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시에 10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시에 103은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산개성단으로, 1781년 피에르 메샹에 의해 발견되었다. 윌리엄 허셜은 이 성단을 14~16개의 밝은 별과 많은 희미한 별로 묘사했으며, 이후 여러 관측을 통해 별의 개수가 확인되었다. 메시에 103은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하며,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루크바 근처에서 찾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세우스자리 팔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 페르세우스자리 팔 - 메시에 36
    메시에 36은 마차부자리에 있는 산개 성단으로, 1654년 이전에 발견되었으며 샤를 메시에에 의해 메시에 목록에 등재되었다.
  • 1781년 발견한 천체 - 천왕성
    천왕성은 태양계 일곱 번째 행성으로, 가스 행성 중 가장 가볍고 밀도가 낮으며, 암석 핵, 얼음 맨틀, 수소와 헬륨 대기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98도 기울어진 자전축, 낮은 내부 열, 희미한 고리, 비대칭적인 자기장, 27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 1781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109
    메시에 109는 큰곰자리에 있는 막대 나선 은하로, 메시에 목록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M109 그룹의 가장 밝은 은하이고, 위성 은하를 거느리고 있으며 초신성 SN 1956A가 관측되었다.
  • 구상성단 - NGC 6397
    NGC 6397은 우리 은하의 구상성단으로, 천문학적으로 별의 질량 하한선 규명, 백색왜성 집중으로 밝혀진 중심부 밀집성 천체 성질 규명, 초기 우주 은하 형성 연구 자료 제공 등 중요한 발견에 기여했다.
  • 구상성단 - 메시에 75
    메시에 75는 밀도가 높고 밝게 보이는 구상 성단으로, 은하계 내 메시에 천체 중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1780년 피에르 메생에 의해 발견된 후 여러 천문학자들에 의해 관측되었다.
메시에 103
기본 정보
M103
별자리카시오페이아자리
겉보기 등급7.4
시직경6.0'
분류산개 성단
거리8,500 광년 (약 2.6 kpc)
위치 (Sky)천체 위치: 01h 33m 23.0s +60° 39′ 00″
발견
발견일1781년
발견자피에르 메샹
발견 방법망원경 관측
명칭
메시에 목록M103
NGCNGC 581
기타 명칭Mel 8
Collinder 14
물리적 특성
나이25 × 10^6년
궤도 특성
적색 편이-0.000135
시선 속도-40.42 km/s
고유 운동적경: -1.20 밀리초/년
적위: 0.65 밀리초/년
기타 정보
좌표 (J2000.0)적경:
적위:
영어 이름Messier 103

2. 관측 역사

1781년 피에르 메샹(Pierre Méchain)이 메시에 101부터 103까지를 발견한 후, 메시에(Messier)는 이 산개성단을 자신의 목록에 추가했다.[4][6] 메샹은 "카시오페이아자리 다리와 엡실론 사이의 성단"이라고 기록했다. 1783년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은 M103 영역을 14~16개의 "pL"(상당히 큰 별)과 매우 많은 "eS"(극도로 희미한 별)로 묘사했다.[7] 오케 발렌키스트(Åke Wallenquist)는 M103에서 40개의 별을 확인했고, 안토닌 베크바르(Antonín Bečvář)는 60개, Archinal과 Hynes는 172개의 별이 있다고 제안했다.[4] 윌리엄 헨리 스미스(Admiral William Henry Smyth) 제독은 이 성단의 10.8등급 적색 거성을 지적했는데, 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무릎에 있는 이중성으로, 델타 카시오페이(Delta Cassiopeiae)에서 북동쪽으로 약 1°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때로는 루크바(Ruchbah) 또는 룩바(Rukhbah)라고 불린다.

3. 망원경 관측

메시에 103은 찾기 쉬운 천체로,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으로도 관측할 수 있다.[8] 쌍안경으로도 성운 형태의 부채꼴 모양으로 관측되며, 겉보기 지름은 달의 약 1/5 정도이다.[4][9] 카시오페이아자리의 "W"자 모양에서 루크바 근처에서 찾을 수 있다.

구경 8cm 망원경으로는 성운처럼 보이며, 10cm 굴절 망원경으로는 "화살촉 같다"는 기록이 있다.[9] M103 주변에는 비슷한 별 무리가 많아 혼동하기 쉬우므로, 위치 확인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NGC 663은 M103보다 더 밝고 별의 수도 많아 혼동될 수 있다.

3. 1. Struve 131

윌리엄 헨리 스미스(Admiral William Henry Smyth) 제독은 M103 성단 내 10.8등급 적색 거성을 언급하며, 이 별이 델타 카시오페이(Delta Cassiopeiae)에서 북동쪽으로 약 1°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중성이라고 설명했다. 이 이중성은 카시오페이아자리 무릎에 해당하며, 루크바(Ruchbah) 또는 룩바(Rukhbah)라고도 불린다.[4]

스미스 제독은 1832년 관측 기록에서 Struve131 이중성이 노란색과 파란색 한 쌍으로, 위치각 141°, 각거리 14.4"라고 기록했다. 그는 또한 M103이 부채꼴 모양이며, 북쪽 뒤쪽에서 별들이 뚜렷하게 갈라지고,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별들의 흐름이 보이며, 주요 가지의 별들은 7~9등급, 남쪽에는 밝은 8등급 붉은 별이 있다고 덧붙였다. 웹은 "델타에서 불과 1° 북쪽. 시야는 아름답고 Struve131과 적색성을 포함한다"라고 기록했다.

4. 주변 천체

M103 주변에는 비슷한 별의 덩어리가 다수 있어서, 위치를 확실히 확인하지 않으면 헷갈리기 쉽다. δ와 ε 사이에 많은 산개성단이 있으며, 특히 최대의 성단인 NGC 663은 광도도 밝고 별의 수도 많아서, M103보다 성단다운 성단이다. NGC 663은 쌍안경으로도 쉽게 관측할 수 있으며, 메시에 천체를 소개하는 서적이나 포스터 등에서도 자주 잘못 기재되는 경우가 있다.

5. 갤러리

M103 찾기 차트

참조

[1] 웹사이트 Messier 103 https://messier.seds[...] 2022-04-30
[2] 웹사이트 M103 (open cluster in Cassiopeia) http://www.ttgnet.co[...] Robert Bruce Thompson 2011-04-13
[3] 논문 Photometric and kinematic studies of open star clusters. I. NGC 581 (M 103) 1999
[4] 웹사이트 Messier 103: Observations and Descriptions http://messier.seds.[...] 2011-04-13
[5] 논문 A stellar rotation census of B stars: from ZAMS to TAMS 2010
[6] 웹사이트 3 Clusters in Cassiopeia http://www.oneminute[...] 2010-04-14
[7] 웹사이트 Messier 103 http://www.universet[...] 2010-01-07
[8] 웹사이트 Messier 103 http://www.perezmedi[...] 2010-04-14
[9] 웹사이트 The Constellation Cassiopeia http://www.zimbio.co[...] 2010-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