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인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인수는 1945년 경상북도 성주군 출생의 시인이다.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중퇴하고, 1985년 시집 《능수버들》을 통해 등단했다. 대구문학상, 김달진문학상, 노작문학상, 시와 시학상, 편운문학상, 한국가톨릭문학상, 미당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주요 시집으로 《늪이 늪에 젖듯이》, 《세상 모든 길은 집으로 간다》, 《뿔》, 《홰치는 산》 등이 있으며, 동시집 《염소 똥은 똥그랗다》를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작문학상 수상자 - 김행숙
김행숙은 1970년 서울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1999년 등단하여 실험적인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시집 《사춘기》를 출간하고 노작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현재 강남대학교에서 한국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 노작문학상 수상자 - 안도현
안도현은 1961년 예천에서 태어나 1981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연어》 등의 작품을 썼으며, 교사, 작가, 교수로 활동하며 사회 참여적인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 미당문학상 수상자 - 김행숙
김행숙은 1970년 서울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1999년 등단하여 실험적인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시집 《사춘기》를 출간하고 노작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현재 강남대학교에서 한국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 미당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 곽효환
곽효환은 1996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편집자로, 대산문화재단 사장을 역임하며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했고, 자아와 타자의 관계, 사회적 공동체에 대한 성찰, 북방에 대한 관심을 시에 담아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다. -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문인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문인수 | |
| 한글 이름 | 문인수 |
| 한자 이름 | 文寅洙 |
| 로마자 표기 | Mun Insu |
| 작가 정보 | |
| 이름 | 문인수 |
| 출생일 | 1945년 6월 2일 |
| 출생지 | 성주 |
| 사망일 | 2021년 6월 7일 |
| 직업 | 작가 |
| 국적 | 대한민국 |
| 장르 | 시 |
2. 생애
문인수는 여러 권의 시집을 출간하였다. 그는 1996년 제14회 대구문학상,[2] 2000년 제11회 김달진문학상, 2003년 제3회 노작문학상, 2006년 제11회 시와 시학상, 2007년 제17회 편운문학상, 2007년 제10회 한국가톨릭문학상 시 부문과 미당문학상을 수상했다. 라희덕은 문인수의 시에 대해 "밑바닥으로부터의 간절한 기도이자, 하늘을 향한 아름다운 헌사"라고 평했다.[2]
2. 1. 유년 시절과 학업
문인수는 1945년 6월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했으나 중퇴했다.2. 2. 등단과 작품 활동
문인수는 1985년 시집 (능수버들)을 『심상』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2] 이후 여러 권의 시집을 출간했다.문인수는 1996년 제14회 대구문학상,[2] 2000년 제11회 김달진문학상, 2003년 제3회 노작문학상, 2006년 제11회 시와 시학상, 2007년 제17회 편운문학상, 같은 해 제10회 한국가톨릭문학상 시 부문과 미당문학상을 수상했다.
라희덕은 문인수의 시에 대해 "밑바닥으로부터의 간절한 기도이자, 하늘을 향한 아름다운 헌사"라고 평했다.
2. 3. 문학적 평가
라희덕은 문인수의 시에 대해 "밑바닥으로부터의 간절한 기도이자, 하늘을 향한 아름다운 헌사"라고 평했다.[2]3. 작품 세계
문인수는 여러 권의 시집과 동시집을 발표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왔다.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늪이 늪에 젖듯이》, 《세상 모든 길은 집으로 간다》, 《뿔》, 《홰치는 산》, 《동강의 높은 새》, 《쉬!》, 《배꼽》, 《적막 소리》, 《그립다는 말의 긴 팔》, 《달북》, 《나는 지금 이곳이 아니다》 등이 있다. 동시집으로는 《염소 똥은 똥그랗다》가 있다.
3. 1. 주요 시집
- 《늪이 늪에 젖듯이》 (심상, 1986)
- 《세상 모든 길은 집으로 간다》 (문학아카데미, 1990)
- 《뿔》 (민음사, 1992)
- 《홰치는 산》 (만인사, 1999)
- 《동강의 높은 새》 (세계사, 2000)
- 《쉬!》 (문학동네, 2006)
- 《배꼽》 (창비, 2008)
- 《그립다는 말의 긴 팔》 (서정시학, 2012)
- 《적막 소리》 (창비, 2012)
- 《달북》 (창비, 2014)
- 《나는 지금 이곳이 아니다》 (창비, 2015)
3. 2. 동시집
(문학동네, 2010)4. 수상 내역
| 연도 | 상 이름 |
|---|---|
| 1996년 | 제14회 대구문학상 |
| 2000년 | 제11회 김달진문학상 |
| 2003년 | 제3회 노작문학상 |
| 2006년 | 제11회 시와 시학상 |
| 2007년 | 제10회 한국가톨릭문학상(시 부문) |
| 2007년 | 제7회 미당문학상 |
| 2007년 | 제17회 편운문학상 |
| 2016년 | 제9회 모골문학상 |
5. 가족 관계
| 배우자 | 全貞淑|전정숙중국어 |
|---|---|
| 아들 | 문동섭 |
| 딸 | 문효원 |
참조
[1]
웹사이트
"도대체, 늙지 않는 문인수 시인의 노래 문인수 시집 <쉬!>를 읽고"
http://www.ohmynews.[...]
2015-02-06
[2]
웹사이트
Midang Literary Award
https://hyperleap.co[...]
[3]
뉴스
"도대체, 늙지 않는 문인수 시인의 노래 - 문인수 시집 <쉬!>를 읽고"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6-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