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강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강류는 크기가 0.02~10cm의 벌레 모양을 한 연체동물로, 발이 없고 껍질 대신 석회질 가시로 덮인 외투막을 가지고 있다. 부드러운 퇴적토에 구멍을 파고 살며, 유기성 부스러기를 섭취한다. 털배덮개조개과, 낫배덮개조개과, 매끈홈조개과, 참털배덮개조개과, 방패발조개과 등 5개의 과에 약 150종이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판류 - 구복류
구복류는 가늘고 긴 형태의 해양 무척추동물로, 전 세계에 약 60속 200종이 존재하며, 자웅동체이고 자포동물을 먹이로 하며, 과거 척삭동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4개 목으로 분류된다.
미강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연체동물문 |
강 | 무판강 |
아강 | 미강아강 (Caudofoveata) |
하위 분류 | |
과 | 가시벌레조개과 (Chaetodermatidae) Falcidentidae Limifossoridae Metachaetodermatidae Prochaetodermatidae Scutopidae |
2. 해부학적 특징
미강류는 크기가 0.02cm–10cm에 달하는 벌레 모양의 연체동물이다. 한 종인 Chaetoderma felderi는 최대 36.5cm까지 자랄 수 있다. 발은 완전히 없으며, 껍질 대신 외투막이 경골이라고 하는 석회질 가시로 덮여 있다.
미강류는 부드러운 퇴적토에 구멍을 파고 서식한다. 입 부분만 밖으로 내놓은 채 퇴적토 속에 수직으로 몸을 세우고, 주변을 지나가는 유기물 조각을 걸러 먹는다.[1] 생식할 때 암컷은 수정된 알을 낳아 품으며, 알에서 깨어난 유생은 자유롭게 헤엄쳐 다닌다.[1]
꼬리배 덮개강은 다음 과와 속으로 구성된다:
3. 생태
4. 분류
현재까지 15개의 속에 약 150종이 알려져 있다.
참조
[1]
논문
Evidence for a clade composed of molluscs with serially repeated structures: monoplacophorans are related to chitons
2006-05
[2]
논문
Historical and biomechanical analysis of integration and dissociation in molluscan feeding,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true limpets (Patellogastropoda: Gastropoda)
[3]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Caudofoveata (Mollusca) challenges traditional views
https://linkinghub.e[...]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