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칼리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멘칼리난은 마차부자리에 있는 삼중성계로, 아랍어로 "고삐를 쥔 자의 어깨"를 의미한다. 멘칼리난은 두 개의 금속선 준거성으로 이루어진 식쌍성 A와 11등급의 반성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3.96일 주기로 밝기가 변한다. 중국에서는 오거삼으로 불리며, 한국에서는 한자음으로 읽은 '오차삼'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골형 변광성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알골형 변광성 - 황소자리 람다
황소자리 람다는 3개의 별로 이루어진 항성계로, 식쌍성인 황소자리 람다 AB와 내부 쌍을 공전하는 황소자리 람다 C로 구성되며, 식쌍성 현상과 탄소 결핍 등의 특징을 보인다. - Am 별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Am 별 - 알골
페르세우스자리의 삼중성계 알골은 주성 알골 A와 반성 알골 B가 서로를 가리는 식쌍성으로 주기적인 밝기 변화를 보이며, 세 번째 별 알골 C가 이 쌍성계를 공전하고, 예로부터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을 뿐 아니라 항성 진화 이론에서 '알골 역설'을 야기하는 천체로 알려져 있다. - 큰곰자리 운동성단 - 스카트
스카트는 물병자리 델타별의 고유 명칭으로, 다양한 표기로 불리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공식 명칭으로 승인되었으며, 동아시아 별자리에서는 '우림군'에 속한다. - 큰곰자리 운동성단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란)은 태양과 유사한 K형 주계열성으로, 행성 b와 두 개의 소행성대, 먼지 원반을 거느리고 있어 외계 행성 탐색의 주요 대상이다.
멘칼리난 | |
---|---|
명칭 | |
이름 | 멘칼리난 |
별칭 | 34 Aurigae, HD 40183, HIP 28360, HR 2088, SAO 40750 |
명명의 유래 | 아랍어 |
로마자 표기 | Menkalinan |
관측 정보 | |
별자리 | 마차부자리 |
겉보기 등급 | 1.89 - 1.98 |
분광형 | A1m IV + A1m IV |
변광성 유형 | 알골 변광성 |
위치 정보 | |
시선 속도 | -18.2 km/s |
고유 운동 (적경) | -56.44 밀리초/년 |
고유 운동 (적위) | -0.95 밀리초/년 |
시차 | 40.21 밀리초 |
거리 | 약 81.1 광년 |
물리적 특징 | |
반지름 (β Aur Aa) | 2.77 태양 반지름 |
광도 (β Aur Aa) | 55 태양 광도 |
표면 온도 (β Aur Aa) | 9,350 켈빈 |
표면 중력 (β Aur Aa) | 3.93 |
자전 속도 (β Aur Aa) | 33 km/s |
나이 (β Aur Aa) | 5억 7천만 년 |
반지름 (β Aur Ab) | 2.63 태양 반지름 |
광도 (β Aur Ab) | 47 태양 광도 |
자전 속도 (β Aur Ab) | 34 km/s |
표면 온도 (β Aur Ab) | 9,200 켈빈 |
B-V 색 지수 | +0.03 |
U-B 색 지수 | +0.05 |
R-I 색 지수 | -0.01 |
금속 함량 | 태양의 100% |
궤도 특성 | |
공전 주기 | 3.96004 일 |
궤도 이심률 | 0.0 |
궤도 경사 | 76.0 ± 0.4 도 |
근성점 통과 시각 | 54539.0162 ± 0.0003 reduced HJD |
K1 | 108.053 ± 0.072 |
K2 | 110.911 ± 0.071 |
구성 요소 | |
구성원 1 (β Aur Aa) 질량 | 2.389 ± 0.013 태양 질량 |
구성원 2 (β Aur Ab) 질량 | 2.327 ± 0.013 태양 질량 |
기타 | |
기호 | β Aurigae |
ADS | ADS 4556 |
이미지 | |
![]() |
2. 명칭
멘칼리난은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학명은 '''β Aurigae'''(베타 아우리가이)이며, 고유명은 '''멘칼리난'''(Menkalinan)이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오차삼'''(五車三)이라고 부른다.
2. 1. 어원 및 역사

이 별의 바이어 명명법상 명칭은 '''β Aurigae'''(베타 아우리가이)이며, 학명은 β Aurigae(약칭 β Aur)이다. 고유명 '''멘칼리난'''(Menkalinan)은 아랍어 منكب ذي العنان|mankib ðī-l-‘inānara을 축약한 것으로, "고삐를 쥔 자의 어깨" 또는 "마부의 어깨"를 의미한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별들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에 관한 IAU 실무 그룹(WGSN)을 조직했다.[4] WGSN은 2016년 7월 20일 첫 번째 보고서를 통해 '멘칼리난'(Menkalinan)을 마차부자리 β별 A의 공식 고유 명칭으로 승인했다.[5]
중국 천문학에서는 이 별을 '''오차삼'''(五車三)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다섯 수레의 세 번째 별"이라는 의미이다. 과거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에서는 여성 컴퓨터들이 멘칼리난을 비롯한 여러 별들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고 기록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 2. 한국 천문학에서의 명칭
한국의 전통 천문학에서는 중국 천문학의 영향을 받아 멘칼리난을 오차삼(五車三|오차삼중국어)이라고 불렀다. 이는 '다섯 수레 중 세 번째 별'이라는 의미를 가진다.현대 대한민국의 천문학계에서는 국제천문연맹 (IAU)이 2016년에 공식 승인한 고유 명칭인 멘칼리난(Menkalinan영어)과[4][5]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학명인 마차부자리 베타 (β Aurigae)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멘칼리난'이라는 이름은 아랍어 ''mankib ðī-l-‘inān''에서 유래했으며, "고삐를 쥔 자의 어깨"라는 뜻을 가진다.
3. 특징
멘칼리난은 밤하늘에서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별이 중력으로 묶인 복합적인 항성계이다. 주로 밝은 두 별로 이루어진 쌍성계(주성 A)와 이들을 도는 어두운 동반성(반성 B)으로 구성된 삼중성계로 알려져 있다.
주성 A를 이루는 두 별은 매우 가까이 붙어 서로를 가리는 식쌍성이며, 이 때문에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식변광성의 특징을 보인다. 이 두 별은 A형 준거성이다. 반성 B는 11등급의 어두운 별로, 주성 A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져 공전한다.
이 외에도 겉보기 동반성 또는 시스템에 속할 가능성이 있는 다른 천체가 관측되기도 한다. 멘칼리난은 큰곰자리 이동성 무리의 일원으로 여겨진다.
3. 1. 물리적 특성

멘칼리난은 밤하늘에서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세 개의 별로 이루어진 삼중성계이다.
주성 A는 Aa와 Ab라는 두 개의 별로 구성된 분광 쌍성이다. 이 두 별은 A형 별 분류에 속하는 금속선 준거성으로, 질량과 반지름이 거의 같다. A형 별 특유의 푸르스름한 흰색 빛을 내며, G2형 주계열성인 태양보다 더 밝고 뜨겁게 타오른다.
Aa와 Ab는 서로 매우 가까이에서 공전하며 식 현상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멘칼리난의 전체 겉보기 등급은 3.96일을 주기로 +1.89에서 +1.94 사이에서 변동한다. 이는 47.5시간마다 한 별이 지구에서 볼 때 다른 별의 일부를 가리는 부분식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반성 B는 11등급의 어두운 별로, 주성 A로부터 약 330 천문단위(AU) 떨어진 거리에서 공전하고 있다.
또한, 주성 A로부터 각도 분리가 13.9 ± 0.3 초각이고 위치각이 155°인 지점에 주성보다 8.5등급 어두운 또 다른 동반성이 존재한다. 멘칼리난 시스템에서 관측되는 X선 방출은 이 동반성 또는 반성 B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멘칼리난 시스템은 큰곰자리 이동성 무리의 일원으로 여겨진다.
3. 2. 운동학적 특성
멘칼리난은 큰곰자리 이동성단의 일원으로 여겨진다.4. 기타
베타 마차부자리는 이중성계이지만, 밤하늘에서는 하나의 별처럼 보인다. 두 별은 금속선 준거성으로 A형 별 분류에 속하며, 질량과 반지름이 거의 같다. A형 천체는 푸르스름한 흰색 빛을 내는 뜨거운 별이다. 이 두 별은 태양보다 더 밝고 더 뜨겁게 타오르는데, 태양은 G2형 주계열성이다. 이 짝은 식 분광 쌍성을 구성하며, 결합된 겉보기 등급은 3.96 일 동안 +1.89에서 +1.94 사이에서 변동한다. 이는 47.5 시간마다 별 중 하나가 지구에서 볼 때 다른 별을 부분적으로 식시키기 때문이다. 두 별은 현대적인 목록에서 Aa와 Ab로 지정되었지만, 구성 요소 "1"과 "2" 또는 "A"와 "B"로도 불렸다.
베타 마차부자리 시스템은 큰곰자리 이동성 무리의 일원으로 여겨진다.
4. 1. 멘칼리난 B
2011년 관측 결과, 주성 멘칼리난 A로부터 187 밀리초각(0.187 각초) 떨어진 곳에서 겉보기 등급 11등급의 동반성 '''멘칼리난 B'''가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두 별 사이의 각거리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멘칼리난 B는 A형 준거성으로 추정되지만, 주성계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우연히 같은 시선 방향에 있는 배경의 별으로 여겨진다.다른 출처에서는 멘칼리난 B가 주성 A로부터 약 330 천문단위(AU) 떨어져 궤도를 돌고 있는 삼중성계의 일원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4. 1. 1. 추가적인 동반성
주성으로부터 각도 분리 13.9 각초, 위치각 155° 거리에 주성보다 8.5등급 어두운 동반성이 존재한다. 이 동반성은 멘칼리난 시스템 근처에서 관측되는 X선 방출의 원인일 가능성이 제기된다.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
2006
[2]
웹사이트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3]
논문
Once and Future Celestial Kings
ftp://tlgleonid.asus[...]
1998-04
[4]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5]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