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시에 55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시에 55는 1752년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에 의해 발견된 구상 성단이다. 라카유는 이를 "큰 혜성의 희미한 핵과 같다"고 기록했으며, 샤를 메시에는 "희끄무레하고 반점 모양의 성운"으로 묘사했다. 존 허셜은 "밝고 크며 매우 별이 많다"고 묘사했고, 카미유 플라마리옹은 "광범위하게 불규칙하게 뿌려진 별의 큰 집합체"라고 언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2년 발견한 천체 - 남쪽바람개비 은하
    남쪽바람개비 은하는 나선팔이 역동적인 모습을 보이는 은하로, 1752년에 발견되었으며, 붉은 점과 푸른 점들이 검은 먼지 흡수대에 맺혀 있고, NGC 5128-M83 은하군에 속한다.
  • 궁수자리-용골자리 팔 - 메시에 26
    δ별에서 동쪽으로 50분 거리에 위치한 메시에 26은 은하수의 짙은 부분에 자리 잡아 어두운 하늘에서도 찾기 어려운 산개 성단으로, 주위에 암흑 성운이 분포하며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고 존 허셜이 추가 관측했다.
  • 궁수자리-용골자리 팔 - 메시에 24
    메시에 24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은하수 내 성운으로, 밝기가 다양한 별들이 흩어져 있으며 NGC 6603을 포함하고, 존 허셜의 관측 기록은 추후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다.
  • 구상성단 - NGC 6397
    NGC 6397은 우리 은하의 구상성단으로, 천문학적으로 별의 질량 하한선 규명, 백색왜성 집중으로 밝혀진 중심부 밀집성 천체 성질 규명, 초기 우주 은하 형성 연구 자료 제공 등 중요한 발견에 기여했다.
  • 구상성단 - 메시에 75
    메시에 75는 밀도가 높고 밝게 보이는 구상 성단으로, 은하계 내 메시에 천체 중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1780년 피에르 메생에 의해 발견된 후 여러 천문학자들에 의해 관측되었다.
메시에 55
기본 정보
구상 성단 궁수자리 메시에 55
메시에 번호메시에 55
NGC 번호NGC 6809
기타 명칭GCl 113, C 1936-310
관측 정보
별자리궁수자리
겉보기 등급6.3
겉보기 크기19.0'
물리적 특성
반지름 (광년)48 광년
금속 함량–1.94
나이 (Gyr)12.3 Gyr
분류XI

2. 관측사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1752년 6월 16일에 케이프타운에서 메시에 55를 발견하고 "큰 혜성의 희미한 핵과 같다"고 기록했다. 1778년 7월 24일, 샤를 메시에는 "희끄무레하고 반점 모양의 성운으로, 둥글고 농담이 없으며 별은 보이지 않는다"고 기록했다. 존 허셜은 "구상 성단. 11~13등급의 별로 분리할 수 있다. 밝고 크며 매우 별이 많다. 점차 중심이 밝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미유 플라마리옹은 "확실히 별이 보인다. 광범위하게 불규칙하게 뿌려진 별의 큰 집합체로, 성운 모양의 물질 안에 있다. 직경 6'이며 약간 남북으로 뻗어 있다. 남쪽 하늘의 놀라운 목표이다. 약간 푸르스름하게 보인다"고 묘사했다.

3. 관측 방법

집중도는 XI 등급으로 성단이 듬성듬성하지만, 보름달 시직경의 약 2/3 정도로 매우 크게 보인다. 중심부에 빛이 모여 있는 구상 성단도 많지만, M55는 균일하게 찌그러진 형태로 퍼져 있다.

3. 1. 망원경

쌍안경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비교적 큰 성단이다. 구경 8cm 망원경으로 주변의 희미한 별들이 보인다. 구경 10cm 망원경으로 조건이 좋으면 중심부에 흰 반점이 보인다. 구경 30cm 망원경으로는 별을 완전히 분해해서 볼 수 있다.

4. 갤러리

메시에 55, 광시야 관측


M55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4. 1. 광시야 관측

메시에 55는 섀플리-소여 집중도 XI 등급으로 성단이 듬성듬성하지만, 보름달 시직경의 약 2/3 정도로 매우 크게 보인다.[1] 중심부에 빛이 모여 있는 구상 성단도 많지만, M55는 균일하게 찌그러진 형태로 퍼져 있다. 쌍안경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비교적 큰 성단이다. 구경 8cm의 망원경으로 주변의 희미한 별들이 보인다. 구경 10cm로 조건이 좋으면 중심부에 흰 반점이 보인다. 구경 30cm의 망원경으로 별을 완전히 분해해서 볼 수 있다.

4. 2. 위치



참조

[1] 웹사이트 Messier 55 https://messier.seds[...] 2022-04-29
[2] 문서 From trigonomet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