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므앙깔라신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므앙깔라신군은 태국 칼라신주의 군(Amphoe)이다. 1777년 비엔티안 왕국에서 피난 온 차오 쏨파밋이 정착하면서 시작되었고, 1791년 라마 1세의 지배를 받으면서 므앙칼라신으로 승격되었다. 1894년 차크리 개혁으로 우타이칼라신 군으로 개칭되었다가 1913년 므앙칼라신 군으로 변경되었다. 1931년에는 재정난으로 롭 군으로 개칭되었으나, 1947년 다시 므앙깔라신 군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른다. 퍼오강이 형성한 대지에 위치하며, 국도 227, 213, 209호선이 지난다. 17개의 땀본과 180개의 무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깔라신 시는 테사반 므앙으로 땀본 깔라신 전체를 관할한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쌀, 사탕수수, 타피오카 등을 생산한다. 칼라신은 "검은 물"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깔라신주의 군 - 양따랏군
    양따랏군은 정보 부족으로 위키백과 페이지 도입부 작성이 어려우며, 페이지 주제, 역사, 행정 구역 등 요약 및 원본 소스와 함께 "지리", "역사" 등 여러 섹션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 깔라신주의 군 - 나몬군
    나몬군은 태국 칼라신주의 군으로, 1973년 므앙 깔라신군에서 분리되어 하위 행정 구역으로 승격되었으며, 1988년 정식 군으로 승격되어 5개의 땀본과 66개의 무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므앙깔라신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공식 명칭므앙깔라신군
현지 명칭เมืองกาฬสินธุ์
로마자 표기Mueang Kalasin
언어태국어
라오어
태국 북동부어
위치태국 깔라신주
행정
국가태국
깔라신주
군 유형군 (암프)
설립정보 없음
하위 행정 구역Subdistrict
마을Muban
우편 번호46000
지리 코드4601
좌표16
통계
인구 (2005년)145,579명
인구 밀도224.0 명/km²
면적649.9 km²
기타
시간대ICT (+7)
웹사이트정보 없음

2. 역사

톤부리 왕조 시대인 1777년, 차오 쏨파밋(타오 쏨파밋)이 비엔티안 왕국 국왕 분야산을 피해 5,000여 명의 주민을 이끌고 이산 각지를 방랑하다가 현재의 므앙칼라신 지역인 반 껜삼롱에 도착했다.[1] 1791년, 라마 1세의 분야산 토벌 때 로이엣 국주의 지휘 아래 차오쏨폿이 원정에 참가하여 공을 세웠고, 라마 1세는 반 껜삼롱을 므앙칼라신으로 승격시키고 프라야 차이순톤의 관직을 내렸다.[1]

1894년, 차크리 개혁으로 프라야 차이순톤 (케)가 국주로 있던 시절 므앙칼라신은 군이 되어 우타이칼라신 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1913년 8월 1일, 칼라신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 칼라신 주가 되면서 같은 해 10월 17일 우타이칼라신 군은 므앙칼라신 군으로 개칭되었다.[1]

1931년, 라마 7세(쁘라차티폭)는 재정난과 세계 공황으로 인한 재정 지출 삭감으로 므앙칼라신 군을 롭 군으로 개칭하고 마하사라캄 주에 편입시켰다.[1] 1983년 롭 군은 칼라신 군으로 명칭을 변경했다.[1] 1943년 칼라신이 다시 주가 되었고, 1947년 칼라신 군은 다시 므앙칼라신 군이 되었다.[1]

3. 지리

인접 지역은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사하삿칸군, 솜뎃군, 나몬군, 돈찬군, 카말라사이군, 콩차이군, 양탈랏군, 그리고 농쿵시군이며, 모두 칼라신주에 속한다.

군은 퍼오강이 형성한 대지에 펼쳐져 있다. 퍼오강, 판강이 있다.

국도 227호선이 남북으로 통과하며, 남쪽으로 로이엣, 북쪽으로 판꼰 방면으로 이어진다. 국도 213호선이 북동쪽으로 뻗어 사콘나콘과 연결되며, 209호선이 서쪽으로 뻗어 콘깬 방면과 연결된다.

3. 1. 인접 지역

인접 지역은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사하삿칸군, 솜뎃군, 나몬군, 돈찬군, 카말라사이군, 콩차이군, 양탈랏군, 그리고 농쿵시군이며, 모두 칼라신주에 속한다.

3. 2. 교통

4. 행정 구역

므앙깔라신군은 17개의 땀본으로 나뉘며, 이 구역은 다시 180개의 무반으로 세분된다. 테사반 므앙 깔라신은 ''땀본'' 깔라신 전체를 관할한다. 3개의 테사반 땀본이 있는데, 농소는 람파오 ''땀본''과 람클롱 일부를, 나찬은 나찬 ''땀본''과 파이 및 푸포 일부를, 후아이포는 후아이포 ''땀본''을 관할한다. 또한 16개의 땀본 행정 기구(TAO)가 있다.

번호지명태국어 지명빌리지인구
1.깔라신-/กาฬสินธุ์th-37,929
2.느아-/เหนือth127,584
3.-/หลุบth1510,831
4.파이-/ไผ่th95,122
5.람파오-/ลำปาวth115,797
6.람판-/ลำพานth168,973
7.치앙크르아-/เชียงเครือth107,123
8.붕위차이-/บึงวิชัยth96,052
9.후아이포-/ห้วยโพธิ์th1711,222
11.푸포-/ภูปอth96,457
13.푸딘-/ภูดินth145,554
15.농쿵-/หนองกุงth84,827
16.클랑므언-/กลางหมื่นth124,697
17.카민-/ขมิ้นth116,405
19.폰통-/โพนทองth85,658
20.나찬-/นาจารย์th96,010
21.람클롱-/ลำคลองth105,338



빠진 번호는 현재 돈찬군을 이루는 ''탐본''이다.

4. 1. 땀본 목록

므앙깔라신군은 17개의 땀본으로 나뉘며, 이 구역은 다시 180개의 무반으로 세분된다. 테사반 므앙 깔라신은 ''땀본'' 깔라신 전체를 관할한다. 3개의 테사반 땀본이 있는데, 농소는 람파오 ''땀본''과 람클롱 일부를, 나찬은 나찬 ''땀본''과 파이 및 푸포 일부를, 후아이포는 후아이포 ''땀본''을 관할한다. 또한 16개의 땀본 행정 기구(TAO)가 있다.

번호지명태국어 지명빌리지인구
1.깔라신-/กาฬสินธุ์th-37,929
2.느아-/เหนือth127,584
3.-/หลุบth1510,831
4.파이-/ไผ่th95,122
5.람파오-/ลำปาวth115,797
6.람판-/ลำพานth168,973
7.치앙크르아-/เชียงเครือth107,123
8.붕위차이-/บึงวิชัยth96,052
9.후아이포-/ห้วยโพธิ์th1711,222
11.푸포-/ภูปอth96,457
13.푸딘-/ภูดินth145,554
15.농쿵-/หนองกุงth84,827
16.클랑므언-/กลางหมื่นth124,697
17.카민-/ขมิ้นth116,405
19.폰통-/โพนทองth85,658
20.나찬-/นาจารย์th96,010
21.람클롱-/ลำคลองth105,338



빠진 번호는 현재 돈찬군을 이루는 ''탐본''이다.

4. 2. 지방 자치 단체

므앙깔라신군은 17개의 탐본으로 나뉘며, 이들은 다시 180개의 무반으로 구성된다. 테사반 므앙인 깔라신은 탐본 깔라신 전체를 관할한다. 3개의 테사반 탐본이 있는데, 농소는 람파오 탐본 전체와 람클롱 일부를, 나찬은 나찬 탐본 전체와 파이 및 푸포 일부를, 후아이포는 후아이포 탐본 전체를 관할한다. 그 외 16개의 탐본 행정 기구(TAO)가 있다.

번호지명태국어 지명무반인구
1.깔라신กาฬสินธุ์th-37,929
2.느아เหนือth127,584
3.หลุบth1510,831
4.파이ไผ่th95,122
5.람파오ลำปาวth115,797
6.람판ลำพานth168,973
7.치앙크르아เชียงเครือth107,123
8.붕위차이บึงวิชัยth96,052
9.후아이포ห้วยโพธิ์th1711,222
11.푸포ภูปอth96,457
13.푸딘ภูดินth145,554
15.농쿵หนองกุงth84,827
16.클랑므언กลางหมื่นth124,697
17.카민ขมิ้นth116,405
19.폰통โพนทองth85,658
20.나찬นาจารย์th96,010
21.람클롱ลำคลองth105,338



빠진 번호는 현재 돈찬군을 이루는 탐본이다.

5. 경제

므앙깔라신 군의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쌀, 사탕수수, 타피오카 등이 생산된다.

6. 이름의 유래

1913년에 이 지역은 우타이 깔라신에서 므앙 깔라신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칼라신(Kalasin)은 "검은 물"을 의미한다. 이는 원래 칼라신의 중심지에 캄강(룸남깜/ลุ่มน้ำก่ำth)이라는 강이 흐르고 있었는데, 이는 현지 언어로 검은 강을 의미하며, 이를 라마 1세가 산스크리트어풍으로 표현한 것이다.

참조

[1] 간행물 http://www.ratchakit[...] 1913-10-19
[2] 간행물 แจ้งความกระทรวงมหาดไทย เรื่อง เปลี่ยนนามอำเภอ http://www.ratchakit[...] 2456-10-19
[3] 간행물 พระราชกฤษฎีกาเปลี่ยนนามจังหวัด และอำเภอบางแห่ง พุทธศักราช ๒๔๘๑ http://www.ratchakit[...] 2481-11-14
[4] 간행물 พระราชกฤษฎีกาเปลี่ยนชื่ออำเภอกาฬสินธุ์ พ.ศ. ๒๔๙๐ http://www.ratchakit[...] 2490-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