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찰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찰음은 기류가 좁은 통로를 지나면서 마찰을 일으켜 발생하는 소리이다. 마찰음은 생성 시 기류가 완전히 멈추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국제 음성 기호(IPA)를 사용하여 무성 및 유성 자음을 포함한 여러 마찰음을 표기한다. 치찰음은 혀와 입천장 사이의 좁은 틈으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소리로, 치음, 치경음, 치경구개음, 후치경음, 권설음 등으로 나뉜다. 비 치찰음은 치찰음보다 약한 마찰로 발생하며, 양순음, 순치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후두개음, 인두음 등이 포함된다. 설측음은 혀의 옆면과 입천장 사이의 좁은 틈으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발생하며, 치경음, 경구개음, 권설음, 연구개음 등이 있다. 성문 마찰음은 성대 사이의 틈에서 마찰이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소리이며, 한국어의 'ㅅ', 'ㅆ', 'ㅎ'도 마찰음에 해당한다. 마찰음은 난류 기류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이며, 음향학적 특징을 통해 조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음 방법 - 파열음
파열음은 조음 기관의 완전 폐쇄와 개방으로 만들어지는 자음으로, 학자에 따라 폐쇄음, 폭발음과 혼용되기도 하며, 국제 음성 기호에서 사용되고, 조음 위치, 성대 진동 유무 등에 따라 분류되며, 다양한 언어에서 그 존재와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 조음 방법 - 전동음
전동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 포함된 자음의 한 종류로, 혀나 다른 조음 기관이 빠르게 진동하여 소리를 내며, 치경 전동음 [r]이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 마찰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마찰음 -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은 혀끝과 치조릉 사이의 마찰로 나는 유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는 /z/이며,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고, 한국어에는 없지만 중세 한국어의 반치음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마찰음 | |
---|---|
개요 | |
조음 방법 | 마찰음 |
조음 | 좁은 통로로 공기를 통과시켜 생성하는 자음 |
영어 | fricative |
문화어 | 스침소리 |
특징 | |
정의 | 좁은 통로를 통해 공기를 밀어내어 생성되는 자음 |
예시 | f x ɬ s z ʃ ʒ |
조음 방법 분류 | |
장애음 | 파열음 불파음 마찰음 파찰음 치찰음 |
공명음 | 비음 탄음 전동음 |
유음 | 접근음 홀소리 반모음 |
공명강 | 구강음 비음 비모음 |
기류의 방향 | 설측음 치측음 중설음 |
기류의 근원 | 폐장기류음 고립기류음 (비 폐장기류음) 흡착음 방출음 내파음 |
성대의 울림 | 유성음 무성음 |
기식 | 유기음 무기음 |
긴장도 | 연음 경음 |
기타 | 유성유기음 R음 |
2. 마찰음의 종류
마찰음은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마찰음은 기류가 완전히 멈추지 않고 마찰을 겪으며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성문 마찰음의 경우, 실제로는 마찰음이 아닌 경우도 있다.
2. 1. 치찰음 (Sibilants)
치찰음은 혀와 입천장 사이의 좁은 틈으로 공기가 강하게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소리이다. 치찰음은 치음, 치경음, 치경구개음, 후치경음, 권설음 등으로 나뉜다.한국어의 'ㅅ', 'ㅆ'은 치경 마찰음 s영어에 해당하며, /i, j, y, ɥ/ 앞에서는 치경구개 마찰음 ɕ영어로 소리 난다.
모든 파찰음은 치경음이지만, 그 범위 내에서 치아음, 치경음, 후치경음, 또는 구개음(역설음)일 수 있다. 그러나 후치경 발음 위치에서 혀는 돔형, 엽경음, 또는 첨음의 여러 모양을 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에 대해 별도의 기호와 이름이 주어진다. 전형적인 역설음은 아첨음이고 구개음이지만, 일반적으로 첨 후치경음과 같은 기호로 표기된다. 치경음과 치아음은 첨음 또는 엽경음일 수도 있지만, 이 차이는 별도의 기호가 아닌 부호로 표시된다.
2. 1. 1. 치찰음의 종류 (IPA)
안울림소리 | 울림소리 | |
---|---|---|
치음 | 무성 치 치측 마찰음 | 유성 치 치측 마찰음 |
치경음 | 무성 치경 마찰음 | 유성 치경 마찰음 |
치경구개음 |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
후치경음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유성 후치경 마찰음 |
권설음 | 무성 권설 치찰 마찰음 | 유성 권설 치찰 마찰음 |
- 무성 치경 파찰음, 영어 ''s''ip의 ''s''와 같음
- 유성 치경 파찰음, 영어 ''z''ip의 ''z''와 같음
- 무성 치아 마찰음
- 유성 치아 마찰음
- 무성 치첨 파찰음
- 유성 치첨 파찰음
- 무성 전치경 파찰음(엽경, 혀끝이 아래 치아에 닿음)[4]
- 유성 전치경 파찰음(엽경)
- 무성 후치경 파찰음(엽경)
- 유성 후치경 파찰음(엽경)
- 무성 구개 치경 파찰음(돔형, 부분적으로 구개화됨), 영어 ''sh''ip의 ''sh''와 같음
- 유성 구개 치경 파찰음(돔형, 부분적으로 구개화됨), 영어 vi''si''on의 ''si''와 같음
-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엽경, 구개화됨)
-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엽경, 구개화됨)
- 무성 역설 파찰음(첨 또는 아첨)
- 유성 역설 파찰음(첨 또는 아첨)
2. 2. 비 치찰음 (Non-sibilants)
비 치찰음은 치찰음보다 약한 마찰로 발생하는 소리이다.마찰음을 생성할 때 기류는 완전히 멈추지 않고 마찰을 겪는다.
한국어의 'ㅅ', 'ㅆ'은 뒤에 /i, j, y, ɥ/가 오지 않을 때는 무성 치경 마찰음[s]으로 소리나고, /i, j, y, ɥ/ 앞에서는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ɕ]으로 소리난다. 'ㅎ'은 첫소리에서 뒤에 /i, j, y, ɥ, ɯ, ɰ, u, w/가 따르지 않으면 무성 성문 반찰음[h]으로, /i, j, y, ɥ/가 오면 무성 경구개 마찰음[ç]으로, /ɯ, ɰ/가 오면 무성 연구개 마찰음[x]으로, /u, w/가 오면 순음화 무성 양순 마찰음[ɸʷ]으로 소리난다. 모음이나 유성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유성 성문 반찰음[ɦ]으로 소리난다.
어떤 언어도 근사음과 마찰음을 구분하지 않으므로 같은 기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2. 2. 1. 비 치찰음의 종류 (IPA)
2. 3. 설측음 (Laterals)
설측음은 혀의 옆면과 입천장 사이의 좁은 틈으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소리이다. 치경음, 경구개음, 권설음, 연구개음 등이 있으며, 기류가 마찰을 겪는다.2. 3. 1. 설측음의 종류 (IPA)
안울림소리 | 울림소리 | |
---|---|---|
치경음 | 무성 치경 설측 마찰음 |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 |
경구개음 | 무성 경구개 설측 마찰음 | 유성 경구개 설측 마찰음 |
권설음 | 무성 권설 설측 마찰음 | 유성 권설 설측 마찰음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설측 마찰음 | 유성 연구개 설측 마찰음 |
- 치경측 마찰음
- 치경유성측 마찰음
- 치조무성측 마찰음
- 치조유성측 마찰음
- 치후치조무성측 마찰음 (메흐리어)
- 치후치조유성측 마찰음
- 후설무성측 마찰음
- 후설유성측 마찰음 (아오어)
- 경구개무성측 마찰음
- 경구개유성측 마찰음 (제베로어의 이음변동)
- 연구개무성측 마찰음
- 연구개유성측 마찰음
측 마찰음은 웨일스어의 'll' (예: '로이드', '르웰린'), 마친례스와 같은 지명에서 나타난다. 남아프리카의 여러 언어(코사어, 줄루어 등)와 몽골어에서는 무성 'hl'과 유성 'dl' 또는 'dhl'로 나타난다.
- 측 중설무성 마찰음 (측설화된 또는 , 현대 남아라비아어)
- 측 중설유성 마찰음 (측설화된 또는 , 현대 남아라비아어)
- 무성 치경측 마찰음
- 유성 치경측 마찰음
2. 4. 성문 마찰음 (Glottals)
성문에서 마찰이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소리이다. 엄밀한 의미에서는 조음 위치가 고정된 마찰음으로 보기 어렵다. 한국어의 'ㅎ'은 무성 성문 마찰음 [h]에 해당하며, 모음 사이에서는 유성 성문 마찰음 [ɦ]로 소리 나기도 한다. 또한, 'ㅎ'은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조음 위치가 변동되는 특징을 보인다. (/i, j, y, ɥ/ 앞에서는 [ç], /ɯ, ɰ/ 앞에서는 [x], /u, w/ 앞에서는 [ɸʷ])2. 4. 1. 성문 마찰음의 종류 (IPA)
- 무성 성문 전이, 영어의 'hat'과 같이
- 유성 성문 전이
영어나 한국어와 같은 많은 언어에서 성문 "마찰음"은 어떠한 동반되는 조음 방식(마찰음이든 아니든) 없이 성문의 성대진동 상태가 동반되지 않은 것이다. 핀란드어와 같은 여러 언어에서는 실제 성문 협착으로 오인될 수 있다.[6]
국제 음성 기호의 나 는 '''성문 마찰음'''이라고 불리며, 표에서도 마찰음 란에 위치하지만, 실제로는 어디에도 좁아지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위의 정의에 따른 마찰음의 범주에는 속하지 않는다. 피터 라디포기드에 따르면, 영어의 는 앞뒤 음의 무성화이며[15], (ahead, behind 등에서 자주 나타난다)는 실제로는 숨소리이다.[16]. 한국어에서도 마찬가지로, “하”()는 로 표기할 수도 있다. 라디포기드는 국제 음성 기호 표의 “기타 기호”에 와 를 이동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17]
3. 한국어의 마찰음
한국어에는 치경 마찰음 'ㅅ', 'ㅆ'과 성문 마찰음 'ㅎ'이 있다.
'ㅅ', 'ㅆ'은 /i, j, y, ɥ/ 앞에서 치경구개 마찰음 [ɕ]로 변이된다.[4] 'ㅎ'은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조음 위치가 변동되는 특징을 보인다.
4. 마찰음의 음향학적 특징
마찰음은 난류 기류에 의해 발생하는 다소 불규칙적인 잡음으로서, 유성음인 경우 주기적인 패턴이 겹쳐 나타난다.[12] 입 앞쪽에서 생성되는 마찰음은 입 뒤쪽에서 생성되는 마찰음보다 고주파수 영역에서 에너지 집중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13] 중심 주파수(CoG, spectral mean이라고도 함), 즉 진폭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된 스펙트럼의 평균 주파수는 다른 마찰음과 비교하여 마찰음의 조음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4]
5. 기타 마찰음
마찰음과 관련하여 기타 언급할 만한 소리는 다음과 같다.
- '''방출음'''
- 치경 마찰 방출음
- '''이중 조음'''
- 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 ʍ|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und(실제로는 마찰음이 아님)
- 무성 후치경 연구개 마찰음 ɧ|무성 후치경 연구개 마찰음und
5. 1. 방출음
- 치경 마찰 방출음
5. 2. 이중 조음
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 ʍ|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und(실제로는 마찰음이 아님)무성 후치경 연구개 마찰음 ɧ|무성 후치경 연구개 마찰음und
6. 참고: 마찰음과 근사음
마찰음과 근사음의 차이는 조음점의 좁이에 의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좁이가 있으며, 그것에 따라 마찰적 소음의 강도에도 차이가 생긴다. 또한, 호흡의 강도에 따라서도 소음의 크기에 차이가 생긴다. 하토리 시로에 따르면, 같은 v영어이라도, 영어나 프랑스어에 비해 독일어나 러시아어는 호흡이 약하기 때문에, 마찰적 소음도 약하다[18].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더 좁은 것을 ˔ 로, 더 넓은 것을 ˕ 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체코어의 řcz는 일반적인 보다 더 좁아서 마찰음적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로 나타낸다.
참조
[1]
서적
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
Blackwell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Frication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1-05-27
[3]
서적
A Critical Introduction to Phonetic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4]
서적
Exploring the Spanish Language
[5]
서적
Phonetic Notation
[6]
간행물
[7]
논문
A panchronic study of aspirated fricatives, with new evidence from Pumi
[8]
서적
Principles of Phonetics
[9]
웹사이트
Absence of Common Consonants
http://wals.info/fea[...]
Max Planck Digital Library
2008-09-15
[10]
서적
Voicing in Plosives and Fricatives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Patterns of Sou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Sounds of Language: An Introduction to Phonetics and Phonology
Wiley-Blackwell
[13]
서적
Acoustic and Auditory Phonetics
Wiley-Blackwell
[14]
서적
Measuring acoustic correlates of voicing in stops and fricatives
Department of English Linguistics, Eötvös Loránd University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문서
접근음도 겸용
[20]
문서
전동음도 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