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하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하심은 마차부자리에 있는 삼중성계의 고유 명칭으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θ 오리가이로도 불린다. 주성인 마하심 A는 흰색 A형 주계열성으로, 겉보기 등급 2.7이며 사냥개자리 알파2형 변광성이기도 하다. 짝별인 마하심 B는 태양과 비슷한 G형 주계열성으로 겉보기 등급은 7.2이며, 셋째 별인 마하심 C는 겉보기 등급 11로 A와 B로부터 49초각 떨어져 있다. 마하심 A는 태양 질량의 3배 이상이며, 화학적으로 특이한 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냥개자리 알파²형 변광성 - HR 465
    HR 465는 273일의 궤도 주기를 가지며 0.47의 이심률을 보이는 분광 쌍성으로, 두 구성 요소는 최소 37,400,000km 떨어져 있다.
  • 사냥개자리 알파²형 변광성 - 메사르팀
    메사르팀은 감마 양자리를 지칭하는 별의 고유 명칭으로, 이중성인 γ¹ 양자리와 γ² 양자리로 구성되며, γ² 양자리는 변광성이고 γ¹ 양자리는 철족 원소 함량이 낮으며, 1664년 이중성임이 발견되었고, 국제천문연맹에서 승인한 이름이다.
  • 마차부자리 - 마차부자리 SU
    마차부자리 SU는 추가 정보가 필요한 천체로, 구체적인 특성 및 분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 마차부자리 - 카펠라
    카펠라는 마차부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여섯 번째로 밝은 황백색 별로, 여러 문화권에서 염소와 관련된 신화에 등장하며 복잡한 항성계를 이루는 천문학자들의 관측 대상이다.
  • 다중성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다중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마하심
위치 정보
마차부자리 별자리 지도
마차부자리 내 θ 아우리가에 위치 (원으로 표시)
관측 정보
시대J2000
적경05h 59m 43.27012s
적위+37° 12′ 45.3047″
겉보기 등급2.62 - 2.70
별자리마차부자리
특징
분광형A0pSi + F2-5V
R-I 색지수-0.06
B-V 색지수-0.08
U-B 색지수-0.18
변광성 유형α2 CVn
측성 정보
시선 속도+29.5 km/s
고유 운동 (적경)+43.63 밀리초각/년
고유 운동 (적위)-73.79 밀리초각/년
연주 시차19.70 밀리초각
연주 시차 오차0.16 밀리초각
절대 등급-1.05
물리적 특성
질량3.24 태양질량
반지름4.68 태양반지름
광도214 태양광도
표면 온도10,220 K
표면 중력3.61
자전 속도55 km/s
자전 주기3.6187 일
나이288 백만 년
명칭
다른 이름마하심
37 아우리가에
BD+37°1380
HD 40312
HIP 28380
HR 2095
SAO 58636
WDS 05597+3713

2. 명칭

`θ 오리가이`(Theta Aurigaelat)는 이 항성계의 바이어 명명법상 명칭이다. 두 개의 구성 요소인 `Theta Aurigae A`와 `B`는 다중성계 목록인 워싱턴 다중성 카탈로그(WMC)에서 사용되며, 국제 천문 연맹(IAU)이 채택한 규칙에 따른 것이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이 별에 전통적인 이름이 없다고 보기도 하지만, 리처드 힌클리 앨런은 이 별의 이름으로 '마하심'(Mahasim)을 언급했다. 이 이름은 철자는 조금씩 다르지만 에타 오리가이와 헤라클레스자리 람다별에도 사용되었으며, "마부의 손목"을 뜻하는 아랍어 المِعْصَم|al-miʽşamara에서 유래했다. 헤라클레스자리 람다별의 이름 '마심'(Maasym) 역시 같은 어원을 공유한다.

2016년, 국제 천문 연맹(IAU)은 별들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IAU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 WGSN은 다중성계 전체가 아닌 개별 별에 고유 이름을 부여하기로 결정했고, 2017년 6월 30일에 구성 요소 `Theta Aurigae A`의 공식 명칭으로 '마하심'(Mahasim)을 승인했다. 이 이름은 현재 IAU가 승인한 별 이름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과거에는 '보가더스'(Bogardus)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이 별을 오차 별자리에서 네 번째 별이라는 의미로 '''오차사'''(五車四)라고 부른다.

3. 구성

마하심은 여러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다.

주성인 마하심 '''A'''는 흰색의 A형 주계열성으로 평균 겉보기 등급은 +2.7이며, 밝기가 변하는 사냥개자리 알파2형 변광성이다. 짝별 마하심 '''B'''는 겉보기 등급 +7.2의 주계열성으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으며, 주성 A와 하늘에서 약 3~4초각 떨어져 있다. 마하심 B의 정확한 분광형에 대해서는 G형 주계열성 또는 F형 주계열성이라는 다른 관측 결과가 있다.

세 번째 별 마하심 '''C'''는 겉보기 등급 11 정도로 훨씬 더 어둡고, A와 B로부터 약 49초각 떨어져 안시 이중성 관계를 이룬다. 이 외에도 겉보기 등급 12.1의 마하심 '''D'''(BD+37 1379)가 알려져 있다.

주성 A와 짝별 B를 합친 평균 겉보기 등급은 +2.65이다. 주성 A의 밝기 변화로 인해 항성계 전체의 밝기는 +2.62에서 +2.70 등급 사이에서 변동한다.

3. 1. 마하심 A

주성 마하심 A는 흰색의 A형 주계열성이다. 겉보기 등급은 평균 +2.7이지만, 사냥개자리 알파2형 변광성으로 분류되어 밝기가 변한다. 1.37일 주기로 밝기가 +2.62에서 +2.70까지 변동한다.



마하심 A는 태양 질량의 3배 이상, 태양 반지름의 5배에 달하는 거대한 별이다. 이 별의 유효 온도는 10,220 K이며, 바깥 대기에서 태양 광도의 214배에 달하는 빛을 방출하여 A형 별 특유의 흰색 빛을 띤다. 별의 분류는 A0pSi로, 'pSi' 접미사는 규소의 함량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화학적으로 특이한 별임을 나타낸다.

표면 자기장은 약 1 kG이다. 투영된 회전 속도는 55 km s−1이며, 별은 3.6일 만에 한 바퀴 회전한다. 회전축은 지구에서 관측하는 시선과 51 ± 6°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동반성인 마하심 B는 +7.2 등급의 F형 주계열성으로, 2002년 기준으로 주성 A보다 4.5 등급 더 어둡고 각거리 3.91 초 떨어져 있으며 위치각은 304.9°이다. 또 다른 동반성 마하심 C는 겉보기 등급 11로 훨씬 더 어둡고, A와 B로부터 49초각 떨어진 곳에 자리 잡고 있다. C와 A+B는 안시 이중성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마하심 A와 B를 합친 평균 겉보기 등급은 +2.65이다. 이 항성계는 9.49 × 1026 erg s−1의 광도를 가진 X선원이기도 하다.

3. 2. 마하심 B

마하심 B는 주성 마하심 A의 짝별이다. 이 별은 태양과 비슷한 G형 주계열성으로 분류되며, 겉보기 등급은 +7.2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 일부 자료에서는 F형 주계열성(F2-5 V 범위)으로 기술하기도 한다.

주성 A와는 하늘에서 약 3~4 초각 떨어져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관측 자료에 따라 3.2초, 3.5초 등의 값이 보고되었으며, 2002년 기준으로는 각거리 3.91 초각, 위치각 304.9°에서 관측되었다. 같은 시점(2002년) 기준으로 주성 A보다 4.5 등급 더 어둡다.

3. 3. 마하심 C

마하심 '''C'''는 겉보기 등급 11로 훨씬 더 어둡고, 주성 마하심 A와 짝별 마하심 B로부터 하늘에서 49초각 떨어져 있다. 마하심 C는 마하심 A와 B와 함께 안시 이중성계를 이룬다.

4. 물리적 특성



마하심 계의 주요 구성 요소인 세타 마차 A는 태양 질량의 3배 이상, 태양 반지름의 5배에 달하는 거대한 별이다. 이 별의 유효 온도는 10,220,000이며, 별의 대기에서 태양 광도의 214배에 해당하는 빛을 방출한다. 이 때문에 A형 별 특유의 흰색 빛을 띤다. 세타 마차 A의 별의 분류는 A0pSi로, 'pSi' 표기는 이 별이 규소(Si) 함량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화학적으로 특이한 별임을 나타낸다.

주성인 세타 마차 A는 사냥개자리 알파2형 변광성으로 분류되며, 표면 자기장은 약 1 kG(킬로가우스) 수준이다. 투영된 회전 속도는 55 km/s이며, 약 3.6일의 주기로 자전한다. 이 별의 회전축은 지구에서 바라보는 시선 방향에 대해 약 51 ± 6°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세타 마차 B는 +7.2 등급의 동반성으로, 주성보다 약 4.5 등급 어둡다. 2002년 기준으로 주성으로부터 각거리 3.91초 떨어져 있으며, 위치각은 304.9°이다. 이 동반성은 F2-5 V 범위의 별의 분류를 가진 F형 주계열성이다.

마하심 계의 평균 겉보기 등급은 +2.65이다. 하지만 주성이 변광성이기 때문에 계 전체의 밝기는 1.37일 주기로 +2.62 등급에서 +2.70 등급 사이에서 변동한다. 이 계는 9.49 × 1026 erg/s의 광도를 가진 X선 방출원이기도 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