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덕유산리조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주덕유산리조트는 1990년 쌍방울 그룹에 의해 개장한 스키 리조트이다.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개최를 위해 스키점프 경기장과 슬로프를 추가 건설했다. 쌍방울 그룹의 부도 이후 외국 자본과 대한전선을 거쳐 2011년 부영그룹에 인수되었고, '부영덕유산리조트'로 이름을 변경했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무주덕유산리조트'로 다시 변경되었다. 21면의 슬로프를 갖추고 있으며, 2011년 명칭 및 로고 변경으로 지역 사회와 갈등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스포츠 시설 - 전주실내빙상경기장
- 무주군 - 무주반딧불축제
무주반딧불축제는 1997년부터 시작되어 반딧불이를 주제로 자연의 소중함을 알리고 다양한 행사와 무주반딧불이동요제를 통해 자연과 교감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환경 축제이다. - 무주군 - 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
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는 각 군을 중심으로 운행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특히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은 군내 농어촌버스 요금 단일화 정책을 시행하여 거리에 상관없이 동일한 요금이 부과되는 특징이 있다. - 대한민국의 스키장 - 하이원리조트
하이원리조트는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한 대규모 종합 리조트로, 스키장, 골프장, 강원랜드 카지노 등의 위락 시설과 1,600실 규모의 호텔을 갖추고 있으며, 최장 슬로프와 최대급 골프장, 그리고 워터월드 등의 시설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스키장 - 정선 알파인 경기장
정선 알파인 경기장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정선군에 건설되어 알파인 스키 경기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나, 환경 훼손 논란과 올림픽 후 시설 활용에 대한 논쟁이 있다.
무주덕유산리조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설천면, 무주군, 전북특별자치도 |
가장 가까운 도시 | 해당 정보 없음 |
스키장 정보 | |
정상 높이 | 1,520 미터 |
광장 높이 | 745 미터 |
표고차 | 775 미터 (실크로드 기준) |
슬로프 면적 | 1.2 제곱킬로미터 (최대) |
슬로프 수 | 34 면 (최대, 미개방 포함) |
리프트 수 | 14 대 (곤돌라 1대 포함) |
최장 슬로프 | 해당 정보 없음 |
총 슬로프 길이 | 해당 정보 없음 |
지형 공원 | 해당 정보 없음 |
강설량 | 해당 정보 없음 |
인공 눈 | 해당 정보 없음 |
야간 스키 | 해당 정보 없음 |
일반 정보 | |
개장 | 1990년 |
웹사이트 | mujuresort.com |
2. 역사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를 앞두고 1996년 9월 16일에 스키 점프대를 완공했고,[5] 같은 해 12월 5일에는 설천봉 슬로프와 노르딕스키 경기장을 완공했다.[6]
2. 1. 개장과 초기 발전 (1990-1997)
쌍방울그룹은 1990년 12월 22일에 무주덕유산리조트를 개장했다.[11] 개장 당시에는 현재 슬로프의 서쪽 절반 부분인 만선봉 지역만 운영되었다.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개최를 앞두고 쌍방울은 1996년 9월 16일 리조트 내에 스키점프 경기장을 완공하였다.[12] 이어 같은 해 12월 5일에는 스키점프장을 비롯하여 설천봉 지역 슬로프, 노르딕스키 종목 경기장에 대한 준공식을 가졌다.[13]2. 2. 소유권 변동과 논란 (1997-현재)
쌍방울이 건설하여 관리권을 소유하였으나, 동계유니버시아드를 개최하면서 해당 휴양 단지(무주리조트)에 대대적인 투자를 한 데다[14] 쌍방울 창업주 이봉녕 명예회장의 셋째 아들인 이의석 당시 새난(쌍방울 계열 유.아동복업체) 부회장이 카지노 도박사건으로 지명수배를 받는 등 경영층의 시련까지 겹쳐[15] 1997년 부도처리되었다. 그 이후 외국자본 인수를 거쳐 대한전선이 소유했었다. 2011년 6월 28일 부영그룹이 무주리조트를 인수한 후 '부영덕유산리조트'로 이름을 변경했으나,[16]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인해 다시 '무주덕유산리조트'로 개명했다.[17]3. 시설
무주덕유산리조트는 스키 슬로프를 포함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3. 1. 슬로프
총 21면이다.4. 논란
부영그룹이 무주리조트를 인수하고 이름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지역 사회와 마찰을 빚었다.
4. 1. 명칭 및 로고 변경 논란
부영그룹이 2011년 4월에 무주리조트를 인수한 후 6월에 덕유산리조트로 이름을 바꾸고,[18] 무주의 로마자 표기인 'Muju'였던 상징 로고를 부영그룹을 상징하는 원앙으로 바꾸자,[19] 지역 주민들과 지역 인사들은 이에 반발하였다.[19][20] 무주군의회는 명칭을 원래대로 되돌릴 것을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였고,[21] 무주군은 행정기관 자료 문서에서는 '무주리조트'로 표기하고[19] 교통표지판의 명칭을 변경하지 않는 등 행정적으로 협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22] 부영그룹 측은 새 이미지를 가지고 출발한다는 의미에서 새롭게 바꾼 것이라고 해명하였다. 그 후 '무주덕유산리조트'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3]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 Ski
https://www.mdysreso[...]
[2]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 슬로프 안내
https://www.mdysreso[...]
[3]
웹사이트
Ski Resort Business Association of Korea – 지역별 스키장 현황
http://www.skiresort[...]
[4]
뉴스
무주 스키장 내일 개장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90-12-21
[5]
뉴스
<동계U대회> 스키점프장 완공
https://sports.news.[...]
Yonhap News Agency
1996-09-16
[6]
뉴스
茂朱리조트내 국제슬로프장 준공
https://news.naver.c[...]
Yonhap News Agency
1996-12-04
[7]
웹인용
공식 웹사이트 – 슬로프 안내
https://www.mdysreso[...]
2020-05-27
[8]
웹인용
공식 웹사이트 – 슬로프&리프트 제원
https://www.mdysreso[...]
2020-05-27
[9]
웹사이트
한국스키장경영협회 – 지역별 스키장 현황
http://www.skiresort[...]
[10]
두피디아
무주리조트
[11]
뉴스
무주 스키장 내일 개장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0-12-21
[12]
뉴스
<동계U대회> 스키점프장 완공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6-09-16
[13]
뉴스
茂朱리조트내 국제슬로프장 준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6-12-04
[14]
뉴스
평창 올림픽, 죽지도 않고 또 오려고?
https://sports.news.[...]
프레시안
2007-07-18
[15]
뉴스
<擴大鏡> 쌍방울그룹의 좌초배경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7-10-10
[16]
뉴스
무주리조트,‘덕유산리조트’로 업그레이드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6-29
[17]
뉴스
돌고 돌아 ‘무주 덕유산’ 리조트로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8-30
[18]
뉴스
부영이 인수한 무주리조트, 덕유산리조트로 새 출발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1-06-27
[19]
뉴스
“무주리조트 이름 변경 안돼”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7-12
[20]
뉴스
'무주리조트' 명칭 되찾자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1-07-11
[21]
뉴스
무주군의회 "무주리조트 명칭 환원하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7-22
[22]
뉴스
‘무주리조트’가 무주를 빼다니…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7-12
[23]
뉴스
덕유산리조트 아니라 ‘무주리조트’입니다
http://news.khan.co.[...]
경항신문
2011-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