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에 3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시에 37은 마차부자리에 있는 산개 성단이다. 1654년 조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가 처음 발견했으나, 그의 발견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1764년 9월 2일 샤를 메시에가 독립적으로 발견했으며, 메시에의 기록에 따르면 "M36보다 약간 앞에 있으며, 작은 별들이 나란히 모여 성운 모양을 감싸고 있다"고 묘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세우스자리 팔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 페르세우스자리 팔 - 메시에 103
메시에 103은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위치한 산개성단으로, 1781년 피에르 메샹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하다. - 1654년 발견한 천체 - 삼각형자리 은하
삼각형자리 은하는 삼각형자리 방향에 위치한 국부 은하군에서 세 번째로 큰 나선 은하이며, 안드로메다 은하와 중력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약 273만 광년 거리에 약 400억 개의 별을 포함하며 활발한 항성 형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 1654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41
메시에 41은 큰개자리에 위치하여 시리우스 근처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산개성단으로, 붉은 거성이 중심부에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 마차부자리 - 마차부자리 SU
마차부자리 SU는 추가 정보가 필요한 천체로, 구체적인 특성 및 분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 마차부자리 - 카펠라
카펠라는 마차부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여섯 번째로 밝은 황백색 별로, 여러 문화권에서 염소와 관련된 신화에 등장하며 복잡한 항성계를 이루는 천문학자들의 관측 대상이다.
메시에 37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NGC 2099, Mel 38 |
별자리 | 마차부자리 |
겉보기 등급 | 6.2 |
시직경 | 24' |
질량 | 1,500 |
반지름 | 10-13 광년 |
나이 | 3억 4670만 년 ~ 5억 5천만 년 |
발견 정보 | |
발견자 | 조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 |
발견 시기 | 1654년 이전 |
위치 정보 | |
원기 | J2000.0 |
적색 편이 | 0.000028 km/s |
시선 속도 | 8.3 km/s |
고유 운동 (적경) | 3.29 밀리초/년 |
고유 운동 (적위) | -6.84 밀리초/년 |
거리 | 4400 광년 (약 1.3 kpc) |
위치 이미지 | Auriga_constellation_map.png |
위치 이미지 설명 | M37의 위치 |
물리적 특징 | |
나이 | 약 3억 년 |
직경 | 약 20-25 광년 |
분류 | |
종류 | 산개 성단 |
2. 관측사
조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는 1654년 이전에 M37을 발견했으나, 그의 발견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기욤 르 장티는 1749년에 M36과 M38을 발견했지만, M37은 놓쳤다. 샤를 메시에는 1764년에 M37을 독립적으로 발견하고 기록했다.
2. 1. 메시에의 기록
1654년 이전에 조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가 발견했으나 그의 발견은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 기욤 르 장티는 1749년에 같은 마차부자리에 있는 M36과 M38을 발견했지만, 더 크고 눈에 띄는 M37은 놓쳤다. 그 후, 1764년 9월 2일에 샤를 메시에가 독립적으로 발견했기 때문에, 오디에르나의 업적이 재평가되기 전까지 발견자는 메시에로 여겨졌다. 메시에의 기록에 따르면 "M36보다 약간 앞에 있다. 작은 별들이 나란히 모여 접근해 있고, 성운 모양의 것을 감싸고 있다. 3.5피트 망원경으로는 별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였다.3. 관측 방법
M37은 쌍안경으로 보면 성운처럼 보이며, M36, M38과 함께 시야에 들어온다. 구경 10cm 망원경으로도 많은 별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미세한 별도 보인다.
3. 1. 상세 관측 정보
마차부자리의 M36, M37, M38 세 산개성단 중 가장 규모가 크며 500개 이상의 항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집중도는 방패자리의 M11과 같으며 크기는 약 2배이다.밝은 별들 속에 미세한 별들이 많이 흩어져 있어, 소구경으로도 볼 만하며, 대구경 망원경일수록 별이 많이 보여 어떤 망원경으로도 즐길 수 있는 성단이다. 쌍안경으로는 성운처럼 보이며, M36, M38과 함께 시야에 들어온다. 구경 10cm 망원경으로는 많은 별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미세한 별도 관측 가능하다.
4. 천체 사진
이 섹션은 메시에 37의 위치와 모습을 보여주는 천체 사진들을 담고 있다.
4. 1. M37의 위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