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맹은 청나라 때부터 존재해 온 통치 기구로, 맹의 장은 맹에 속하는 기의 기장 또는 살라로부터 선택되었다.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의 지급 행정구의 일종으로 사용되었으며, 1970년대에 존재했던 9개의 맹 중 6개는 지급시로 재편되었다. 내몽골 자치구에는 아라산 맹, 시린골 맹, 싱안 맹 3개의 맹이 현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단위 - 성 (행정 구역)
성은 중국에서 수나라 시대부터 사용된 행정 구역 명칭으로, 원나라 시대에 1급 지방 행정 구획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모두 1급 행정 구획 단위로 사용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단위 - 부성급시
부성급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성급 행정 구역에 준하는 권한을 갖는 도시로, 1994년에 16개 지급시가 부성급시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15개가 존재하고, 성도 또는 경제·사회적으로 중요한 도시가 지정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타이완성 (중화인민공화국)
타이완성(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자국 영토의 일부로 주장하는 행정구역이나, 하나의 중국 원칙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통치권은 행사하지 못하고 중화민국이 지배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향 (행정 구역)
향은 동아시아 국가에서 사용된 행정 구역 명칭으로, 한국 고려 시대에는 천민 거주 지역을 의미했으나 조선 시대에 철폐되었고, 중국에서는 진나라 시대부터 현재까지 존속하며,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 율령제 하에 지방 행정의 최하위 단위로 사용되었다.
| 맹 (행정 구역) | |
|---|---|
| 리그 정보 | |
| 스포츠 | 축구 |
| 국가 | 중국 |
| 창설 연도 | 1951년 (프로화: 1994년) |
| 리그 시스템에서의 위치 | 1부 리그 |
| 참가 구단 수 | 16개 |
| 강등 리그 | 중국 갑급 리그 |
| 최상위 구단 | 상하이 하이강 (2023년) |
| 가장 많은 우승 | 다롄 완다 (8회) |
| 아이마크 (내몽골) 정보 | |
| 유형 | 몽골의 행정 구역 단위 |
| 위치 | 내몽골 자치구 |
| 수준 | 지구 수준 |
| 설명 | '아이마크'는 '부족'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할하의 행정 구역을 나타냈음. 현재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지급시 수준의 행정 구역 단위를 지칭함. 아이마크는 몽골의 '아이막'(аймаг)과는 다른 개념임. |
| 맹 (행정 구역) 정보 | |
| 유형 | 내몽골 자치구의 역사적인 행정 구역 단위 |
| 현재 | 지급시와 유사한 행정 구역으로 존재 |
| 기원 | 청나라 시대의 몽골 통치 체제에서 유래 |
| 설명 | '맹'은 몽골어로 '치굴간' (чуулган, chigulgan)에서 유래 청나라가 몽골을 통치하기 위해 기를 묶어 만든 행정 단위 각 맹에는 맹장을 두어 통치 |
| 폐지된 맹 | 시린골맹 바얀나오르맹 이흐 주맹 후룬베이르맹 |
| 현존하는 맹 | 시링골맹 알라산맹 싱안맹 |
2. 역사
맹은 청나라 때부터 통치 기구로서 존재해왔다. 맹의 장은 그 맹에 속하는 기(旗)의 기장 또는 살라로부터 선택되었다. 원래의 맹은 철리목(哲里木), 소조달(昭鳥達), 탁색도(卓索圖), 석림곽륵(錫林郭勒), 오란찰포(烏蘭察布), 이극소(伊克昭) 6개이다. 나머지 맹은 몇 세기 이후에 추가된 것이다.
맹은 청나라 때부터 존재해 온 통치 기구이다. 맹의 장은 그 맹에 속하는 기(旗)의 기장이나 살라 중에서 선택되었다. 원래 맹은 철리목(哲里木), 소조달(昭鳥達), 탁색도(卓索圖), 석림곽륵(錫林郭勒), 오란찰포(烏蘭察布), 이극소(伊克昭) 6개였으며, 나머지 맹은 몇 세기 이후에 추가되었다.
현재 맹은 중국의 지급 행정구의 일종으로 1970년대에 존재한 맹 9개 가운데 6개는 지급시로 재편되었다.
3. 내몽골 자치구의 맹
현재 맹은 중국의 지급 행정 구역 단위 중 하나이다. 1970년대에 존재했던 9개의 맹 가운데 6개는 지급시로 재편되었다.
분류:내몽골 자치구의 행정 구역
분류:중국의 옛 행정 구역
분류:맹 (행정 구역)
3. 1. 현존하는 맹
| 명칭 | 한자 표기 | 병음 | 행정 중심 | 현급시 | 현 | 기 |
|---|---|---|---|---|---|---|
| 아라산 맹 | 阿拉善 | Ālāshàn | 아라산 좌기 | 3 | ||
| 시린궈러 맹 | 錫林郭勒(锡林郭勒) | Xīlínguōlè | 시린호트 시 | 2 | 1 | 9 |
| 싱안 맹 | 興安 (兴安) | Xīng'ān | 우란호트 시 | 2 | 1 | 3 |
3. 2. 폐지된 맹
| 명칭 | 한자 표기 | 병음 | 행정 중심 | 폐지 기일 | 폐지 후 행정 구획명 |
|---|---|---|---|---|---|
| 바옌나오얼 맹 | 巴彦淖尔 (바옌나오얼) | Bāyànnào'ěr | 린허 구 | 2003년 12월 1일 | 바옌나오얼 시 |
| 차하얼 맹 | 察哈爾 (차하얼) | Cháhā'ěr | 바오창 (타이부스 기) | 1958년 10월 1일 | 시린골 맹에 병합 |
| 후룬베이얼 맹 | 呼倫貝爾 (후룬베이얼) | Hūlúnbèi'ěr | 하이랄 구 | 2001년 8월 10일 | 후룬베이얼 시 |
| 후룬베이얼・눈・모룬 맹 | 呼倫貝爾納文慕仁 (후룬베이얼나원무런) | Hūlúnbèi'ěr Nàwénmùrén | 1953년 4월 1일 | 자림 맹·싱안 맹과 합병하여 내몽골 자치구 동부구 행정공서로 개편 | |
| 자림 맹 | 哲里木 (저리무) | Zhélǐmù | 통랴오 시 | 1999년 1월 13일 | 통랴오 시 |
| 조소토 맹 | 卓索図 (줘쑤오투) | Zhuósuǒtú | 1949년 이전 | 현재는 푸신 시(랴오닝 성), 차오양 시(랴오닝 성), 츠펑 시로 분할 | |
| 자오우다 맹 | 昭烏達 (자오우다) | Zhāowūdá | 츠펑 시 | 1983년 10월 10일 | 츠펑 시 |
| 눈・모룬 맹 | 納文慕仁 (나원무런) | Nàwénmùrén | 잘란툰 시 | 1949년 4월 11일 | 후룬베이얼 맹과 합병하여 후룬베이얼・눈・모룬 맹으로 개편 |
| 우란차부 맹 | 烏蘭察布 (우란차부) | Wūlánchábù | 지닝 구 | 2003년 12월 1일 | 우란차부 시 |
| 이커자오 맹 | 伊克昭 (이커자오) | Yīkèzhāo | 둥성 구 | 2001년 2월 26일 | 오르도스 시 |
4.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