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01지원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01지원여단은 미국 육군 부대로, 1944년 잉글랜드에서 제501병참대대로 창설되었다. 유럽 전선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 중 공훈부대표창과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을 받았다.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는 제2보병사단 지원여단으로 개편되었다. 현재는 특수 병력 대대, 제194 사단 지원 지원 대대, 제11 공병 대대, 제23 화생방 대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지원여단 -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은 1966년 서울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주한 육군야전지원대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대한민국 캠프 험프리스와 일본 요코하마 북부부두에 주둔하는 미국 육군 소속 부대이다. - 미국 육군의 지원여단 - 제528지원여단
제528지원여단은 미국 육군 특수작전부대를 지원하는 부대로, 다양한 분쟁 참전 및 개편을 거쳐 특수작전부대에 대한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 1968년 폐지 - 대한민국 공보부
대한민국 공보부는 1961년부터 1968년까지 정부 정책 홍보, 언론 통제, 문화 검열, 해외 홍보, 방송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국정 홍보에 기여한 정부 부처였다. - 1968년 폐지 - 제10군단 (미국)
제10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태평양 전선과 인천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미국 본토 북서부 지역의 육군 예비군 부대 훈련을 담당하다 1968년 해체되었다. - 1958년 폐지 - 대한국민당 (1948년)
대한국민당은 이승만 지지 세력이 창당 후 윤치영을 중심으로 재창당되어 원내 제1당으로 부상했으나, 자유당 창당과 이승만의 권위주의 통치 강화로 쇠퇴하여 자유당에 흡수, 해산되었으며, 일민주의를 당의 강령으로 삼았다. - 1958년 폐지 - 시리아 공화국
시리아 공화국은 1930년 프랑스 위임 통치 하에 시리아 국가에서 시작되어 1946년 독립을 달성했으나, 쿠데타와 정권 교체를 겪었으며, 1963년 바트당의 쿠데타로 일당 독재 체제가 구축되었다.
제501지원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활동 기간 | 1986년 4월 16일 – 2015년 7월 7일 (제501지원여단) 2015년 7월 7일 - 현재 |
국가 | 미국 |
군종 | 미국 육군 |
종류 | 군수지원여단 |
규모 | 여단 |
지휘 구조 |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 |
주둔지 | 캠프 험프리스, 대한민국 |
참전 | |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
지휘관 | |
상징 | |
2. 역사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잉글랜드에서 제501병참대대로 창설된 이 부대는, 프랑스와 독일을 거쳐 유럽에서의 승리의 날을 맞이하고 유럽-아프리카-중동 전역 스트리머를 수여받았다. 1945년 미국 본토로 복귀한 후, 1950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훈부대표창과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을 받는 등 큰 활약을 펼쳤다.
1958년 한국에서 해산되었던 부대는 1966년 제501야전창으로 재창설되어 태국에서 주태 미국 육군 지원대 예하 제9군수사령부 소속으로 활동하다 1968년 다시 해산되었다. 이후 1986년 용산 기지에서 제501지원단(군단)으로 재창설되어 캠프 레드 클라우드를 거쳐 2006년 캠프 캐롤로 이동, 현재의 제501지원여단으로 개편되었다.
2015년 7월 10일, 여단은 제2보병사단 지원여단 (2ID Sustainment Brigade영어)으로 개편함으로써 사단 직할부대가 되었다. 이 행사 후 제94헌병대대는 제19원정지원사령부로, 제498전투유지지원대대는 MSC-K로 전속되었다.[2]
2. 1. 창설과 초기 유럽 활동 (1944년 ~ 1945년)
1944년 7월 24일 잉글랜드에서 ''제501병참대대''로 창설되어 활동을 시작했다.[2] 1944년 10월 28일 프랑스로 이동하였고, 이후 독일에 진입하여 유럽에서의 승리의 날을 맞이하고 유럽-아프리카-중동 전역 스트리머를 수여받았다.[2] 1945년 7월 8일 미국 본토로 돌아가 버지니아주 캠프 리에 주둔하였다.[2]2. 2. 한국 전쟁 참전과 활약 (1950년 ~ 1958년)
1950년 1월 20일 제8군에 배속되어 한반도에 배치되었으며,[2]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훈부대표창,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여받았다.[2] 1958년 1월 21일 대한민국에서 해산하였다.[2]한국 전쟁에서의 활약으로 우수부대 표창,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 받았으며, 부대참전기는 다음과 같다.
참전 내역 |
---|
제2차 한국 겨울 |
1952년 한국 여름-가을 |
제3차 한국 겨울 |
1953년 한국 여름 |
2. 3. 재창설과 태국 주둔 (1966년 ~ 1968년)
1966년 4월 7일, 부대는 "제501야전창"으로 재편되었고, 같은 해 6월 1일 일리노이주 그라니트시 육군창에서 다시 활동을 시작하였다.[2] 1967년 1월 8일 주태 미국 육군 지원대 예하 제9군수사령부에 배속되어 태국에 1년간 주둔하였으며,[2] 이듬해 1968년 10월 20일 활동을 중단하였다.[2]2. 4. 한반도 복귀와 군수 지원 임무 수행 (1986년 ~ 현재)
1986년 4월 16일, 용산 기지에서 "''제501지원단 (군단)''"으로 재창설되었다. 1991년 1월 28일 캠프 레드 클라우드로 이동하였고, 2006년 10월 13일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캠프 캐롤로 이동하여 제501지원여단이 되었다.[2] 2013년 12월 17일, 제501지원여단은 한반도 전체에서 최고의 지원여단으로 인정받았다.3. 부대
제501지원여단의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특수 병력 대대
- 본부 및 본부 중대 (HHC)
- 제229통신중대
- 제581병참중대
- 제19인사중대
- 제194 사단 지원 지원 대대 (구 제194정비대대)
- HHC
- 제61정비중대
- 알파 중대 (구 제348병참중대)
- 브라보 중대 (구 제520정비중대)
- 찰리 중대 (구 제46수송중대)
- 제11공병대대
- 본부 및 본부 중대 (HHC)
- 전방 지원 중대
- 제55기동증강중대
- 제630제독중대
- 제643공병지원중대
- 제814다목적교량중대
- 제23화생방대대
- 제4화생방중대
- 제61화생방중대
- 제62화생방중대
- 제501화생방중대 (기술 호송)
- 제718병기중대 (폭발물 처리)[1]
3. 1. 제501군단지원단 (1986년 ~ 2006년)
1986년 4월 16일, 제501지원단이 재창설되었고, 대한민국 용산에서 제501지원단(군단)으로 지정되었다. 1991년 2월 28일, 제501지원단(군단)은 캠프 레드 클라우드로 이동했다.[1] 2006년 10월 13일, 제501지원여단으로 개편되기 전까지 제501군단지원단은 다음 부대로 구성되었다.[1]부대 | 역할 |
---|---|
본부 및 본부중대 | |
제498군단지원대대 | |
제46수송중대 | |
제61정비중대 | |
제293병참분견대 | |
제305병참지원중대 | |
제473야전근무중대 | |
제595정비중대 |
3. 2. 제501지원여단 (2006년 ~ 2015년)
2006년 10월 13일, 제501지속지원여단으로 개편되었고, 대구 인근 캠프 캐럴로 이동했다.[3] 2013년 12월 17일, 제501지속지원여단은 한반도 전체에서 최고의 지속지원여단으로 인정받았다.[3]당시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3]
부대 | 주둔지 |
---|---|
제501특수병력대대 | 캠프 캐럴 |
* 본부 및 본부중대 | 캠프 캐럴 |
* 제176재무중대 | 캠프 험프리스 |
제194전투유지지원대대 (옛 제194정비대대) | 캠프 험프리스 |
* 본부 및 본부중대 | 캠프 험프리스 |
* 제46수송중대 | 캠프 스탠리 |
* 제61정비중대 | 캠프 스탠리 |
* 제348병참중대 | 캠프 험프리스 |
* 제520정비중대 | 캠프 험프리스 |
제498전투유지지원대대 (옛 제227정비대대) | 캠프 캐럴 |
* 본부 및 본부 중대 | 캠프 캐럴 |
* 제551내지화물수송중대 | 캠프 캐럴 |
* 제595정비중대 | K-16 |
제94헌병대대 | 용산기지 |
* 본부 및 본부중대 | 용산기지 |
* 제188헌병중대 | 캠프 캐럴, 워커, 헨리 |
* 제557헌병중대 | 캠프 험프리스 |
* 제55헌병중대 | 캠프 케이시 |
* 제142헌병중대 | 용산기지 |
* 제249헌병분견대 | 캠프 험프리스 |
3. 3. 현재 예하 부대 (영어 문서 기반)
- 제501특수병력대대
- * 본부 및 본부중대, 캠프 캐럴
- * 제176재무중대, 캠프 험프리스
- 제194전투유지지원대대 (옛 제194정비대대)
- * 본부 및 본부중대, 캠프 험프리스
- * 제46수송중대, 캠프 스텐리
- * 제61정비중대, 캠프 스텐리
- * 제348병참중대, 캠프 험프리스
- * 제520정비중대, 캠프 험프리스
- 제498전투유지지원대대 (옛 제227정비대대)
- * 본부 및 본부중대, 캠프 캐럴
- * 제551내지화물수송중대, 캠프 캐럴
- * 제595정비중대, K-16
- 제94헌병대대, 용산기지
- * 본부 및 본부중대, 용산기지
- * 제188헌병중대, 캠프 캐럴, 워커, 헨리
- * 제557헌병중대, 캠프 험프리스
- * 제55헌병중대, 캠프 케이시
- * 제142헌병중대, 용산기지
- * 제249헌병분견대, 캠프 험프리스[3]
- 특수 병력 대대
- * 본부 및 본부중대 (HHC)
- * 제229통신중대
- * 제581병참중대
- * 제19인사중대
- 제194 사단 지원 지원 대대 (구 제194정비대대)
- * HHC
- * 제61정비중대
- * 알파 중대 (구 제348병참중대)
- * 브라보 중대 (구 제520정비중대)
- * 찰리 중대 (구 제46수송중대)
- 제11공병대대
- * 본부 및 본부중대 (HHC)
- * 전방 지원 중대
- * 제55기동증강중대
- * 제630제독중대
- * 제643공병지원중대
- * 제814다목적교량중대
- 제23화생방대대
- * 제4화생방중대
- * 제61화생방중대
- * 제62화생방중대
- * 제501화생방중대 (기술 호송)
- * 제718병기중대 (폭발물 처리)
4. 기록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와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
4. 1. 스트리머
공훈부대표창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