라고 답했다.[76]

3. 4.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



장제스는 쑨원의 정통 후계자임을 내세웠다. 1919년 8월 쑨원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승인한다는 방침을 밝힘에 따라 장제스 역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호의적이었다. 그러나 처음에는 별다른 지원을 보이지 않았다.

국민당 내에는 황푸군관학교와 조선의용단 인맥인 김규식·김원봉의 일파와 관계를 맺는 군부 내 파벌이 존재하였고, 장제스는 임시정부나 김규식·김원봉 일파에 대한 특별한 지지 입장은 표명하지 않고 있었다.

1932년 이봉창·윤봉길 의거를 계기로 장제스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시작했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수시로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이끌던 김구조선민족혁명당의 김규식·김원봉 등을 설득하여 연합전선 구축을 권고하기도 했다.

카이로 회담 전에 김구 등 임시정부 요인들을 만난 장제스는 한국의 독립을 약속했다. 이후 카이로 회담에서 미국, 영국의 정상들이 모인 자리에서 장제스는 미국과 영국으로부터 한국을 적절한 시기에 독립시킬 것이라는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국민혁명군을 이끄는 장제스(蔣介石)(1926년)


봉옥상(馮玉祥)(좌), 엄석산(閻錫山)(우)과 함께한 장제스(1929년)

3. 5. 국공내전과 타이완 천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장제스는 중국 공산당과의 대립에 집중했다. 그는 공산당이 일본군의 항복을 받아들이는 것을 막기 위해 일부 일본군과 일본 괴뢰 정권의 군대가 점령 지역에서 계속 주둔하도록 허용하기도 했다.[39]

미군의 병력과 무기 지원으로 국민당군은 주요 도시들을 탈환할 수 있었지만, 농촌 지역은 여전히 대부분 공산당의 통제하에 있었다. 장제스는 전시 슬로건인 "악에 선으로 갚는다"를 내세우며, 일본 침략군의 일부를 보호하려는 모습을 보였다.[77] 이러한 배경에서 1949년 국민당 법원은 중국 주둔 일본군 총사령관이었던 오카무라 야스지 장군에게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고,[77] 심지어 그를 군사 고문으로 유임시켰다.[78] 국민당 정부는 도쿄 전범 재판에서 오카무라에 대한 미국의 증언 요청을 여러 차례 방해하기도 했다.[77] 이는 장제스를 포함한 많은 국민당 고위 장교들이 일본에서 유학하거나 군사 훈련을 받았고, 일본 고위 장교들과 개인적인 친분을 유지했던 배경과 무관하지 않았다. 오카무라 장군은 장제스 참모진의 장교들을 직접 훈련시킨 인물이기도 했다. 무장한 일본군은 1947년까지 중국에 남아 있었으며, 일부는 국민당 장교단에 편입되기도 했다. 이러한 조치로 인해 중국 내 일본인들은 장제스를 관대한 인물로 여기게 되었다.

국공내전이 격화되면서 국민당 정부는 수세에 몰렸고, 결국 1949년 중국 대륙에서 타이완으로 정부를 이전하게 된다. 장제스는 1950년 3월 1일 타이베이에서 총통직에 복귀했다.[89] 이후 1954년 5월 20일 중화민국 국민대회에서 총통으로 재선되었으며, 1960년, 1966년, 1972년에도 연임에 성공했다. 그는 타이완으로 이전한 후에도 중화인민공화국이 점령한 중국 대륙뿐만 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이 투바나 외몽골처럼 외국 정부에 할양한 영토를 포함하여 중국 전체에 대한 주권을 계속 주장했다. 냉전 시기 서방 세계의 상당수는 이러한 입장을 지지했으며, 중화민국은 1970년대까지 유엔(UN) 및 여러 국제기구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정식 정부로 인정받았다.

1957년 일본의 총리 기시 노부스케와 함께한 장제스와 쑹메이링


타이완에서 총통으로 재임하는 동안 장제스는 국공내전의 연장선상에서 중국 대륙 수복을 위한 준비를 계속했다. 그는 본토 침공과 공산군의 공격에 대비하여 타이완 방어를 위한 군대를 육성했다. 또한 리미 장군 지휘 아래 윈난에 남아 있던 중화민국군 무슬림 병사들과 같이 중국 본토의 반공 무장 세력에게 자금을 지원하며 저항을 독려했다. 이들 중 일부는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타이완으로 이주할 수 있었다.[90] 정부가 이미 타이완으로 이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장제스는 공산당에 저항한 위구르족 지도자 율바르스 칸을 신장의 이슬람 반란 기간 동안 성장으로 임명하기도 했다.[91] 1962년에는 국광계획이라는 이름으로 중국 대륙 침공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기도 했으나[92] 실현되지는 못했다. 1950년대에는 장제스의 지시에 따라 중화민국 공군기가 티베트 동부의 전통적 지역인 암도칭하이성에서 활동하던 국민당 계열 무슬림 반군에게 물자를 공중 투하하기도 했다.[93]

4. 초대~5대 총통

1947년 새로운 헌법이 공포된 후, 장제스는 1948년 5월 20일 국민대회에서 초대 총통으로 선출되었다. 이는 국민당에게는 "민주헌정 정부" 시대의 시작으로 여겨졌으나, 공산당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국공 내전에서 국민당군이 공산당에게 큰 손실을 입자, 장제스는 1949년 1월 21일 총통직에서 사퇴하고 부총통 리쭝런이 권한대행을 맡았다.[84] 장제스는 패배를 예감하고 타이완으로의 퇴각을 준비하며 정부 자산을 옮기는 등 리쭝런과 갈등을 빚었다. 결국 1950년 3월 1일, 타이완으로 정부를 이전한 후 총통직에 복귀하여[89] 이후 5대 총통까지 연임했다.

총통 재임 기간 중 중화민국은 국제 사회에서 점차 고립되었다. 1971년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채택으로 유엔 회원국 및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지위를 상실했으며, 1972년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의 중화인민공화국 방문으로 미중 관계가 개선되면서 고립은 더욱 심화되었다.

1975년 4월 5일, 장제스는 타이베이에서 향년 87세로 재임 중 사망했다.[105][106] 그의 사망 후 부총통 옌자간이 잔여 임기를 승계했으며, 아들 장징궈중국국민당 주석직을 이어받았다.

4. 1. 분단 이후의 총통

명목상 초대부터 5대 총통까지 역임했으나, 실제 재임 기간은 다르다. 초대 임기(1948년 5월 20일 ~ 1954년 5월 20일) 중 1949년 1월 21일 사퇴 후 1950년 3월 1일 복귀하기 전까지는 리쭝런이 총통 권한대행을 맡았다.[84] 5대 임기 중 사망한 1975년 4월 5일부터 임기 만료일인 1978년 5월 20일까지는 부총통 옌자간이 직무를 승계했다.

국공 내전에서 국민당군이 공산당에게 큰 손실을 입자, 장제스는 1949년 1월 21일 총통직에서 사퇴했고, 부총통 리쭝런이 권한대행이 되었다.[84] 리쭝런은 공산당과 협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85] 장제스는 패배를 예감하고 타이완으로의 퇴각을 준비하며 중앙 정부 소유의 금과 미국 달러를 타이완으로 옮겼다. 이는 정부 재정이 필요했던 리쭝런과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공산당이 1949년 4월 수도 난징을 점령하자 국민당 정부는 광둥으로 이전했지만, 장제스와 리쭝런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장제스는 공식 직함 없이도 군부에 계속 명령을 내렸고, 많은 장교들이 리쭝런보다 장제스에게 충성했다.

1949년 대한민국 진해시에서 이승만 대통령과 만난 장제스


1949년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진해시의 이승만 대통령 별장에서 이승만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는 반공 연대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결국 장제스는 1950년 3월 1일 타이완 타이베이로 정부를 이전하고 총통직에 복귀했다.[89] 이후 1954년, 1960년, 1966년, 1972년 중화민국 국민대회에서 총통으로 재선되었다.

1966년 중화민국 국경일 행렬식에서의 장제스


총통 복귀 후, 장제스는 본토 수복을 목표로 삼고 몇 차례 군사적 진출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내치에 집중하여 한때 부패했던 국민당 조직을 개편하고 부패 관료들을 숙청했으며, 뇌물을 받은 자신의 며느리까지 사형에 처하는 등 기강 확립에 힘썼다.

장제스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에 맞서는 반공주의의 보루로 인식되었고, 특히 한국 전쟁 휴전 이후 미국의 전략적 원조를 받게 되었다. 1955년 미국은 중화민국 정부와 미중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여 타이완의 안전을 보장했다. 미국의 원조와 방위 공약 아래 타이완은 이후 20년간 안정적인 경제 발전을 이룩하는 데 성공했다.

장제스는 중화민국 정부가 중화인민공화국이 점령한 본토뿐만 아니라, 투바외몽골처럼 외국에 할양된 영토를 포함한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중국 전체의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입장은 냉전 시기 서방 세계의 지지를 받아, 중화민국은 1971년까지 유엔 등 국제기구에서 중국을 대표했다.

타이완 통치 기간 동안에도 본토 수복 의지를 버리지 않았다. 본토 침공과 공산군의 공격에 대비해 군대를 양성했으며, 1962년에는 국광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본토 침공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기도 했다.[92] 또한 윈난에 남아있던 리미(Li Mi) 휘하의 국민당군 잔당이나[90] 위구르족 율바르스 칸이 이끈 이슬람 반군[91], 암도 지역의 국민당 무슬림 반군[93] 등 본토 내 반공 세력에 대한 지원을 계속했다.

대한민국과의 관계도 지속되어, 이승만 대통령이 1953년 11월 중화민국을 방문해 장제스와 다시 정상회담을 가졌다.

타이베이에 위치한 장제스 기념관인 중정기념당


1975년 4월 5일, 장제스는 타이완으로 온 지 26년 만에 타이베이에서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05][106] 몇 달 전부터 심장마비와 폐렴을 앓았으며, 신부전 악화로 인한 심부전이 직접적인 사인이었다. 4월 16일에 국장이 거행되었다.[107]

한 달간의 애도 기간이 선포되었고, 황유체(黃友棣)가 작곡한 "장공 기념가(蔣公紀念歌)"가 불렸다. 반면 중국 본토에서는 관영 신문들이 "장제스 사망"이라는 간략한 제목만 보도하는 등 대조적인 반응을 보였다. 장제스의 시신은 동관에 안치되어 타오위안시 다시구 츠후릉침에 있는 그가 생전에 좋아했던 거처에 임시로 안치되었다. 장례식에는 미국의 부통령 넬슨 록펠러, 대한민국 국무총리 김종필, 일본의 전 총리 기시 노부스케사토 에이사쿠 등 여러 나라의 고위 인사들이 참석했다.

장제스는 생전에 본토 수복 후 고향인 저장성 펑화에 묻히기를 원했으며, 아들 장징궈 역시 같은 유언을 남겼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의 시신은 아직 정식으로 매장되지 않고 각각 츠후릉침과 터우랴오릉침에 임시 안치되어 있다. 2004년 장징궈의 부인 장팡량은 두 사람을 신베이시 시즈구의 우즈산 군인묘지에 합장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최종 안장 문제는 여전히 정치적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장제스의 사망 후, 총통직은 부총통 옌자간이 승계했으며, 국민당 주석직은 아들 장징궈가 이어받았다. 장징궈는 아버지의 총재 직함을 사용하지 않고 주석 직함을 신설했다. 옌자간의 총통 임기는 과도기적이었고, 총리였던 장징궈가 1978년 옌자간의 임기 만료 후 총통직을 승계했다.

5. 평가와 비판



장제스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중화민국의 항일 지도자로서의 면모와 공산주의 세력을 탄압한 4·12 상하이 쿠데타를 일으키고, 타이완에서 2.28 사건의 책임자이자 독재자로서 비판받는 부정적인 면모가 공존한다. 장제스 스스로 국공 내전 패배의 원인을 국민당의 부정부패로 진단하고 타이완에서 공직자 부패를 강력히 처벌했지만[79], 국민당 일당 독재 체제를 유지하고 진보 정치 세력에 대한 백색 테러를 자행했으며, 반체제 인사를 탄압하여 타이완의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장제스와 마오쩌둥, 1945년 충칭 회담에서


일본 패망 후 장제스는 군대를 동원해 중국공산당과의 내전을 재개하며 전시 체제를 유지했다.[39] 이는 국민당 정부의 재정 적자를 심화시켰고[39], 군 예산의 상당 부분이 부풀려진 병력 수에 대한 급여 횡령이나 비정상적인 자금 조달 방식으로 낭비되었다.[39] 장제스는 국제 사회에서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얻었지만, 국내에서는 정부의 부패와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지지 기반을 잃어갔다. 그는 일기에서 국민당의 실패가 외부의 적이 아닌 내부의 부패 때문이라고 인정하기도 했다.[79] 전쟁으로 약화된 국민당과 달리, 공산당은 토지 개혁[80]과 농촌 지역의 지지를 바탕으로 세력을 키워 결국 내전에서 승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은 장제스와 마오쩌둥 간의 평화 회담을 주선했으나, 국민당 정부의 만연한 부패 때문에 장제스에 대한 지원을 제한하기도 했다.[81] 장제스의 측근이자 비밀경찰 책임자였던 다이리(戴笠)는 파시스트적 성향을 보이며 미국과 공산당 모두를 경계했고, 미국 장교들을 감시하기도 했다.[82] 다이리의 갑작스러운 비행기 사고사는 장제스나 미국 전략사무국(OSS)에 의한 암살이라는 의혹을 낳기도 했다.[83]

천안문 광장에 걸렸던 장제스의 초상화


"총통 만세"를 외치는 중화민국 선전 포스터


장제스가 그려진 중화민국 우표


장제스는 개인 숭배를 통해 권력을 강화하려 했다. 그의 초상화는 1949년 마오쩌둥의 초상화로 대체되기 전까지 천안문 광장에 걸려 있었으며[109], 가정과 공공장소에서도 흔히 볼 수 있었다. 그는 화려한 군벌들과 달리 수수한 옷차림으로 대중적 이미지를 관리하려 했고[111], 국민당은 쿠란하디스를 인용하여 무슬림들에게 장제스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선전을 하기도 했다.[112][113] 국민당은 전통 의례를 활용하고 당을 위해 죽은 순교자들의 영혼이 천국에 간다는 이데올로기를 선전했으며, 장제스 자신도 이를 믿었다.[114][115][116]

쑨원의 삼민주의가 서구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과 달리, 장제스의 사상은 유교의 영향이 강했으며, 개인주의,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등 서구의 진보적 이념에 비판적이었다. 그는 5·4 운동의 급진성을 비판하고 서구 사상이 중국 청년들의 도덕을 타락시킨다고 보았다.[122] 그는 한족과 소수민족 모두 황제의 후손으로서 중화민족에 속한다고 보았으며, 이를 국민당 이념과 교육에 반영했다.[119][120][121]

장제스의 업적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논쟁적이다. 북벌을 통해 군벌을 타도하고 중국을 통일한 영웅으로 보는 시각[124], 중일 전쟁을 승리로 이끈 지도자[124], 냉전 시기 반공주의의 보루 역할을 한 인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각이 있다. 그는 세계반공연맹 창설의 핵심 인물이기도 했다.

그러나 독재자로서의 면모, 특히 타이완에서의 계엄 통치와 2·28 사건 등 인권 탄압의 책임자로 지목되며 강한 비판을 받는다. 그의 통치하에서 정치적 박해, 무리한 징집과 징발, 재난 관리 실패 등으로 수백만 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는 주장도 있다.[125] 또한 정부의 부패와 범죄 조직과의 결탁[29], 파시즘적 통치 방식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타이완에서는 장제스의 이미지가 상당히 부정적이며, 특히 민주진보당(DPP) 지지자들과 2·28 사건 희생자 유족들 사이에서 반감이 크다.[126][127][128] 민주화 이후 타이완 곳곳에 세워졌던 그의 동상이 철거되거나 훼손되는 일이 잇따랐다.[264] 다만, 중화인민공화국의 포격을 막아낸 진먼섬에서는 여전히 중화민국을 지킨 영웅으로 평가받기도 한다.[265]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오랫동안 마오쩌둥의 경쟁자로서 부정적으로 묘사되었으나, 2000년대 이후 양안관계 개선과 함께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275] 특히 항일 투쟁에서의 역할과 중국 통일에 대한 의지는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추세이다.[131] 마잉주 총통 시절에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제작된 영화에서 장제스를 애국자로 묘사하는 등[276] 변화된 시각을 보여주기도 했다. 장제스의 생가와 사당은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279][280], 유족들의 방문도 이루어지고 있다.[280]

타이완 양밍산 국가공원에 있는 장제스 동상. 뒤의 글귀 "毋忘在莒(무망재莒)"는 전단(田單)의 고사를 인용하여 대륙 수복 의지를 나타낸 장제스의 훈시이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중국 대륙을 공산당에게 빼앗긴 인물로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했다. 지속적인 원조 요구 때문에 미국 관리들 사이에서 "현금-내-수표(Cash-My-Check)" 장군이라는 조롱을 받기도 했으며[39], 군사적 능력 부족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142] 그러나 최근에는 공산주의, 일본 제국주의, 군벌 세력과 동시에 싸우며 국가를 통합하려 했던 복잡한 상황에 놓인 인물로 재평가하려는 시각도 나타나고 있다.[143]

장제스는 권력 유지를 위해 아들 장징궈 외에는 거의 신뢰하지 않았으며[286], 이는 그의 정치적 한계로 지적되기도 한다. 또한 청방과의 유착 관계[288], 일월담 사오족 관련 일화[289] 등은 그의 복합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그는 스스로 "내가 죽을 때 독재자라면 나는 모든 독재자들의 망각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 반면에 진정으로 안정적인 민주 정부의 기반을 세우는 데 성공한다면 나는 중국의 모든 가정에 영원히 살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123]

5. 1. 정책 실패의 원인

1928년 국민정부 주석이 된 장제스는 사회개혁 정책을 추진했지만, 대부분 실현되지 못했다. 이는 그가 중국 군벌들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300] 지방 군벌들은 명목상 복종했을 뿐, 여전히 장제스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려 했다.

또한, 1945년 이전까지 만연했던 친인척과 측근들의 부패와 비리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것은 국공 내전 패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권력 유지를 위해 끊임없이 주변을 의심하고 숙청을 단행했는데, 미국 CIA가 자신에 대한 쿠데타를 모의한다고 의심했으며, 아들 장징궈1950년 비밀경찰 조직인 조사통계국 국장이 되어 1965년까지 재직하며 반대 세력을 감시하고 탄압했다. 장제스는 미국과 가깝다고 여겨지는 정치인들을 경계하여 적으로 간주했다. 1953년,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은 오궈전은 7일 만에 장징궈에게 대만성 주지사 자리를 빼앗겼고,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장제스 일가와 정부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103]

1960년 6월 장제스와 미국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군 내부에서도 갈등이 있었다. 소련에서 교육받은 장징궈는 소련식 군사 조직과 정치장교 제도를 중화민국 국군에 도입하여 국민당 이념을 군 전체에 주입하려 했다. 이는 미국 버지니아 군사학교 출신인 손리인 등 미국식 군사 체계를 선호하는 장교들의 반발을 샀다. 결국 장징궈는 1955년 8월, 손리인 장군이 CIA와 함께 쿠데타를 모의했다는 혐의를 씌워 논란 속에 군사재판에 회부하고 체포했다. 일각에서는 CIA가 실제로 손리인을 통해 대만 독립을 꾀하려 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03][104]

장제스 정부의 통치 방식은 많은 비판을 받았다. 역사학자 루돌프 럼멜은 장제스 정부 하에서 반공주의를 내세운 정치적 박해, 무리한 병사 징집과 식량 징발, 그리고 중일 전쟁 중의 황하 제방 파괴와 같은 재난 관리 실패 등으로 수백만 명의 초과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125] 정부의 만연한 부패와 두월생 같은 범죄 조직과의 결탁[29], 그리고 계엄령 하의 독재 통치 역시 비판의 대상이다. 특히 타이완에서는 2·28 사건의 책임과 독재 통치에 대한 반감으로 인해 장제스에 대한 평가가 매우 부정적이며, 민주진보당 지지자들 사이에서 특히 인기가 없다.[126][127][128]

장제스의 패배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석이 존재한다. 중국 학자 량수밍은 장제스의 신뢰 부족과 개인적인 성격 문제를 지적하며, 그가 조금 더 나은 인물이었다면 중국공산당이 승리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평가했다.[137] 일부 중국 역사학자들은 부패나 미국의 지원 부족보다는 정부 지출의 70%를 군사비에 투입한 무리한 정책, 미군 무기로 무장한 국민당군의 전력 과대평가, 그리고 병사들의 사기 저하를 주요 패인으로 꼽는다.[138] 반면, 다른 역사학자들은 해리 S. 트루먼 행정부의 지원 철회, 조지 C. 마셜 특사의 무기 금수 조치, 국공 간의 긴장 완화 시도 실패, 연립 정부 구성에 대한 미국의 압력, 그리고 내전 기간 동안 소련의 지속적인 공산당 지원 등 장제스가 통제하기 어려웠던 외부 요인이 패배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139][140][141]

미국과의 관계 역시 순탄치 않았다. 중일 전쟁 당시 중국 전선 사령관이었던 조셉 스틸웰 장군은 장제스를 "땅콩(Peanut)"이라 부르며 무능하고 부패한 지도자라고 혹평하는 등[248][249] 미군 지휘부와의 갈등이 심했다. 또한, 지속적인 미국의 원조 요구는 미국 관리들 사이에서 장제스를 "현금-내-수표(Cash-My-Check)" 장군이라고 조롱하는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다.[39] 그는 비현실적인 명령으로 최정예 부대를 무모한 전투에 투입하여 손실을 자초하는 등 군사적 능력 부족에 대한 비판도 받았다.[142]

국공 내전 시기 미국은 조지 C. 마셜 원수를 특사로 파견하여 국민당중국공산당 간의 중재를 시도하고 통일 정부 수립을 추진했으나, 국민당의 부패와 군사적 약화, 그리고 양측의 불신으로 인해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미국은 막대한 원조를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장제스 정권의 붕괴를 막지 못했다.

6. 가족 관계


  • 시조 이전: 장징
  • 시조: 장광(蔣光)
  • 시조로부터 장종패 - 장간 - 장준명 - 장선 - 장사걸(蔣仕傑) 순으로 이어진다. 항저우(杭州)의 장씨 가문은 17세기 봉화(奉化) 지역에서 이주해 온 장사걸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그의 조상들은 13세기 북중국에서 이주하여 중국 남동부 절강성(浙江省)으로 왔다. 일설에 따르면 기원전 12세기 주공(周公)의 셋째 아들이 장씨 가문의 조상이라고 한다.[147][148][149][150][151]
  • 증조부: 장기증(蔣祈增, 1783 ~ ?)[152][153]
  • 조부: 장사천(蔣錫侯, 1814 ~ 1864)
  • 외조부: 왕유칙(王有則, 1820 ~ 1882)
  • 부친: 장조총(蔣肇聰, 1842 ~ 1895)
  • 모친: 왕차이위(王采玉, 1864 ~ 1921)
  • 형: 장개경(蔣介卿, 1877 ~ 1936)


장제스는 여러 부인과 첩을 두었으며, 자녀 관계는 다음과 같다.

  • 마오푸메이(毛福梅, 1882 ~ 1939): 1901년 장제스가 14세 때 집안의 주선으로 결혼한 첫 부인이다. 장제스보다 다섯 살 연상이었으며, 문맹이었다. 중일전쟁 중 일본군의 폭격으로 사망했다.
  • * 장남: 장징궈(蔣經國, 1910 ~ 1988)
  • * 장녀: 장젠화(蔣建華) (상세 정보 부족)

  • 야오예청(姚冶誠, 아명 야오이청(姚怡誠), 1887 ~ 1966): 1912년 말 맞이한 첩이다. 장제스와 함께 장웨이궈를 입양했다. 타이완으로 건너가 타이베이에서 사망했다.

  • 천제루(陳潔如, 아명 천펑(陳鳳), 1906 ~ 1971): 1921년 12월 장제스와 결혼했다.[144] 천제루는 자신의 자서전에서 장제스가 야오예청과 이혼한 후 자신과 정식으로 결혼했으므로 첩이 아닌 두 번째 부인이었다고 주장했다.[145] 장제스와의 사이에서 딸 장야오광(蔣瑤光, 후에 어머니 성을 따라 천야오광(陳瑶光)으로 개명)을 1924년 입양했다. 천제루는 결혼 직후 장제스로부터 임질에 감염되었으며, 이로 인해 두 사람 모두 불임이 되었다고 회고록에서 주장했다.[146] 상하이에서 거주하다 후에 홍콩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사망했다.
  • * 차녀 (양녀): 장야오광(蔣瑤光) / 천야오광(陳瑶光)

  • 일본 여인 (첩): 장제스에게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일본인 첩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일부에서는 장웨이궈의 생모가 일본인이라는 설도 있다.[306]
  • * 차남 (양자): 장웨이궈(蔣緯國, 1916 ~ 1997) - 야오예청이 입양하여 길렀으나, 생부는 다이지타오이고 생모는 일본인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 쑹메이링(宋美齡, 1898 ~ 2003): 1927년 결혼한 세 번째 부인이다. 장제스 사후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자녀는 없었다. 장제스의 부인 중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7. 기타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의 이전 명칭인 장제스 국제공항은 그의 이름을 딴 공항이다.[297]
  •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중국어)은 그의 사후에 중국 화교들이 자금을 모아 건립한 기념관으로, 타이베이 시내에 위치한다.
  • 195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수여받았다.
  • 장제스는 1945년 김구의 귀국 당시 미화 20만 달러라는 거액을 지원했으나, 김구는 미군정의 방해로 이 자금을 국내로 들여오지 못했다.
  • 원래 이름(어린 시절 이름)은 '''서원(瑞元)'''이고, 족보에 기록된 이름은 '''주태(周泰)'''이다.[169] 초기 학교에서 사용한 이름은 '''지청(志清)'''이었으나, 후에 '''중정(中正)'''으로 개명하였다. '''계석(介石)'''은 그의 자(字)이다.[170] 영어권에서는 주로 "계석"의 광둥어 발음을 따른 '''Chiang Kai-shek'''(장개석)으로 표기되지만, 표준 중국어 발음에 따라 "중정" 또는 "계석"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1914년 7월 만주에서 첩보 활동을 할 때는 "'''석전웅계(石田雄介)'''"라는 가명을 사용하기도 했다.


장제스는 불교 신앙을 배경으로 성장했으나, 네 번째 부인 송미령과 결혼하면서 감리교 신자가 되었다. 과거에는 이것이 정치적 계산에 따른 행동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그의 개인 일기 연구를 통해 그의 기독교 신앙이 진심이었음이 밝혀졌다. 부인 송미령의 영향을 받아 신생활운동에 감리교적 가치관을 일부 반영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일기에서 부처를 언급했으며, 태허(太虛) 스님이 이끄는 불교 정당 설립을 장려하기도 했다. 여호와의 증인의 잡지 ''파수대''에 따르면,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부 신도들이 충칭에서 장제스와 직접 대화하며 출판물을 배포했다고 한다.[162]

장제스와 무슬림 장군 마푸쇼(Ma Fushou)


장제스는 통치 기간 동안 중국 내 여러 소수 민족 및 종교 세력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특히 중국 서북부의 무슬림 군벌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이들을 활용했다.

장제스는 중국계 무슬림 장군 마푸샹(Ma Fuxiang)과 결의형제를 맺고 고위직에 임명했으며, 그의 아들 마홍쿠이(Ma Hongkui)와도 관계를 유지했다.[154] 북벌 이후 간쑤성에서 닝샤와 칭하이를 분리하여 마홍쿠이, 마홍빈(Ma Hongbin), 마치(Ma Qi) 등 무슬림 장군들을 군사 총독으로 임명했는데, 이들은 "서북 삼마(Xibei San Ma)"로 불렸다. 장제스는 이들에게 소련, 티베트, 중국공산당, 일본과의 전투를 지시했으며, 이들이 이끄는 무슬림 군대(특히 기병대)는 국민혁명군에 편입되었다. 후이족 장군 백숭희(Bai Chongxi)를 중화민국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또한 하미 반란 당시 황푸군관학교 출신 무슬림 장군 마중잉(Ma Zhongying)을 지원하여 진수런(Jin Shuren), 성스차이(Sheng Shicai), 소련에 맞서 싸우게 했으며, 그의 군대를 국민혁명군 제36사단으로 지정했다. 1937년 신장 전쟁(Xinjiang War (1937))에서는 마후산(Ma Hushan)을 지원했다. 장제스 정권은 이흐와니(무슬림 형제단)를 비롯한 여러 이슬람 종파(시다오탕, 자흐리야, 쿠피야 등 수피 교단)를 지원했으며, 무슬림 이맘 후쑹산(Hu Songshan) 등 종교 지도자들의 지지를 받기도 했다. 중국 무슬림 출판물 '월화(Yuehua)'는 쿠란과 하디스를 인용하여 장제스에 대한 복종과 항일 성전을 정당화했다.[156] 타이베이 대모스크 건립에도 기여했다.[161] 그러나 장제스 통치하에서 국민당에 충성하는 무슬림 군대가 소수 민족을 탄압하는 사건도 발생했는데, 대표적으로 1934년 카슈가르 전투(Battle of Kashgar (1934))에서 위구르인 약 4,500명이 학살당하고 영국 영사관 직원들이 살해된 사건이 있다.[155] 일리 반란(Ili Rebellion)과 페이타산 사건(Pei-ta-shan Incident) 당시에는 후이족 군대를 투입하여 위구르인 및 소련, 몽골군과 충돌했다.

장제스는 티베트와 불편한 관계를 유지했다. 중국-티베트 전쟁에서 티베트군과 싸웠으며, 칭하이에서 티베트 반군을 진압하기 위해 무슬림 장군 마부팡(Ma Bufang)을 지원했다. 그는 티베트 독립을 막기 위해 마부팡에게 여러 차례 티베트 침공 준비를 지시하고 공습으로 위협했으며, 마부팡은 1941년 티베트의 불교 사원인 창 사원(Tsang monastery)을 공격하기도 했다.[62] 전쟁 후 장제스는 마부팡을 사우디아라비아 대사로 임명했다.

장제스는 중화민국 및 여러 외국으로부터 다수의 훈장을 받았다.

구분훈장명수여 국가/기관비고
중화민국 훈장국광훈장(國光勳章)중화민국
청천백일훈장(青天白日勳章)중화민국1931년
채옥대훈장(采玉大勳章)중화민국1943년 8월
보정훈장(寶鼎勳章)중화민국1등
운휘훈장(雲麾勳章)중화민국1등
경운훈장(卿雲勳章)중화민국1등 특종대수 (1944년 1월 1일)
부흥영예훈장(復興榮譽勳章)중화민국1등
삼광훈장(三光勳章)중화민국
취성훈장(粹星勳章)중화민국
각성사자명예패검(覺醒獅子榮譽佩劍)중화민국
성사훈도(醒獅勳刀)중화민국
외국 훈장두아르테, 산체스, 멜라 공로훈장(Orden al Mérito de Duarte, Sánchez y Mella)도미니카 공화국1940년 1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훈장(Orden de Cristóbal Colón)도미니카 공화국1948년 7월, 1971년 10월 (대십자장)
필리핀 공로훈장(Philippine Legion of Honor) 최고 사령관필리핀1949년[163]
고대 시카투나 훈장(Order of Sikatuna) 대훈장필리핀1960년 5월 2일[164]
공로훈장(Legion of Merit) 최고 사령관미국1943년 7월 9일[165]
미국 육군 공로훈장(Distinguished Service Medal (U.S. Army))미국1946년 3월
건국훈장 대한민국장대한민국1953년 11월 27일
무궁화대훈장대한민국1966년 2월 15일
라자미트라본 훈장(Order of the Rajamitrabhorn)태국1963년 6월 5일
보야카 훈장(Order of Boyacá)콜롬비아1963년 10월
바스 훈장(Order of the Bath)영국1941년
페루 태양 훈장(Order of the Sun of Peru)페루1944년 10월
하얀 사자 훈장(Order of the White Lion)체코슬로바키아1945년 5월 30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Legion of Honour)프랑스1945년 1월 9일
칠레 공로훈장(Order of Merit (Chile))칠레1944년 1월 29일
아스텍 독수리 훈장(Order of the Aztec Eagle)멕시코1945년 4월
구세주 훈장(Order of the Redeemer)그리스1957년 3월 22일
르네상스 최고 훈장(Supreme Order of the Renaissance)요르단1959년 3월 9일
남십자자 훈장(Order of the Southern Cross)브라질1944년
성 마우리치오-라자로 훈장(Order of Saints Maurice and Lazarus)이탈리아1948년 4월
세라핌 훈장(Royal Order of the Seraphim)스웨덴1948년 6월 4일
이사벨 가톨릭 훈장(Order of Isabella the Catholic)스페인1936년 5월
시민 공로 훈장(Order of Civil Merit)스페인1965년
해방자 훈장(Order of the Liberator)베네수엘라1954년 7월
김칸 훈장(Order of Kim Khánh)남베트남1960년 1월
레오폴드 훈장(Order of Leopold (Belgium))벨기에1946년 6월 4일
말라위 사자 훈장(Order of the Lion (Malawi))말라위1967년 8월 5일
안데스 콘도르 훈장(Order of the Condor of the Andes)볼리비아1966년 3월
감비아 공화국 훈장(Order of the Republic of The Gambia)감비아1972년 11월
산마르틴 해방자 훈장(Order of the Liberator General San Martín)아르헨티나1960년 10월
케찰 훈장(Order of the Quetzal)과테말라1956년 12월 7일
미겔 라레이나가 국립 훈장(National Order of Miguel Larreynaga)니카라과1974년 11월
루벤 다리오 훈장(Order of Ruben Dario)니카라과1958년 10월
바스코 누녜스 데 발보아 훈장(Order of Vasco Núñez de Balboa)파나마1960년 2월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 원수 목걸이급 국가 공훈 훈장(Collar of Marshal Francisco Solano Lopez Grade of National Order of Merit)파라과이1962년 5월



세라핌 왕실 훈장의 수훈자 장제스 문장


1943년 10월 10일 훈장을 착용한 장제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장제스 장군; 중국의 운명이 걸린 시안의 2주간'' (1937, 송미령 공저)
  • ''중국의 운명'' (1947, 왕충후이 번역)
  • ''중국 속의 소련 장제스 회고록'' (1957)
  • ''장제스 서간집 1912-1946'' (딩치우제·송핑 편, 스즈키 히로시 역, 2000)


장제스를 기념하는 여러 시설과 명칭이 중화민국(대만) 및 해외에 존재한다.

  • 대만 내
  • * 중정기념당: 타이베이시 중심부에 위치한 대표적인 기념관.
  •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이전 명칭은 '중정국제공항(CKS Airport)'이었다.
  • * 중정로: 대만 여러 도시에 있는 주요 도로명.
  • * 국립중정대학: 자이현 민슝향에 위치한 국립 종합대학.
  • * 타이베이시립중정국중, 타이베이시립계수국중: 타이베이의 중학교.
  • * 자호릉침: 타오위안시 다시구에 있는 장제스의 유해가 임시 안치된 곳.
  • * 자호기념조각공원: 자호릉침 인근 공원으로, 대만 전역에서 철거된 장제스 동상을 모아 전시하고 있다.
  • * 장공감은당: 가오슝시 치진구에 위치. 대천도 철수 작전 당시 이주한 주민들이 건립.
  • * 지폐 및 화폐: 과거 신타이완 달러 고액권 지폐 및 일부 동전에 초상이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200원 지폐에 남아있다.
  • * 계수로: 총통부 앞 도로의 옛 이름. '장제스의 장수를 기원한다'는 의미였으나, 1996년 카이다거란대도로 개칭되었다.

  • 상하이 암흑가의 거물이었던

참조

[1] 뉴스 蔣介石是如何當上黃埔軍校校長的 https://read01.com/d[...]
[2] 웹사이트 Chen Boda, 'Criticism of the Book "China's Destiny"' |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https://digitalarchi[...] 2020-10-28
[3] 서적 Chiang Kai-Shek China Publishing Company 1953
[4] 백과사전 New Historical and Historiographical Perspectives http://edizionicafos[...] Università Ca’ Foscari Venezia, Italia 2017
[5] 논문 zh: 蔣中正的訪日經驗 (1906–1927)
[6] 서적 Arming the Chinese: The Western Armaments Trade in Warlord China, 1920–1928 UBC Press 2010
[7] 서적 China at War, 1901–1941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5
[8]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Republican China, Vol. III https://books.google[...]
[9] 학술지 'Righteous Fraternities' and Honorable Men: Sworn Brotherhoods in Wartime Chongqing 2000-12
[10] 서적 China: Understanding Its Past 1998
[11] 논문 The Zhongshan Warship Incident http://www.republica[...] 1998
[12] 서적 Chiang Kai-Shek's Secret Past: The Memoir of His Second Wife, Ch'en Chieh-ju Westview Press 1993
[13] 서적 Shanghai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04
[14] 서적 Zhou Enlai: A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06
[15] 서적 Mao's China: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books.google[...] Wiley 2006
[16] 뉴스 Generalissimo and Madame Chiang Kai-Shek https://web.archive.[...] 1938-01-03
[17] 서적 Moscow and Chinese Communists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3
[18] 웹사이트 不能忘却的努力 : 中华民国废除近代所有不平等条约的历史__凤凰网 https://ishare.ifeng[...] Ishare.ifeng.com 2019-01-13
[19] 서적 Chinese Lives: The people who made a civilization Thames & Hudson 2013
[20] 웹사이트 试论中国乡村建设运动的演进 http://www.ritsumei.[...]
[21] 웹사이트 走向政治解決的鄉村建設運動 https://www.cuhk.edu[...]
[22] 웹사이트 禁纏足、興女學:南京國民政府在興女權上做出巨大努力 – 雪花新闻 https://www.xuehua.u[...]
[23] 웹사이트 Gender Quotas in Taiwan http://www2.igs.ocha[...]
[24] 웹사이트 从合礼到非法:纳妾制度在中国是如何被废除的? https://www.yangtse.[...] 2020-06-29
[25] 웹사이트 南京国民政府时期的教育 https://m.xzbu.com/4[...] 2012-09-12
[26] 웹사이트 抗戰前推動「普及教育案」的背景與實際作為 – 大中華民國 https://stararctic10[...]
[27] 서적 Chinese Lives: The people who made a civilization
[28] 학술지 Fascism in Kuomintang China: The Blue Shirts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Birth of Communist China Penguin Books 1964
[30] 서적 A History of Fascism 1914–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31] 학술지 A Revisionist View of the Nanjing Decade: Confucian Fascism 1997
[32] 학술지 Interactions and Interferences of Italian and German Nationalist Regimes in Asia during the Interwar Period (1928–1937) 2024-04-23
[33] 서적 The China mirage : the hidden history of American disaster in Asia https://www.worldcat[...] 2015
[34] 서적 Spymaster: Dai Li and the Chinese Secret Servi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35] 서적 The Fear of Chinese Power: an International History Bloomsbury Academic 2024
[36] 웹사이트 蒋介石与国人的"法西斯主义救中国"之梦 https://www.guancha.[...]
[37] 웹사이트 Chronology of World War II Diplomacy 1939 - 1945 https://worldatwar.n[...]
[38]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dictators: from Napoleon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Peter Lang
[39] 서적 The Collapse of Nationalist China: How Chiang Kai-shek Lost China's Civil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40] 웹사이트 The Dragon Lady who charmed the world https://www.taipeiti[...] 2003-10-25
[41] 웹사이트 Madame Chiang Kai-shek, a Power in Husband's China and Abroad, Dies at 105 https://www.nytimes.[...] 2003-10-25
[42] 웹사이트 The sorceress https://www.theguard[...] 2003-11-05
[43] 웹사이트 Soong sisters' jewellery and art heirlooms to be auctioned in Hong Kong https://www.scmp.com[...] 2015-05-22
[44] 서적 Notable Women of China: Shang Dynasty to the Early 20th century M.E. Sharp publishing 2000
[45] 웹사이트 高齡106歲去世!宋美齡死後「銀行帳戶餘額曝光」驚呆了 | 新奇 | 三立新聞網 SETN.COM https://www.setn.com[...] 2022-05-04
[46] 웹사이트 蒋介石一生清廉自律为何却纵容党内腐败?_历史_凤凰网 https://news.ifeng.c[...]
[47] 웹사이트 Controversial 'true journalist' Lu Keng, 89, dies in US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48] 웹사이트 Writing from the Edge of History, Writing from the Center of History – Reflections on Lu Keng's Collection of Memories and Regrets https://www.taiwan-p[...] 1997-09-01
[49] 서적 Corruption Control in Authoritarian Regimes: Lessons from East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서적 The life of Chiang Kai-shek https://archive.org/[...] Peter Davies
[51] 서적 Chiang Kai-shek: An Unauthorized Biography https://books.google[...] Doubleday
[52] 서적 Chinese–Soviet Relations, 1937–1945 : The Diplomacy of Chinese Nationalism: The Diplomacy of Chinese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3]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W. Norton 1990
[54] 서적 Mao and Markets: The Communist Roots of Chinese Enterprise Yale University Press 2022
[55] 서적 Zhou Enlai: A Political Lif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06
[56] 서적 Modern China's Ethnic Frontiers: A Journey to the Wes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7]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8
[58] 뉴스 China: He Who Has Reason http://www.time.com/[...] 1942-10-05
[59] 서적 Indo-Tibet-China Conflict https://books.google[...] Gyan Publishing House
[60] 학술지 War or Stratagem? Reassessing China's Military Advance towards Tibet, 1942–1943
[61] 서적 China in the anti-Japanese War, 1937–1945: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Peter Lang
[62] 서적 Inner Asia, Volume 4, Issues 1–2 https://books.google[...] The White Horse Press for the Mongolia and Inner Asia Studies Unit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63] 서적 Labrang: a Tibetan Buddhist monastery at the crossroads of four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Snow Lion Publications
[64] 뉴스 Battle of Asia: Land of Three Rivers http://www.time.com/[...] 1942-05-04
[65] 서적 Stilwell's Command Problem
[66] 에피소드 True Airpower
[67] 서적 Reproductive realities in modern China : birth control and abortion, 1911–202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68] 서적 The march of folly: from Troy to Vietnam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Inc.
[69] 서적 America's war in Vietnam: a short narrative history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70]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2
[71] 서적 Britain in Vietnam: prelude to disaster, 1945–6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0-11-28
[72] 서적 The tragedy of the Vietnam War: a South Vietnamese officer's analysi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0-11-28
[73] 서적 Vietnam 1946: how the war beg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11-28
[74] 서적 The Vietnam War as history: edited by Elizabeth Jane Errington and B.J.C. McKercher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0-11-28
[75] 웹사이트 The Vietnam War Seeds of Conflict 1945–1960 http://www.historypl[...] The History Place 2010-12-28
[76] 웹사이트 Chinese Summary Record http://digicoll.libr[...] 2021-04-28
[77] 서적 China's good war : how World War II is shaping a new nationalism https://www.worldcat[...]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22-10-15
[78] 웹사이트 Okamura Yasutsuga http://pwencycl.kgbu[...] 2022-10-15
[79] 웹사이트 Hoover Archives: Chiang Kai-shek and the Struggle for China http://www.hoover.or[...] The Hoover Institution 2014-11-07
[80] 서적 cong dalishi jiaodu du Jiang Jieshi riji (Reading Chiang Kai-shek's diary from a macro-history perspective) Chinatimes Publishing Press
[81] 서적 Venona: Decoding Soviet Espionage in America Yale University Press
[82] 서적 Spymaster: Dai Li and the Chinese secret servi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06-28
[83] 웹사이트 俞劍鴻觀點:戴笠的幾個可能性-風傳媒 https://www.storm.mg[...] 2021-04-25
[84] 서적 世界大同出版有限公司 2011-04
[85]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W. Norton and Company
[86] 뉴스 China: Return of the Gimo https://web.archive.[...] Time 1950-03-13
[87] 웹사이트 蒋介石逃往台湾时我军为何未打其座机?_卫视_凤凰网 http://phtv.ifeng.co[...]
[88] 서적 Restless Empire: China and the World Since 1750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23-02-08
[89] 웹사이트 ROC Chronology: January 1911 – December 2000 https://web.archive.[...] 2009-04-23
[90] 웹사이트 Muslims in Taiwan https://web.archive.[...] Government Information Office (ROC)
[91] 서적 Warlords and Muslims in Chinese Central Asia: a political history of Republican Sinkiang 1911–1949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2010-06-28
[92] 서적 Who influenced whom?: lessons from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0-06-28
[93] 서적 The Sino-American alliance: Nationalist China and American Cold War strategy in Asia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0-06-28
[94] 뉴스 Ceremonies held to commemorate 228 Incident victims (2014/02/28) http://englishnews.f[...] englishnews.ftv.com.tw 2014-02-28
[95] 뉴스 White Terror exhibit unveils part of the truth http://www.taipeitim[...] 2005-05-20
[96] 웹사이트 肅殺的白色恐怖!寧可錯殺一千也不放過一人 – 歷史 https://www.chinatim[...] 2020-03-13
[97] 웹사이트 Mandate to the National Assembly https://taiwantoda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China (Taiwan) 1972-02-01
[98] 웹사이트 台灣時期蔣介石的思想變化 及其「革新」實踐 https://www.cuhk.edu[...]
[99] 서적 台灣經濟轉型的故事:從計劃經濟到市場經濟 https://books.google[...] 聯經文庫 2015
[10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101] 웹사이트 Martial Law court-martials suppressed people, report says https://www.taipeiti[...] 2020-08-18
[102] 웹사이트 Official document https://nccur.lib.nc[...]
[103] 서적 Opposition and dissent in contemporary China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2010-11-30
[104] 서적 Patterns in the dust: Chinese-American relations and the recognition controversy, 1949–1950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06-28
[105] 웹사이트 Taiwan: Will it retain independence or be taken over? https://island.lk/ta[...] 2021-10-17
[106] 뉴스 Chiang Kai-shek Is Dead in Taipei at 87; Last of Allied Big Four of World War II https://www.nytimes.[...] 2019-09-29
[107] 웹사이트 Taiwan: Funeral Of Chiang Kai-Shek https://reuters.scre[...] 2020-06-20
[108] 웹사이트 Remembering Chiang Kai-Shek in Japanese Media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Nottingham. Taiwan Studies Progamme 2023-04-15
[109] 웹사이트 Chiang Kai-shek on the Forbidden City - F.E. Beyer https://web.archive.[...] 2022-01-11
[110] 서적 Madame Chiang Kai-shek: China's Eternal First Lady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10-06-28
[111] 서적 The life of Chiang Kai-shek https://archive.org/[...] Peter Davies 2010-06-28
[112] 서적 Intellectuals in the modern Islamic world: transmission, transformation,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0-06-28
[113] 서적 The Moslem World, Volumes 31–34 https://books.google[...] Hartford Seminary Foundation 2011-05-08
[114] 서적 Chiang Kai-shek's secret past: the memoir of his second wife, Chʻen Chieh-ju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2010-06-28
[115] 서적 The first Chinese democracy: political life in the Republic of China on Taiwan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0-06-28
[116] 서적 President Chiang Kai-shek's selected speeches and messages, 1937–1945 https://books.google[...] China Cultural Service 1946
[117]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San-Min-Chu-I_FINAL.rtf https://web.archive.[...] 2022-07-23
[118] 서적 Tibet and Nationalist China's frontier: intrigues and ethnopolitics, 1928–49 https://web.archive.[...] UBC Press 2010-06-28
[119] 서적 The Other Taiwan: 1945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0-06-28
[120]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06-28
[121] 서적 The Far East: a history of the Western impact and the Eastern response (1830–1970)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2010-06-28
[122] 서적 The May Fourth Movement in Shanghai: The Making of a Social Movement in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010-06-28
[123] 서적 Taiwan's Modernization: Americanization and Modernizing Confucian Manifestation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3 2021-05-23
[124] 서적 China 1945 : Mao's revolution and America's fateful choice 2014
[125] 웹사이트 China's Bloody Century https://www.hawaii.e[...] 2017-06-04
[126] 웹사이트 遠見民調》「哪位總統對台灣貢獻最大」 他遙遙領先、第二名看不到車尾燈-風傳媒 https://web.archive.[...] 2019-10-25
[127] 웹사이트 只贏蔣介石.... 台灣民調歷任總統評價:最親中馬英九倒數第二 | 台灣英文新聞 | 2020-08-24 18:07:00 https://web.archive.[...] 2020-08-24
[128] 뉴스 Chiang Kai-shek's former homes are open to tourists https://web.archive.[...] 2017-10-05
[129] 웹사이트 从教科书中发现历史—大陆人教版中学历史教科书中的蒋介石形象 - 中国基础教育博硕士论文库 https://web.archive.[...] 1950-12-01
[130] 웹사이트 Filmed Founding Myths {{!}} China Heritage Quarterly https://web.archive.[...] 2021-06-12
[131] 웹사이트 Assassinating Chiang Kai-shek https://web.archive.[...] 2015-09-03
[132] 웹사이트 'Retake the Mainland': Chiang Kai-shek bronze marches on Zhejiang hometown https://web.archive.[...] 2015-01-13
[133] 서적 China's Good War How World War II Is Shaping a New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23-03-18
[134] 서적 Forgotten Ally: China's World War II, 1937-1945 https://archive.org/[...] Sterling Publishing
[135] 서적 Modern China
[136] 서적 Modern China: A Brief Insight https://archive.org/[...] Sterling Publishing
[137] 문서 Has Man a Future? interview
[138] 웹사이트 致命的自负 —国民党大陆溃败的原因再探 https://web.archive.[...] 2023-03-20
[139] 웹사이트 Chiang's China https://web.archive.[...] 2015-07-01
[140] 웹사이트 China Without Tears: If Chiang Kai-Shek Hadn't Gambled in 1946 https://web.archive.[...] 2022-07-19
[141] 웹사이트 Who Lost China? https://www.ewtn.com[...] 2022-07-27
[142] 서적 History of Modern China
[143] 서적 China 1945 : Mao's revolution and America's fateful choice 2014
[144] 서적 China's grandmothers : gender, family, and aging from late Qing to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145] 서적 Chiang Kai-shek's Secret Past: The Memoir of His Second Wife, Ch'en Chieh-ju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2014-11-10
[146] 서적 Chiang Kai-shek's Secret Past
[147] 서적 Chiang Kai-shek, his life and times https://books.google[...] St. John's University 2016-04-17
[148] 웹사이트 《武岭蒋氏宗谱》浅析 https://web.archive.[...] 2016-04-17
[149] 웹사이트 第一章 发迹以前_蒋介石评传_李敖 小说在线阅读 https://www.kanunu8.[...] 2019-12-03
[150] 웹사이트 蒋介石传-第2章 追随孙文(1)最新章节-桑舞小说网手机版 https://web.archive.[...] 2016-04-17
[151] 웹사이트 2.第一章追随孙文(2),蒋介石详传,一凡中文网 https://web.archive.[...] 2016-10-04
[152] 웹사이트 揭秘蔣介石的家人:哥哥做小官因狎妓被裁撤_副刊頻道_新華網 https://web.archive.[...] 2016-04-17
[153] 웹사이트 eBookHouse http://en.epubook.co[...] 2016-04-17
[154] 서적 Familiar China at war: regions of China, 1937–194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06-28
[155] 서적 British documents on foreign affairs: reports and papers from the Foreign Office confidential print.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World War. Asia 1914–1939. China, April 1934 – December 1935, Part 2, Volume 4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2021-01-11
[156] 서적 Intellectuals in the modern Islamic world: transmission, transformation,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0-06-28
[157] 서적 Muslim diversity: local Islam in global contex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6-28
[158] 서적 Dislocating China: reflections on Muslims, minorities and other subaltern subjects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16-09-27
[159] 서적 Between Mecca and Beijing: modernization and consumption among urban Chinese Muslim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06-28
[160]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sla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10-06-28
[161] 웹사이트 台北清真寺 - 清真寺簡介 https://web.archive.[...] 2010-09-10
[162] 웹사이트 Myanmar (Burma) – Watchtower Online Library https://wol.jw.org/e[...] 2018-01-06
[163] 뉴스 Briefer on the Philippine Legion of Honor https://www.official[...] 2020-05-22
[164] 뉴스 The Order of Sikatuna https://www.official[...] 2020-05-22
[165] 웹사이트 Chiang Kaishek Biography http://ww2db.com/per[...] World War II Database 2015-07-12
[166] 웹사이트 歷屆全代會 中国国民党公式サイト http://www.kmt.org.t[...] 2021-09-23
[167] 문서 야르타 협정
[168] 서적 民國高級將領列傳 解放軍出版社 1998
[169] 서적 保阪
[170] 서적 新編東洋史辞典 東京創元社
[171] 문서 知性
[172] 서적 保阪
[173] 서적 保阪
[174] 서적 石川
[175] 서적 保阪
[176] 서적 保阪(1999年)
[177] 웹사이트 杭州起义时,蒋介石担任敢死队长,指挥进攻巡抚衙门 http://www.jidianol.[...] 辛亥革命 2019-04-07
[178] 뉴스 辛亥革命时期的蒋介石 https://news.qq.com/[...] 2011-09-27
[179] 서적 保阪(1999年)
[180] 서적 保阪(1999年)
[181] 서적 横山(1997年)
[182] 서적 横山(1997年)
[183] 서적 保阪(1999年)
[184] 서적 保阪(1999年)
[185] 서적 保阪(1999年)
[186] 서적 横山(1997年)
[187] 서적 保阪(1999年)
[188] 서적 保阪(1999年)
[189] 서적 保阪(1999年)
[190] 서적 横山(1997年)
[191] 서적 保阪(1999年)
[192] 서적 保阪(1999年)
[193] 서적 保阪(1999年)
[194] 서적 保阪(1999年)
[195] 서적 川島(2010年)
[196] 서적 保阪(1999年)
[197] 서적 横山(1997年)
[198] 서적 保阪(1999年)
[199] 서적 保阪(1999年)
[200] 서적 保阪(1999年)
[201] 서적 横山(1997年)
[202] 서적 蔣経国伝 同成社 1989
[203] 논문 蔣経国の思想的左傾-伝統的中国意識からトロツキズムへ 横浜市立大学大学院国際文化研究科 2007
[204] 서적 The last empress: Madame Chiang Kai-Shek and the birth of modern China Simon and Schuster 2009
[205] 서적 川島(2010年)
[206] 서적 保阪(1999年)
[207] 서적 川島(2010年)
[208] 서적 横山(1997年)
[209] 서적 保阪(1999年)
[210] 서적 川島(2010年)
[211] 서적 2010
[212] 서적 2005
[213] 서적 2010
[214] 서적 1997
[215] 서적 1999
[216] 서적 1999
[217] 서적 1999
[218] 서적 1999
[219] 서적 2010
[220] 서적 1997
[221] 서적 2010
[222] 서적 1999
[223] 서적 2010
[224] 서적 1997
[225] 서적 2010
[226] 서적 1997
[227] 서적 1997
[228] 서적 1997, 2010
[229] 서적 1999
[230] 서적 2010
[231] 서적 2010
[232] 서적 1999
[233] 서적 1999
[234] 서적 2010
[235] 서적 1997
[236] 서적 2010
[237] 문서 宋美齢の両親を喜ばせるために、蔣介石はまず彼の最初の妻および愛人たちと別れ、結局キリスト教に改宗することを約束しなくてはならなかった。蔣介石は1929年にメソジストの教会で洗礼を受けている。
[238] 서적 抗日戦争八年 早稲田出版
[239] 서적 日中15年戦争史
[240] 서적 日中15年戦争史
[241] 서적 為政略殉—論抗戦初期京滬地 区作戦 国立台湾大学出版委員会 1992
[242] 서적 蔣介石秘録12
[243] 서적 日中戦争の軍事的展開
[244] 서적 蔣介石秘録12 日中全面戦争
[245] 웹사이트 日華平和条約締結55周年に呂秀蓮副総統が歴史観を語る http://www.roc-taiwa[...] 台北駐日経済文化代表処(台湾週報) 2011-11-15
[246] 논문 F.D.ルーズベルトの中国政策 : 第2次大戦期を中心として 1975
[247] 문서 ビルマルート切断は1942年5月、レド公路の打通は1945年1月であり、中国は太平洋戦争では援蔣ルートはヒマラヤ越えのみという大きなハンデを持っていた。
[248] 서적 参謀 文藝春秋 1973
[249] 논문 大東亜会議外交と東南アジア=欧米植民地の 初期独立 2005-12-25
[250] 웹사이트 太平洋戦争末期の日本終戦外交 http://maesaka-toshi[...] 2010-01-05
[251] 논문 「アジアの巨大な疑問符」 : 中国東北をめぐる戦後処理問題とアメリカの極東政策 https://hdl.handle.n[...] 1983-07
[252] 서적 中国近現代史
[253] 논문 アメリカの対日政策の転換と中国の動向 (長岡新吉教授 退官記念号 I) 北海道大学 1994
[254] 서적 アトリーのチャイナ・ストーリ 日本経済評論社
[255] 서적 共産中国はアメリカがつくった : G・マーシャルの背信外交 成甲書房 2005
[256] 문서 General Marshall to President Truman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6-05-06
[257] 서적 トルーマン回顧録~II 恒文社 1992
[258] 웹사이트 Harry S Truman, “Statement on Formosa,” January 5, 1950 http://china.usc.edu[...] 남캘리포니아대학교 2014-02-25
[259] 서적 マッカーサーの時代 恒文社 1996
[260] 뉴스 1951-04-12
[261] 서적 R・ニクソン 祥伝社
[262] 뉴스 Nixon In China http://www.businessi[...] 2001-02-01
[263] 서적 The Kissinger Transcripts: The Top Secret Talks withBeijing and Moscow The New Press 1999
[264] 웹사이트 初代総統像の頭部を破壊 台湾で「銅像事件」相次ぐ http://www.asahi.com[...] 2017-04-22
[265] 웹사이트 中国人観光客を待ちわびる台湾海峡の最前線「金門島」 https://www.fsight.j[...] 新潮社
[266] 서적 蔣介石と日本 友と敵のはざまで 武田ランダムハウスジャパン
[267] 서적 2013
[268] 서적 台湾と日本がアジアを救う-光は東方より 明成社ほか
[269] 문서 拉孟では32倍・騰越では25倍。
[270] 서적 菊と龍 光人社ほか
[271] 문서 終戦時に張家口でソ連の大軍を迎撃撃破し、在留邦人を無事避難させたことで知られている。
[272] 서적 白団 : 台湾軍を作った日本軍将校たち 芙蓉書房ほか
[273] 문서 2008年1月28日にマスコミ総合研究所の会合にて。 2008-01-28
[274] 문서 2009年12月23日日本李登輝友の会が主催した日台共栄の夕べ 2009-12-23
[275] 뉴스 中台で異なる蒋介石の評価 https://wedge.ismedi[...] 2017-11-13
[276] 뉴스 蒋孝严盛赞《建国大业》称中共对历史评价客观 http://politics.peop[...] 2009-11-19
[277] 뉴스 毛沢東と蒋介石の孫同士が台湾で面会 https://www.afpbb.co[...] 2009-11-18
[278] 뉴스 「両岸は統一され強大な中国をつくるべき」蔣介石の孫・蔣孝厳氏の発言に大きな拍手=中国広東省 http://www.focus-asi[...] 2013-07-25
[279] 웹사이트 浙江省人民政府关于划定蒋氏故居之蒋母墓等文物保护单位保护范围及建设控制地带的批复 http://www.nbwb.net/[...]
[280] 웹사이트 蒋介石子孙回乡路:毛泽东下令保护蒋宅(图) http://www.chinanews[...] 中国新闻网 2009-11-22
[281] 웹사이트 蒋介石の遺体、大陸の故郷へ?遺族が島内での移葬を拒否—台湾 https://www.recordch[...] 2007-12-14
[282] 뉴스 蔣介石親子の遺体「中国に戻したい」遺族発言が波紋 朝日新聞 2007-12-24
[283] 웹사이트 石の台座に置かれたひつぎ 宙に浮く蒋介石父子の埋葬の地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0-10-07
[284] 서적 蔣介石神話の嘘
[285] 서적 張學良、宋子文檔案大揭秘 時報文化
[286] 서적 蔣介石神話の嘘、悪の論理
[287] 서적 蔣介石的功過:德使墨爾駐華回憶錄
[288] 문서 蔣の方が位は下であった。
[289] 서적 台湾 日月潭に消えた故郷 ウェッジ
[290] 서적 The generalissimo: Chiang Kai-shek and the struggle for modern China, Volume 39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06-28
[291] 서적 Chiang Kai Shek: China's Generalissimo and the Nation He Lost https://books.google[...] Carroll & Graf Publishers 2010-06-28
[292] 서적 The last empress: Madame Chiang Kai-shek and the birth of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0-06-28
[293] 서적 Madame Chiang Kai-shek: China's Eternal First Lady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10-06-28
[294] 서적 The life of Chiang Kai-shek https://books.google[...] Peter Davies 2010-06-28
[295] 서적 Intellectuals in the modern Islamic world: transmission, transformation,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0-06-28
[296] 서적 The Moslem World, Volumes 31–34 https://books.google[...] Hartford Seminary Foundation 2011-05-08
[297] 웹사이트 總統府正大門銜牌將以「總統府」取代 https://www.presiden[...]
[298] 서적 The Generalissimo: Chiang Kai-Shek and the Struggle for Modern China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99] 서적 중국 근대화를 이끈 걸출한 인물들 지식산업사
[300] 웹사이트 http://enc.daum.net/[...]
[301] 서적 시민을 위한 한국역사 창비 1997-06-01
[302] 서적 의열투쟁과 한국독립운동 국학자료원 2003-02-03
[303] 뉴스 秘錄 韓國外交<5> : 건국전야 (4)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5-01-22
[304] 뉴스 [다시쓰는 한반도100년] (25)정치자금으로 본 해방정국-돈줄막힌 김구 화교무역으로 활로 모색-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2-02-01
[305] 서적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306] 문서 다이지타오의 아들이라는 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