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반딧불축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주반딧불축제는 매년 무주군에서 개최되는 축제로, 반딧불이와 자연을 주제로 다양한 행사와 전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1997년 처음 개최되어 문화체육관광부 우수 축제, 최우수 축제,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선정되며 발전을 거듭했다. 주요 행사로는 메인 이벤트, 특별 전시회, 체험 행사, 상설 행사 등이 있으며, 축제 기간 동안 반딧불이와 관련된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주군 - 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
 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는 각 군을 중심으로 운행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특히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은 군내 농어촌버스 요금 단일화 정책을 시행하여 거리에 상관없이 동일한 요금이 부과되는 특징이 있다.
- 무주군 - 무주덕유산리조트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에 위치한 무주덕유산리조트는 1990년 개장하여 동계 유니버시아드 개최를 통해 시설을 확충했으나, 부도 처리 후 대한전선을 거쳐 2011년 부영그룹에 인수되어 21면의 슬로프와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춘 사계절 관광지로 운영되고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축제 - 전주세계소리축제
 전주세계소리축제는 2001년 시작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음악 축제로, 매년 가을 전라북도 일대에서 국악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의 음악 공연과 부대 행사를 통해 다채로운 볼거리와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축제 - 전주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는 김대중 정부의 문화 정책에 따라 2000년에 시작되어 매년 전주에서 독립 영화와 예술 영화를 상영하며, '디지털 삼인삼색'과 '전주 시네마 프로젝트'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신진 감독 발굴과 영화 산업 다양성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영화제이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 무주반딧불축제 | |
|---|---|
| 기본 정보 | |
|  | |
| 축제 종류 | 지역 축제 | 
| 개최 장소 | 전라북도 무주군 일원 | 
| 개최 시기 | 매년 5월 말 ~ 6월 초 (음력) | 
| 상세 정보 | |
| 주최 | 무주반딧불축제 제전위원회 | 
| 주관 | 무주군 |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 | 
| 연혁 | |
| 시작 연도 | 1997년 | 
| 특징 | 반딧불이를 주제로 한 환경 축제 청정 무주의 자연환경을 알리는 축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운영 | 
| 주요 프로그램 | |
| 반딧불이 신비 탐사 | 반딧불이 서식지 방문 및 생태 체험 | 
| 환경 체험 행사 | 1박 2일 생태 탐험 반딧불이 그림 그리기 대회 사생 대회 반딧불이 동요 부르기 대회 | 
| 전통 문화 행사 | 낙화놀이 반딧불이 소망 풍선 날리기 섶다리 재현 | 
| 공연 행사 | 개막 축하 공연 폐막 공연 각종 문화 예술 공연 | 
| 기타 정보 | |
| 관련 웹사이트 | 무주반딧불축제 공식 웹사이트 | 
| google_map | 무주반딧불축제 | 
2. 주요 행사
2. 1. 메인 이벤트
무주반딧불축제의 중심이 되는 행사로,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2. 2. 특별 전시회
무주반딧불축제에서는 반딧불이와 관련된 다양한 전시를 통해 자연과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태권도 홍보관, 기업도시 홍보관, 세계 파충류 전시, 문인화 전시, 적상산 사고 홍보관 등이 운영된다. 또한 반딧불축제 10년 이모저모, 반딧골 사계 사진전, 반딧골 시화전, 환경조형물 전시, 제11회 무주반딧불축제 기념우표전시회, 정보통신부 문예전시회 등이 개최된다.2. 3. 체험 행사
무주반딧불축제에서는 다양한 체험 행사를 통해 축제의 즐거움을 더한다.2. 4. 상설 행사
무주반딧불축제 기간 동안에는 다음과 같은 상설 행사가 운영되어 방문객들이 언제든 즐길 수 있다.- 반딧골 농특산물 판매장
- 팔도특산물판매장
- 먹거리장터 운영
- 무료시음장 운영
- 이웃사랑 나눔 찻집
- 반딧불장터 상설공연
- 녹색장터
- 차 없는 거리
- 반디랜드 퍼포먼스
- 공예 체험장
3. 반딧불축제 역사
1997년 8월 7일부터 8월 10일까지 4일간 "자연의 나라 - 무주"를 주제로 제1회 무주반딧불축제가 개최되었다. 제2회 축제는 1998년 "추억을 가슴에 빛을 온 누리에"를 주제로 3일간 진행되었으며, 한국문화예술원 우수기획문화축제로 지정되었다. 1999년에는 "자연의 빛, 무주의 빛, 세계의 빛"을 주제로 9일간 개최되었고, 문화관광부 문화관광축제로 지정되었다.
2000년 제4회 축제는 "반딧불이의 신비, 무주의 신비, 자연의 신비"를 주제로 5일간 진행되었으며, 새천년 밀레니엄 축제(문화관광부)로 지정되었다. 2001년에는 "희망의 빛을 세계에, 꿈의 빛을 온누리에"를 주제로 문화관광부 우수축제로 선정되었다. 2002년 제6회 축제는 "자연주의가 좋다, 반딧불이와 함께"를 주제로 5일간 개최되었고, 2002 한국방문의 해 문화관광부 지정축제로 선정되었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제7회, 8회, 9회, 10회 축제는 "자연주의가 좋다, 반딧불이와 함께"라는 동일한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축제로 지속적인 인정을 받았다. 특히 9회 축제에서는 '태권도와 함께하는 무주반딧불축제'라는 슬로건을, 10회 축제에서는 '생명 · 평화의 빛을 그대에게'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2007년(제11회) 축제는 '세계를 하나로, 무주를 세계로'를 주제로, '반딧불 빛으로 하나되는 세상'을 부제로 하여 개최되었다. 2008년(제12회) 축제는 같은 주제와 부제로 진행되었으며, '반딧불이의 사랑이 함께합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2009년(제13회)부터 2012년(제16회)까지는 '반딧불 빛으로 하나되는 세상'을 주제로, 매년 다른 부제를 설정하여 축제를 진행했다.
2013년(제17회) 축제는 '자연의 빛, 생명의 빛, 미래의 빛'을 주제로, '사랑의 반딧불, 축제의 불을 밝히다'를 부제로 개최되었다. 2014년(제18회)에는 같은 주제 아래 '메이드 인 무주 - GO back to nature (자연으로 돌아가다)'라는 부제로 최우수 축제에 선정되었다. 2015년(제19회)부터 2017년(제21회)까지는 '빛을 울리는 무주연가'(2015년~2016년), '상생의 빛, 세계로 뻗어나가다'(2017년) 등의 부제를 통해 최우수 축제로서의 명성을 이어갔다. 2018년(제22회)에는 '고향의 숲, 반디가 노니는 세상'을 부제로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선정되었다.[2]
3. 1. 1회 ~ 10회 (1997년 ~ 2006년)
1997년 8월 7일부터 8월 10일까지 4일간 "자연의 나라 - 무주"를 주제로 제1회 무주반딧불축제가 개최되었다. 이후 1998년에는 "추억을 가슴에 빛을 온 누리에"를 주제로 3일간 진행되었으며, 한국문화예술원 우수기획문화축제로 지정되었다. 1999년에는 "자연의 빛, 무주의 빛, 세계의 빛"을 주제로 9일간 개최되었고, 문화관광부 문화관광축제로 지정되었다.2000년 제4회 축제는 "반딧불이의 신비, 무주의 신비, 자연의 신비"를 주제로 5일간 진행되었으며, 새천년 밀레니엄 축제(문화관광부)로 지정되었다. 2001년에는 "희망의 빛을 세계에, 꿈의 빛을 온누리에"를 주제로 문화관광부 우수축제로 선정되었다. 2002년 제6회 축제는 "자연주의가 좋다, 반딧불이와 함께"를 주제로 5일간 개최되었고, 2002 한국방문의 해 문화관광부 지정축제로 선정되었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제7회, 8회, 9회, 10회 축제는 "자연주의가 좋다, 반딧불이와 함께"라는 동일한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축제로 지속적인 인정을 받았다. 특히 9회 축제에서는 '태권도와 함께하는 무주반딧불축제'라는 슬로건을, 10회 축제에서는 '생명 · 평화의 빛을 그대에게'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3. 2. 11회 ~ 22회 (2007년 ~ 2018년)
무주반딧불축제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 축제, 최우수 축제, 대표 축제로 선정되며 성장했다.[2] 2007년(제11회) 축제는 '세계를 하나로, 무주를 세계로'를 주제로, '반딧불 빛으로 하나되는 세상'을 부제로 하여 개최되었다.[2] 2008년(제12회) 축제는 같은 주제와 부제로 진행되었으며, '반딧불이의 사랑이 함께합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2] 2009년(제13회)부터 2012년(제16회)까지는 '반딧불 빛으로 하나되는 세상'을 주제로, 매년 다른 부제를 설정하여 축제를 진행했다.[2]2013년(제17회) 축제는 '자연의 빛, 생명의 빛, 미래의 빛'을 주제로, '사랑의 반딧불, 축제의 불을 밝히다'를 부제로 개최되었다.[2] 2014년(제18회)에는 같은 주제 아래 '메이드 인 무주 - GO back to nature (자연으로 돌아가다)'라는 부제로 최우수 축제에 선정되었다.[2] 2015년(제19회)부터 2017년(제21회)까지는 '빛을 울리는 무주연가'(2015~2016), '상생의 빛, 세계로 뻗어나가다'(2017) 등의 부제를 통해 최우수 축제로서의 명성을 이어갔다.[2] 2018년(제22회)에는 '고향의 숲, 반디가 노니는 세상'을 부제로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선정되었다.[2]
참조
[1] 
웹인용
 
무주반딧불축제 프로그램
 
http://www.firefly.o[...] 
[2] 
웹인용
 
무주 반딧불축제 역사
 
http://www.firefly.o[...] 
2020-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