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특허분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특허분류(UPC)는 미국에서 사용되는 특허 분류 시스템으로, 클래스와 서브클래스로 구성되며, 청구항을 중심으로 분류가 이루어진다. UPC는 클래스(3자리)/서브클래스(3자리) 형태로 표기되며, 도트(Dot)를 사용하여 계층 구조를 나타낸다. 한국과 달리 디자인 분류를 포함하며, 디자인 분류는 'D'로 시작한다. UPC는 1831년부터 사용되었으며, 국제특허분류(IPC)와 차이가 있어 미국 특허 조사의 경우 IPC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허 분류 - 선진특허분류
    선진특허분류(CPC)는 유럽 및 미국 특허청이 공동 개발한 25만 개 이상의 범주를 가진 특허 분류 시스템으로, 여러 국가 특허청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 특허 분류 - 국제특허분류
    국제특허분류(IPC)는 특허 문헌 검색 및 분석을 위해 기술 분야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시스템으로, 8개의 섹션과 계층 구조, 고유한 기호 조합을 가지며, 스트라스부르 협정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특허분류
개요
명칭미국 특허 분류
원어 명칭United States Patent Classification (USPC)
유형특허 분류 시스템
관리 기관미국 특허 상표청(USPTO)
상세 정보
설명미국 특허 상표청에서 특허 문서를 구성하고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분류 시스템이다.
특징특허의 주제에 따라 특허 문서를 여러 클래스와 서브클래스로 나눈다.
목적심사관, 변리사, 발명가가 특허 컬렉션 내에서 관련 문서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중요성특허 검색 및 심사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역사1836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그 이후 여러 번 개정되었다.
대체 시스템국제 특허 분류 (IPC)
협동 특허 분류 (CPC)
참고 문헌미국 특허 상표청 웹사이트
특허 분류 매뉴얼

2. UPC 구조

미국특허분류(UPC)는 기술 분야를 체계적으로 나누기 위해 클래스(Class)서브클래스(Subclass)로 구성된다. 클래스와 서브클래스는 사선(/)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서브클래스 간의 세부적인 계층 구조는 서브클래스 번호 앞에 찍힌 도트(Dot)의 개수로 나타낸다. 도트가 많을수록 더 하위 계층에 속하며, 바로 위 상위 계층은 도트 개수가 하나 적은 가장 가까운 서브클래스가 된다.

기본적인 '클래스/서브클래스' 형식 외에도, 기존 분류를 더 세분화하기 위한 변형된 표기 형식들이 존재한다. 여기에는 특정 서브클래스에 속하지 않는 기술을 모은 'Digest', 심사관이 세분화한 'Alpha Subclass', 그리고 소수점을 사용하여 세분화한 'Dot' 형식이 있다.

또한, 한국과 달리 미국은 디자인 분류를 UPC 체계 안에 포함하고 있으며, 디자인 분류는 클래스 번호 앞에 영문자 'D'를 붙여 구분한다.[1]

2. 1. 계층 구조

UPC는 클래스(Class)와 서브클래스(Subclass)로 구성되어 있고 클래스와 서브클래스는 사선(/)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면 다음 표와 같다.

UPC 기본 표기형식
구분계층구조
Class349Liquid crystal cells, elements and systems particular structure
SubClass56Paticular structure
SubClass84· Having significant detail of cell structure only
SubClass104· · Filter
SubClass106· · · Color filter



대부분 특허분류에서는 도트(Dot) 개수로 계층 구조를 표시하는데, 미국특허분류(UPC)에서도 도트(Dot)를 사용한다. 위 표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도트(Dot)가 계층 구조의 앞에 표시된다. 이러한 도트(Dot)는 한 개 적은 도트를 갖는 가장 가까운 상위 서브클래스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분류 349/106은 도트 개수가 3개이고, 도트가 하나 적은 가장 가까운 상위 서브클래스인 349/104에 포함된다. 또한, 349/104는 도트가 하나 적은 가장 가까운 상위 서브클래스인 349/84에 포함되고, 349/84는 349/56에 포함된다. 따라서 미국특허분류 349/106은 도트 개수가 하나씩 적은 서브클래스 104, 84, 56을 하나의 연속된 계층 구조로 보아야 한다.

미국특허분류(UPC)는 '클래스(3자리)/서브클래스(3자리)'로 표시되는 것이 기본이지만, 변형된 형식도 존재한다. 변형된 형식은 대부분 기존 특허분류를 더 세분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다.

UPC 기타 표기형식
종류설명표기형식 예
Digest클래스에는 속하나 어떤 서브클래스에도 속하지 않는 것을 분류한 것DIG7
Alpha Subclass미국 심사관들이 기존 서브클래스를 세분화하여 분류한 것15R
Dot미국 심사관들이 기존 서브클래스를 세분화하여 분류한 것156/62.6



한국의 경우 디자인분류는 특허분류와 별개의 분류 체계를 가지고 있으나, 미국은 UPC에 디자인분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디자인분류는 영문자 'D'가 붙어있다.[1]

2. 2. 기타 표기 형식

미국특허분류(UPC)는 일반적으로 '클래스(3자리)/서브클래스(3자리)' 형식으로 표시되지만, 이 외에도 변형된 표기 형식이 존재한다. 이러한 변형 형식은 대부분 기존 특허분류를 더 세분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다.

UPC 기타 표기 형식
종류설명표기 형식 예
Digest클래스에는 속하지만 특정 서브클래스에는 속하지 않는 기술을 분류한 것DIG7
Alpha Subclass미국 심사관들이 기존 서브클래스를 추가로 세분화하여 분류한 것15R
Dot (소수점)미국 심사관들이 기존 서브클래스를 추가로 세분화하여 분류한 것 (소수점 사용)156/62.6



또한, 한국의 경우 디자인 분류는 특허분류와 별개의 분류 체계를 가지고 있으나, 미국은 UPC에 디자인 분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디자인 분류는 클래스 번호 앞에 영문자 'D'가 붙어있다.[1]

2. 3. 디자인 분류

한국의 경우 디자인 분류는 특허분류와 별개의 분류 체계를 가지고 있으나, 미국은 미국특허분류(UPC)에 디자인 분류가 포함되어 있다. 미국의 디자인 분류는 클래스 번호 앞에 영문자 'D'가 붙어 표시된다.[1]

3. UPC 분류 기준

미국특허분류(UPC)는 국제특허분류 (IPC)와 분류 기준에서 차이를 보인다. IPC가 발명의 응용(Application)과 기능(Function)을 함께 고려하는 절충적인 관점을 취하는 것과 달리, UPC는 청구항을 중심으로, 즉 기능 지향적인 관점에서 분류를 결정한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특허 조사 시 어떤 분류 체계를 사용할지 신중하게 선택해야 하며, UPC와 IPC 간의 차이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1]

3. 1. 다중 분류

특허 분류의 주된 목적은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발명 주제를 단 하나의 관점으로만 분류할 경우, 해당 발명과 관련된 다른 중요한 구성 요소들을 간과하게 되어 검색 결과가 불완전해질 수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에 담긴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분류 기호를 부여하여, 발명의 주제(예: 공정, 생산물, 장치 혹은 물질)가 서로 다른 여러 분류 항목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

4. UPC 활용

미국 특허를 조사할 때는 국제특허분류(IPC)만으로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미국특허분류(UPC)를 함께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1]

4. 1. 국제특허분류(IPC)와의 관계

미국특허분류(UPC)는 1831년부터 미국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해 온 특허 분류 체계이다. 이는 특허의 청구항을 중심으로 응용 분야, 기능, 효과, 구조 등의 관점에서 분류하는 특징을 가진다.

1968년에는 국제적으로 통일된 분류 기준인 국제특허분류(IPC)가 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 특허를 IPC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IPC와 UPC 간의 대비표를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두 분류 체계 자체의 차이점과 갱신 방법의 차이로 인해 몇 가지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 더욱이 UPC에 상호참조 기능이 도입되면서 IPC와 UPC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이 더욱 복잡해졌다.

이러한 이유로 국제특허분류(IPC)가 도입된 이후에도 미국은 자국의 특허 분류 체계인 UPC에 더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국 특허를 조사할 때는 IPC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잘못된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효과적인 조사를 위해서는 IPC와 UPC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