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기용 핵분열 물질 생산금지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기용 핵분열 물질 생산금지 조약(FMCT)은 핵무기 또는 기타 핵 장치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핵분열 물질의 생산을 금지하는 다자간 조약이다. 1993년 미국 정부의 제안으로 유엔 총회에서 조약 제정을 위한 협상이 결정되었고, 제네바 군축 회의에서 협의가 진행되었다. 1995년 협상 위임안이 채택되었으나, 협상 방법 합의 실패로 시작되지 못했다. 2000년 핵확산 금지 조약 운용 검토 회의에서 FMCT 협상 즉시 시작 권고가 있었으나, 중국이 우주 공간에서의 군비 경쟁 방지 협상과 동시 진행을 주장하고 미국이 반대하면서 미·중 간 입장 차이로 협상이 지연되었다. 이후 일본의 제안, 제네바 군축 회의 의장국의 제안, 알제리 정부의 협상 계획안 채택 등의 과정을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안된 조약 - 범대서양 무역 투자 동반자 협정
    범대서양 무역 투자 동반자 협정(TTIP)은 미국과 유럽 연합 간의 무역 협정으로, 비관세 장벽 제거를 목표로 2013년 협상이 시작되었으나, 2017년 중단되었고, 협상 과정의 비밀성과 여러 문제로 비판받았다.
  • 핵무기 정책 - 비핵 3원칙
    비핵 3원칙은 일본이 핵무기를 생산, 보유, 반입하지 않겠다는 자체 원칙으로, 반핵 여론과 중국 핵실험 우려 속에 1967년 사토 에이사쿠 총리에 의해 선언되었으나, 법적 구속력 및 실효성 논란과 미일 간 해석 차이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 핵무기 정책 -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은 1963년 미국, 소련, 영국이 체결하여 대기, 우주, 수중에서의 핵무기 실험을 금지했지만 지하 핵실험은 허용되어 핵확산 방지에 한계가 있으며,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의 전 단계이자 냉전 시대 핵무기 통제의 이정표로 평가받는다.
  • 군축조약 -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은 1963년 미국, 소련, 영국이 체결하여 대기, 우주, 수중에서의 핵무기 실험을 금지했지만 지하 핵실험은 허용되어 핵확산 방지에 한계가 있으며,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의 전 단계이자 냉전 시대 핵무기 통제의 이정표로 평가받는다.
  • 군축조약 - 런던 해군 군축 회담
    런던 해군 군축 회담은 1930년 영국, 미국,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가 잠수함 무장 제한 및 함선 건조 제한을 주요 내용으로 체결한 조약이며, 일본의 탈퇴로 군축 시대가 종식되었다.
무기용 핵분열 물질 생산금지 조약

2. 조약 채택을 위한 협상 과정

무기용 핵분열 물질 생산 금지 조약(FMCT)은 핵확산 금지 조약(NPT),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CTBT)과 함께 핵무기 확산 억제·감축·폐지를 목표로 하는 다자간 조약이다. 이 조약의 채택을 위한 국제적 노력은 1993년 미국 정부의 제안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같은 해 유엔 총회에서는 조약 제정을 위한 다자간 협상을 진행하기로 결의하였고, 협상은 제네바 군축 회의에서 진행하기로 결정되었다.[9]

하지만 조약 채택 과정은 여러 난관에 부딪혔다. 1995년 제네바 군축 회의에서 협상 위임안이 채택되어 위원회가 설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회원국 간 협상 방식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질적인 협상은 시작되지 못했다. 특히 2000년대에는 미국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입장 차이가 협상 지연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9] 이러한 교착 상태 속에서도 일본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은 조약의 대상 범위, 검증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을 내놓으며 협상 진전을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10][11]

중요한 진전은 2009년 5월에 이루어졌다. 알제리 정부가 제안한 협상 계획안이 제네바 군축 회의에서 채택되면서, 마침내 조약 제정을 위한 공식적인 협상 틀이 마련되었다.[12] 그러나 2009년 12월 현재까지도 구체적인 조약 조항은 제정되지 않았으며, 협상 방법에 대한 완전한 합의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2. 1. 제네바 군축 회의에서의 논의

1993년 미국 정부의 제안과 유엔 총회 결의에 따라 제네바 군축 회의에서 무기용 핵분열 물질 생산 금지 조약 협상을 진행하기로 결정되었다.[9]

1995년 제네바 군축 회의에서는 협상 위임안이 채택되어 관련 위원회가 설치되었으나, 회원국 간 협상 방식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질적인 협상은 시작되지 못했다.

2000년에 열린 핵확산 금지 조약 운용 검토 회의에서는 제네바 군축 회의에 무기용 핵분열성 물질 생산 금지 조약의 협상을 즉시 시작하여 5년 안에 조약안을 채택할 것을 권고했다. 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무기용 핵분열성 물질 생산 금지 조약 협상과 우주 공간에서의 군비 경쟁 방지(PAROS) 협상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미국 정부는 이에 반대했다. 이러한 미국과 중국 간의 입장 차이로 인해 무기용 핵분열성 물질 생산 금지 조약 제정을 위한 협상은 또다시 지연되었다.[9]

이후 2003년 8월, 일본 정부는 제네바 군축 회의에 무기용 핵분열성 물질 생산 금지 조약의 대상 범위, 검증 방법 및 기술, 조약 이행에 필요한 국제 조직과 법률 등에 관한 구체적인 제안을 제출했다.[10]

2006년 5월에는 제네바 군축 회의 의장국의 제안에 따라 무기용 핵분열성 물질 생산 금지 조약에 대한 검토와 협상이 다시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미국 정부는 자체적인 조약안과 협상 방식을 제시했다.[9] 같은 해 5월, 일본 정부도 규제 대상 핵분열성 물질의 정의, 무기용 핵분열성 물질 생산 금지 조약의 대상 범위, 검증 기준 등에 관한 추가적인 제안을 내놓았다.[11]

마침내 2009년 5월, 알제리 정부가 제안한 무기용 핵분열성 물질 생산 금지 조약 협상 계획안이 제네바 군축 회의에서 채택되면서 조약 제정을 위한 협상 기반이 마련되었다.[12]

2. 2. 미·중 간의 입장 차이

2000년 핵확산 금지 조약(NPT) 운용 검토 회의에서는 제네바 군축 회의(CD)에 대해, 무기용 핵분열 물질 생산 금지 조약(FMCT) 협상을 즉시 시작하여 5년 이내에 조약안 채택을 목표로 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FMCT 협상과 우주 공간에서의 군비 경쟁 방지(PAROS) 협상을 동시에 진행할 것을 주장했다. 반면, 미국 정부는 이러한 동시 진행 방식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이처럼 협상 방법에 관한 미국과 중국의 주장이 대립하면서 FMCT 제정을 위한 협상은 시작되지 못했다[9].

참조

[1] 논문 The Baruch Plan and the Quest for Atomic Disarmament http://dx.doi.org/10[...] 2010-03-12
[2] 웹사이트 A Fissile Material Cutoff Treaty http://www.fissilema[...] International Panel on Fissile Materials 2010-02-23
[3] 웹사이트 Shannon Report http://daccess-dds-n[...] 2012-08-11
[4] 간행물 USA: White Paper on a Fissile Material Cutoff Treaty -- Conference on Disarmament https://2001-2009.st[...] US State Department 2006-05-18
[5] 웹사이트 CD/1864 http://www.unog.ch/8[...] 2010-04-08
[6] 뉴스 Pakistan feels heat from nuclear powers over talks block http://www.defenceta[...] Agence France-Presse 2009-08-21
[7] 뉴스 Pakistan a Responsible Nuclear Power, Official Asserts http://www.nti.org/g[...] 2010-06-18
[8] 웹사이트 兵器用核分裂性物質生産禁止条約(カットオフ条約) https://www.mofa.go.[...] 外務省 2010-12-17
[9] 웹사이트 外務省>外交政策>軍縮・不拡散>核軍縮>兵器用核分裂性物質生産禁止条約>カットオフ条約の概要 https://www.mofa.go.[...] 2009-12-19
[10] 웹사이트 外務省>外交政策>軍縮・不拡散>核軍縮>兵器用核分裂性物質生産禁止条約>兵器用核分裂性物質生産禁止条約:カットオフ条約(Fissile Material Cut-off Treaty)に関する作業文書の軍縮会議への提出 https://www.mofa.go.[...] 2009-12-19
[11] 웹사이트 外務省>外交政策>軍縮・不拡散>核軍縮>兵器用核分裂性物質生産禁止条約>ジュネーブ軍縮会議における兵器用核分裂性物質生産禁止条約に関する集中討議 https://www.mofa.go.[...] 2009-12-19
[12] 웹사이트 外務省>外交政策>軍縮・不拡散>核軍縮>兵器用核分裂性物質生産禁止条約>兵器用核分裂性物質生産禁止条約交渉開始の合意について https://www.mofa.go.[...] 2009-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