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맥길역은 몬트리올 지하철 녹색 노선의 역으로, 몬트리올 지하도시 확장과 함께 변화를 겪으며, 맥길 대학교 및 센터 빌과의 접근성을 높였다. 2013년과 2016년에 걸쳐 리모델링이 진행되었으며, 2019년에는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공사가 시작되어 2023년 4월에 완공되었다. 2020년에는 광역급행철도(REM) 도입에 앞서 접근성 확보를 위한 공사가 시작되었다. 2016년에는 REM 설치 계획에 따라 경전철역이 신설될 예정이며, 2025년 중반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맥길역은 7개의 출입구, 다양한 미술 작품, 그리고 맥길 대학교, 맥코드 박물관 등 주요 시설과 지하도시 연결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녹색 선 (몬트리올) - 비오역
비오역은 몬트리올 지하철 녹색 선에 있는 역으로, 한때 간이역이었으나 현재는 모든 영업이 종료되었으며, 역명은 비오 가에서 유래했고, 장폴 무소의 벽화가 있으며, 시설 개선 공사를 통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고, 인근에는 다양한 명소가 있다. - 녹색 선 (몬트리올) - 보드리역
보드리역은 몬트리올 지하철 녹색 선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게이 빌리지를 상징하는 무지개 색상 기둥이 특징이며, 메종 드 라디오캐나다, 몬트리올 노트르담 병원 등 주변 명소가 있다. - 1966년 개업한 철도역 - 미조노쿠치역
미조노쿠치역은 1927년 다마가와 전기철도 미조노쿠치선의 역으로 개업하여 고가화와 역명 변경을 거쳐 덴엔토시선과 오이마치선이 운행되는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역이다. - 1966년 개업한 철도역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맥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역 종류 | 몬트리올 지하철 |
주소 | 드 메종뇌브 불바르와 유니버시티 스트리트 교차점, 몬트리올, 퀘벡 주 H3A 2A4 |
깊이 | 10.7m (49번째로 깊음), REM: 10m |
개업일 | 1966년 10월 14일 |
설계 | 크레비에, 르미외, 메르시에, 카롱 |
접근성 | 가능 |
운영 | 몬트리올 교통공사 |
구역 | 광역교통청: A |
승객 수 | }} |
노선 정보 | |
몬트리올 지하철 | |
노선 | ■ 녹색 선 |
이전 역 | 필 |
다음 역 | 플라스데자르 |
이전 역 간 거리 | 0.30km |
다음 역 간 거리 | 0.35km |
미래 서비스 | |
노선 | REM |
이전 역 | 에두아르-몽프티 |
다음 역 | 센트럴 역 |
2. 역사
크레비에, 르미외, 메르시에, 카롱이 설계한 맥길 역은 불바르 드메종뇌브 지하를 따라 절개 공법으로 지어진 일반적인 상대식 승강장 지하철역으로, 양쪽 끝에 두 개찰구가 있다. 역의 큰 기둥은 원래 오렌지색이었으나 1990년대에 녹색으로 칠해졌다가, 2010년 1월 몬트리올 교통공사의 역 개선 작업으로 원래 색깔로 복원되었다.[5]
몬트리올 지하도시의 주요 지하철역인 맥길 역의 메자닌층은 개통 이후 계속 확장되었다. 메자닌 서쪽에는 BNP 타워와 이튼 센터가 건설되면서 출입구가 추가되었고, 역 남쪽에는 프롬나드 카테드랄이 지어지면서 보행자 통로가 새로 추가되었다.[5] 오노레 보그랑 방면 승강장에는 이튼 센터로 이어지는 출구가 있으며, 지상 출입구도 여섯 개가 있다.[5] 역 안에는 팀 홀튼, 세컨드 컵 등 다양한 상가가 있다.
최소 6개의 건물이 지하 도시를 통해 역과 직접 연결되어 있고, 다른 건물의 외관에 통합된 6개의 직접적인 거리 입구가 있다. 2023년에는 엘리베이터 접근성을 위해 별도의 건물에 일곱 번째 입구가 추가되었다.[5]
2013년, 맥길역은 트래버틴 타일 교체, 조명, 기둥, 빔, 콘크리트 판, 화강암 계단과 핸드레일 교체 등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하였다.[20] 2016년 말에는 표지판을 교체하고 승강장 바닥 타일을 새로 설치했으며,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을 복원하여 다시 설치하였다.[19]
2019년 2월 14일, 몬트리올 교통공사(STM)는 맥길역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 기존 드메종뇌브에 있던 자연 환풍구를 철거하고 새 출입구를 설치할 계획을 발표하였다.[21] 2020년 3월에 착공한 출입구 및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는 2023년 4월 3일에 완료되어, 맥길역은 몬트리올 지하철에서 26번째로 접근성이 확보된 역이 되었다.[22][23][24][5] 이 공사에는 새 출입구 건물 건설, 엘리베이터 2대 설치, 새 공공 미술품 설치, 그리고 다른 출입구 3곳의 개보수가 포함되었으며, 비용은 약 5800만캐나다 달러로 추산되었다.[7][5]
퀘벡 연금보험 및 투자신탁공사 (CDPQ)는 2016년 11월 25일에 무인 경전철인 광역급행철도 (REM) 설치 계획을 발표하면서, 맥길역을 포함한 세 개의 지하철역에 경전철역이 신설될 예정임을 밝혔다.[25] 경전철역은 두몽타뉴선이 지나는 몽루아얄 터널에 지어질 예정이며, 이 터널은 무인 경전철 운행을 위해 개량될 예정이다. 또한 경전철역은 몬트리올 지하도시의 이튼 센터와 플라스 몽레알 트러스트와 같은 건물과 연결될 예정이다.[26] 2018년 가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2년 완공을 목표로 하였다.[26]
CDPQ Infra는 광역급행철도 (REM) 시스템이 맥길에서 녹색 노선과 연결될 것이라고 발표했다.[8][9] REM은 1980년대 3호선 제안과 같이, 몽 로열 터널을 사용하여 도심에서 북쪽으로 향할 것이다. REM 역은 맥길 칼리지 애비뉴 아래에 위치하며, 보행자 터널이 녹색 노선 역과 지하 도시와 연결될 것이다.[10] CDPQ Infra는 이 역이 REM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역이 되어, 하루 25,000명 이상의 승객이 이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10] 맥길 REM 역 공사는 2018년 9월에 시작되었으며,[11] 이 위치에서 몽 로열 터널은 단단한 암반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역사적인 터널을 보강하는 작업이 필요했다.[12] 2024년 4월 현재, REM 역은 2025년 중반에 개통될 예정이다.[13]
2. 1. 초기 역사
크레비에, 르미외, 메르시에, 카롱이 설계한 맥길 역은 불바르 드메종뇌브 지하를 따라 절개 공법으로 지어진 일반적인 상대식 승강장 지하철역으로, 양쪽 끝에 두 개찰구가 있다. 이 역에는 큰 기둥이 있는데, 원래 오렌지색이었으나 1990년대에 녹색으로 칠해졌다. 2010년 1월, 몬트리올 교통공사는 역 개선 작업의 일환으로 기둥과 벽 색깔을 원래대로 복원하였다.[5]맥길 역은 몬트리올 지하도시의 주요 지하철역으로, 메자닌층은 개통 이후 계속 확장되었다. 메자닌 서쪽에는 BNP 타워와 이튼 센터가 건설되면서 출입구가 추가되었고, 역 남쪽에는 프롬나드 카테드랄이 지어지면서 보행자 통로가 새로 추가되었다.[5]
이 역은 여섯 개 이상의 건물과 연결되어 있으며, 오노레 보그랑 방면 승강장에는 이튼 센터로 이어지는 출구가 있다. 또한 지상으로 이어지는 출입구도 여섯 개가 있다.[5]
역 안에는 팀 홀튼, 세컨드 컵 등 다양한 상가가 들어서 있다.
2. 2. 역 확장 및 변화
이 역은 몬트리올 지하 도시의 주요 지하철역으로, 메자닌층은 개통 이후 계속 확장되었다. 메자닌 서쪽에는 BNP 타워와 이튼 센터가 건설되면서 출입구가 추가되었고, 역 남쪽에는 프롬나드 카테드랄이 지어지면서 보행자 통로가 새로 추가되었다.[5]최소 6개의 건물이 지하 도시를 통해 역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역에는 다른 건물의 외관에 통합된 6개의 추가적인 직접적인 거리 입구가 있다. 2023년에는 엘리베이터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건물에 일곱 번째 입구가 추가되어 역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5]
2. 3. 최근 개선 공사
2013년, 맥길역은 역 전체를 덮고 있는 트래버틴 타일을 교체하고, 조명, 기둥, 빔, 콘크리트 판, 화강암 계단과 핸드레일도 교체하는 등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하였다.[20] 2016년 말에는 표지판을 교체하고 승강장 바닥 타일을 새로 설치했으며,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을 복원하여 다시 설치하였다.[19]2019년 2월 14일, 몬트리올 교통공사(STM)는 맥길역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 기존 드메종뇌브에 있던 자연 환풍구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새 출입구를 설치할 계획을 발표하였다.[21] 2020년 3월에 착공한 출입구 및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는 2023년 4월 3일에 완료되어, 맥길역은 몬트리올 지하철에서 26번째로 접근성이 확보된 역이 되었다.[22][23][24][5] 이 공사에는 새 출입구 건물 건설, 엘리베이터 2대 설치, 새 공공 미술품 설치, 그리고 다른 출입구 3곳의 개보수가 포함되었으며, 비용은 약 5800만캐나다 달러로 추산되었다.[7][5]
2. 4. 광역급행철도 (REM) 연결 계획
퀘벡 연금보험 및 투자신탁공사 (CDPQ)는 2016년 11월 25일에 무인 경전철인 광역급행철도 (Réseau express métropolitain, REM) 설치 계획을 발표하면서, 맥길역을 포함한 세 개의 지하철역에 경전철역이 신설될 예정임을 밝혔다.[25]경전철역은 두몽타뉴선이 지나는 몽루아얄 터널에 지어질 예정이며, 이 터널은 무인 경전철 운행을 위해 개량될 예정이다. 또한 경전철역은 몬트리올 지하도시의 이튼 센터와 플라스 몽레알 트러스트와 같은 건물과 연결될 예정이다. 2018년 가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2년 완공을 목표로 하였다.[26] CDPQ Infra는 광역급행철도 (REM) 시스템이 맥길에서 녹색 노선과 연결될 것이라고 발표했다.[8][9] REM은 1980년대 3호선 제안과 같이, 몽 로열 터널을 사용하여 도심에서 북쪽으로 향할 것이다. REM 역은 맥길 칼리지 애비뉴 아래에 위치하며, 보행자 터널이 녹색 노선 역과 지하 도시와 연결될 것이다.[10] CDPQ Infra는 이 역이 REM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역이 되어, 하루 25,000명 이상의 승객이 이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10]
맥길 REM 역 공사는 2018년 9월에 시작되었다.[11] 이 위치에서 몽 로열 터널은 단단한 암반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역사적인 터널을 보강하는 작업이 필요했다.[12] 2024년 4월 현재, REM 역은 2025년 중반에 개통될 예정이다.[13]
3. 구조
크레비에, 르미외, 메르시에, 카롱이 설계한 이 역은 불바르 드메종뇌브 지하를 따라 절개 공법으로 지어진 일반적인 상대식 승강장 지하철역이다. 양쪽 끝에 두 개찰구가 있고, 커다란 기둥이 역을 에워싸고 있다.[5] 이 기둥은 원래 오렌지색이었으나 1990년대에 녹색으로 칠해졌다가, 2010년 1월 몬트리올 교통공사의 역 개선 작업으로 원래 색깔로 복귀되었다.[5]
승강장은 4개의 계단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몬트리올 지하철에서 가장 짧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5]
3. 1. 역 구조
크레비에, 르미외, 메르시에, 카롱이 설계한 이 역은 불바르 드메종뇌브 지하를 따라 절개 공법으로 지어진 일반적인 상대식 승강장 지하철역이다. 양쪽 끝에 있는 두 개찰구가 역을 에워싸고 있으며, 커다란 기둥이 있다.[5] 이 기둥은 원래 오렌지색이었으나 1990년대에 녹색으로 칠해졌다가, 2010년 1월 몬트리올 교통공사의 역 개선 작업으로 원래 색깔로 복귀되었다.[5]몬트리올 지하도시의 주요 지하철역으로, 메자닌층은 개통 이후 계속 확장되었다. 메자닌 서쪽에는 BNP 타워와 이튼 센터가 건설되면서 출입구가 추가되었고, 역 남쪽에는 프롬나드 카테드랄이 지어지면서 보행자 통로가 새로 추가되었다.[5]
이 역은 여섯 개 이상의 건물과 연결되어 있으며, 오노레 보그랑 방면 승강장에는 이튼 센터로 이어지는 출구가 있다. 또한 지상층으로 이어지는 출입구도 여섯 개 있다.[5] 역 안에는 팀 홀튼, 세컨드 컵 등 다양한 상가가 들어서 있다.
3. 2. 독특한 특징
크레비에, 르미외, 메르시에와 카롱이 설계한 이 역은 일반적인 상대식 승강장 지하철역이다. 불바르 드메종뇌브 지하를 따라 절개 공법으로 지어졌으며, 양쪽 끝에 있는 두 개찰구가 역을 에워싸고 있다. 역에는 커다란 기둥이 있는데, 원래 오렌지색이었으나 1990년대에 녹색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1월, 몬트리올 교통공사는 역 개선 작업의 일환으로 기둥과 벽 색깔을 원래대로 복원하였다.[5]승강장마다 4개의 계단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몬트리올 지하철에서 가장 짧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5]
3. 3. 출입구
맥길역에는 7개의 출입구가 있다.4. 미술 작품
맥길역에는 여러 미술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니콜라스 솔로구브의 《1830년 경 몬트리올의 풍경》(Montreal Scenes Circa 1830)은 산업 혁명 당시의 몬트리올 풍경과 몬트리올 초기 시장, 그리고 시의 문장이 묘사되어있다.[19] 이 다섯 개의 스테인글라스 벽화는 지하철 개통 당시 맥도널드 담배 회사에서 기부하였다.
모리스 사부아는 과일과 꽃이 담긴 테라코타 벽화를 콩플렉스 레젤 출입구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하였다. 1992년에 프롬나드 카테드랄이 건축되면서 머레이 맥도널드의 조명 조각 작품인 《파수스》(Passūs)와[16] 미술 단체인 레 장뒤스트리 뻬르뒤의 미니어처 건물이 포함된 몬트리올의 조감도인 《일어서기 위해서는 우리가 떨어진 곳을 짚어 일어나야 한다.》(To rise, we must push against the ground onto which we have fallen)가 설치되어있다.[17]
2023년에는 엘리베이터 설치와 함께[5] 811 드 메종뇌브 웨스트 입구에 마티유 레베스크가 그린 알루미늄 페인팅 작품 3점 연작인 ''베스티주''가 새로 설치되었다. 이 작품들은 인근 골든 스퀘어 마일을 기념한다.[18]
제임스 맥길의 일대기를 담은 켈빈 맥아보이의 태피스트리 작품은 1969년 캐나다 유니버설 리미티드 보험에서 기증했지만, 훼손된 후 복원을 위해 회사에서 회수하여 맥길 대학교에 영구 대여되었으며, 현재 맥레난 도서관에 전시되어 있다.
4. 1. 주요 작품
니콜라스 솔로구브의 《1830년 경 몬트리올의 풍경》(Montreal Scenes Circa 1830)은 산업 혁명 당시의 몬트리올 풍경과 몬트리올 초기 시장, 그리고 시의 문장이 묘사되어있다.[19] 이 다섯 개의 스테인글라스 벽화는 지하철 개통 당시 맥도널드 담배 회사에서 기부하였다.모리스 사부아는 과일과 꽃이 담긴 테라코타 벽화를 콩플렉스 레젤 출입구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하였다. 1992년에 프롬나드 카테드랄이 건축되면서 머레이 맥도널드의 조명 조각 작품인 《파수스》(Passūs)와[16] 미술 단체인 레 장뒤스트리 뻬르뒤의 미니어처 건물이 포함된 몬트리올의 조감도인 《일어서기 위해서는 우리가 떨어진 곳을 짚어 일어나야 한다.》(To rise, we must push against the ground onto which we have fallen)가 설치되어있다.[17]
2023년에는 엘리베이터 설치와 함께[5] 811 드 메존뇌브 웨스트 입구에 마티유 레베스크가 그린 알루미늄 페인팅 작품 3점 연작인 ''베스티주''가 새로 설치되었다. 이 작품들은 인근 골든 스퀘어 마일을 기념한다.[18]
제임스 맥길의 일대기를 담은 켈빈 맥아보이의 태피스트리 작품은 1969년 캐나다 유니버설 리미티드 보험에서 기증했지만, 훼손된 후 복원을 위해 회사에서 회수하여 맥길 대학교에 영구 대여되었으며, 현재 맥레난 도서관에 전시되어 있다.
4. 2. 추가 작품
이 역에는 여러 미술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맥도날드 담배(Macdonald Tobacco)에서 기증한 니콜라스 솔로구브의 《1830년 경 몬트리올의 풍경》 (Montreal Scenes Circa 1830)은 산업 혁명 당시의 몬트리올 풍경과 몬트리올 초기 시장, 시의 문장이 묘사되어있다.[19] 다섯 개의 스테인글라스 벽화는 지하철 개통 당시 기부되었다.
- 모리스 사보이는 과일과 꽃이 담긴 테라코타 벽화를 콤플렉스 레 질 출입구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하였다.[15]
- 1992년 프롬나드 카테드랄이 건축되면서 머레이 맥도널드의 조명 조각 작품인 《파수스》 (Passūs)와[16] 미술 단체인 레 장뒤스트리 뻬르뒤가 제작한 미니어처 건물이 포함된 몬트리올의 조감도 설치 작품인 《일어서기 위해서는 우리가 떨어진 곳을 짚어 일어나야 한다.》 (To rise, we must push against the ground onto which we have fallen)가 설치되었다.[17]
- 1969년에 캐네디언 유니버설 보험사에서 제임스 맥길의 일대기를 담은 켈빈 맥아보이의 태피스트리 작품을 기부하였는데, 이 작품은 훼손된 이후 복원 작업을 거쳐 현재 맥길 대학교의 맥레넌 도서관에 걸려있다.
4. 3. 맥길 대학교 관련 작품
1969년 캐나다 유니버설 리미티드 보험에서 제임스 맥길의 삶을 묘사한 켈빈 맥아보이의 태피스트리 작품을 기증하였다. 이 작품은 훼손된 후 복원 작업을 거쳐 맥길 대학교에 영구 대여되었으며, 현재 맥레난 도서관에 전시되어 있다.[19]4. 4. 최근 설치 작품
2023년 엘리베이터 설치와 함께 811 드 메종뇌브 웨스트 입구에 마티유 레베스크의 알루미늄 페인팅 연작 3점인 ''베스티주''가 새로 설치되었다. 이 작품들은 인근 골든 스퀘어 마일을 기념한다.[18]5. 주변 정보
맥길역 주변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명소가 있다. 역 안에는 Tim Hortons, Second Cup, Scotiabank 등의 상점과 서비스 시설이 있으며, 두 개의 피자 가게, 웹 터미널, 다음 열차 시간 등을 보여주는 MétroVision 정보 화면도 설치되어 있다. 한때 Université 거리 출구 옆에 몬트리올 공공 도서관의 "개방형" 지점이 있기도 했다.[5]
역 주변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맥길 대학교 |
퍼시벌 몰슨 기념 경기장 / 몬트리올 알루엣츠 |
맥코드 박물관 |
레드패스 박물관 |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 |
CJNT-DT / 시티tv 스튜디오 |
로열 빅토리아 병원 - 레거시 부지 |
몬트리올 신경 병원 |
필립스 광장 |
5. 1. 지하도시 연결
맥길역은 몬트리올 지하도시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러 건물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편리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역은 개통 이후 중이층이 확장되었으며, 특히 남쪽 통로는 프롬나드 카테드랄 (현재 Promenades Cathédrale)과의 연결을 위해 추가되었다.[5]다음은 지하도시를 통해 맥길역과 연결된 주요 지점들이다.
연결된 장소 | 위치 |
---|---|
이튼 센터 (Centre Eaton) | 생트 캐트린 가 |
투어 맥길 칼리지 (Tour McGill College) | 맥길 칼리지 애비뉴 |
플라스 몬트리올 트러스트 (Place Montréal Trust) | |
투어 인더스트리엘-비 (Tour Industrielle-Vie) | |
2020 로베르 부라사 (2020 Robert-Bourassa) | |
플라스 런던 라이프 | 레 갤러리 2001 유니버시티 스트리트 |
맥길 대학교 | 688 셔브룩 스트리트 |
허드슨 베이 (Hudson's Bay) | 유니온 애비뉴 |
플라스 빌마리 (Place Ville Marie) | 가르 상트랄 (Gare centrale) |
필 (Peel) 지하철역 | 서쪽 |
보나벤처 (Bonaventure) 지하철역 | 남쪽 |
플라스 드 라 카테드랄 (Place de la Cathédrale) | 생트 캐트린 가 |
5. 2. 기타 주요 시설
이 붐비는 역에는 Tim Hortons, Second Cup, Scotiabank 등 여러 상점과 서비스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피자 가게, 웹 터미널, 뉴스, 광고 및 다음 열차 시간을 표시하는 MétroVision 정보 화면도 설치되어 있다. 이 화면은 Berri-UQAM 역 다음으로 설치되었다. 한때 Université 거리 출구 옆에 몬트리올 공공 도서관의 "개방형" 지점이 있기도 했다.[5]역 주변의 다른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맥길 대학교 |
퍼시벌 몰슨 기념 경기장 / 몬트리올 알루엣츠 |
맥코드 박물관 |
레드패스 박물관 |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 |
CJNT-DT / 시티tv 스튜디오 |
로열 빅토리아 병원 - 레거시 부지 |
몬트리올 신경 병원 |
필립스 광장 |
6. 버스 연결편
맥길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버스가 정차한다. 하지만 2020년 3월부터 2022년 봄까지 역 개선 공사가 진행 중인 관계로 맥길역에 정차하던 모든 버스는 스콰르빅토리아-OACI역에 대신 종착한다.[23]
노선 | 종점 | 경유지 | 비고 | |
---|---|---|---|---|
15 | 생트카트린느 | 앳워터역 ↔ 파피노역 | 매일 상시 운행 | |
61 | 웰링턴 | 라살 / 아가일 ↔ 맥길역 | 매일 상시 운행 | |
125 | 온타리오 | 플라스데자르역 ↔ 비오역 | 매일 상시 운행 | |
168 | 시테뒤아브르 | 맥길역 ↔ 평상시: 푸앵트쉬드 종점 평일 아침 러시 아워: 플라스 뒤코메르스 (프로비고 앞) | 매일 상시 운행 | |
358 | 생트카트린느 | 앳워터역 ↔ 프롱트낙역 |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 |
420 | 노트르담드그라스 급행 | 웨스트민스터 / 코트생룩 → 보나방튀르역 (AM) 보나방튀르역 → 웨스트민스터 / 코트생룩 (PM) | 시내 방면 평일 오전, 코트생룩 방면 평일 오후에 운행 |
참조
[1]
웹사이트
mcgill Station
https://rem.info/en/[...]
2020-12-31
[2]
웹사이트
Mcgill
https://rem.info/en/[...]
[3]
웹사이트
Fare Zones
https://www.artm.que[...]
2022-07-01
[4]
웹사이트
McGill Metro Station
http://www.stm.info/[...]
[5]
웹사이트
McGill station becomes 26th accessible station in the métro network
https://www.stm.info[...]
2023-04-03
[6]
웹사이트
STM - Works
http://www.stm.info/[...]
2012-03-13
[7]
웹사이트
McGill
https://www.stm.info[...]
2022-09-20
[8]
뉴스
Three REM train stations added to proposed route through downtown Montreal
https://montrealgaze[...]
2016-11-25
[9]
뉴스
Proposed Montréal REM project grows by three stations and CA$400M
https://www.rtands.c[...]
Simmons-Boardman Publishing Inc.
2016-11-28
[10]
웹사이트
McGill Station
https://rem.info/en/[...]
2022-09-20
[11]
웹사이트
Start of work at McGill station {{!}} REM
https://rem.info/en/[...]
2018-09-27
[12]
뉴스
Century-old Mount Royal tunnel gets shored up for REM's McGill station
https://montrealgaze[...]
2021-12-01
[13]
뉴스
Opening of most REM light rail stations pushed back to end of 2024
https://www.cbc.ca/n[...]
2022-06-20
[14]
웹사이트
McGill (Nicolas Sollogoub)
https://www.stm.info[...]
2022-09-20
[15]
웹사이트
McGill (Maurice Savoie)
https://www.stm.info[...]
2022-09-20
[16]
웹사이트
McGill (Murray MacDonald)
https://www.stm.info[...]
2022-09-20
[17]
웹사이트
McGill (les Industries perdues)
https://www.stm.info[...]
2022-09-20
[18]
웹사이트
McGill (Mathieu Lévesque)
https://www.stm.info[...]
2023-04-03
[19]
웹인용
L'Art dans le métro : les verrières de la station McGill
https://artpublicmon[...]
2016-11-01
[20]
웹인용
La STM rénove l'édicule Union Sud de la station McGill
http://www.portailco[...]
2013-02-18
[21]
뉴스
Un nouvel édicule à la station McGill
https://www.journald[...]
2019-02-14
[22]
웹인용
Ascenseurs à venir dans le réseau
http://www.stm.info/[...]
[23]
웹인용
Travaux en cours à la station McGill
http://www.stm.info/[...]
2020-05-18
[24]
웹인용
La station McGill est la 26e station du réseau du métro à devenir accessible universellement
https://www.stm.info[...]
2023-04-03
[25]
웹인용
Réseau électrique métropolitain (REM) : Trois nouvelles stations au centre-ville de Montréal
https://www.cdpqinfr[...]
2016-11-25
[26]
뉴스
REM : les heures de pointe chamboulées sur la ligne Deux-Montagnes dès juin
https://ici.radio-ca[...]
2018-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