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제2보병사단의 전투 서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제2보병사단은 미 육군의 사단으로, 1917년 창설되어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 여러 전쟁에 참전했다. 전후에는 한국에 주둔하며 한미 연합사단으로 편성되어, 한국군과 함께 한반도 방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사단은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여단 전투단 체제로 전환되었으며, 현재는 제2전투항공여단, 제210화력여단, 제501지원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2. 역사

2. 1. 제1차 세계 대전

제2보병사단 본부는 1917년 10월 26일 프랑스에서 창설되었다.[1] 본부대(Headquarters Troop, 2nd Infantry Division)는 1917년 10월 8일 버몬트주 포트 에단 앨런에서 창설되었으며,[2] 1921년 2월 18일 본부 및 헌병중대 (Headquarters and Military Police Company)로 개편되었다.[2]

제3보병여단은 1917년 8월 11일 뉴욕주 시러큐스에서 창설되어 1939년 10월 9일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서 해산될 때까지 존속하였다.[3] 제3보병여단은 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제9보병연대, 제23보병연대, 제5기관총대대(5th Machinegun Battalion)로 구성되었다.

제4해병여단은 1917년부터 1919년까지 제2보병사단에 배속되어 제5해병연대, 제6해병연대, 제6기관총대대(6th Machinegun Battalion)로 구성되었다.

제2야전포병여단은 1917년 10월 뉴욕주 거버너스섬에서 창설되었으며,[4] 제12야전포병연대 (75mm 대포), 제15야전포병연대 (75mm 대포), 제17야전포병연대 (155mm 곡사포), 제2참호박격포포대(2nd Trench Mortar Battery)로 구성되었다.

사단 Train으로는 제2탄약(2nd Ammunition Trains), 제2보급(2nd Supply Trains (Motor))[5], 제2위생(2nd Sanitary Trains)[6], 제2공병(2nd Engineer Trains)[7]이 있었다. 제2위생 Train은 제2야전병원중대(Field Hospital Company #2)와 구급차중대(Ambulance Company)로 구성되었다.

지원부대로는 제2기병연대가 1918년 7월 18일부터 8월 6일까지 제1, 2보병사단을 지원하였다.

2. 2. 전간기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제2보병사단 본부 및 헌병파견대는 1921년 2월 18일 본부중대에서 개편되었다.[2] 1920년 4월 8일, 병참대(Quartermaster Corps영어)가 사단에 배속되었다.[8] 초기에는 제343기계공작화물차부대(Machine Shop Truck Unit #343영어)가 워싱턴 D.C. 캠프 메이그스에서, 제348기계공작화물차부대(Machine Shop Truck Unit #348영어)가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서 창설되었다. 1921년에 이 두 부대는 제3차량수리반(Motor Repair Section Number 3영어)으로 대체되었고, 1936년 5월 1일에는 제2병참연대 E중대로 다시 대체되었다. 1939년에는 제2병참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정비소대로 재편성되었다.[8]

사단 특수병력으로, 제2의무대대(2nd Medical Regiment영어)는 1921년 2월 17일 제2의무 Trains에서 연대로 개편되었다가 1939년 10월 10일 대대로 다시 개편되었다.[6] 제2공병대대(2nd Engineer Battalion영어)는 1939년 10월 16일 제2공병연대 1대대에서 개편 및 연대 해체와 함께 창설되었다.[7] 제2보급대대(2nd Supply Battalion영어)는 1939년 제2보급 Trains (Motor)에서 대대로 개편되었다.[5]

제3보병여단은 1939년 10월 9일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서 해산되었다.[3] 제4보병여단은 1920년 10월 텍사스주 캠프 트라비스에서 창설되었다가 1925년 3월 23일 사단에서 분리되었다.[9] 제2야전포병여단은 1938년 10월 7일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서 해산되었다.[4]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후기 1944년 12월 20일 당시의 제2보병사단 전투 서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제2보병사단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벌지 전투 등 유럽 전선의 주요 전투에서 활약하였다.[11]

제2보병사단 본부는 1942년 8월 1일에 개편되었다.[1] 본부중대는 1942년 4월 22일에 개편되었고,[2] 제2수색대(기계화)가 편제되었다. 보병 연대로는 제9보병연대, 제23보병연대, 제38보병연대가 있었다.

사단 포병대는 1940년 10월 1일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서 재소집되었으며,[4] 제15야전포병대대(105mm), 제37야전포병대대(MLRS), 제38야전포병대대(MLRS), 제12야전포병대대(155mm)로 구성되었다.

사단 특수병력 본부는 1943년 8월 10일 위스콘신주 캠프 맥코이에서 창설되었으며,[10] 제2공병전투대대,[7] 제2의무대대,[6] 제2병참중대,[5] 제2통신중대, 제702병기경정비중대, 헌병소대, 군악대가 포함되었다. 제702병기경정비중대는 1942년 9월 제2병참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정비소대를 개편한 것이다.[8]

제2보병사단에는 제741전차대대(1944년 6월 ~ 1945년 5월), 제615구축전차대대, 제644구축전차대대, 제462대항공기대대가 배속 지원되었다.[11]

2. 4. 한국 전쟁

2. 5. 냉전 시대

2. 6. 탈냉전 시대

2. 7. 2000년대 이후 ~ 현재

2000년대 이후 미국 제2보병사단은 구조 개편과 현대화를 거쳤다. 특히, 여단 전투단(BCT) 체제로 전환하여 전투 효율성을 높였다.[15] 2005년에는 여단 전투단 체계 도입으로 사단이 완전히 재편성되면서 공병여단은 해체, 포병대는 제210화력여단, 항공여단은 제2전투항공여단으로 모듈화되었다.[15]

2014년 3월 14일, 제4여단전투단이 해산되고 예하 부대는 같은 사단의 다른 여단전투단으로 분산되었다.[15] 2015년 7월에는 제1기갑여단전투단이 해체되고, 미국 본토의 다른 기갑 여단전투단이 6개월 간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한반도 방어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16] 이는 1965년 7월부터 약 50년간 지속된 제1기갑여단전투단의 한반도 방어 임무가 종료되었음을 의미한다. 2015년 9월에는 제3여단전투단이 제1여단전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3. 편성

3. 1. 시대별 편성

미국 제2보병사단은 창설 이후 여러 차례 편제 개편을 거쳤다.

  • 제1여단전투단 ("Iron영어"): 2005년 6월 16일에 여단 전투단으로 개편[2]되었다가 2015년 7월 해산하였다. 예하 부대로는 제7기병연대 4전대, 제72기갑연대 1대대, 제9보병연대 2대대, 제15야전포병연대 1대대, 제302여단지원대대[6], 여단특수병력대대(2005년 6월 16일 ~ ?, 해체)[17]가 있었다.

20px

  • 제2여단전투단 ("Strike Force영어/Lancer영어"): 2005년 11월 16일에 여단 전투단으로 개편[18]되었다가 2008년 3월 15일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에서 해체되었다.[18] 예하 부대로는 본부 및 특수병력대대(2005년 12월 7일 창설 ~ 2008년 3월 15일 해체)[18], 제9보병연대 1대대, 제12보병연대 2대대, 제61기병연대 3전대, 제17포병연대 2대대, 제2여단지원대대(2008년 4월 8일 해체)[5],
    20px
    제52보병연대 A중대, 제38공병중대, 제472통신중대, 제45군사정보중대가 있었다.

제2여단 전투단의 문장

  • 제3여단전투단 ("Arrowhead영어/Raiders영어/Ghost영어"): 2005년 7월 27일에 여단 전투단으로 개편[3]되었다가 2015년 9월 제1여단전투단으로 재조정(Reflagged영어)되었다. 예하 부대로는 특수병력대대, 제3보병연대 2대대, 제20보병연대 5대대, 제23보병연대 1대대, 제14기병연대 1전대, 제37야전포병연대 1대대, 제296여단지원대대[13], 제52보병연대 C중대, 제18공병중대, 제334통신중대, 제209군사정보중대가 있었다.

제3여단 전투단의 문장

  • 제4여단전투단 ("Raiders영어"): 2006년 창설되었다가 2014년 4월 해산하였다. 예하 부대로는 특수병력대대,
    20px
    제9보병연대 4대대,
    20px
    제23보병연대 2대대,
    20px
    제38보병연대 1대대,
    20px
    제1기병연대 2전대, 제12야전포병연대 2대대, 제202여단지원대대(2006년 창설 ~ 2009년 해산), 제702여단지원대대(2009년, 202를 대채함 ~ 2014년 4월 해산)[8], 제52보병연대 F중대 (대전차), 제38공병중대, 제472통신중대,
    20px
    제45군사정보중대가 있었다.

제4여단 전투단의 문장

  • 제5여단전투단 ("Strike, Destroy영어"): 2007년 5월 4일부터 2010년 7월 22일까지 존속하다가 제2여단전투단으로 재조정(Reflagged영어)되었다.[19] 예하 부대로는 특수병력대대, 제1보병연대 2대대, 제17보병연대 1대대, 제23보병연대 4대대, 제1기병연대 8전대, 제17야전포병연대 3대대, 제402여단지원대대, 제52보병연대 A중대 (대전차), 제562공병중대, 제21통신중대, 제572군사정보중대가 있었다.

제2전투항공여단의 문장

3. 2. 기능별 편성

미국 제2보병사단은 예하 부대를 기능별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1][2][3]

  • 사단 본부 및 본부대대: 2010년 5월 16일 개편되었으며,[1] 본부중대, 워리어 신속대응 센터, 사단 군악대로 구성된다.
  • 제2보병사단 전투항공여단: 제2항공연대 1, 2, 3, 4대대와 제602항공지원대대,[14] 제164항공통제근무단으로 구성된다.
  • 제210화력여단: 2006년 11월 30일 제2화력여단에서 재조정되었으며,[20] 제37야전포병연대 6대대, 제38야전포병연대 1대대, 제70여단지원대대, 제579통신중대로 구성된다. 제702여단지원대대는 2005년 5월 26일 전속되었다가 2007년 9월 해산되었다.[8]
  • 제501지원여단: 2006년 10월 13일 개편되어 2015년 12월 17일 사단 지원여단으로 개편되었다. 제501특수병력대대(본부 및 본부중대, 캠프 캐롤), 제194전투유지지원대대(본부 및 본부중대, 캠프 험프리스, 제46수송중대, 캠프 스텐리, 제61정비중대, 캠프 스텐리, 제348병참중대, 캠프 험프리스, 제520정비중대, 캠프 험프리스), 제498전투유지지원대대(본부 및 본부중대, 캠프 캐롤, 제551내지화물수송중대, 캠프 캐롤)로 구성되었다. 제498전투유지지원대대는 2015년 12월 17일 주한 물자지원사령부(MSC-K)로 전속되었다.


과거에는 기갑, 스트라이커 부대 기반의 여단전투단들이 편제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해산되거나 재편성되었다.

  • 제1여단전투단(중장비/기갑): 2005년 6월 16일 여단 전투단화[2]되었다가 2015년 7월 해산되었다.
  • 제2여단전투단(스트라이커): 2005년 11월 16일 여단 전투단화되었다가 2008년 3월 15일 해체되어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으로 이동하였다.[18]
  • 제3여단전투단(스트라이커): 2005년 7월 27일 여단 전투단화[3]되었다가 2015년 9월 제1여단전투단으로 재조정(Reflagged영어)되었다.
  • 제4여단전투단(스트라이커): 2006년 창설되었다가 2014년 4월 해산되었다.
  • 제5여단전투단: 2007년 5월 4일부터 2010년 7월 22일까지 존속하다가 제2여단전투단으로 재조정(Reflagged영어)되었다.[19]


이러한 부대 개편은 변화하는 안보 환경과 작전 요구에 따라 미 육군의 전력 구조를 최적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3. 3. 한미 연합사단

제2보병사단은 미 육군한국군 부대가 연합되어 한미 연합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2][17][6][18][5][3][13][8][19][20][14] 이 연합사단은 예하 여러 부대로 구성된다.

  • 제1여단전투단은 2005년 6월 16일에 여단 전투단화되었으나[2] 2015년 7월 해산되었다.
  • 제2여단전투단은 2005년 11월 16일에 여단 전투단화되었으나[18] 2008년 3월 15일 해체되었다.
  • 제3여단전투단은 2005년 7월 27일에 여단 전투단화되었고[3], 2015년 9월에 제1여단전투단으로 재조정되었다.
  • 제4여단전투단은 2006년에 창설되었으나 2014년 4월 해산되었다.
  • 제5여단전투단은 2007년 5월 4일에 창설되었으나[19] 2010년 7월 22일, 제2여단전투단으로 재조정되었다.
  • 제2보병사단 전투항공여단은 항공 지원을 담당한다.
  • 제210화력여단은 2006년 11월 30일에 제2화력여단에서 재조정되었다.[20]
  • 제501지원여단은 2006년 10월 13일에 개편되었고, 2015년 12월 17일 사단 지원여단으로 개편되었다.


|섬네일|제210야전포병여단의 어깨 소매 휘장]]

|섬네일|제501지원여단의 어깨 소매 휘장]]

|섬네일|제2여단 전투단의 문장]]

|섬네일|제3여단 전투단의 문장]]

|섬네일|제4여단 전투단의 문장]]

4. 주둔지

4. 1. 한국 내 주둔지

4. 2. 한국 외 주둔지

5. 대한민국과의 관계

5. 1. 역사적 관계

5. 2. 안보 협력

5. 3. 사회문화적 교류

6. 논란 및 비판

6. 1. 주한미군 관련 문제

6. 2. 전시 작전 통제권 전환 문제

6. 3. 기타 논란

참조

[1] 웹인용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alion, 2d Infantry Division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2-10
[2] 웹인용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1st Brigade, 2d Infantry Division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2-10
[3] 웹인용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3d Brigade, 2d Infantry Division (Arrowhead Brigade)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2-10
[4] 웹인용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2d Infantry Division Artillery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2-10
[5] 웹인용 2nd Brigade Support Battalion http://www.globalsec[...] 2017-02-05
[6] 웹인용 302nd Brigade Support Battalion http://www.globalsec[...] 2017-02-05
[7] 웹인용 2d Engineer Battalion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2-10
[8] 웹인용 702nd Brigade Support Battalion http://www.globalsec[...] 2017-02-05
[9] 웹인용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2d Brigade, 2d Infantry Division (Lancer Brigade)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2-10
[10] 웹인용 Special Troops Battalion, 2d Infantry Division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1-31
[11] 웹인용 Order of Battle of the United States Army World War II: European Theater of Operaions - Divisions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4-11-07
[12] 웹인용 Order of Battle as of 31 December 2000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4-09-12
[13] 웹인용 296th Brigade Support Battalion http://www.globalsec[...] 2017-02-05
[14] 웹인용 602nd Brigade Support Battalion http://www.globalsec[...] 2017-02-05
[15] 웹인용 4-2 SBCT Inactivation http://www.dvidshub.[...] DVIDS 2014-09-19
[16] 뉴스 Rotational Force will arrive for deactivating 1st Armored Brigade Combat Team http://www.army.mil/[...] 8 군 공사 사무국 2014-11-07
[17] 웹인용 Special Troops Battalion, 1st Brigade Combat Team, 2d Infantry Division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2-08
[18] 웹인용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2nd Brigade Combat Team, 2d Infantry Division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2-08
[19] 뉴스 5th Bde., 2nd Inf. Div. reflags, redirects https://www.army.mil[...] 2017-02-08
[20] 웹인용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210th Fires Brigade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