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노 시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키노 시로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육군 중장까지 진급했다. 1893년 가고시마현에서 태어나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여러 보직을 거쳐 제16사단장에 임명되어 레이테 전투에 참전했으나, 사단이 괴멸되자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평양 전쟁 관련자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태평양 전쟁 관련자 - 혼마 마사하루
혼마 마사하루는 일본 제국 육군 군인으로, 필리핀 공략전을 지휘했으나 바탄 죽음의 행진에 대한 책임으로 전범으로 처형되었고, 그의 재판은 지휘자 책임 적용 및 맥아더의 복수심 작용 등의 논란이 있다. - 1893년 출생 - 정인보
정인보는 일제강점기 및 한국전쟁 시기에 활동한 사학자, 시조 작가, 교육자로, 민족주의 역사관과 ‘얼’ 사상을 형성하고, 연세대학교 강사, 동아일보 논설위원, 국학대학교 학장, 감찰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조선사 연구』 등의 저서를 남겼으나 한국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1893년 출생 - 장택상
장택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임시정부 활동, 수도경찰청장, 초대 외무부 장관, 국무총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지지 후 야당 정치인으로 반독재 투쟁을 전개했다. - 1945년 사망 - 존 커틴
존 커틴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치가이자 노동당 소속 총리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에 독자적으로 선전포고하고 미국과의 동맹 강화, 징병제 도입, 사회 복지 제도 확대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 1945년 사망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20세기 중반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미국의 32대 대통령을 4번 연임하며 뉴딜 정책으로 경제 회복과 사회 안정을 추구하고, 연합국을 이끌어 추축국에 맞서 승리하며 전후 국제 질서 형성에 기여했다.
마키노 시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마키노 시로 |
로마자 표기 | Makino Shirō |
한자 표기 | 牧野四郎 |
출생 | 1893년 4월 18일 |
출생지 | 일본 가고시마현 |
사망 | 1945년 8월 10일 (향년 52세) |
사망지 | 필리핀 레이테섬 |
군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914년 - 1945년 |
최종 계급 | 육군중장 |
주요 참전 | 태평양 전쟁 레이테 전투 |
기타 정보 | |
![]() | |
ISBN | 0-688-02956-6 |
2. 약력
마키노 시로는 1893년 4월 18일 가고시마현 히오키군 히가시이치키초(東市来町)에서 태어나, 1910년 7월 구마모토 육군 지방 유년 학교(제11기), 1912년 5월 도쿄 육군 중앙 유년 학교, 1914년 5월 육군사관학교(제26기)를 졸업하고, 12월 구마모토 제13연대 보병 소위로 군 생활을 시작했다.[1]
이후 육군대학교(34기)를 졸업하고, 1944년 제16사단장에 임명되어 필리핀 레이테섬에 부임했으나, 1945년 레이테 전투에서 패배 후 사단 파괴의 책임을 지고 자결했다.
2. 1. 생애 초기
1893년 4월 18일 가고시마현 히오키군 히가시이치키초(東市来町)에서 태어났다. 1910년 7월 구마모토 육군 지방 유년 학교를 졸업했다(제11기). 1912년 5월 도쿄 육군 중앙 유년 학교를 졸업했다. 1914년 5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제26기), 12월 구마모토 제13연대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1]2. 2. 군 경력
1918년 7월 보병 중위로 진급했다. 같은 해 12월부터 1922년 11월까지 육군대학교에 입학 및 졸업했다(34기).[1] 1923년 8월 보병 대위로 진급하고,[1] 12월에는 교육총감부에 배속되었다.[1] 1925년 7월 대만 펑후 섬 요새 참모 겸 마코경비대 참모를 역임했다.[1] 1928년 7월 육군사관학교 교관으로 부임했고,[1] 1930년 8월 보병 소령으로 진급했다.[1] 1931년 12월 근위 보병 제4연대 대대장을 맡았다.[1] 1932년 12월 육군사관학교 교관으로 다시 부임했다.[1] 1933년 8월 보병 중령으로 진급, 육군대학교 병학 강사를 역임했다.[1] 1935년 12월 경성에 주둔한 제20사단 고급 참모로 부임했다.[1] 1937년 12월 보병 대령으로 진급, 육군사관학교 교수부장이 되었다.[1] 1938년 8월 무단장성 掖河에 주둔한 보병 제29연대장을 맡았다.[1] 1939년 8월 근위사단 사령부에 배속되었다.[1] 1940년 3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 제5군 참모장이 되었다.[1] 1941년 5월 육군 예과 사관학교 교수부장 및 학교 간사를 역임했다.[1] 1942년 12월 육군 예과 사관학교장이 되었다.[1] 1943년 6월 육군 중장으로 진급했다.[1] 1944년 3월 2일 사관학교 이임식에서 "꽃도, 열매도, 피도 눈물도 있는 무인이 되어라"라는 훈시를 남겼다.[1] 1944년 제16사단장에 임명되었다.[1]2. 3. 레이테 전투와 죽음
1944년, 마키노 시로는 제16사단장에 임명되어 필리핀 레이테섬으로 부임했다. 1945년, 레이테 전투에서 미군에 맞서 제16사단을 지휘했으나, 사단은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결국 1945년 8월, 레이테섬에서 사단 파괴의 책임을 지고 자결했다. 그는 "내가 적탄에 쓰러지면, 내 살을 먹고, 피를 마셔 양식으로 삼고, 마지막 한 병사까지 레이테섬을 사수하라"는 훈시를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그의 나이는 52세였다.참조
[1]
서적
Who's Who in Military History: From 1453 to the present day
William Morrow & Co. Inc.
1976
[2]
문서
레이테 결전
戦史叢書
[3]
서적
Who's Who in Military History: From 1453 to the present day
William Morrow & Co. Inc.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