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는 2017년 1월 16일 요금이 인상되었다. 요금은 일반, 청소년, 어린이로 구분되며, 현금과 교통카드 사용 시 요금이 다르다. 2014년 진안군, 2015년 무주군, 2015년 장수군이 요금 단일화를 시행하여 3개 군 관내에서는 단일 요금이 적용된다. 임실군, 전주시 지역으로 가는 경우 시 경계 기준 1km당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 각 지역에서 출발하는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 | |
---|---|
지역별 버스 교통 정보 | |
지역 |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 |
구분 | 농어촌버스 |
관리 기관 | 무주군청 건설교통과, 진안군청 건설교통과, 장수군청 민원과 |
서비스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 |
기타 지역 | 남원시, 전주시, 완주군, 임실군, 충청남도 금산군, 충청북도 영동군,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남도 거창군 |
인가 대수 | 40대 |
지불 수단 | 교통카드, 현금 |
선불 카드 | 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카드, 한페이, 레일플러스진안군에서만 사용가능, 무주군과 장수군에서는 사용불가.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M형과 MT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M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
사이트 | 무주군청 농어촌버스 시간표 진안군청 농어촌버스 시간표장수군청 군내버스 시간표 |
2. 운임
2017년 1월 16일에 요금이 인상된 이후 현재의 요금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4] 요금은 연령에 따라 일반, 청소년, 어린이로 구분되며, 현금과 교통카드 사용 시 요금이 다르다.
2014년 10월 1일 진안군을 시작으로, 2015년 3월 1일 무주군, 2015년 10월 1일 장수군이 요금을 단일화하여, 현재는 3개 군 내에서는 동일한 요금이 적용된다. 다만, 임실군이나 전주시와 같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시 경계 기준 1km당 116.14원이 추가된다. 예를 들어 진안에서 관촌까지는 2000KRW, 진안에서 전주시까지는 3000KRW이다.
2. 1. 요금표
2017년 1월 16일에 요금이 인상되었다.[4]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
일반 | 어른 (만 19세 이상) | 1,400 | 1,35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100 | 1,05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700 | 650 |
무주군 내에서는 무주읍, 설천면, 안성면을 중심으로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각 지역별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버스 노선은 무주공용버스터미널, 설천공용터미널, 안성공용버스터미널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2014년 10월 1일 진안군, 2015년 3월 1일 무주군, 2015년 10월 1일 장수군은 요금을 단일화하여 3개 군 어디로 가나 단일 요금만 내면 된다. 단, 진안~관촌 2000KRW, 진안~전주시 3000KRW 등 임실군, 전주시 지역으로 가는 경우 시 경계 기준 1km당 116.14원이 추가된다.
3. 무주군 관내 노선
3. 1. 무주 출발
무주공용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노선들이다.
노선 | 운행구간 | 지선 (경유지) | 운행 횟수 | 비고 |
---|---|---|---|---|
적상 | 무주 ↔ 적상 | 23회 | ||
안성 | 무주 ↔ 안성 | 장계·통안·명천·동향·덕곡·두문 | 총 14회 | |
부남 | 무주 ↔ 안성 | 적상·가당, 굴암 | 적상 4회 가당 8회 | 적상 첫차 상가 경유 |
후도 | 무주 ↔ 후도 | 8회 | 첫차 앞제 경유 | |
괴목 | 무주 ↔ 괴목 | 적상·치목 | 총 6회 | |
설천 | 무주 ↔ 설천 | 무풍·구천·미천·덕지·김천시 대덕 | 총 16회 | |
여원리 | 무주 ↔ 여원리 | 8회 | ||
상굴암 | 무주 ↔ 상굴암 | 4회 | ||
굴천리 | 무주 ↔ 굴천리 | 6회 | ||
치목 | 무주 ↔ 치목 | 2회 | ||
내창 | 무주 ↔ 내창 | 2회 | ||
내 유속 | 무주 ↔ 내 유속 | 2회 | ||
서면 | 무주 ↔ 서면 | 7회 | ||
상가, 광포 | 무주 ↔ 상가, 광포 | 상가·광포·부남 | 총 4회 | |
방이리 | 무주 ↔ 방이리 | 5회 | ||
삼유리 | 무주 ↔ 삼유리 | 용·적 | 총 8회 | |
장안리 | 무주 ↔ 장안리 | 가당·적상 | 총 4회 | |
안천, 진안 | 무주 ↔ 안천, 진안 | 부남 | 총 3회 | 첫차 부남 경유 |
상유리 | 무주 ↔ 상유리 | 용·방이리·적상·부남 | 총 4회 | |
영동역 | 무주 ↔ 영동군 영동역 | 13회 | ||
구천동 | 무주 ↔ 구천동 | 상오정 | 5회 | |
오산, 왕정 | 무주 ↔ 오산, 왕정 | 3회 | ||
미천리 | 무주 ↔ 미천리 | 3회 | ||
대덕 | 무주 ↔ 김천시 대덕 | 2회 | ||
덕지 | 무주 ↔ 덕지 | 사동·대덕·지성 | 총 8회 |
3. 2. 설천 출발
설천공용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노선이다.노선 | 운행구간 | 지선 (경유지) | 운행 횟수 | 비고 |
---|---|---|---|---|
무주 | 설천 ↔ 무주 | 16회 | ||
구천동 | 설천 ↔ 구천동 | 상오정 | 6회 | |
미천리 | 설천 ↔ 미천리 | 4회 | ||
무풍 | 설천 ↔ 무풍 | 8회 | ||
용화 | 설천 ↔ 용화 | 영동·조동 | 2회 | 평일만 운행, 방학 중 운휴 |
3. 3. 안성 출발
안성공용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노선들이다.노선 | 운행구간 | 지선 (경유지) | 운행 횟수 | 비고 |
---|---|---|---|---|
무주 | 안성 ↔ 무주 | 13회 | ||
동향 | 안성 ↔ 동향 | 능길·학선·가막 | 총 9회 | |
장계 | 안성 ↔ 장수군 장계 | 10회 | ||
통안 | 안성 ↔ 통안 | 명천 | 총 5회 | |
명천 | 안성 ↔ 명천 | 통안 | 총 6회 | |
덕곡 | 안성 ↔ 덕곡 | 6회 | ||
두문 | 안성 ↔ 두문 | 6회 | ||
외당 | 안성 ↔ 외당 | 5회 |
4. 진안군 관내 노선
진안군 관내에서는 진안읍을 중심으로 마이산, 백운면, 성수면 등지로 운행되는 노선이 있다.
4. 1. 진안 출발
마이산 출발 4회부귀봉곡 출발 3회
정수암 출발 5회
운일암, 반일암 출발 7회
풍혈냉천 출발 2회
전주 출발 1회
송풍리 출발 5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