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돔베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돔베 문자는 한글과 유사하게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음절을 이루는 문자 체계이다. 모든 문자는 정사각형 또는 5 모양을 기반으로 하며, 모음은 5 모양의 오른쪽에 숫자를 추가하여, 자음은 5 모양에 짧은 획을 추가하여 구분한다. 자음은 4개의 그룹과 4개의 패밀리로 나뉘며, 각 그룹과 패밀리는 기하학적 변환을 통해 다양한 자음을 표현한다. 만돔베 문자는 또한 숫자와 구두점을 포함하며, 로마자와 유사한 형태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문자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프리카의 문자 - 응코 문자
    솔로마나 칸테가 만데어 표기 개선과 아프리카 고유 문자 부재에 대한 인식 불식을 위해 창제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응코 문자는 만딩어의 성조를 정확히 표현하며 서아프리카 만데어 사용자들의 문해력 증진과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고 유니코드 추가, 위키백과 개설, 구글 번역 추가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활용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 아부기다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부기다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만돔베 문자
개요
유형자질 문자 체계
사용 시기1978년–현재
사용 언어콩고어
콩고어 야 레타
링갈라어
칠루바어
스와힐리어
계통인공 문자
창제자와벨라디오 파이
만돔베 문자로 쓴 만돔베
만돔베 문자로 쓴 만돔베
추가 정보
관련 연구근래 들어 만돔베 문자로 다른 아프리카 언어들을 표기하는 방법을 연구중임

2. 구조

만돔베 문자는 한글처럼 자음과 모음 문자가 결합하여 음절 블록을 형성한다. 모든 문자는 정사각형 S 또는 5 모양을 기반으로 한다. 6개의 모음은 5-모양의 오른쪽에 숫자를 추가하여 구분한다. 자음은 4개의 '그룹' 또는 모양으로 나뉘며, 3개의 그룹에 대해 5-모양에 짧은 획을 추가하여 구분된다. 또한 문자의 모양을 반사하고 회전시켜 4개의 '패밀리' 또는 방향으로 구분된다. 4개의 자음 패밀리는 모음의 동일한 모서리에 부착되며, 이는 자음에 맞춰 반사 또는 회전되므로 자음은 방향에 따라 음절 블록의 다른 모서리에 위치한다.

피트먼 속기와 달리 만돔베 문자에서는 그룹과 패밀리가 자연적인 클래스를 형성하지 않는다. 단, 4개의 기본 그룹 중 하나를 뒤집어 만든 5번째 그룹의 마찰음파찰음은 예외이다. 모음 연쇄와 비음 모음은 분음 부호로 생성되며, 비음화된 자음은 ''n'' (기본 5-모양)을 접두어로 사용하고, 자음군은 모음의 두 부분 사이 (5-모양과 추가 획 사이)에 자음을 삽입하여 생성된다.[1]

2. 1. 모음

모음은 홀로 쓰이며, 홀로 음절을 이룬다. 이중모음을 만들 경우에는 추가 부호를 쓴다.

로마자만돔베 문자모음부호
a
e
i
o
u / w



모음은 개별적으로 작성되어 자체적으로 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모음 연쇄 또는 이중 모음에서는 두 번째 모음 또는 모음의 일부에 변별 부호가 사용된다. 즉, ''lio''(두 음절)는 ''li''에 ''o''에 대한 변별 부호를 더하여 쓰고, ''mwa''(한 음절)는 ''mu''에 ''a''에 대한 변별 부호를 더하여 쓴다. 변별 부호는 모음의 마지막 획 끝에 온다. ''u''에 대한 변별 부호가 있지만, ''u''로 끝나는 시퀀스는 대신 일반적으로 두 개의 전체 음절로 작성되며, 두 번째 음절은 ''wu''이다.

라틴 문자만돔베구성변별 부호
i18px9px 9px2px
u26px9px 18pxalign="center" |
e26px9px 18px10px
o26px9px 9px12px
a26px9px 18px10px



''Ü''는 26px이다. 변별 부호가 없다.

2. 2. 자음

만돔베 문자는 한글처럼 자음과 모음 문자가 결합하여 음절 블록을 형성한다. 모든 문자는 정사각형 S 또는 5 모양을 기반으로 한다. 6개의 모음은 5-모양의 오른쪽에 숫자를 추가하여 구분한다. 자음은 4개의 '그룹' 또는 모양으로 나뉘며, 3개의 그룹에 대해 5-모양에 짧은 획을 추가하여 구분된다. 또한, 문자의 모양을 반사하고 회전시켜 4개의 '패밀리' 또는 방향으로 구분된다. 4개의 자음 패밀리는 모음의 동일한 모서리에 부착되며, 이는 자음에 맞춰 반사 또는 회전되므로 자음은 방향에 따라 음절 블록의 다른 모서리에 위치한다.

만돔베 문자에는 네 개의 기본 자음 형태가 있다. 각 형태(기본 문자)는 가로, 세로 또는 둘 다 반사되어 다른 자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네 개의 자음은 그룹으로 간주되고, 같은 방식으로 반사된 자음은 가족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자음은 모음과 결합되어 음절을 생성하며, 모음도 마찬가지로 반사된다.

  • 가족 1: 기본 방향을 가진 자음은 모음의 왼쪽 하단에 붙는다.
  • 가족 2: 자음+모음은 가로 및 세로로 모두 반사된다(180° 회전).
  • 가족 3: 자음+모음은 가로로 반사된다.
  • 가족 4: 자음+모음은 세로로 반사된다.


모음 부호는 주요 모음과 함께 반사된다.

기하학적 변환의 사용은 피트먼 속기와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에서도 나타나지만, 같은 그룹의 만돔베 자음은 (다섯 번째 그룹인 ''마지타 마 진딘가''를 제외하고는) 음운론적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 그룹의 모든 자음은 파찰음마찰음이다.

자음그룹 1그룹 2그룹 3그룹 4
분류 1
na
va
sa
ta
분류 2
be
de
fe
ge
분류 3
ko
mo
lo
po
분류 4
wi
ri
zi
yi
마지타 마 진딘가
shu
dju
tshu
ju



만돔베 문자라틴 문자
모음 시퀀스
bie
bie
이중 모음/반모음
mwa
mwa
비음 모음 또는 종성 비음 자음
ken
ken
선비음 자음
mbu
mbu
순음 폐쇄음
gba
gba
자음 연결
pro
pro
plo
plo


2. 3. 복합 문자

만돔베 문자는 한글처럼 자음과 모음 문자가 결합하여 음절 블록을 형성한다. 모든 문자는 정사각형 S 또는 5 모양을 അടിസ്ഥാന으로 한다.

모음은 개별적으로 작성되어 자체적으로 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모음 연쇄 또는 이중 모음에서는 두 번째 모음 또는 모음의 일부에 변별 부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lio''(두 음절)는 ''li''에 ''o''에 대한 변별 부호를 더하여 쓰고, ''mwa''(한 음절)는 ''mu''에 ''a''에 대한 변별 부호를 더하여 쓴다. 변별 부호는 모음의 마지막 획 끝에 온다.

라틴 문자만돔베구성변별 부호
i---- ----
u---- --
e---- ----
o---- ----
a---- ----



만돔베 문자에는 네 가지 기본 자음 형태가 있다. 각 형태는 가로, 세로 또는 둘 다 반사되어 다른 자음을 나타낼 수 있다.


  • 자음의 비음화는 10px (n)의 변형으로 표시하며, 모음에서 분리된다.
  • 모음의 비음화는 부착된 분음 부호로 표시된다: 10px.
  • 10px가 모음 글리프의 분리 가능한 두 부분 사이에 놓이면, 중간에 /r/이 있음을 나타낸다.


변형만돔베로마자
모음 연속--bie
이중 모음/반모음--mwa
비음 모음 또는 종성 비음--ken
비음화 자음--mbu
입술 폐쇄음--gba
자음군--pro
plo


2. 4. 숫자

1에 해당하는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 1과 유사하며, 2~5는 이 형태를 기반으로 한다. 6과 9는 아라비아 숫자 6과 9의 정사각형 버전이며, 7~8은 이를 반사하여 만들어진다.

1~5는 또한 모음 i u e o a에 사용되는 형태이기도 하다.

숫자만돔베
0--
1--
2--
3--
4--
5--
6--
7--
8--
9--


2. 5. 구두점

만돔베 문자의 구두점은 로마 문자와 일치한다. 쉼표는 짧은 선 모양(
ı
)이며, 마침표는 o의 분음 부호처럼 뒤집힌 V자 모양(
ʌ
)이다. 콜론과 세미콜론은 이들을 조합한 형태이다(세미콜론 î, 콜론은 이중으로 --). 느낌표는 람다(λ)와 같고, 물음표는 뒤집힌 Y(⅄)와 같다.

참조

[1] 간행물 Competing scripts: the introduction of the Roman alphabet in Africa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Sociology of Language 2008
[2] 서적 Invention of Scripts in West Africa for Ethnic Revita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 웹사이트 Preliminary proposal for encoding the Mandombe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Revised) https://www.unicode.[...] 2015-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