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울이끼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울이끼목은 망울이끼강에 속하는 이끼의 한 목이다. 털은행잎이끼과, 아델란투스과, 아나스트로필룸과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Söderström 등(2016년)의 분류에 따라 Cephaloziineae, Jungermanniineae, Lophocoleineae, Myliineae, Perssoniellineae의 4개의 아목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두갈래이끼목에 포함되는 누에고케과를 망울이끼목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산이끼류 - 미주타니아 리카르디오이데스
미주타니아 리카르디오이데스는 일본에서 유래된 이름의 누에고케라고 불리는 태류 식물로, 한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진 엽상체를 가지며 고사리과의 전엽체와 유사한 외관을 띄고, 비늘이끼목 구멍이끼과에 속한다. - 우산이끼류 - 산호우산대이끼과
산호우산대이끼과는 메츠게리알레스 목에 속하는 단순한 엽상체 선태류 과로, 종의 구분이 어렵고 유전자 연구를 통해 형태적으로 숨겨진 종이 밝혀졌으며, 초록우산대이끼속, Cryptothallus, Lobatiriccardia, 산호우산대이끼속, Verdoornia 등이 속한다.
망울이끼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Jungermanniales |
명명자 | H. Klinggr, 1858 |
화석 범위 | 페름기 후기에서 현재 |
분류 | |
하위 분류군 | 가족 목록은 본문을 참고하십시오. |
과 | 아크로볼부스과 아나스트로필룸과 안드레아과 안틸리아과 아플로지아과 아르넬리아과 발란티옵시스과 칼립게이아과 케팔로지아과 케팔로지엘라과 클라도마스토고이아과 콜레오케팔로지아과 듀모르티에라과 게오칼릭스과 기모노콜레아과 고블레오티아과 하플로미트리움과 이소티칼리아과 융에르만니아과 레피콜레아과 레페토필라과 로포콜레아과 로포지아과 마르수펠라과 메소티포이데스과 미스칼리아과 플라기오킬라과 포이소니아과 프틸리디움과 라디울라과 사키오스포라과 스카파니아과 솔레노스토마과 스테레오콜레아과 트리코콜레아과 |
2. 하위 분류
망울이끼목의 하위 분류는 여러 체계가 존재하지만, 최근에는 라르스 쇠데르스트룀 등이 2016년에 발표한 분류 체계가 널리 받아들여진다.[4] 이 분류에 따르면 망울이끼목은 크게 5개의 아목(亞目, Suborder)으로 나뉜다.
- Cephaloziineae
- Jungermanniineae
- Lophocoleineae
- Myliineae
- Perssoniellineae
각 아목에 속하는 과(科, Family)의 상세한 목록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과 (Families)
Söderström 등이 2016년에 업데이트한 분류는 아래와 같다.[4]Cephaloziineae Schljakov
- Adelanthaceae Grolle 1972 (아델란투스과)
- Anastrophyllaceae Söderström et al. 2010b (아나스트로필룸과)
- Cephaloziaceae 발터 미굴라 1904 (게발이끼과)
- Cephaloziellaceae Douin 1920 (겉게발이끼과)
- Lophoziaceae Cavers 1910 (로포지아과)
- Scapaniaceae 발터 미굴라 1904 (엄마이끼과)
Jungermanniineae Schuster ex Stotler & Crandall-Stotler 2000
- Acrobolbaceae Hodgson 1962 (털은행잎이끼과)
- Antheliaceae Schuster 1963 (백록담이끼과)
- Arnelliaceae Nakai 1943 (아르넬리아과)
- Balantiopsidaceae Buch 1955 (발란티옵시스과)
- Blepharidophyllaceae Schuster 2002 (블렙파리도필룸과)
- Calypogeiaceae Arnell 1928 (목걸이이끼과)
- Endogemmataceae Konstantinova, Vilnet & Troitsky 2011 (엔도겜마과)
- Geocalycaceae 폰 클링그래프 1858 (기발이끼과)
- Gymnomitriaceae 폰 클링그래프 1858 (은비늘이끼과)
- Gyrothyraceae Schuster 1970 (기로티라과)
- Harpanthaceae Arnell 1928 (하르판투스과)
- Hygrobiellaceae Konstantinova & Vilnet 2014 (물가게발이끼과)
- Jackiellaceae Schuster 1972 (자키엘라과)
- Jungermanniaceae 라이헨바흐 1828 (망울이끼과)
- Notoscyphaceae Crandall-Stotler, Vana & Stotler (노토스킵푸스과)
- Saccogynaceae Heeg (사코기나과)
- Solenostomataceae Stotler & Crandall-Stotler 2009 (둥근망울이끼과)
- Southbyaceae Váňa et al. 2012 (사우스비아과)
- Stephaniellaceae Schuster 2002 (스텝파니엘라과)
- Trichotemnomataceae Schuster 1972 (트리코템노마과)
Lophocoleineae Schljakov 1972
- Blepharostomataceae Frey & Stech 2008 (블렙파로스토마과)
- Brevianthaceae Engel & Schuster 1981 (브레비안투스과)
- Chonecoleaceae Schuster ex Grolle 1972
- Grolleaceae Solari ex Schuster 1984 (그롤레아과)
- Herbertaceae Müller ex Fulford & Hatcher 1958 (쌍갈고리이끼과)
- Lepicoleaceae Schuster 1963 (레피콜레아과)
- Lepidoziaceae Limpricht 1877 (벼슬이끼과)
- Lophocoleaceae Vanden Berghen 1956 (두끝벼슬이끼과)
- Mastigophoraceae Schuster 1972 (마스티고포라과)
- Plagiochilaceae Müller & Herzog 1956 (날개이끼과)
- Pseudolepicoleaceae Fulford & Taylor 1960 (솔잎이끼과)
- Trichocoleaceae Nakai 1943 (털가시잎이끼과)
Myliineae Engel & 존 E. 브래긴스 ex Crandall-Stotler et al.
- Myliaceae Schljakov 1975 (잔비늘이끼과)
Perssoniellineae Schuster 1963
- Schistochilaceae Buch 1928 (스키스토킬라과)
한국어 명칭은 주로 고목·미즈타니 편(1994)을 참고했다.[8] 그 외에 누에고케과를 포함하는 견해도 있으나[9], 이 과는 두갈래이끼목에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2. 2. 추가 과 (일본어 위키백과)
라르스 쇠데르스트룀 등이 2016년에 제시한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4]- '''Cephaloziineae''' Schljakov [Jamesoniellineae]
- * 아델란투스과 (Adelanthaceae) Grolle 1972 [Jamesoniellaceae He-Nygrén et al. 2006]
- * 아나스트로필룸과 (Anastrophyllaceae) Söderström et al. 2010b
- * 게발이끼과 (Cephaloziaceae) 발터 미굴라 1904
- * 겉게발이끼과 (Cephaloziellaceae) Douin 1920 [Phycolepidoziaceae Schuster 1967]
- * 로포지아과 (Lophoziaceae) Cavers 1910
- * 엄마이끼과 (Scapaniaceae) 발터 미굴라 1904 [Diplophyllaceae Potemk. 1999; Chaetophyllopsaceae Schuster 1960]
- '''Jungermanniineae''' Schuster ex Stotler & Crandall-Stotler 2000 [Geocalycineae Schuster 1972]
- * 털은행잎이끼과 (Acrobolbaceae) Hodgson 1962
- * 백록담이끼과 (Antheliaceae) Schuster 1963
- * 아르넬리아과 (Arnelliaceae) Nakai 1943
- * 발란티옵시스과 (Balantiopsidaceae) Buch 1955
- * 블렙파리도필룸과 (Blepharidophyllaceae) Schuster 2002
- * 목걸이이끼과 (Calypogeiaceae) Arnell 1928 [Mizutaniaceae Furuki & Iwatsuki 1989]
- * Endogemmataceae Konstantinova, Vilnet & Troitsky 2011
- * 기발이끼과 (Geocalycaceae) 후고 폰 클링그래프 1858
- * 은비늘이끼과 (Gymnomitriaceae) 후고 폰 클링그래프 1858
- * 기로티라과 (Gyrothyraceae) Schuster 1970
- * Harpanthaceae Arnell 1928
- * 물가게발이끼과 (Hygrobiellaceae) Konstantinova & Vilnet 2014
- * 자키엘라과 (Jackiellaceae) Schuster 1972
- * 망울이끼과 (Jungermanniaceae) 루트비히 라이헨바흐 1828 [Mesoptychiaceae Inoue & Steere 1975; Delavayellaceae Schuster 1961]
- * Notoscyphaceae Crandall-Stotler, Vana & Stotler
- * Saccogynaceae Heeg
- * 둥근망울이끼과 (Solenostomataceae) Stotler & Crandall-Stotler 2009
- * Southbyaceae Váňa et al. 2012
- * Stephaniellaceae Schuster 2002
- * 트리코템노마과 (Trichotemnomataceae) Schuster 1972
- '''Lophocoleineae''' Schljakov 1972 [Pseudolepicoleineae; Trichocoleineae]
- * Blepharostomataceae Frey & Stech 2008
- * 브레비안투스과 (Brevianthaceae) Engel & Schuster 1981
- * Chonecoleaceae Schuster ex Grolle 1972
- * 그롤레아과 (Grolleaceae) Solari ex Schuster 1984
- * 쌍갈고리이끼과 (Herbertaceae) Müller ex Fulford & Hatcher 1958
- * 레피콜레아과 (Lepicoleaceae) Schuster 1963 [Vetaformataceae Fulford & Taylor 1963]
- * 벼슬이끼과 (Lepidoziaceae) Limpricht 1877 [Neogrollaceae]
- * 두끝벼슬이끼과 (Lophocoleaceae) Vanden Berghen 1956
- * 마스티고포라과 (Mastigophoraceae) Schuster 1972
- * 날개이끼과 (Plagiochilaceae) Müller & Herzog 1956
- * 솔잎이끼과 (Pseudolepicoleaceae) Fulford & Taylor 1960
- * 털가시잎이끼과 (Trichocoleaceae) Nakai 1943
- '''Myliineae''' Engel & 존 E. 브래긴스 ex Crandall-Stotler et al.
- * 잔비늘이끼과 (Myliaceae) Schljakov 1975
- '''Perssoniellineae''' Schuster 1963
- * 스키스토킬라과 (Schistochilaceae) Buch 1928 [Perssoniellaceae Schuster ex Grolle 1972]
그 외에 누에고케과를 포함하는 견해도 있지만[9], 이는 두갈래이끼목에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3. 계통 분류
노비코프(Novíkov)와 바라바스-크라스니(Barabaš-Krasni)의 2015년 연구에 따르면, 망울이끼강(Marchantiophyta)은 크게 물우산대이끼아강(Marchantiidae)과 나머지 아강들로 나뉜다. 망울이끼목(Jungermanniales)은 망울이끼아강(Jungermanniidae)에 속하며, 이 아강은 리본이끼아강(Metzgeriidae)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 망울이끼아강 내에서 망울이끼목은 손꼴가시이끼목(Ptilidiales)과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다.[11]
쇠데르스트룀(Söderström) 등이 2016년에 제시한 망울이끼목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4]
- Cephaloziineae Schljakov [Jamesoniellineae]
- * Adelanthaceae Grolle 1972 [Jamesoniellaceae He-Nygrén et al. 2006]
- * Anastrophyllaceae Söderström et al. 2010b
- * Cephaloziaceae 미굴라 1904
- * Cephaloziellaceae Douin 1920 [Phycolepidoziaceae Schuster 1967]
- * Lophoziaceae Cavers 1910
- * Scapaniaceae 미굴라 1904 [Diplophyllaceae Potemk. 1999; Chaetophyllopsaceae Schuster 1960]
- Jungermanniineae Schuster ex Stotler & Crandall-Stotler 2000 [Geocalycineae Schuster 1972]
- * Acrobolbaceae Hodgson 1962
- * Antheliaceae Schuster 1963
- * Arnelliaceae Nakai 1943
- * Balantiopsidaceae Buch 1955
- * Blepharidophyllaceae Schuster 2002
- * Calypogeiaceae Arnell 1928 [Mizutaniaceae Furuki & Iwatsuki 1989]
- * Endogemmataceae Konstantinova, Vilnet & Troitsky 2011
- * Geocalycaceae 폰 클링그래프 1858
- * Gymnomitriaceae 폰 클링그래프 1858
- * Gyrothyraceae Schuster 1970
- * Harpanthaceae Arnell 1928
- * Hygrobiellaceae Konstantinova & Vilnet 2014
- * Jackiellaceae Schuster 1972
- * Jungermanniaceae 라이헨바흐 1828 [Mesoptychiaceae Inoue & Steere 1975; Delavayellaceae Schuster 1961]
- * Notoscyphaceae Crandall-Stotler, Vana & Stotler
- * Saccogynaceae Heeg
- * Solenostomataceae Stotler & Crandall-Stotler 2009
- * Southbyaceae Váňa et al. 2012
- * Stephaniellaceae Schuster 2002
- * Trichotemnomataceae Schuster 1972
- Lophocoleineae Schljakov 1972 [Pseudolepicoleineae; Trichocoleineae]
- * Blepharostomataceae Frey & Stech 2008
- * Brevianthaceae Engel & Schuster 1981
- * Chonecoleaceae Schuster ex Grolle 1972
- * Grolleaceae Solari ex Schuster 1984
- * Herbertaceae Müller ex Fulford & Hatcher 1958
- * Lepicoleaceae Schuster 1963 [Vetaformataceae Fulford & Taylor 1963]
- * Lepidoziaceae Limpricht 1877 [Neogrollaceae]
- * Lophocoleaceae Vanden Berghen 1956
- * Mastigophoraceae Schuster 1972
- * Plagiochilaceae Müller & Herzog 1956
- * Pseudolepicoleaceae Fulford & Taylor 1960
- * Trichocoleaceae Nakai 1943
- Myliineae Engel & 브래긴스 ex Crandall-Stotler et al.
- * Myliaceae Schljakov 1975
- Perssoniellineae Schuster 1963
- * Schistochilaceae Buch 1928 [Perssoniellaceae Schuster ex Grolle 1972]
4. 갤러리
참조
[1]
서적
The Bryophytes of the Palaeozoic and the Mesozoic
J. Cramer
[2]
서적
Die höheren Cryptogamen Preussens
Wilhelm Koch
[3]
간행물
Boreal Hepaticae a Manual of the Liverworts of Minnesota and Adjacent Regions.
https://doi.org/10.2[...]
University of Notre Dame
[4]
저널
World checklist of hornworts and liverworts
[5]
서적
Die höheren Cryptogamen Preussens
Wilhelm Koch
[6]
서적
新しい植物分類学 II
講談社
[7]
서적
原色日本蘚苔類図鑑
[[保育社]]
[8]
웹사이트
日本産苔類のチェックリスト
http://hattori-bot-l[...]
服部植物研究所
2011-08-15
[9]
간행물
Developmental Morphology of Irregularly-shaped Gametophytes of the Liverwort Mizutania riccardioides (Mizutaniaceae)
[10]
서적
Die höheren Cryptogamen Preussens
Wilhelm Koch
[11]
저널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