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물오리 (희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오리》는 헨리크 입센의 희곡으로, 부유한 상인 하콘 베를레와 그의 아들 그레게르스 베를레, 그리고 에크달 가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레게르스는 진실을 추구하며 에크달 가족의 숨겨진 비밀들을 폭로하려 하지만, 이로 인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작품은 진실과 거짓, 이상과 현실, 개인의 행복과 사회적 책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19세기 노르웨이 사회를 배경으로 하지만 현대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1885년 노르웨이에서 초연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영화, TV 드라마, 연극 등으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4년 희곡 - 잃어버린 편지
    《잃어버린 편지》는 이온 루카 카라지알레의 희극으로, 정치를 이용해 출세하려는 인물들의 부정적인 모습과 인간의 부도덕성, 비사회성을 풍자하고 비판하며, 권력욕과 사회 부조리, 등장인물의 도덕적 결함은 현대 사회에도 유효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 가족을 소재로 한 희곡 - 뇌우 (희곡)
    《뇌우》는 1930년대 중국 사회를 배경으로 억압적인 가부장제, 신분 제도, 개인의 욕망과 자유의 갈등을 다루는 차오위의 희곡으로, 근친상간, 계급 갈등, 여성 억압 등의 주제를 통해 중국 현대 연극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가족을 소재로 한 희곡 - 로미오와 줄리엣
    《로미오와 줄리엣》은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쓴 비극으로, 베로나의 몬태규 가문과 캐퓰릿 가문의 갈등 속에서 로미오와 줄리엣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리며, 젊은 사랑, 운명, 사회적 갈등 등의 주제를 다룬다.
  • 헨리크 입센의 희곡 - 유령 (희곡)
    《유령》은 헨리크 입센의 희곡으로, 남편의 진실과 아들의 고통을 통해 사회의 위선과 도덕적 억압을 비판하며 외설 논란에도 불구하고 입센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헨리크 입센의 희곡 - 민중의 적
    헨리크 입센의 희곡 《민중의 적》은 온천 오염을 알리려다 고립되는 의사 토마스 스톡만의 이야기를 통해 진실과 정의, 개인과 사회의 갈등, 다수의 횡포, 언론의 역할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물오리 (희곡)
작품 정보
제목물오리
원제Vildanden (빌단덴)
장르드라마
작가헨리크 입센
초연1885년 1월 9일
초연 장소베르겐 덴 나티오날레 세네
원어노르웨이어
배경1880년대, 노르웨이 크리스티아니아의 베를레의 집과 햘마르 에크달의 작업실
등장인물
관련 정보
ISBN0192839438
참고 자료헨리크 입센의 "물오리"와 보는 능력

2. 등장인물


  • '''하콘 베를레''': 부유한 도매상이다.
  • '''그레게르스 베를레''': 하콘 베를레의 아들이다.
  • '''늙은 에크달''': 하콘 베를레의 전 사업 파트너이다.
  • '''얄마르 에크달''': 늙은 에크달의 아들이며, 사진사이다.
  • '''지나 에크달''': 얄마르 에크달의 아내이다.
  • '''헤드비그''': 얄마르 에크달의 딸로, 열네 살이다.
  • '''쇠르비 부인''': 하콘 베를레의 가정부이자 약혼녀이다.
  • '''렐링''': 의사로, 에크달 가족의 아래층에 거주한다.
  • '''몰비크''': 전 신학도로, 에크달 가족의 아래층에 거주한다.
  • '''옌센''': 고용된 웨이터이다.
  • '''발레 씨''': 저녁 식사 손님이다.
  • '''플로 씨''': 저녁 식사 손님이다.
  • '''페테르센''': 하콘 베를레의 하인이다.

2. 1. 베를레 가문


  • '''하콘 베를레''': 부유한 도매상이다.[1]
  • '''그레게르스 베를레''': 하콘 베를레의 아들이다.[1]
  • '''쇠르비 부인''': 하콘 베를레의 가정부이자 약혼녀이다.[1]
  • '''페테르센''': 하콘 베를레의 하인이다.[1]

2. 2. 에크달 가문


  • 늙은 에크달: 하콘 베를레의 전 사업 파트너이다.[1]
  • 얄마르 에크달: 늙은 에크달의 아들로, 사진사이다.[1]
  • 지나 에크달: 얄마르 에크달의 아내이다.[1]
  • 헤드비그: 얄마르 에크달의 딸이며, 열네 살이다.[1]

2. 3. 기타 인물


  • 렐링, 의사, 에크달 가족의 아래층에 거주.
  • 몰비크, 전 신학도, 에크달 가족의 아래층에 거주.
  • 페테르센, 하콘 베를레의 하인.
  • 옌센, 고용된 웨이터.
  • 발레 씨, 저녁 식사 손님.
  • 플로 씨, 저녁 식사 손님.

3. 줄거리

걀마르no는 아내와 딸에게 냉담해진다. 그는 지나의 도움 없이 혼자 모든 사진 사업을 처리하고, 가족의 재정도 관리하겠다고 요구한다. 지나는 재고를 간청하며, 그렇게 되면 발명품에 전념할 시간이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헤드비히는 물오리가 있는 다락방에서 시간을 보낼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인다. 그레게르스의 소식에 씁쓸해진 걀마르는 물오리의 목을 비틀고 싶다고 고백한다. 걀마르는 지나에게 하콘과의 불륜에 대해 따지고, 지나는 이를 인정하지만 걀마르를 매우 사랑한다고 주장한다.[1]

그레게르스가 돌아왔지만, 부부가 거짓 없이 살게 된 것을 기뻐하지 않는 모습에 놀란다. 쇠르비 부인이 헤드비히에게 편지를 가져오는데, 하콘이 올드 에크달에게 매달 100NOK의 연금을 지급하고, 그가 죽으면 이 수당을 헤드비히에게 평생 동안 이전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 소식은 걀마르를 더욱 힘들게 하고, 헤드비히가 하콘의 자식일 수도 있다는 의심을 품게 한다. 그는 더 이상 헤드비히를 볼 수 없다며 몰비크, 렐링과 함께 술을 마시러 집을 나선다.[1]

그레게르스는 절망한 헤드비히에게 아버지의 행복을 위해 물오리를 희생하라고 제안한다. 헤드비히는 아버지의 사랑을 되찾기 위해 다음 날 아침 할아버지가 물오리를 쏘는 것에 동의한다.[1]

다음 날, 렐링은 걀마르가 자신과 함께 머물렀다고 말한다. 렐링은 그레게르스가 한 일에 경악하며, 걀마르에게 '삶의 거짓말'로서 발명이라는 환상을 심어주어 절망에서 구했다고 밝힌다. 걀마르가 발명품 작업을 위해 재료를 가지러 돌아오자, 두 사람은 언쟁을 벌인다. 걀마르는 이사 준비에 압도당하고, 헤드비히는 기뻐하지만 걀마르는 "침입자로부터 자유로워지라"고 차갑게 대한다. 좌절한 헤드비히는 물오리를 떠올리고 권총을 든 채 다락방으로 간다. 총소리가 들리고, 가족들은 올드 에크달이 사냥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레게르스는 헤드비히가 물오리를 쐈다고 생각한다. 올드 에크달이 방에서 나오자, 가족들은 그가 다락방 안에서 총을 쏠 수 없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들은 달려가 헤드비히가 바닥에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렐링은 총알이 흉골을 관통해 즉사했으며, 셔츠의 화약을 보고 헤드비히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판단한다. 걀마르는 헤드비히가 다시 살아나 자신이 얼마나 사랑하는지 보게 해달라고 간청한다.[1]

극은 렐링과 그레게르스의 언쟁으로 끝난다. 그레게르스는 헤드비히의 죽음이 걀마르에게 위대함을 불러일으켰다고 주장하지만, 렐링은 비웃으며 걀마르가 1년 안에 술주정뱅이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1]

3. 1. 1막: 폭로의 시작

1막은 부유한 상인이자 사업가인 하콘 베를레가 주최하는 만찬으로 시작된다. 이 모임에는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온 아들 그레게르스 베를레가 참석한다. 그곳에서 그는 옛 동창인 얄마르 에크달의 운명을 알게 된다. 얄마르는 베를레 가문의 젊은 하녀인 지나와 결혼했다. 나이 많은 베를레는 얄마르에게 집과 사진사라는 직업을 제공하여 이 결혼을 주선했다. 지나와 하콘이 불륜 관계를 맺었다고 믿고 죽은 그레게르스의 어머니는 자신의 옛 친구가 거짓 위에 세워진 삶을 살고 있다는 생각에 분노한다.[1]

3. 2. 2막: 엇갈리는 진실과 거짓

2막은 걀마르 에크달의 아파트에서 진행된다. 에크달 가족은 처음에는 아늑한 가정생활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걀마르의 아버지는 베를레를 위해 잡다한 복사 일을 하면서 생계를 유지한다. 걀마르는 아파트에서 초상화 스튜디오를 운영한다. 지나는 집안을 돌보는 것 외에도 사업을 돕는다. 그들 모두 딸 헤드비히를 애지중지한다.[1]

그레게르스는 파티에서 곧바로 그들의 집으로 간다. 가족과 친해지는 동안 걀마르는 헤드비히가 자신의 가장 큰 기쁨이자 가장 큰 슬픔이라고 고백하는데, 헤드비히가 서서히 시력을 잃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가족들은 아파트에 있는 다락방을 보여주는데, 그곳에는 토끼와 비둘기 같은 다양한 동물들을 키운다.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것은 구조된 물오리이다. 물오리는 베를레에게 상처를 입었는데, 베를레 역시 시력이 쇠퇴하고 있었다. 베를레의 총에 물오리가 부상을 입고 호수 바닥으로 잠수해 해초에 매달려 익사하려고 했지만, 베를레의 개가 물오리를 회수했다. 총알과 개의 이빨에 의해 상처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에크달 가족은 물오리를 간호하여 건강을 되찾았다.[1]

그레게르스는 빈 방을 임대하기로 결정한다. 다음 날, 그는 지나의 불륜 외에도 더 많은 거짓말이 에크달 가족에게 드리워져 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한다. 헤드비히와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헤드비히는 걀마르가 시력 때문에 학교에 가지 못하게 하지만, 그를 가르칠 시간이 없어서 책에서 보는 그림을 통해 상상의 세계로 탈출하도록 내버려둔다고 설명한다. 그들의 대화 중에 그레게르스는 다락방에서 총소리를 듣는다. 가족은 올드 에크달이 다락방에서 토끼와 새를 사냥하면서 즐거움을 얻고 걀마르도 종종 사냥에 참여한다고 설명한다. 이 활동은 올드 에크달이 훌륭한 사냥꾼으로서의 예전 삶에 매달리도록 돕는다. 걀마르는 또한 자신이 결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는 '대단한 발명품'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그것은 사진과 관련이 있으며, 베를레에게 진 빚을 갚고 마침내 자신과 가족을 완전히 독립시킬 것이라고 확신한다. 발명품에 대해 작업하기 위해 그는 종종 소파에 누워 그것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1]

3. 3. 3막: 파국으로 치닫는 관계

그레게르스는 얄마르에게 지나와 하콘의 과거를 폭로한다. 얄마르는 지나에게 하콘과의 불륜에 대해 따지고, 지나는 이를 인정하면서도 얄마르를 매우 사랑한다고 주장한다.

집으로 돌아온 얄마르는 아내와 딸에게 냉담하게 대하며, 미래의 모든 사진 사업을 지나의 도움 없이 혼자 처리하고, 가족의 재정 관리 또한 지나에게 맡기려 한다. 지나는 얄마르에게 재고를 간청하며, 그렇게 되면 얄마르가 발명품에 전념할 시간이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헤드비히 역시 얄마르가 물오리가 있는 다락방에서 시간을 보낼 수 없을 것이라며 걱정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쇠르비 부인이 헤드비히에게 편지를 가져오고, 하콘과 결혼한다는 소식을 전한다. 편지에는 하콘이 올드 에크달에게 매달 100NOK의 연금을 지급하고, 그가 죽으면 이 수당이 헤드비히에게 평생 동안 이전된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이 소식은 얄마르를 더욱 절망에 빠뜨리고, 헤드비히가 하콘의 자식일 수도 있다는 의심을 품게 한다. 결국 얄마르는 더 이상 헤드비히를 볼 수 없다며 집을 나선다.

3. 4. 4막: 비극적 결말

걀마르는 아내와 딸에게 냉담하게 대하며, 지나의 도움 없이 혼자 모든 사진 작업을 처리하고 가계 재정까지 관리하겠다고 한다. 지나는 걀마르에게 재고를 간청하며, 그렇게 되면 발명에 전념할 시간이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헤드비히 또한 걀마르가 물오리가 있는 다락방에서 시간을 보낼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인다. 그레게르스의 말에 괴로워하던 걀마르는 물오리의 목을 비틀고 싶다고까지 말한다. 걀마르는 지나에게 하콘과의 불륜에 대해 따지고, 지나는 이를 인정하면서도 걀마르를 매우 사랑한다고 강조한다.[1]

말다툼 중에 그레게르스가 돌아오지만, 부부가 거짓 없이 살게 된 것을 기뻐하지 않는 모습에 놀란다. 쇠르비 부인이 헤드비히에게 편지를 가져오는데, 거기에는 하콘이 올드 에크달에게 매달 100NOK의 연금을 지급하고, 그가 죽으면 이 수당을 헤드비히에게 평생 동안 이전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 소식은 걀마르를 더욱 힘들게 하고, 헤드비히가 하콘의 자식일 수도 있다는 의심을 품게 한다. 그는 더 이상 헤드비히를 볼 수 없다며 몰비크, 렐링과 함께 술을 마시러 집을 나선다.[1]

그레게르스는 절망한 헤드비히에게 아버지의 행복을 위해 물오리를 희생하라고 제안한다. 헤드비히는 아버지의 사랑을 되찾기 위해 다음 날 아침 할아버지가 물오리를 쏘는 것에 동의한다.[1]

다음 날, 렐링은 걀마르가 자신과 함께 머물렀다고 말한다. 렐링은 그레게르스가 한 일에 경악하며, 걀마르에게 '삶의 거짓말'로서 발명이라는 환상을 심어주어 절망에서 구했다고 밝힌다. 걀마르가 발명품 작업을 위해 재료를 가지러 돌아오자, 두 사람은 언쟁을 벌인다. 걀마르는 이사 준비에 압도당하고, 헤드비히는 기뻐하지만 걀마르는 "침입자로부터 자유로워지라"고 차갑게 대한다. 좌절한 헤드비히는 물오리를 떠올리고 권총을 든 채 다락방으로 간다. 총소리가 들리고, 가족들은 올드 에크달이 사냥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레게르스는 헤드비히가 물오리를 쐈다고 생각한다. 올드 에크달이 방에서 나오자, 가족들은 그가 다락방 안에서 총을 쏠 수 없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들은 달려가 헤드비히가 바닥에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렐링은 총알이 흉골을 관통해 즉사했으며, 셔츠의 화약을 보고 헤드비히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판단한다. 걀마르는 헤드비히가 다시 살아나 자신이 얼마나 사랑하는지 보게 해달라고 간청한다.[1]

극은 렐링과 그레게르스의 언쟁으로 끝난다. 그레게르스는 헤드비히의 죽음이 걀마르에게 위대함을 불러일으켰다고 주장하지만, 렐링은 비웃으며 걀마르가 1년 안에 술주정뱅이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1]

4. 분석 및 비평

헨리크 입센의 희곡 《물오리》는 등장인물, 줄거리, 배경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해 분석하고 비평할 수 있다.

열렬한 이상주의자인 그레거스는 히알마르에게 진실을 밝혀 그를 둘러싼 거짓에서 해방시키려 한다. 이를 위해 그레거스는 에크달 집에 머물게 되지만,[4] 가족의 일에 참견하여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겉으로는 행복해 보이는 에크달 가족에게는 숨겨진 비밀들이 있었고, 그레거스는 "이상 소환"이라 불리는 절대적인 진실을 추구한다.

에크달 가족은 각자 자신만의 꿈의 세계에서 살아가며 현실을 외면한다. 무능한 아버지는 자신이 위대한 발명가라고 믿고, 할아버지는 과거의 영광을 떠올리며, 어린 헤드비히는 다락방에 감정적 중심을 둔다. 이상주의자 그레거스에게 이는 용납할 수 없는 "거짓에 기반한" 삶이며, 모든 악이 "어둠 속에서 자라고" 있다고 생각한다.[4]

그레거스는 진실을 폭로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믿지만, 이는 오히려 비극을 불러온다. 가족을 지탱하던 거짓말이 사라지자 모든 꿈의 세계가 무너진다. 가족의 거짓말을 만들고 유지한 의사 렐링은 "평범한 인간에게서 인생의 거짓을 빼앗으면, 행복을 빼앗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레거스와 렐링은 상징적으로 정반대의 인물이다. 그들은 여러 갈림길에서 대립하며, 극은 히알마르의 미래에 대한 두 사람의 교환으로 끝난다. 렐링은 히알마르가 변할 수 없다고 믿는 냉소주의자인 반면, 그레거스는 그의 "구원"을 희망한다.

극 초반, 그레거스는 공장에서 일하며 평민들과 접촉하려 했고, 그의 아버지는 상류층 인사들과 어울렸다. 이는 사회 비판적인 요소로, 그레거스는 "진실이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라며 시스템을 뿌리 뽑으려 한다. 반면 렐링은 베를레 노인과 음모를 꾸미며 시스템을 옹호한다.

그레거스는 아버지의 조작과 음모로 인한 에크달 가족의 곤경에 책임감을 느낀다. 그는 어머니가 남편의 행동으로 인해 알코올 중독에 빠졌다고 언급하며, 베를레 노인은 "당신은 당신 어머니의 눈으로 나를 보고 있다"라고 지적한다. 이는 에크달 가족과 헤드비히가 무력한 희생자임을 보여준다.

4. 1. 주요 주제

그레거스는 히알마르에게 진실을 밝혀 그를 둘러싼 거짓에서 해방시키려 한다. 하지만 진실의 폭로는 에크달 가족의 기반을 찢어 버려 행복한 결말로 이어지지 않는다. 렐링은 "평범한 인간에게서 인생의 거짓을 빼앗으면, 행복을 빼앗는 것이다."라고 말한다.[4] 이는 진실과 거짓, 이상과 현실, 행복과 불행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준다.

  • 진실과 거짓: 등장인물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진실과 거짓 사이에서 갈등한다. 그레거스는 절대적인 진실을 추구하지만, 렐링은 삶을 지탱하는 기본적인 거짓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이상주의자 그레거스는 현실을 외면한 채 진실만을 추구하다 비극을 초래한다. 반면 현실주의자 렐링은 현실적인 타협을 통해 삶을 유지하려 한다.
  • 행복과 불행: 겉으로는 행복해 보이는 에크달 가족은 숨겨진 비밀과 거짓 위에 위태롭게 서 있다. 진실이 드러나면서 행복은 깨지고, 등장인물들은 불행에 직면한다.
  • 가족 관계: 에크달 가족은 복잡한 관계를 보여준다. 가족 구성원 간의 사랑과 희생, 갈등과 배신이 뒤섞여 있으며, 진실과 거짓은 이러한 관계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4. 2. 상징

헨리크 입센의 희곡 《물오리》에는 다양한 상징이 등장하여 극의 주제를 심화시키고 등장인물의 내면을 드러낸다.

  • 들오리: 들오리는 에크달 가족, 특히 헤드비히를 상징한다. 베를레에게 상처를 입고 호수 바닥으로 가라앉았다가 구조된 들오리처럼, 에크달 가족 역시 현실의 상처를 피해 다락방이라는 도피처에 숨어 살아가고 있다.[4] 헤드비히는 시력을 잃어가는 자신의 처지와 갇혀 지내는 들오리의 신세를 동일시하며 깊은 유대감을 느낀다.

  • 다락방: 다락방은 현실 도피와 환상의 공간이다. 에크달 가족은 다락방에서 들오리를 비롯한 동물들을 키우며 현실의 고통을 잊고 자신들만의 세계를 구축한다. 하지만 다락방은 붕괴된 꿈과 희망을 상징하기도 한다. 얄마르는 다락방에서 '위대한 발명'을 꿈꾸지만, 이는 허황된 망상에 불과하다. 올드 에크달은 다락방에서 사냥을 하며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려 하지만, 이는 현실 도피일 뿐이다.

  • 사진: 사진은 현실을 왜곡하고 조작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얄마르는 사진사라는 직업을 통해 허영심을 채우고 자신의 무능력을 감춘다. 그레게르스는 사진을 통해 얄마르의 거짓된 삶을 폭로하려 하지만, 이는 오히려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 시력 상실: 헤드비히의 시력 상실은 진실을 보지 못하는 인간의 한계와 비극성을 상징한다. 헤드비히는 시력을 잃어가면서 점차 현실과 단절되고, 결국 진실을 깨닫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한다.

4. 3.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

입센no의 희곡 《물오리》는 19세기 노르웨이 사회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작품 속 인물들의 위선, 자기기만, 허영심은 21세기 대한민국 사회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이다. 학벌주의, 연고주의, 물질만능주의와 같은 사회적 병폐는 얄마르의 허황된 꿈, 하콘 베를레의 권위주의, 그레게르스의 극단적인 이상주의와 연결되어 비판적으로 성찰될 수 있다.[4]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기득권층의 위선과 부패, 사회적 불평등, 약자에 대한 착취 등의 문제를 작품과 연결 지어 비판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레거스의 아버지 베를레는 하녀 지나를 임신시키고도 얄마르와 결혼시켜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려 했으며, 얄마르의 아버지 에크달은 베를레의 죄를 뒤집어쓰고 투옥되었다. 이는 권력층의 부도덕함과 약자에 대한 억압을 보여주는 예시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얄마르 가족 구성원 각자가 자신만의 꿈의 세계에 갇혀 현실을 외면하는 모습은, 거짓과 허위에 기반한 한국 사회의 단면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얄마르는 자신이 위대한 발명가라고 믿지만 실상은 무능력하며, 할아버지는 과거의 영광에 매달려 현재를 부정한다. 헤드비히는 다락방의 물오리에 감정을 이입하며 현실 도피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레게르스는 진실을 밝혀 얄마르 가족을 구원하려 하지만, 그의 극단적인 이상주의는 오히려 비극을 초래한다. 이는 진실 추구가 때로는 개인의 행복과 상충될 수 있으며, 사회 개혁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의사 렐링의 말처럼 "평범한 인간에게서 인생의 거짓을 빼앗으면, 행복을 빼앗는 것이다."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5. 배경

크리스토퍼 포스 백작(1890년경 사진)
은 1884년 입센로마에서 『물오리』를 집필할 때 오랫동안 그를 방문했다. 이 작품은 그의 가족에게서 영감을 받은 친밀한 분위기의 희곡이었다.[5] 이는 입센이 망명 생활을 하는 동안 스키엔 출신의 가족과 가진 유일한 만남이었다. 입센은 30년 전에 고향을 떠난 이후로 가족과 이렇게 가까이 지낸 적이 없었으며, 가족과 고향의 소식을 듣고 싶어했다. 이 만남 직후 입센은 작가의 슬럼프를 극복했다고 선언했다.[6]

로버트 퍼거슨은 『물오리』가 입센에게 쉽게 쓰인 작품이 아니었다고 지적한다. 집필 과정에서 노르웨이는 정치적 혼란에 시달렸고, 로마에서 자발적인 망명 생활을 하던 입센은 "『물오리』와 같은 친밀하고 개인적인 작품의 힘이 노르웨이의 의회주의 도입에 대한 정치적 논쟁에 묻힐 수 있다"고 우려했다. 1884년 봄, 젊은 친척인 크리스토퍼 포스 백작이 입센을 로마에서 오랫동안 방문했다. 요르겐 하베는 "입센은 30년 전에 고향을 떠난 이후로 자신의 가족과 이렇게 가까이 지낸 적이 없었다"고 썼다.[5] 입센은 스키엔에 있는 가족에 관한 소식을 듣고 싶어했다. 만남 직후 입센은 작가의 슬럼프를 극복했고 "전력을 다해 쓰고 있다"고 선언했다.[6] 1884년 여름, 그는 고센사스에서 이 희곡을 완성했다.

입센의 많은 작품에서처럼, 등장인물들은 그의 가족 구성원을 기반으로 하거나 그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그 정도는 다양하다. 올드 에크달은 대부분의 입센 학자들에게 입센이 아버지인 크누드 입센을 묘사한 가장 중요한 문학적 초상 중 하나로 여겨진다.

입센 학자 욘 니고르에 따르면, 그레게르 베르레라는 인물은 포스 가문과 오버 텔레마르크의 정신을 나타낸다. 니고르는 베르레가 수년간 살았던 회달스베르케가 오버 텔레마르크, 특히 회달스모를 명백하게 언급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입센의 조상인 폴 포스는 회달스모 스타브 교회를 소유했다.[8]

헤드비그라는 인물은 포스 가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헤드비그라는 이름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져 내려왔고, 특히 입센의 할머니인 헤데비그 포스와 누이인 헤드비그 입센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헤드비그에 대한 입센의 모델, 특히 그녀의 외모는 1884년 여름 고센사스에서 만난 13세 이탈리아 거주 독일 소녀 마르타 코프(1870년생)였으며, 그녀는 로마에 살고 있는 조각가 요제프 폰 코프의 딸이었다.[9] 입센은 아들 시구르 입센에게 보낸 편지에서 "로마 출신 독일 조각가 코프 교수는 13세 된 딸을 데리고 있는데, 그녀는 내가 바라는 가장 훌륭한 헤드비그의 모델이다. 그녀는 아름답고 진지한 얼굴과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약간 탐욕스럽다."라고 썼다.[10][11] 마르타 코프의 흉상은 그녀의 훗날 남편 휴고 베르발트가 제작했다.

5. 1. 집필 배경

은 1884년 입센이 로마에서 『물오리』를 집필할 때 그를 오랫동안 방문했는데, 이 작품은 그의 가족에게서 영감을 받은 친밀한 분위기의 희곡이었다.[5] 이는 입센이 망명 생활을 하는 동안 스키엔 출신의 가족과 가진 유일한 만남이었다. 입센은 30년 전에 고향을 떠난 이후로 자신의 가족과 이렇게 가까이 지낸 적이 없었으며, 가족과 고향의 소식을 듣고 싶어했다. 이 만남 직후 입센은 작가의 슬럼프를 극복했다고 선언했다.[6]

로버트 퍼거슨은 『물오리』가 입센에게 쉽게 쓰인 작품이 아니었다고 지적한다. 집필 과정에서 노르웨이는 정치적 혼란에 시달렸고, 로마에서 자발적으로 망명 생활을 하던 입센은 "『물오리』와 같은 친밀하고 개인적인 작품의 힘이 노르웨이의 의회주의 도입에 대한 정치적 논쟁에 묻힐 수 있다"고 우려했다. 1884년 봄, 젊은 친척인 크리스토퍼 포스 백작이 입센을 로마에서 오랫동안 방문했다. 요르겐 하베는 "입센은 30년 전에 고향을 떠난 이후로 자신의 가족과 이렇게 가까이 지낸 적이 없었다"고 썼다.[5] 사실상 입센이 수십 년간 망명 생활을 하는 동안 가족과 가진 유일한 만남이었다. 입센은 스키엔에 있는 가족에 관한 소식을 듣고 싶어했다. 만남 직후 입센은 작가의 슬럼프를 극복했고 "전력을 다해 쓰고 있다"고 선언했다.[6] 1884년 여름, 그는 고센사스에서 이 희곡을 완성했다.

입센의 많은 작품에서처럼, 등장인물들은 그의 가족 구성원을 기반으로 하거나 그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그 정도는 다양하다. 올드 에크달은 대부분의 입센 학자들에게 입센이 아버지인 크누드 입센을 묘사한 가장 중요한 문학적 초상 중 하나로 여겨진다. 입센은 이전에 그의 아버지를 "욘 귄트"와 "다니엘 헤이레"라는 인물로 묘사했는데, 여기서 아들이 아버지의 낭비벽에 대해 내리는 평가는 가혹하고 비통했다. 그러나 올드 에크달이라는 인물에서 시인은 "쓸쓸한 크누드 입센"을 달래고 연민하는 방식으로 바라본다.[7]

입센 학자 욘 니고르에 따르면, 그레게르 베르레라는 인물은 포스 가문과 오버 텔레마르크의 정신을 나타내며, 이는 입센의 많은 작품에서 발견되는 더 넓은 주제이다. 니고르는 베르레가 수년간 살았던 회달스베르케가 오버 텔레마르크, 특히 회달스모를 명백하게 언급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입센의 조상인 폴 포스는 회달스모 스타브 교회를 소유했다.[8]

헤드비그라는 인물은 포스 가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헤드비그라는 이름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져 내려왔고, 특히 입센의 할머니인 헤데비그 포스와 누이인 헤드비그 입센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헤드비그에 대한 입센의 모델, 특히 그녀의 외모는 1884년 여름 고센사스에서 만난 13세 이탈리아 거주 독일 소녀 마르타 코프(1870년생)였으며, 그녀는 로마에 살고 있는 조각가 요제프 폰 코프의 딸이었다.[9] 입센은 아들 시구르 입센에게 보낸 편지에서 "로마 출신 독일 조각가 코프 교수는 13세 된 딸을 데리고 있는데, 그녀는 내가 바라는 가장 훌륭한 헤드비그의 모델이다. 그녀는 아름답고 진지한 얼굴과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약간 탐욕스럽다."라고 썼다.[10][11] 마르타 코프의 흉상은 그녀의 훗날 남편 휴고 베르발트가 제작했다.

5. 2. 등장인물과 실제 모델

헨리크 입센의 가족 구성원, 지인 등은 작품 속 등장인물의 모티브가 되었다. 늙은 에크달은 입센의 아버지 크누드 입센을 묘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입센은 이전에 아버지를 "욘 귄트"와 "다니엘 헤이레"라는 인물로 묘사하며 아버지의 낭비벽에 대해 가혹하고 비통하게 평가했다.[7] 그러나 올드 에크달이라는 인물에서는 "쓸쓸한 크누드 입센"을 달래고 연민하는 방식으로 바라본다.[7]

욘 니고르에 따르면, 그레게르 베를레는 포스 가문과 오버 텔레마르크의 정신을 나타낸다.[8] 베르레가 수년간 살았던 회달스베르케는 오버 텔레마르크, 특히 회달스모를 명백하게 언급하고 있다. 입센의 조상인 폴 포스는 회달스모 스타브 교회를 소유했다.[8]

헤드비히라는 인물은 포스 가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특히 입센의 할머니인 헤데비그 포스와 누이인 헤드비그 입센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헤드비히의 모델은 13세 이탈리아 거주 독일 소녀 마르타 코프(1870년생)였으며, 그녀는 로마에 살고 있는 조각가 요제프 폰 코프의 딸이었다.[9] 입센은 아들 시구르 입센에게 보낸 편지에서 "로마 출신 독일 조각가 코프 교수는 13세 된 딸을 데리고 있는데, 그녀는 내가 바라는 가장 훌륭한 헤드비그의 모델이다. 그녀는 아름답고 진지한 얼굴과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약간 탐욕스럽다."라고 썼다.[10][11]

6. 공연

''물오리''는 초연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로 공연 및 각색되었다.

6. 1. 초연

''물오리''는 1885년 1월 9일 노르웨이 베르겐에 있는 데엔 나시오날레 세네에서 초연되었다.[12]

6. 2. 영어 번역 및 공연

아서 호킨스가 제작하고 영어로 제작된 최초의 ''물오리''는 1918년 3월 11일 뉴욕 시의 플리머스 극장에서 개막했다. 3막으로 구성된 이 드라마는[13] 1918년 4월까지 공연되었다.[14]

배역배우
베를레도드슨 미첼[13]
그레게르 베를레해리 메스테이어[13]
늙은 에크달에드워드 코넬리[13]
샬마르 에크달라이오넬 애트윌[13]
지나 에크달에이미 베네스[13]
헤드비그알라 나지모바[13]
소르비 부인노라 라미슨[13]
렐링리스터 챔버스[13]
몰비크세인트 클레어 베이필드[13]
그라베르그아델버트 노트[13]
페테르센A. O. 훈[13]
옌센프레데릭 깁스[13]
뚱뚱한 신사월터 C. 윌슨[13]
머리숱이 적은 신사J. H. 라이트[13]
근시인 신사조지 페이지[13]



''야생 오리''의 최초 영어권 제작에서 헤드비그 역을 맡은 알라 나지모바 (1918)


''야생 오리''의 초연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에서 에이미 베네스 (지나 에크달), 알라 나지모바 (헤드비그) 및 에드워드 코넬리 (올드 에크달) (1918)


''야생 오리''의 초연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에서 라이오넬 아트윌 (히알마르 에크달), 알라 나지모바 (헤드비그), 에이미 베네스 (지나 에크달) 및 해리 메스타이어 (그레게르스 베를레) (1918)

6. 3. 각색

이 희곡은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 1926년 독일 무성 영화 거짓말의 집으로 각색되었다.[15]
  • 1963년 헨리크 입센의 손자 탄크레드 입센에 의해 영화로 제작되었다.[15]
  • 1968년 3월 7일 아일랜드 국영 공영 텔레비전 라디오 텔리피스 에렌에서 앤 로완, 매리언 리차드슨, 크리스토퍼 캐슨, T. P. 맥케나, 블라나이드 어바인, 제프리 골든, 모리스 굿이 출연하는 작품을 방영했다.[16][17][18]
  • 1971년 맥스 파버가 각색하고 앨런 브리지스가 연출한 텔레비전 드라마가 BBC의 이달의 연극 시리즈로 방영되었다.[19]
  • 1976년 한스 W. 가이센도르퍼가 쓰고 연출한 독일어 영화 버전이 개봉되었다.[20]
  • 1983년 투테 렘코우가 각색하고 앙리 사프란이 연출한 영어 영화 버전이 개봉되었으며, 제레미 아이언스와 리브 울만이 출연했다. 등장인물의 이름은 완전히 영어식으로 바뀌었다.[21]
  • 1989년 보 비더베르그는 토마스 폰 브롬센, 페닐라 아우구스트, 스텔란 스카스가드가 출연하는 3부작 스웨덴 TV 시리즈를 연출했다.[15]
  • 2015년 사이먼 스톤이 감독한 호주 영화 각색작 딸이 개봉되었다.[15]
  • 2018년 10월, 알메이다 극장에서 로버트 아이크가 제작한 이 희곡의 새로운 각색판을 무대에 올렸다.[15]

참조

[1] 서적 Masters of Drama Dover Publications
[2] 서적 An Enemy of the People; The Wild Duck; Rosmersholm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Henrik Ibsens ''Vildanden'' og evnen til å se https://www.operaen.[...] 2024-03-30
[4] 간행물 '"Modernism" in Modern Drama: A Definition and an Estimate' Cornell University Press
[5] 서적 Familien Ibsen Museumsforlaget
[6] 서적 Henrik Ibsen: mellom evne og higen Cappelen
[7] 간행물 Vildanden http://urn.nb.no/URN[...]
[8] 학술지 Henrik Ibsen og Skien: "... af stort est du kommen, og till stort skalst du vorde engang!" http://urn.nb.no/URN[...] 2012
[9] 웹사이트 Martha Kopf http://ibsen.uio.no/[...]
[10] 서적 Vildanden av Henrik Ibsen Aschehoug
[11] 편지 Letter to Sigurd Ibsen http://ibsen.uio.no/[...] 1884-08-27
[12] 서적 Ibsen in England http://archive.org/d[...] Boston, The Four Seas Company 1919
[13] 잡지 Mr. Hornblow Goes to the Play https://archive.org/[...] 1918-04
[14] 웹사이트 The Wild Duck https://www.ibdb.com[...] Internet Broadway Database 2017-05-20
[15] 웹사이트 Robert Icke is reimagining another classic at the Almeida https://www.standard[...] 2018-08-01
[16] 웹사이트 RTÉ Archives https://stillslibrar[...] 2012-07-05
[17] 웹사이트 RTÉ Archives https://stillslibrar[...] 2012-07-05
[18] 웹사이트 RTÉ Archives https://stillslibrar[...] 2012-07-05
[19] 웹사이트 The Wild Duck http://www.imdb.com/[...] 2019-07-26
[20] 웹사이트 The Wild Duck http://www.imdb.com/[...] 2019-07-26
[21] 서적 Ibsen, Strindberg and the Intimate Theatre: Studies in TV Presentation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