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성급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성급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단위 중 하나로, 성(省)급 행정 구역에 준하는 권한을 갖는 도시를 의미한다. 1994년 2월 25일, 16개의 지급시가 부성급시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충칭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15개의 부성급시가 존재한다. 부성급시는 주로 해당 성의 성도이거나, 경제·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들이 지정된다. 또한, 상하이의 푸둥 신구와 톈진의 빈하이 신구는 현급 시할구임에도 부성급시 권한을 부여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지급시 - 성도 (행정 구역)
성도는 중국의 성 정부 소재지를 뜻하며, 중국은 22개의 성과 민족적 특성을 지닌 5개의 자치구를 운영하고 타이완을 자국 영토로 주장하나 실질적인 지배력은 미치지 않는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부성급행정구 - 이리 카자흐 자치주
이리 카자흐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하며 1954년에 설립되었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유라시아 내륙의 지리적 요충지로서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부성급시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부성급시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부성급시 | |
---|---|
부성급시 | |
개요 | |
유형 | 중국의 행정 단위 |
관할 | 성 |
역사 | |
지정 | 1994년 |
배경 | 개혁개방 이후 경제 발전 가속화, 성 정부의 행정 능력 약화 우려 |
목적 | 대도시의 경제적 역할 강화, 성 직할시의 영향력 축소 |
특징 | |
지위 | 성(省)과 동등한 권한 일부 행사 (경제 관련) |
행정 | 성 정부의 지도 및 감독 하에 자치 행정 수행 |
정치 | 시장은 일반적으로 성 정부의 상급 관리자가 겸임 |
재정 | 성 정부와 독립된 재정 운영 |
입법 | 지방 인민대표대회에서 자체 법률 및 규정 제정 가능 |
규모 | 일반적으로 인구 200만 명 이상의 대도시 |
수 | 15개 도시 (2023년 기준) |
목록 | |
동북 지역 | 하얼빈 시 창춘 시 선양 시 다롄 시 |
화북 지역 | 지난 시 칭다오 시 |
화동 지역 | 난징 시 항저우 시 닝보 시 샤먼 시 |
중남 지역 | 우한 시 광저우 시 선전 시 |
서남 지역 | 청두 시 |
서북 지역 | 시안 시 |
참고 | |
관련 | 계획단열시 경제특구 국가중심도시 |
2. 부성급시 목록
1994년 2월 25일, 중화인민공화국의 16개 시가 지급시에서 부성급시로 승격되었다.[1] 이들 대부분은 각 성의 성도였다. 현재는 충칭이 직할시로 지정되면서 15개의 부성급시가 있다.[2]
구분 | 간체자 | 병음 | 성 | 약칭 | 지역 | 인구 (2010년 인구 조사) | 지정 날짜 | 하위 행정 구역 |
---|---|---|---|---|---|---|---|---|
창춘 | 长春市 | Chángchūn | 지린 | 长 | 동북 | 7,677,089 | 1989-02-11 | 7 구, 2 현급시 & 1 현 |
청두 | 成都市 | Chéngdū | 쓰촨 | 蓉 | 서남 | 14,047,625 | 1989-02-11 | 11 구, 4 현급시 & 5 현 |
다롄 | 大连市 | Dàlián | 랴오닝 | 连(鲲) | 동북 | 6,690,432 | 1984-07-13 | 7 구, 2 현급시 & 1 현 |
광저우 | 广州市 | Guǎngzhōu | 광둥 | 穗 | 화남 | 12,700,800 | 1984-10-05 | 11 구 |
항저우 | 杭州市 | Hángzhōu | 저장 | 杭 | 화동 | 8,700,400 | 1994-02-25 | 10 구, 1 현급시 & 2 현 |
하얼빈 | 哈尔滨市 | Hā'ěrbīn | 헤이룽장 | 哈 | 동북 | 10,635,971 | 1984-10-05 | 9 구, 2 현급시 & 7 현 |
지난 | 济南市 | Jǐnán | 산둥 | 济 | 화동 | 6,814,000 | 1994-02-25 | 7 구 & 3 현 |
난징 | 南京市 | Nánjīng | 장쑤 | 宁 | 화동 | 8,001,680 | 1989-02-11 | 11 구 |
닝보 | 宁波市 | Níngbō | 저장 | 甬 | 화동 | 7,605,689 | 1987-02-24 | 6 구, 2 현급시 & 2 현 |
칭다오 | 青岛市 | Qīngdǎo | 산둥 | 胶 | 화동 | 8,715,100 | 1986-10-15 | 7 구 & 3 현급시 |
선양 | 沈阳市 | Shěnyáng | 랴오닝 | 沈 | 동북 | 8,106,171 | 1984-07-11 | 10 구, 1 현급시 & 2 현 |
선전 | 深圳市 | Shēnzhèn | 광둥 | 深(鹏) | 화남 | 10,357,938 | 1988-10-03 | 8 구 (4 신구) |
우한 | 武汉市 | Wǔhàn | 후베이 | 汉 | 화남 | 9,785,392 | 1984-05-21 | 13 구 |
시안 | 西安市 | Xī'ān | 산시성 | 镐 | 서북 | 8,467,837 | 1984-10-05 | 11 구 & 2 현 |
샤먼 | 厦门市 | Xiàmén | 푸젠 | 鹭 | 화동 | 3,531,347 | 1988-04-18 | 6 구 |
하위 섹션에서 언급된 부성급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성도
- 계획단열시
- 기타
2. 1. 성도
1994년 2월 25일, 중화인민공화국의 16개 시가 지급시에서 부성급시로 승격되었다.[1] 이들 대부분은 각 성의 성도였다.현재, 다음의 10개 도시가 성도이며 부성급시로 지정되어 있다.
2. 2. 계획단열시
1994년 2월 25일, 중앙 조직 위원회는 16개의 지급시를 부성급시로 지정하였다.[1] 이 도시들은 대부분 해당 성의 수도였다. 현재는 충칭이 직할시로 지정되면서 15개의 부성급시가 있다.[2]총 5개의 부성급시는 성도가 아닌데, 이들은 "독립 계획 도시"로 지정되었다.
구분 | 간체자 | 병음 | 성 | 약칭 | 지역 | 인구 (2010년 인구 조사) | 지정 날짜 | 하위 행정 구역 |
---|---|---|---|---|---|---|---|---|
다롄 | 大连市|Dàlián중국어 | 랴오닝 | 동북 | 6,690,432 | 1984-07-13 | 7 구, 2 현급시 & 1 현 | ||
광저우 | 广州市|Guǎngzhōu중국어 | 광둥 | 화남 | 12,700,800 | 1984-10-05 | 11 구 | ||
항저우 | 杭州市|Hángzhōu중국어 | 저장 | 화동 | 8,700,400 | 1994-02-25 | 10 구, 1 현급시 & 2 현 | ||
지난 | 济南市|Jǐnán중국어 | 산둥 | 화동 | 6,814,000 | 1994-02-25 | 7 구 & 3 현 | ||
닝보 | 宁波市|Níngbō중국어 | 저장 | 화동 | 7,605,689 | 1987-02-24 | 6 구, 2 현급시 & 2 현 | ||
칭다오 | 青岛市|Qīngdǎo중국어 | 산둥 | 화동 | 8,715,100 | 1986-10-15 | 7 구 & 3 현급시 | ||
선전 | 深圳市|Shēnzhèn중국어 | 광둥 | 화남 | 10,357,938 | 1988-10-03 | 8 구 (4 신구) | ||
샤먼 | 厦门市|Xiàmén중국어 | 푸젠 | 화동 | 3,531,347 | 1988-04-18 | 6 구 |
2. 3. 기타
충칭시는 1997년까지 쓰촨성의 부성급시였으나 직할시로 독립 승격되었다.[1] 신장 생산 건설 병단도 부성급시 수준의 권한을 가진다.[2]부성급시 중에서 행정구역이 아닌 실제 도시지역 기준으로 난징시, 청두시, 광저우시, 선양시, 우한시 등이 큰 편이다.
총 5개의 부성급시는 성도가 아니다. 이 5개 시는 "독립 계획 도시"로 지정되었다.
과거 중화민국 시기에는 하얼빈시, 선양시, 난징시, 광저우시, 시안시, 우한시(한커우), 다롄시, 칭다오시가 직할시였다. 상하이시의 푸둥은 현급구이지만 부성급시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내용과, 과거에 대한 내용은 기타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으므로 삭제했다.
3. 역사
1994년 2월 25일, 중앙 조직 위원회는 16개의 지급시를 부성급시로 지정했다.[1] 이 도시들 대부분은 각 성의 수도였다.
1997년 3월 14일, 충칭이 쓰촨에서 분리되어 직할시가 되면서, 부성급시는 15개가 되었다.[2] 신장 생산건설병단도 부성급 행정 구역 권한을 갖는다.
청두는 가장 큰 부성급시로, 톈진보다 인구가 많다. 하얼빈과 청두는 톈진보다 면적이 넓다.
5개의 부성급시는 성도가 아니며, 이들은 "독립 계획 도시"로 지정되었다.
구분 | 간체자 | 병음 | 성 | 약칭 | 지역 | 인구 (2010년 인구 조사) | 지정 날짜 | 하위 행정 구역 |
---|---|---|---|---|---|---|---|---|
창춘 | 长春市|Chángchūn중국어 | 지린 | 동북 | 7,677,089 | 1989-02-11 | 7 구, 2 현급시 & 1 현 | ||
청두 | 成都市|Chéngdū중국어 | 쓰촨 | 서남 | 14,047,625 | 1989-02-11 | 11 구, 4 현급시 & 5 현 | ||
다롄 | 大连市|Dàlián중국어 | 랴오닝 | 동북 | 6,690,432 | 1984-07-13 | 7 구, 2 현급시 & 1 현 | ||
광저우 | 广州市|Guǎngzhōu중국어 | 광둥 | 화남 | 12,700,800 | 1984-10-05 | 11 구 | ||
항저우 | 杭州市|Hángzhōu중국어 | 저장 | 화동 | 8,700,400 | 1994-02-25 | 10 구, 1 현급시 & 2 현 | ||
하얼빈 | 哈尔滨市|Hā'ěrbīn중국어 | 헤이룽장 | 동북 | 10,635,971 | 1984-10-05 | 9 구, 2 현급시 & 7 현 | ||
지난 | 济南市|Jǐnán중국어 | 산둥 | 화동 | 6,814,000 | 1994-02-25 | 7 구 & 3 현 | ||
난징 | 南京市|Nánjīng중국어 | 장쑤 | 화동 | 8,001,680 | 1989-02-11 | 11 구 | ||
닝보 | 宁波市|Níngbō중국어 | 저장 | 화동 | 7,605,689 | 1987-02-24 | 6 구, 2 현급시 & 2 현 | ||
칭다오 | 青岛市|Qīngdǎo중국어 | 산둥 | 화동 | 8,715,100 | 1986-10-15 | 7 구 & 3 현급시 | ||
선양 | 沈阳市|Shěnyáng중국어 | 랴오닝 | 동북 | 8,106,171 | 1984-07-11 | 10 구, 1 현급시 & 2 현 | ||
선전 | 深圳市|Shēnzhèn중국어 | 광둥 | 화남 | 10,357,938 | 1988-10-03 | 8 구 (4 신구) | ||
우한 | 武汉市|Wǔhàn중국어 | 후베이 | 화남 | 9,785,392 | 1984-05-21 | 13 구 | ||
시안 | 西安市|Xī'ān중국어 | 산시 | 서북 | 8,467,837 | 1984-10-05 | 11 구 & 2 현 | ||
샤먼 | 厦门市|Xiàmén중국어 | 푸젠 | 화동 | 3,531,347 | 1988-04-18 | 6 구 |
4. 특징
1994년 2월 25일, 중앙 조직 위원회는 16개의 지급시를 부성급시로 지정했다.[1] 이 도시들 대부분은 각 성의 수도였다. 충칭이 직할시로 지정된 이후 현재 부성급시는 15개이다.[2]
청두는 가장 큰 부성급시로, 톈진보다 인구가 많다. 하얼빈과 청두는 톈진보다 면적이 넓다.
성도가 아닌 부성급시는 총 5개로, 이들은 "독립 계획 도시"로 지정되었다.
상하이 푸둥과 톈진 빈하이의 수장은 현급 시할구로서 부성급 권한을 받는다.
이리 카자흐 자치주는 알타이와 타청 두 지구를 관할하며, 11개의 현급 행정 구역을 직접 관리한다. 이는 중국 행정 구역에서 특별한 경우로, 법적으로는 지구급 행정 구역일 뿐 부성급 행정 구역으로 간주하는 것은 법적 근거가 없다.
구분 | 간체자 | 병음 | 성 | 약칭 | 지역 | 인구 (2010년 인구 조사) | 지정 날짜 | 하위 행정 구역 |
---|---|---|---|---|---|---|---|---|
창춘 | 长春市|창춘 시중국어 | Chángchūn | 지린 | 동북 | 7,677,089 | 1989-02-11 | 7 구, 2 현급시 & 1 현 | |
청두 | 成都市|청두 시중국어 | Chéngdū | 쓰촨 | 서남 | 14,047,625 | 1989-02-11 | 11 구, 4 현급시 & 5 현 | |
다롄 | 大连市|다롄 시중국어 | Dàlián | 랴오닝 | 동북 | 6,690,432 | 1984-07-13 | 7 구, 2 현급시 & 1 현 | |
광저우 | 广州市|광저우 시중국어 | Guǎngzhōu | 광둥 | 화남 | 12,700,800 | 1984-10-05 | 11 구 | |
항저우 | 杭州市|항저우 시중국어 | Hángzhōu | 저장 | 화동 | 8,700,400 | 1994-02-25 | 10 구, 1 현급시 & 2 현 | |
하얼빈 | 哈尔滨市|하얼빈 시중국어 | Hā'ěrbīn | 헤이룽장 | 동북 | 10,635,971 | 1984-10-05 | 9 구, 2 현급시 & 7 현 | |
지난 | 济南市|지난 시중국어 | Jǐnán | 산둥 | 화동 | 6,814,000 | 1994-02-25 | 7 구 & 3 현 | |
난징 | 南京市|난징 시중국어 | Nánjīng | 장쑤 | 화동 | 8,001,680 | 1989-02-11 | 11 구 | |
닝보 | 宁波市|닝보 시중국어 | Níngbō | 저장 | 화동 | 7,605,689 | 1987-02-24 | 6 구, 2 현급시 & 2 현 | |
칭다오 | 青岛市|칭다오 시중국어 | Qīngdǎo | 산둥 | 화동 | 8,715,100 | 1986-10-15 | 7 구 & 3 현급시 | |
선양 | 沈阳市|선양 시중국어 | Shěnyáng | 랴오닝 | 동북 | 8,106,171 | 1984-07-11 | 10 구, 1 현급시 & 2 현 | |
선전 | 深圳市|선전 시중국어 | Shēnzhèn | 광둥 | 화남 | 10,357,938 | 1988-10-03 | 8 구 (4 신구) | |
우한 | 武汉市|우한 시중국어 | Wǔhàn | 후베이 | 화남 | 9,785,392 | 1984-05-21 | 13 구 | |
시안 | 西安市|시안 시중국어 | Xī'ān | 산시 | 서북 | 8,467,837 | 1984-10-05 | 11 구 & 2 현 | |
샤먼 | 厦门市|샤먼 시중국어 | Xiàmén | 푸젠 | 화동 | 3,531,347 | 1988-04-18 | 6 구 |
구역 명칭 | 간체 | 한어 병음 | 직할시 | 약칭 | 지역 | 인구 (2010년 인구 조사) | 지정 날짜 | 하위 행정 구역 |
---|---|---|---|---|---|---|---|---|
빈하이 신구 | 滨海新区|빈하이 신구중국어 | Bīnhǎi Xīn Qū | 톈진 | 화북 | 2,482,065 | 2009 | 19개 가도 & 7개 진 (11개 특별 향급 구역) | |
푸둥 신구 | 浦东新区|푸둥 신구중국어 | Pǔdōng Xīn Qū | 상하이 | 화동 | 5,044,430 | 1992 | 13개 가도 & 25개 진 (6개 특별 향급 구역) |
구획 명칭 | 중국어 간체 | 한어 병음 | 성(省) | 약칭 | 지역 | 인구 (2010년 인구 조사) | 지정일 | 하위 구획 |
---|---|---|---|---|---|---|---|---|
이리 카자흐 자치주 | 伊犁哈萨克自治州|이리 카자흐 자치주중국어 | Yīlí Hāsàkè Zìzhìzhōu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중국 서북부 | 4,305,119 | 1979 | (2개 지구) 5개 현급시, 17개 현 & 2개 자치현 |
현재 부성급시는 다음과 같이 15개이다.
- 성도: 하얼빈시(헤이룽장성), 창춘시(지린성), 선양시(랴오닝성), 지난시(산둥성), 난징시(장쑤성), 항저우시(저장성), 광저우시(광둥성), 시안시(산시성), 우한시(후베이성), 청두시(쓰촨성)
- 기타: (신장 생산 건설 병단)
과거 중화민국 시기에는 하얼빈, 선양, 난징, 광저우, 시안, 우한(한커우), 다롄, 칭다오가 직할시였다.
충칭은 한때 부성급시였으나, 1997년 직할시로 변경되었다.
5. 전국 부성급시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주임 연석회의
전국 부성급시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주임 연석회의()는 모든 부성급시의 주임 및 부주임이 참석하는 회의이다. 1985년 광저우 시 인민대표대회에서 제안되었다.
순서 | 개최 도시 | 개최일 |
---|---|---|
1 | 광저우 | 1985년 2월 26일 ~ 3월 4일 |
2 | 하얼빈 | 1985년 8월 27일 ~ 8월 31일 |
3 | 우한 | 1986년 5월 20일 ~ 5월 24일 |
4 | 다롄 | 1987년 8월 10일 ~ 8월 14일 |
5 | 시안 | 1988년 9월 9일 ~ 9월 13일 |
6 | 선양 | 1990년 8월 13일 ~ 8월 17일 |
7 | 충칭 | 1991년 11월 22일 ~ 11월 26일 |
8 | 칭다오 | 1992년 5월 3일 ~ 5월 7일 |
9 | 선전 | 1993년 10월 25일 ~ 10월 28일 |
10 | 난징 | 1994년 11월 1일 ~ 11월 4일 |
11 | 창춘 | 1995년 5월 21일 ~ 5월 24일 |
12 | 항저우 | 1996년 10월 20일 ~ 10월 24일 |
13 | 지난 | 1997년 10월 19일 ~ 10월 25일 |
14 | 샤먼 | 1998년 10월 12일 ~ 10월 16일 |
15 | 닝보 | 1999년 10월 17일 ~ 10월 20일 |
16 | 청두 | 2000년 10월 10일 ~ 10월 13일 |
17 | 광저우 | 2001년 10월 30일 ~ 11월 3일 |
18 | 하얼빈 | 2002년 7월 23일 ~ 7월 26일 |
19 | 우한 | 2003년 10월 8일 ~ 10월 12일 |
20 | 선양 | 2004년 8월 31일 ~ 9월 6일 |
21 | 칭다오 | 2005년 9월 6일 ~ 9월 8일 |
22 | 선전 | 2006년 10월 20일 ~ 10월 23일 |
23 | 다롄 | 2007년 8월 14일 ~ 8월 16일 |
24 | 시안 | 2009년 4월 13일 ~ 4월 16일 |
25 | 난징 | 2010년 10월 18일 ~ 10월 20일 |
26 | 창춘 | 2011년 8월 22일 ~ 8월 25일 |
참조
[1]
웹사이트
中央机构编制委员会印发《关于副省级市若干问题的意见》的通知. 中编发[1995]5号
http://www.docin.com[...]
豆丁网
1995-02-19
[2]
웹사이트
15个副省级城市中 哈尔滨市房价涨幅排列第五名
http://hrb.focus.cn/[...]
Sohu
2008-05-07
[3]
문서
References and details on data provided in the table can be found within the individual municipality articl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