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직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직경은 물체의 겉보기 크기를 각도로 나타낸 것으로, 관찰자와 물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시직경은 물체의 겉보기 지름과 실제 지름, 그리고 관찰자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작은 각도 근사를 통해 간편하게 구할 수도 있다. 천문학에서는 천체의 크기를 실제 크기 대신 시직경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초각(″) 단위를 사용한다. 주요 천체들의 시직경은 태양, 달, 행성, 그리고 항성 등 다양한 천체에 적용되며, 천체의 실제 크기와 거리를 비교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각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각 - 등각 사상
    등각 사상은 각도를 보존하는 사상으로, 2차원에서는 도함수가 0이 아닌 정칙 함수인 복소 함수가 해당되며, 3차원 이상에서는 상사 변환, 등거리 변환, 특수 등각 변환 등으로 분류되어 지도 제작, 항공우주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위치천문학 - 극운동
    극운동은 지구 자전축의 불규칙한 운동으로 챈들러 요동, 연주기 진동, 불규칙적 표류로 구성되며 지구 핵-맨틀 운동, 해수면 재분포, 지각균형 재조정 등으로 발생하고 우주측지학 방법으로 관측되며 IERS에서 데이터를 제공한다.
  • 위치천문학 - 천체역학
    천체역학은 중력에 의해 지배되는 천체의 운동을 다루는 학문으로, 케플러 운동 법칙, 섭동 이론, 다체 문제 등을 포함하며,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과 해석역학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우주 탐사 및 행성 형성 연구에 기여한다.
  • 기하학 - 밀러 지수
    밀러 지수는 결정학에서 결정 면과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지수이며, 역격자 벡터 또는 격자 벡터 절편의 역수를 통해 정의되며,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 및 기술적 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하학 - 반지름
    반지름은 원의 중심에서 원 위의 점까지의 거리로, 원의 지름과 둘레, 넓이 계산에 사용될 뿐 아니라 정다각형 외접원, 그래프 이론, 극좌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여러 도형의 반지름을 구하는 공식이 존재하고 한국의 교육, 건축, 디자인 분야에서도 널리 쓰인다.
시직경
개요
정의구 또는 원이 관찰자에게 보이는 각도 크기
관련 용어겉보기 크기
각 반지름
측정
단위각도 (°, 라디안)
도구육분의
망원경
활용
천문학천체의 크기 및 거리 측정
시각물체의 인지된 크기 결정
수학적 표현
공식δ = 2 arctan(d / (2D))
변수δ: 각지름
d: 실제 지름
D: 거리
참고 사항
작은 각도 근사δ ≈ d / D (δ가 라디안으로 표현될 때)
추가 정보
관련 개념시차
겉보기 등급

2. 공식

물체의 시지름, 즉 각지름을 구하는 공식은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기본적인 공식은 \delta = 2 \arctan \left( \tfrac{1}{2}\,d / D \right)이며, 여기서 \delta는 시지름, d는 겉보기지름, D는 물체까지의 거리이다. dD는 같은 단위를 사용해야 한다.

작은 각도 근사에 따라, 물체까지의 거리 D가 겉보기지름 d에 비해 매우 클 경우, 시지름 \delta\delta = d / D (라디안)으로 간단하게 어림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지름(d_\text{act})을 알고 있는 둥근 물체의 경우에는 \delta = 2 \arcsin \left( \tfrac{1}{2}\,d_\text{act} / D \right) 공식을 사용해야 더 정확한 시지름을 얻을 수 있다. 이는 겉보기 가장자리가 접선이기 때문인데, 이 접선들은 관찰자에게 구의 중심보다 더 가깝다.

2. 1. 기본 공식

각지름을 구하는 공식을 위한 개념도


물체의 시지름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elta = 2 \arctan \left( \tfrac{1}{2}\,d / D \right),

여기서 \delta는 물체의 시지름, d는 겉보기지름, D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뜻하며, dD는 서로 같은 단위로 표현된다. Dd에 비해 매우 커지면 \delta라디안 값은 \delta = d / D 공식으로 어림계산할 수 있다.

실제 지름이 d_\text{act}인 둥근 물체의 시지름은 다음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delta = 2 \arcsin \left( \tfrac{1}{2}\,d_\text{act} / D \right).

이 공식을 사용하면 비교적 가까이 있는 둥근 물체에 한해서만 겉보기 지름 d와 실제 지름 d_\text{act}의 차이가 의미있는 값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직경 공식 다이어그램


시점과 해당 원의 중심 사이의 변위 벡터에 수직인 평면을 가진 의 시직경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2][3]

:\delta = 2\arctan \left(\frac{d}{2D}\right),

여기서 \delta는 ''도'' 단위의 시직경, d는 객체의 실제 지름, D는 객체까지의 거리이다. D \gg d일 때, \delta \approx d / D이고, 결과는 라디안 단위로 얻어진다.[4]

''실제'' 지름이 d_\mathrm{act}이고 D가 구의 ''중심''까지의 거리인 구형 객체의 경우, 시직경은 다음 수정된 공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delta = 2\arcsin \left(\frac{d_\mathrm{act}}{2D}\right)

이 차이는 구의 겉보기 가장자리가 접선이기 때문인데, 이 접선들은 관찰자에게 구의 중심보다 더 가깝고, 그 사이의 거리가 실제 지름보다 작다. 위 공식은 구형 객체의 경우, 세 개의 꼭짓점이 관찰자, 구의 중심, 구의 접선 중 하나인 직각삼각형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면 찾을 수 있으며, 여기서 D는 빗변이고 \frac{d_\mathrm{act}}{2D}는 사인이다.

다음의 작은 각도 근사가 작은 x 값에 대해 성립하므로, 이 차이는 시직경이 큰 구형 객체에 대해서만 유의미하다.[5]

:\arcsin x \approx \arctan x \approx x.

2. 2. 구형 천체의 각지름



실제 지름이 d_\mathrm{act}이고, D가 구의 ''중심''까지의 거리인 구형 객체의 경우, 시직경은 다음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delta = 2\arcsin \left(\frac{d_\mathrm{act}}{2D}\right)

이 차이는 구의 겉보기 가장자리가 접선이기 때문이다. 이 접선들은 관찰자에게 구의 중심보다 더 가깝고, 그 사이의 거리는 실제 지름보다 작다. 위 공식은 구형 객체의 경우, 관찰자, 구의 중심, 구의 접선 중 하나, 이 세 개의 꼭지점으로 직각 삼각형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이 직각삼각형에서 D는 빗변이고 \frac{d_\mathrm{act}}{2D}는 사인이다.

작은 각도 근사에 따라 작은 x 값에 대해 다음이 성립하므로, 이 차이는 시직경이 큰 구형 객체에 대해서만 유의미하다.[5]

:\arcsin x \approx \arctan x \approx x.

2. 3. 작은 각도 근사



작은 x 값에 대해 작은 각도 근사가 성립하므로, 시직경이 큰 구형 객체에 대해서만 유의미하다.[5]

:\arcsin x \approx \arctan x \approx x.

3. 손을 이용한 각지름 측정

팔을 쭉 뻗은 상태에서 손으로 측정한 대략적인 10°, 20°, 5°, 그리고 1°의 각도


시직경은 그림과 같이 손을 팔을 완전히 뻗은 상태에서 직각으로 유지하여 어림잡아 측정할 수 있다.[6][7][8]

4. 천문학에서의 활용

천문학에서 천체의 크기는 실제 크기 대신 지구에서 보이는 겉보기 각지름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9] 각지름은 매우 작기 때문에 보통 초각(″)으로 나타낸다. 1초각은 1도(°)의 1/3600이며, 1라디안은 180/π 도, 즉 약 206,265 초각(1 rad ≈ 206,264.806247″)이다.

거리 ''D''에 있는 물체의 실제 지름이 ''d''일 때, 각지름 δ는 초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9]

:\delta = 206,265 ~ (d / D) ~ \mathrm{초각}.

이 공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경우에 천체의 각지름은 1″가 된다.


  • 지름이 1cm인 물체가 2.06km 거리에 있을 때
  • 지름이 725.27km인 물체가 1 천문단위(AU) 거리에 있을 때
  • 지름이 45866916km인 물체가 1 광년 거리에 있을 때
  • 지름이 1 AU (149597871km)인 물체가 1 파섹(pc) 거리에 있을 때


19세기의 태양계 행성에서 본 태양의 겉보기 크기를 묘사한 그림.


1 파섹(pc) 거리에서 본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 궤도의 각지름은 2″이다. (1 AU는 지구 궤도의 평균 반지름) 1 광년 거리에서 본 태양의 각지름은 0.03″이고, 지구의 각지름은 0.0003″이다. 참고로, 태양의 각지름 0.03″는 지구 지름 거리에서 본 인체의 각지름과 거의 같다.

천문학에서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물체의 물리적 크기(''d'')와 각지름(''δ'')을 알고 있다면, 각지름 공식을 변형하여 천체까지의 각지름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d \equiv 2 D \tan \left( \frac{\delta}{2} \right).

거리 척도(우주론)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유클리드 공간인 팽창 우주에서는 각지름 거리가 여러 거리 정의 중 하나일 뿐이므로, 동일한 물체에 대해 "거리"가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은하성운과 같이 원형이 아닌 천체는 일반적으로 장축과 단축, 두 가지의 지름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소마젤란 은하는 시직경이 5°20′ × 3°5′이다.

천문학에서 천체의 조명 결함은 관측자가 보는 천체의 비조명 부분의 최대 각 너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떤 물체의 겉보기 크기가 40"이고 조명률이 75%라면, 조명 결함은 10"이다.[9]

4. 1. 천체의 크기 표현

천문학에서 천체의 크기는 실제 크기 대신 지구에서 보이는 겉보기 각지름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9] 이러한 각지름은 매우 작기 때문에 보통 초각(″)으로 나타낸다. 1초각은 1도(°)의 1/3600이며, 1라디안은 180/π도이므로, 약 206,265 초각(1 rad ≈ 206,264.806247″)에 해당한다.

거리 ''D''에 있는 물체의 실제 지름이 ''d''일 때, 각지름 δ는 초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9]

: \delta = 206,265 ~ (d / D) ~ \mathrm{초각}.

이 공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경우에 1″의 각지름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지름 1cm인 물체가 2.06km 거리에 있을 때
  • 지름 725.27km인 물체가 1 천문단위(AU) 거리에 있을 때
  • 지름 45866916km인 물체가 1 광년 거리에 있을 때
  • 지름 1 AU (149597871km)인 물체가 1 파섹(pc) 거리에 있을 때


따라서, 1 pc 거리에서 본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 궤도의 각지름은 2″이다. (1 AU는 지구 궤도의 평균 반지름)

1 광년 거리에서 본 태양의 각지름은 0.03″이고, 지구의 각지름은 0.0003″이다. 참고로, 태양의 각지름 0.03″는 지구 지름 거리에서 본 인체의 각지름과 거의 같다.

다음 표는 지구에서 본 주요 천체들의 각지름 크기를 보여준다.

천체각지름상대적 크기
마젤란 스트림100° 이상
껌 성운36°
은하수30° (360°를 나눈 값)
팔을 쭉 뻗어 펼친 손의 너비20°1km 거리에서 353m
뱀주인자리-독수리자리 간극20° x 10°
큰개자리 과밀도12° x 12°
스미스 구름11°
대마젤란 은하10.75° x 9.17°밤하늘에서 은하수를 제외하고 가장 밝은 은하 (0.9 겉보기 등급 (V))
버나드 고리10°
제타 뱀주기 성운 Sh2-2710°
팔을 쭉 뻗어 쥔 주먹의 너비10°1km 거리에서 175m
궁수자리 왜소 타원 은하7.5° x 3.6°
북부 석탄 자루 성운7° x 5°[10]
석탄 자루 성운7° x 5°
백조자리 OB74° x 7°[11]
로 오피우치 성운 복합체4.5° x 6.5°
히아데스 성단5°30′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성단, 0.5 겉보기 등급 (V)
소마젤란 은하5°20′ x 3°5′
안드로메다 은하3°10′ x 1°태양이나 달의 약 6배 크기. 장노출 사진 없이 보이는 것은 훨씬 작은 핵뿐이다.
카론 (명왕성 표면에서)3°9’
베일 성운
하트 성운2.5° x 2.5°
웨스터후트 52.3° x 1.25°
Sh2-542.3°
고래자리 성운2° x 2°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성운, 1.0 겉보기 등급 (V)
북아메리카 성운2° x 100′
지구 in the 달의 하늘2° - 1°48′[12]지구의 하늘에서 달보다 약 3~4배 더 크게 보임
태양 in the sky of 수성1.15° - 1.76°[13]
오리온 성운1°5′ x 1°
팔을 쭉 뻗은 새끼손가락의 너비1km 거리에서 17.5m
태양 in the sky of 금성0.7°[13][14]
이오 (목성의 "표면"에서)35′ 35″
34′6″ – 29′20″금성의 최대값(표 하단의 오렌지색 막대)의 32.5–28배 / 달의 지름이 3474km일 때 2046–1760″
태양32′32″ – 31′27″금성의 최대값(표 하단의 오렌지색 막대)의 31–30배 / 태양의 지름이 1391400km일 때 1952–1887″
트리톤 (해왕성의 "표면"에서)28′ 11″
화성에서 본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의 각 크기, 에서약 25′
아리엘 (천왕성의 "표면"에서)24′ 11″
가니메데 (목성의 "표면"에서)18′ 6″
유로파 (목성의 "표면"에서)17′ 51″
움브리엘 (천왕성의 "표면"에서)16′ 42″
고리 성운약 16′ x 28′
목성화성만큼 지구에 가까이 있다면9.0′ – 1.2′
독수리 성운의 첨탑4′40″길이는 280″
포보스 (화성에서)4.1′
금성1′6″ – 0′9.7″

국제 우주 정거장(ISS)1′3″[15] ISS의 너비는 약 108m
사람의 눈으로 분해할 수 있는 최소 지름1′[16] 1km 거리에서 0.3m[17]
표면의 약 100km1′코페르니쿠스 분화구와 같은 큰 달 분화구, 기울어지는 면의 대양의 폭풍 동쪽에 있는 밝은 반점, 또는 달의 앞면 남쪽에 있는 밝은 지역 내의 티코 분화구와 같은 특징의 크기와 비슷함.
목성50.1″ – 29.8″

화성에서 본 지구48.2″[13] – 6.6″

사람의 눈으로 두 선 사이의 최소 분해 가능한 간격40″15cm 거리에서 0.026mm의 간격[16][17]
화성25.1″ – 3.5″

근일점에서 90377 세드나에서 본 태양의 겉보기 크기20.4″
토성20.1″ – 14.5″

수성13.0″ – 4.5″

화성에서 본 지구의 달13.27″ – 1.79″

천왕성4.1″ – 3.3″

해왕성2.4″ – 2.2″

가니메데1.8″ – 1.2″

가니메데의 지름은 5268km
ISS의 평균 고도인 350km 거리의 우주 비행사 (~1.7m)1″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가장 큰 {{cvt으로 분해 가능한 최소 지름~1″[18] 30배[19] 배율, 매우 강력한 현대식 쌍안경과 유사함
세레스0.84″ – 0.33″

베스타0.64″ – 0.20″

명왕성0.11″ – 0.06″

에리스0.089″ – 0.034″

R 도라두스0.062″ – 0.052″

R 도라두스는 지구에서 본 가장 큰 겉보기 크기를 가진 외계 별로 여겨짐
베텔게우스0.060″ – 0.049″

알파드0.00909″
알파 센타우리 A0.007″
카노푸스0.006″
시리우스0.005936″
알타이르0.003″
로 카시오페이아이0.0021″[20]
데네브0.002″
프록시마 센타우리0.001″
알니탁0.0005″
프록시마 센타우리 b0.00008″
2019년에 사건 지평선 망원경으로 촬영한 M87 은하 중심의 블랙홀 M87*의 사건 지평선0.000025″달 위의 테니스 공과 비슷함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겨우 볼 수 있는 거리의 알니탁과 같은 별[21]초각



태양, 달, 행성의 각지름 비교. 크기의 진정한 표현을 얻으려면 "Moon: max." 원 너비의 103배 거리에서 이미지를 보십시오. 예를 들어, 이 원이 모니터에서 너비인 경우 떨어진 곳에서 보십시오.


이 사진은 2017년 4월 10일 에 있는 동안 목성과 네 개의 갈릴레오 위성 (칼리스토의 최대 최장)의 겉보기 크기를 보름달의 겉보기 지름과 비교한다.


지구에서 본 태양의 각지름은 시리우스의 약 250,000배이다. (시리우스의 지름은 2배이고 거리는 500,000배이며, 태양은 1010배 더 밝으므로 각지름 비율이 105이므로 시리우스는 단위 입체각당 약 6배 더 밝다.)

태양의 각지름은 알파 센타우리 A의 약 250,000배이기도 하다(지름이 거의 같고 거리가 250,000배이다. 태양은 4×1010배 더 밝으므로 각지름 비율은 200,000이므로 알파 센타우리 A는 단위 입체각당 약간 더 밝다.)

태양의 각지름은 의 각지름과 거의 같다. (태양의 지름은 400배 더 크고 거리도 마찬가지이다. 태양은 보름달보다 200,000~500,000배 더 밝다(수치가 다르다.) 각지름 비율이 450~700에 해당하므로 지름이 2.5–4″이고 단위 입체각당 밝기가 같은 천체는 보름달과 밝기가 같다.)

허리띠의 세 별처럼 각도로 측정된 각 크기는 하늘의 넓은 영역을 나타낼 때 유용하지만, 밤하늘의 은하, 성운 등의 각 크기를 측정하려면 더 세밀한 단위가 필요하다.

따라서 각도는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 원 안에 360 도(°)
  • 1도에 60 분각(′)
  • 1 분각에 60 초각(″)


예를 들어, 지구에서 본 보름달은 약 1/2°, 즉 30′ (또는 1800″)이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달의 움직임은 각 크기로 측정할 수 있는데, 매시간 약 15° 또는 초당 15″이다. 달 표면에 약 1.61km 길이의 선을 칠하면 지구에서는 약 1″ 길이로 보일 것이다.

4. 2. 각지름과 거리

천문학에서 천체의 크기는 실제 크기가 아닌, 지구에서 본 겉보기 각지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각지름은 매우 작기 때문에 보통 초각(″)으로 나타낸다. 1초각은 1도 (1°)의 1/3600이다. 1라디안은 180/π 도이므로, 1라디안은 약 206,265 초각이다(1 rad ≈ 206,264.806247"). 따라서 거리 ''D''에 있는 물리적 지름이 ''d''인 물체의 각지름은 초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9]

:\delta = 206,265 ~ (d / D) ~ \mathrm{초각}.

이 공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경우에 천체의 각지름은 1″가 된다.

  • 지름이 1 cm인 물체가 2.06km 거리에 있을 때
  • 지름이 725.27km인 물체가 1 천문단위(AU) 거리에 있을 때
  • 지름이 45866916km인 물체가 1 광년 거리에 있을 때
  • 지름이 1 AU (149597871km)인 물체가 1 파섹(pc) 거리에 있을 때


1 pc 거리에서 본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 궤도의 각지름은 2″이다. (1 AU는 지구 궤도의 평균 반지름)

1 광년 거리에서 본 태양의 각지름은 0.03″이고, 지구의 각지름은 0.0003″이다. 이는 지구 지름 거리에서 본 인체의 각지름과 대략 같다.

천문학에서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물체의 물리적 크기(d)와 각지름(δ)을 알고 있다면, 각지름 공식을 변형하여 천체까지의 각지름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d \equiv 2 D \tan \left( \frac{\delta}{2} \right).

거리 척도(우주론)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유클리드 공간인 팽창 우주에서는 각지름 거리가 여러 거리 정의 중 하나일 뿐이므로, 동일한 물체에 대해 "거리"가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4. 3. 비유클리드 공간에서의 각지름

천문학에서 천체의 크기는 실제 크기가 아닌, 지구에서 본 겉보기 각지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리 우주와 같이 팽창하는 비유클리드 공간에서는 각지름 거리가 여러 거리 정의 중 하나일 뿐이므로, 같은 천체라도 "거리"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거리 척도(우주론)을 참조하면 이러한 비유클리드 공간에서의 거리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비유클리드 공간에서 각지름 거리의 개념은 천문학적 관측과 거리 측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멀리 떨어진 천체의 거리를 추정하고, 우주의 팽창과 관련된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이다.

4. 4. 비원형 천체

은하성운과 같이 원형이 아닌 천체는 일반적으로 장축과 단축, 두 가지의 지름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작은마젤란운은 시직경이 5°20′ × 3°5′이다.

4. 5. 조명 결함

천문학에서 천체의 조명 결함은 관측자가 보는 천체의 비조명 부분의 최대 각 너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떤 물체의 겉보기 크기가 40이고 조명률이 75%라면, 조명 결함은 10이다.[9]

5. 주요 천체의 각지름

천문학에서 천체의 크기는 실제 크기가 아닌, 지구에서 본 겉보기 각지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각지름은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초각(″)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1초각은 1도 (1°)의 1/3600이고, 1라디안은 180/''π'' 도이므로, 약 206,265 초각이다(1 rad ≈ 206,264.806247"). 거리 ''D''에 있는 물리적 지름이 ''d''인 물체의 각지름은 초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9]

:\delta = 206,265 ~ (d / D) ~ \mathrm{초각}.

1″의 각지름을 갖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2.06km 거리에 있는 지름 1cm인 물체
  • 1 천문단위 (AU) 거리에 있는 지름 725.27km인 물체
  • 1 광년 거리에 있는 지름 45866916km인 물체
  • 1 파섹 (pc) 거리에 있는 지름 1 AU (149597871km)인 물체


1 pc 거리에서 본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 궤도의 각지름은 2″이며, 1 AU는 지구 궤도의 평균 반지름이기 때문이다. 1 광년 거리에서 본 태양의 각지름은 0.03″이고, 지구의 각지름은 0.0003″이다.

지구에서 본 주요 천체의 각지름은 아래 표와 같다.

천체각지름상대적 크기
마젤란 스트림100° 이상
껌 성운36°
은하수30° (360°로 나눈 값)
팔을 쭉 뻗어 펼친 손의 너비20°1km 거리에서 353m
뱀주인자리-독수리자리 간극20° x 10°
큰개자리 과밀도12° x 12°
스미스 구름11°
대마젤란 은하10.75° x 9.17°밤하늘에서 은하수를 제외하고 가장 밝은 은하 (0.9 겉보기 등급)
버나드 고리10°
제타 뱀주기 성운 Sh2-2710°
팔을 쭉 뻗어 쥔 주먹의 너비10°1km 거리에서 175m
궁수자리 왜소 타원 은하7.5° x 3.6°
북부 석탄 자루 성운7° x 5°[10]
석탄 자루 성운7° x 5°
백조자리 OB74° x 7°[11]
로 오피우치 성운 복합체4.5° x 6.5°
히아데스 성단5°30′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성단, 0.5 겉보기 등급
소마젤란 은하5°20′ x 3°5′
안드로메다 은하3°10′ x 1°태양이나 의 약 6배 크기. 장노출 사진 없이 보이는 것은 훨씬 작은 핵뿐이다.
카론 (명왕성 표면에서)3°9’
베일 성운
하트 성운2.5° x 2.5°
웨스터후트 52.3° x 1.25°
Sh2-542.3°
고래자리 성운2° x 2°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성운, 1.0 겉보기 등급
북아메리카 성운2° x 100′
달의 하늘에서 본 지구2° - 1°48′[12]지구의 하늘에서 달보다 약 3~4배 더 크게 보임
수성에서 본 태양1.15° - 1.76°[13]
오리온 성운1°5′ x 1°
팔을 쭉 뻗은 새끼손가락의 너비1km 거리에서 17.5m
금성에서 본 태양0.7°[13][14]
이오 (목성의 "표면"에서)35’ 35”
34′6″ – 29′20″금성의 최대값의 32.5–28배 / 달의 지름이 3474km일 때 2046–1760″
태양32′32″ – 31′27″금성의 최대값의 31–30배 / 태양의 지름이 1391400km일 때 1952–1887″
트리톤 (해왕성의 "표면"에서)28’ 11”
화성에서 본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 (각 크기), 에서약 25′
아리엘 (천왕성의 "표면"에서)24’ 11”
가니메데 (목성의 "표면"에서)18’ 6”
유로파 (목성의 "표면"에서)17’ 51”
움브리엘 (천왕성의 "표면"에서)16’ 42”
고리 성운약 16′ x 28′
목성화성만큼 지구에 가까이 있다면9.0′ – 1.2′
독수리 성운의 첨탑4′40″길이는 280″
포보스 (화성에서)4.1′
금성1′6″ – 0′9.7″
국제 우주 정거장 (ISS)1′3″[15] ISS의 너비는 약 108m
사람의 눈으로 분해할 수 있는 최소 지름1′[16] 1km 거리에서 0.3m[17]
표면의 약 100km1′코페르니쿠스 분화구와 같은 큰 달 분화구, 기울어지는 면의 대양의 폭풍 동쪽에 있는 밝은 반점, 또는 달의 앞면 남쪽에 있는 밝은 지역 내의 티코 분화구와 같은 특징의 크기와 비슷함.
목성50.1″ – 29.8″
화성에서 본 지구48.2″[13] – 6.6″
사람의 눈으로 두 선 사이의 최소 분해 가능한 간격40″15cm 거리에서 0.026mm의 간격[16][17]
화성25.1″ – 3.5″
근일점에서 90377 세드나에서 본 태양의 겉보기 크기20.4"
토성20.1″ – 14.5″
수성13.0″ – 4.5″
화성에서 본 지구의 달13.27″ – 1.79″
천왕성4.1″ – 3.3″
해왕성2.4″ – 2.2″
가니메데1.8″ – 1.2″가니메데의 지름은 5268km
ISS의 평균 고도인 350km 거리의 우주 비행사 (~1.7m)1″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가장 큰 {{cvt으로 분해 가능한 최소 지름~1″[18] 참고: 30배[19] 배율, 매우 강력한 현대식 쌍안경과 유사함
세레스0.84″ – 0.33″
베스타0.64″ – 0.20″
명왕성0.11″ – 0.06″
에리스0.089″ – 0.034″
R 도라두스0.062″ – 0.052″지구에서 본 가장 큰 겉보기 크기를 가진 외계 별
베텔게우스0.060″ – 0.049″
알파드0.00909″
알파 센타우리 A0.007″
카노푸스0.006″
시리우스0.005936″
알타이르0.003″
로 카시오페이아이0.0021″[20]
데네브0.002″
프록시마 센타우리0.001″
알니탁0.0005″
프록시마 센타우리 b0.00008″
2019년에 사건 지평선 망원경으로 촬영한 M87 은하 중심의 블랙홀 M87*의 사건 지평선0.000025″달 위의 테니스 공과 비슷함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겨우 볼 수 있는 거리의 알니탁과 같은 별[21]초각



명왕성이 세레스보다 물리적으로 더 크지만, 지구에서 볼 때(예: 허블 우주 망원경을 통해) 세레스가 훨씬 더 큰 겉보기 크기를 가진다.

각도로 측정된 각 크기는 넓은 하늘 영역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허리띠의 세 별은 약 4.5°의 각 크기를 덮는다. 그러나 밤하늘의 은하, 성운 등의 각 크기를 측정하려면 더 세밀한 단위가 필요하다.

따라서 각도는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 원 안에 360 도 (°)
  • 1도에 60 분각 (′)
  • 1 분각에 60 초각 (″)


지구에서 본 보름달은 약 0.5° 또는 30′ (1800″)이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달의 움직임은 각 크기로 측정할 수 있는데, 매시간 약 15° 또는 초당 15″이다. 달 표면에 칠해진 약 1.61km 길이의 선은 지구에서 약 1″ 길이로 보인다.

천문학에서는 일반적으로 물체까지의 거리를 직접 측정하기 어렵지만, 알려진 물리적 크기(알려진 거리에 있는 더 가까운 물체와 유사할 수 있음)와 측정 가능한 각지름을 통해 각지름 거리를 구할 수 있다.

:d \equiv 2 D \tan \left( \frac{\delta}{2} \right).

비유클리드 공간(예: 팽창 우주)에서는 각지름 거리가 거리의 여러 정의 중 하나일 뿐이므로, 동일한 물체까지의 "거리"가 다를 수 있다. 거리 척도(우주론) 참고.

5. 1. 태양계 천체

천문학에서 천체의 크기는 실제 크기가 아닌, 지구에서 본 겉보기 각지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각지름은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초각(″)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1초각은 1도 (1°)의 1/3600이다.

지구에서 본 주요 태양계 천체의 각지름은 다음과 같다.

지구에서 본 주요 태양계 천체의 각지름
천체명각지름
태양32′
29′ - 33′
금성10″ - 58″
화성4″ - 25″
목성32″ - 49″
토성16″ - 20″
천왕성3″ - 4″
해왕성2″
명왕성0.1″
에리스0.040″



태양과 달은 거의 같은 각지름을 가지므로, 달의 거리 변동에 따라 개기 일식과 금환 일식이 모두 일어난다.

5. 2. 항성

천문학에서 천체의 크기는 실제 크기가 아닌, 지구에서 본 겉보기 각지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각지름은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초각(″)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은 지구에서 본 주요 항성의 각지름을 나타낸 표이다.[23][24]

항성의 각지름으로 밝혀진 수치
천체명각지름지구로부터의 거리
베텔게우스0.054″640±140 광년
카시오페이아자리 α별0.054″204±9 광년
안타레스0.041″약 600 광년
알데바란0.021″65±1 광년
시리우스약 0.007″8.6 광년
센타우루스자리 α별 A약 0.007″4.365 광년
양자리 α별0.00699″66±1 광년
카시오페이아자리 α별0.00569″229±9 광년
폴라리스 (현재의 북극성)0.00328″430 광년
페르세우스자리 α별0.00313″590 광년
토끼자리 α별0.00177″약 1300 광년
프록시마 센타우리약 0.001″4.22 광년



태양의 각지름은 시리우스의 약 25만 배이다. 시리우스는 태양보다 지름이 약 2배 크지만, 거리가 약 50만 배 멀리 떨어져 있다. 또한, 태양은 시리우스보다 단위 입체각당 약 6배 더 밝다.

태양의 각지름은 알파 센타우리 A의 약 25만 배이기도 하다. 알파 센타우리 A는 태양과 지름이 거의 같지만, 거리가 약 25만 배 멀다. 알파 센타우리 A는 태양보다 단위 입체각당 약간 더 밝다.

태양의 각지름은 의 각지름과 거의 같다. 태양은 달보다 지름이 약 400배 크고, 거리도 약 400배 멀리 떨어져 있다.

5. 3. 심원 천체

천문학에서 천체의 크기는 실제 크기가 아닌, 지구에서 본 겉보기 각지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각지름은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초각(″)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1초각은 1도 (1°)의 1/3600이고, 라디안은 180/''π'' 도이다. 따라서 1라디안은 3,600 × 180/π 초각과 같고, 이는 약 206,265 초각이다(1 rad ≈ 206,264.806247"). 그러므로, 거리 ''D''에 있는 물리적 지름이 ''d''인 물체의 각지름은 초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9]

:\delta = 206,265 ~ (d / D) ~ \mathrm{초각}.

다음은 1″의 각지름을 갖는 경우이다.

  • 지름이 1 cm인 물체가 2.06 km 거리에 있을 때
  • 지름이 725.27 km인 물체가 1 천문단위 (AU) 거리에 있을 때
  • 지름이 45 866 916 km인 물체가 1 광년 거리에 있을 때
  • 지름이 1 AU (149 597 871 km)인 물체가 1 파섹 (pc) 거리에 있을 때


따라서, 1 pc 거리에서 본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 궤도의 각지름은 2″이며, 1 AU는 지구 궤도의 평균 반지름이기 때문이다.

1 광년 거리에서 본 태양의 각지름은 0.03″이고, 지구의 각지름은 0.0003″이다.

다음 표는 지구에서 본 주목할 만한 심원천체의 각 크기를 보여준다.

천체각지름상대적 크기
마젤란 스트림100° 이상
껌 성운36°
은하수30° (360°로 나눈 값)
뱀주인자리-독수리자리 간극20° x 10°
큰개자리 과밀도12° x 12°
스미스 구름11°
대마젤란 은하10.75° x 9.17°밤하늘에서 은하수를 제외하고 가장 밝은 은하 (0.9 겉보기 등급)
버나드 고리10°
제타 뱀주기 성운 Sh2-2710°
궁수자리 왜소 타원 은하7.5° x 3.6°
북부 석탄 자루 성운7° x 5°[10]
석탄 자루 성운7° x 5°
백조자리 OB74° x 7°[11]
로 오피우치 성운 복합체4.5° x 6.5°
히아데스 성단5°30′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성단, 0.5 겉보기 등급
소마젤란 은하5°20′ x 3°5′
안드로메다 은하3°10′ x 1°태양이나 의 약 6배 크기. 장노출 사진 없이 보이는 것은 훨씬 작은 핵뿐이다.
베일 성운
하트 성운2.5° x 2.5°
웨스터후트 52.3° x 1.25°
Sh2-542.3°
고래자리 성운2° x 2°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성운, 1.0 겉보기 등급
북아메리카 성운2° x 100′
오리온 성운1°5′ x 1°
고리 성운약 16′ x 28′
독수리 성운의 첨탑4′40″길이는 280″
R 도라두스0.062″ – 0.052″지구에서 본 가장 큰 겉보기 크기를 가진 외계 별
베텔게우스0.060″ – 0.049″
알파드0.00909″
알파 센타우리 A0.007″
카노푸스0.006″
시리우스0.005936″
알타이르0.003″
로 카시오페이아이0.0021″[20]
데네브0.002″
프록시마 센타우리0.001″
알니탁0.0005″
프록시마 센타우리 b0.00008″
2019년에 사건 지평선 망원경으로 촬영한 M87 은하 중심의 블랙홀 M87*의 사건 지평선0.000025″달 위의 테니스 공과 비슷함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겨우 볼 수 있는 거리의 알니탁과 같은 별[21]초각


5. 4. 기타 천체

국제 우주 정거장(ISS)은 약 1′3″의 각지름을 가진다.[15] ISS의 너비는 약 108m이다.

소행성 베스타의 각지름은 0.64″ – 0.20″이다.

왜행성 세레스의 각지름은 0.84″ – 0.33″이다. 명왕성이 세레스보다 물리적으로 더 크지만, 지구에서 볼 때 세레스가 훨씬 더 큰 겉보기 크기를 가진다.

왜행성 명왕성의 각지름은 0.11″ – 0.06″이다.

왜행성 에리스의 각지름은 0.089″ – 0.034″이다.

6. 각지름 비교 및 시각 자료

천문학에서 천체의 크기는 실제 크기가 아닌, 지구에서 본 겉보기 각지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각지름은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초각(″)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1초각은 1도 (1°)의 1/3600이다.

거리 ''D''에 있는 물리적 지름이 ''d''인 물체의 각지름은 초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9]

:\(\delta = 206,265 ~ (d / D) ~ \mathrm{초각}\).

다음은 지구에서 본 주목할 만한 천체의 각 크기를 나타낸 표이다.

천체각지름 또는 크기상대적 크기
마젤란 스트림100° 이상
껌 성운36°
은하수30° (360°로 나눈 값)
팔을 쭉 뻗어 펼친 손의 너비20°1 km 거리에서 353m
뱀주인자리-독수리자리 간극20° x 10°
큰개자리 과밀도12° x 12°
스미스 구름11°
대마젤란 성운10.75° x 9.17°참고: 밤하늘에서 은하수를 제외하고 가장 밝은 은하 (0.9 겉보기 등급 (V))
버나드 고리10°
제타 뱀주기 성운 Sh2-2710°
팔을 쭉 뻗어 쥔 주먹의 너비10°1 km 거리에서 175m
궁수자리 왜소 타원 은하7.5° x 3.6°
북부 석탄 자루 성운7° x 5°[10]
석탄 자루 성운7° x 5°
백조자리 OB74° x 7°[11]
로 오피우치 성운 복합체4.5° x 6.5°
히아데스 성단5°30′참고: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성단, 0.5 겉보기 등급 (V)
소마젤란 성운5°20′ x 3°5′
안드로메다 은하3°10′ x 1°태양이나 의 약 6배 크기. 장노출 사진 없이 보이는 것은 훨씬 작은 핵뿐이다.
카론 (명왕성 표면에서)3°9’
베일 성운
하트 성운2.5° x 2.5°
웨스터후트 52.3° x 1.25°
Sh2-542.3°
고래자리 성운2° x 2°참고: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성운, 1.0 겉보기 등급 (V)
북아메리카 성운2° x 100′
에서 본 지구2° - 1°48′[12]지구에서 본 달보다 약 3~4배 더 크게 보임
수성에서 본 태양1.15° - 1.76°[13]
오리온 성운1°5′ x 1°
팔을 쭉 뻗은 새끼손가락의 너비1 km 거리에서 17.5m
금성에서 본 태양0.7°[13][14]
이오 (목성의 "표면"에서)35′ 35″
34′6″ – 29′20″금성의 최대 각지름(아래 오렌지색 막대)의 32.5–28배
태양32′32″ – 31′27″금성의 최대 각지름(아래 오렌지색 막대)의 31–30배
트리톤 (해왕성의 "표면"에서)28′ 11″
화성에서 본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 (최대)약 25′
아리엘 (천왕성의 "표면"에서)24′ 11″
가니메데 (목성의 "표면"에서)18′ 6″
유로파 (목성의 "표면"에서)17′ 51″
움브리엘 (천왕성의 "표면"에서)16′ 42″
고리 성운약 16′ x 28′
목성화성만큼 지구에 가까이 있다면9.0′ – 1.2′
독수리 성운의 첨탑4′40″길이는 280″
포보스 (화성에서)4.1′
금성1′6″ – 0′9.7″

국제 우주 정거장 (ISS)1′3″[15] ISS의 너비는 약 108m
사람의 눈으로 분해할 수 있는 최소 지름1′[16] 1 km 거리에서 0.3m[17]
표면의 약 100km1′코페르니쿠스 분화구와 같은 큰 달 분화구
목성50.1″ – 29.8″

화성에서 본 지구48.2″[13] – 6.6″

사람의 눈으로 두 선 사이의 최소 분해 가능한 간격40″15cm 거리에서 0.026mm 간격[16][17]
화성25.1″ – 3.5″

근일점에서 90377 세드나에서 본 태양의 겉보기 크기20.4″
토성20.1″ – 14.5″

수성13.0″ – 4.5″

화성에서 본 지구의 달13.27″ – 1.79″

천왕성4.1″ – 3.3″

해왕성2.4″ – 2.2″

가니메데1.8″ – 1.2″

가니메데의 지름은 5268km
ISS의 평균 고도인 350km 거리의 우주 비행사 (~1.7m)1″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가장 큰 38mm 굴절 망원경으로 분해 가능한 최소 지름~1″[18] 참고: 30배[19] 배율, 매우 강력한 현대식 쌍안경과 유사함
세레스0.84″ – 0.33″

베스타0.64″ – 0.20″

명왕성0.11″ – 0.06″

에리스0.089″ – 0.034″

R 도라두스0.062″ – 0.052″

참고: R 도라두스는 지구에서 본 가장 큰 겉보기 크기를 가진 외계 별로 여겨짐
베텔게우스0.060″ – 0.049″

알파드0.00909″
알파 센타우리 A0.007″
카노푸스0.006″
시리우스0.005936″
알타이르0.003″
로 카시오페이아이0.0021″[20]
데네브0.002″
프록시마 센타우리0.001″
알니탁0.0005″
프록시마 센타우리 b0.00008″
2019년에 사건 지평선 망원경으로 촬영한 M87 은하 중심의 블랙홀 M87*의 사건 지평선0.000025″달 위의 테니스 공과 비슷함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겨우 볼 수 있는 거리의 알니탁과 같은 별[21]



지구에서 본 태양의 각지름은 시리우스의 약 250,000배이다. 태양의 각지름은 알파 센타우리 A의 약 250,000배이기도 하다. 태양의 각지름은 의 각지름과 거의 같다.

6. 1. 분해능과 각지름

사람의 눈은 약 1분각( )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1km 거리에서 약 0.3m 크기의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다.[16][17] 망원경은 이보다 훨씬 더 작은 각지름을 가진 천체를 관측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사용한 38mm 굴절 망원경은 약 1의 분해능을 가졌다.[18]

천체의 각지름은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보이는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로 얼마나 큰지가 아니라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천문학에서는 매우 작은 각지름을 다루기 때문에, 보통 초각( ) 단위를 사용한다. 1초각은 1도의 1/3600에 해당한다.

거리 ''D''에 있는 지름 ''d''인 물체의 각지름(\(\delta\))은 초각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9]

:\(\delta = 206,265 ~ (d / D) ~ \mathrm{초각}\)

예를 들어, 1 파섹(pc) 거리에서 본 지구 궤도의 각지름은 2이다. 1 광년 거리에서 본 태양의 각지름은 0.03이고, 지구의 각지름은 0.0003이다.

다음 표는 지구에서 본 주목할 만한 천체들의 각지름을 보여준다.

천체각지름 (")
346 – 2920
태양3232 – 3127
금성16 – 9.7
목성50.1 – 29.8
화성25.1 – 3.5
토성20.1 – 14.5
수성13.0 – 4.5
천왕성4.1 – 3.3
해왕성2.4 – 2.2



더 작은 천체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더 큰 망원경이 필요하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약 0.1초각의 분해능을 가지며, 이는 매우 뛰어난 성능이다.

6. 2. 한국 천문학의 관점

한국 천문학에서 각지름은 하늘에서 천체가 보이는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는 천체의 실제 크기가 아닌 지구에서 관측되는 겉보기 크기를 의미하며, 주로 초각(″) 단위로 표현된다.

조선시대의 천문 관측 기록을 살펴보면, 다양한 천체들의 움직임과 변화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조선왕조실록에는 일식월식, 혜성의 출현 등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는데, 이러한 기록들은 당시 사람들이 하늘의 변화를 얼마나 주의 깊게 관찰했는지를 보여준다.

현대 천문학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기록들을 바탕으로 당시 관측된 천체들의 각지름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천체까지의 거리나 크기 등을 연구하는 데 활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세종 때 편찬된 칠정산은 당시의 천문학 지식을 집대성한 책으로, 여러 행성들의 각지름과 관련된 계산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한국 천문학은 역사적인 관측 기록과 현대적인 연구를 연관시켜 각지름이라는 개념을 통해 우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참조

[1] 서적 Ophthalmology 3rd Edition https://books.google[...] MOSBY Elsevier
[2] 웹사이트 Circular Segment http://mathworld.wol[...] 2015-01-23
[3] 웹사이트 Angular Diameter {{!}} Wolfram Formula Repository https://resources.wo[...] 2024-04-10
[4] 웹사이트 7A Notes: Angular Size/Distance and Areas https://w.astro.berk[...]
[5] 웹사이트 A Taylor series for the functionarctan http://www.mathstat.[...] 2015-01-23
[6] 웹사이트 Coordinate Systems https://dept.astro.l[...] 2015-01-21
[7] 웹사이트 Photographing Satellites https://www.bartbuss[...] 2013-06-08
[8] 문서 Wikiversity: Physics and Astronomy Labs/Angular size
[9] 서적 Stars and Galaxies Brooks Cole 2010
[10] 웹사이트 The coalsacks of Cygnus https://astronomy.co[...] 2019-08-06
[11] 간행물 Colliding Filaments and a Massive Dense Core in the Cygnus Ob 7 Molecular Cloud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014-11-24
[12] 간행물 Earth observations from the Moon's surface: dependence on lunar libration Copernicus GmbH 2023-03-24
[13] 웹사이트 The Sun and Transits as Seen From the Planets https://calgary.rasc[...] 2018-11-05
[14] 웹사이트 How large does the Sun appear from Mercury and Venus, as compared to how we see it from Earth? https://www.astronom[...] 2018-05-31
[15] 웹사이트 Problem 346: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and a Sunspot: Exploring angular scales https://spacemath.gs[...] 2018-08-19
[16] 웹사이트 How small can the naked eye see? https://www.sciencef[...] 2016-01-24
[17] 웹사이트 Sharp eyes: how well can we really see? https://www.sciencei[...] 2016-09-07
[18] 간행물 The Accuracy of Galileo's Observations and the Early Search for Stellar Parallax 2006-12-10
[19] 웹사이트 Galileo's telescope - How it works https://brunelleschi[...]
[20] 웹사이트 CHARA Near-Infrared Imaging of the Yellow Hypergiant Star $\rho$ Cassiopeiae: Convection Cells and Circumstellar Envelope https://arxiv.org/ab[...] 2024-08-05
[21] 문서
[22] 문서 デジタル大辞泉『視直径』
[23] 문서 List of stellar angular diameters - Wikipedia
[2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