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더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더덕은 곤봉 모양의 해양 무척추동물로, 몸길이는 5~10cm이며, 입수공과 출수공을 가지고 있다. 태평양 북서부 해역이 원산지이며, 한국, 일본, 시베리아, 중국 연안에 분포한다. 성체는 바위에 부착하여 생활하며, 16°C에서 20°C 사이의 해수면 온도에서 번식한다. 미더덕은 침입종으로, 전 세계 온대 해안으로 유입되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며, 한국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더덕과 - 미더덕속
 미더덕속은 미더덕과에 속하는 척삭동물 속으로, 참미더덕(Ciona intestinalis)을 비롯한 여러 종을 포함한다.
- 미더덕과 - 오만둥이
 오만둥이는 단독 멍게의 일종으로, 10°C에서 30°C 사이의 수온과 22%에서 34% 사이의 염분 농도에서 서식하며 오염과 기수에도 잘 견디는 종이다.
- 개류 - 어개류
 어개류는 갑각류, 조개류, 두족류 등 다양한 수생 동물을 포괄하는 용어로, 식용으로 사용되는 해산물을 의미하며,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오염 위험도 존재한다.
- 개류 - 피우레
 피우레는 후안 이그나시오 몰리나가 처음 기록한 소나무과의 식물로, 칠레와 페루 해안에서 발견되며 여과 섭식을 통해 생존하고 칠레 전복의 먹이가 되지만, 식용으로 사용되고 어업 자원으로 활용되어 자원 고갈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안전성 논란, 멸종 위기에 처해 규제와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
| 미더덕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Styela clava | 
| 명명자 | Herdman, 1881 | 
| 영어 이름 | stalked sea squirt (줄기 달린 바다 Squirt)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아문 | 피낭동물아문 | 
| 강 | 해초강 | 
| 목 | 측성해초목 | 
| 과 | 미더덕과 | 
| 속 | 미더덕속 | 
| 종 | 미더덕 | 
2. 형태
몸은 굵은 곤봉 모양이며, 성숙한 개체는 긴 자루 끝을 바닷속 바위에 부착시키고 거꾸로 매달려 산다. 몸길이는 5~10cm 정도이다. 입수공(入水孔)과 출수공(出水孔)이 몸 앞쪽 끝에 있는데, 입수공은 배쪽으로 약간 굽어 있고 출수공은 앞쪽을 향한다. 어린 개체에서는 자루 부분이 아주 짧아 구별이 불명확하고, 성숙한 개체에서는 자루가 긴 편이나 몸길이의 1/2을 넘지 못한다. 외피는 가죽 모양이며 어떤 부분에서는 두께가 0.5mm이다. 몸 아랫부분 또는 자루 부분 표면에는 불규칙한 주름이 있으며, 앞부분에는 가로주름 또는 불규칙한 홈이 나 있다. 특히 양 수공 가까이에 불규칙한 돌기가 많이 있다. 몸 색깔은 서식 환경에 따라 다른데, 보통 황갈색에서 회갈색 또는 노란색을 띤다. 암수한몸으로 정낭은 작고 둥글며 난소 사이를 메우고 난소가 있는 부위를 차지한다. 
미더덕 성체는 완전히 부착 생활을 하며, 최대 25m 깊이의 단단한 조간대 하부 기질에 붙어 자란다. 바위, 부표, 말뚝, 홍합 껍데기 등 거의 모든 단단한 표면에서 발견될 수 있다. 미더덕은 연안대에 주로 서식하며, 강한 파도와 부유물이 없는 안전한 곳을 선호한다. 항구와 마리나의 인공 표면은 특별한 서식지를 제공한다.[1][7][4]
아종인 상칭미더덕(Styela clava symmetrica)은 한국(제주도)과 일본에만 서식한다. 미더덕은 단독 멍게이다. 곤봉 모양의 몸체와 자루를 포함하여, 미더덕(S. clava)의 더 큰 개체는 최대 길이가 약 130mm에 달할 수 있고, 더 작은 개체는 길이가 30mm에 불과하다.[1] 작은 개체는 뚜렷한 자루가 없는 경향이 있다. 미더덕(S. clava)은 질기고 주름지거나 불규칙하게 홈이 파인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크기에 따라 두 가지 색상 변형이 있다. 더 큰 개체는 연한 갈색 몸체와 더 어두운 갈색 자루를 가지고 있는 반면, 더 작은 개체는 황갈색이다.[1]
3. 생태
미더덕은 -2°C에서 27°C에 이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다른 멍게류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는 높은 염분 농도(26% - 28%)의 물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강인한 종이다.[1]
3. 1. 번식
대부분의 멍게류와 마찬가지로, 미더덕은 자웅동체이며 수명이 짧은 원양 난생 난황성(lecithotrophic) 유생을 생산한다.[1][2][4] 방란을 통해 외부적으로 번식하며, 번식 기간은 16°C에서 20°C 사이의 해수면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4][2] 번식 기간은 지역에 따라 4개월에서 10개월까지 다양하다. 미국의 캘리포니아 해안에서는 6월부터 9월까지, 덴마크와 잉글랜드에서는 7월부터 10월까지 4개월 동안 번식 기간이 나타난다.[4]
4. 분포
미더덕은 태평양 북서부 해역, 특히 일본과 한국의 바다와 해안, 시베리아, 그리고 중국 상하이 연안까지가 원산지이다.[2][3][5]
1900년대 중반 이후, 미더덕은 전 세계 온대 해안으로 유입되어 북아메리카, 유럽, 뉴질랜드, 호주, 아르헨티나 등지에 개체군을 형성하였다. 1900년대 초 미국 서부 해안(캘리포니아)에서 처음 발견된 후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남부에서 캐나다 밴쿠버 섬 북부에 이르기까지 확산되었다. 북아메리카 대서양 연안에는 1970년대 즈음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8] 1900년대 중반에는 영국을 포함한 유럽 해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영국 해안과 유럽 본토로 서식지를 확장했다.
4. 1. 원산지
''미더덕''은 태평양 북서부 해역, 특히 일본과 한국의 바다와 해안, 시베리아, 그리고 중국 상하이 연안까지가 원산지이다.[2][3][5]4. 2. 침입
미더덕은 두꺼운 외피를 통해 포식자로부터 보호받고 탈수를 방지하며, 0°C 이하에서 23°C까지의 해수 온도와 높은 염도를 견딜 수 있어 환경 변화에 대한 강한 내성을 보인다.[1][8] 또한 천적이 없고, 큰 크기로 인해 다른 여과 섭식 동물과 먹이 경쟁에서 유리하다.[1]1900년대 중반 이후, 미더덕은 전 세계 온대 해안으로 유입되어 북아메리카, 유럽, 뉴질랜드, 호주, 아르헨티나 등지에 개체군을 형성하였다.
1900년대 초 미국 서부 해안(캘리포니아)에서 처음 발견된 후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남부에서 캐나다 밴쿠버 섬 북부에 이르기까지 확산되었다. 북아메리카 대서양 연안에는 1970년대 즈음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8] 1900년대 중반에는 영국을 포함한 유럽 해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영국 해안과 유럽 본토로 서식지를 확장했다. 현재 미더덕 개체군이 자리 잡고 있는 유럽 국가는 영국, 아일랜드,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 프랑스, 포르투갈, 스페인이다.[3][9][8]
4. 2. 1. 유입 경로
''미더덕''은 조개류 이식이나 선박 오염을 통해 일본에서 직접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6][7] 유럽에서는 한국 전쟁에 참전했던 군함의 선체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6][3] 지구 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은 미더덕의 서식지를 이전에는 점유되지 않았던 해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9]5. 인간과의 관계
한국에서는 미더덕을 유사종인 오만둥이와 함께 식용으로 쓴다. 한국의 연간 미더덕 어획량은 3000ton에 달하며,[10][11] 4월부터 5월 사이가 가장 맛있는 시기이다.
미더덕은 원래 서식지 외에서 생리적 적응과 환경 내성으로 인해 침입종으로 평가된다. 두꺼운 외피는 토착 멍게류에 비해 포식자로부터 보호를 제공하며 탈수를 방지한다.[1] 섭씨 0°C 이하에서 23°C까지의 해수 온도와 높은 염도의 물을 견딜 수 있어 환경 변화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1][8] 천적이 없어 토착 멍게류보다 유리하며, 큰 크기로 굴이나 홍합과 같은 다른 여과 섭식 종과 먹이와 기질 공간을 두고 경쟁할 수 있다.[1]
미더덕이 자연 서식지 밖에서 유입, 정착하면 저서 군집의 구조와 구성에 큰 변화를 일으킨다.[7] 부착 생물 군집을 지배하여 다른 여과 섭식 종의 개체 수를 감소시켜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킨다.[2][1][7] 미더덕(''S. clava'')은 단독 생활을 하지만, 최적 조건에서는 최대 500~1,000개체까지 높은 밀도로 서식하며, 인공 기질을 오염시켜 선박 및 어구에 어려움을 초래한다.[8]
또한 유럽 해역에서처럼 양식업에도 위협이 된다. 프랑스 토 호수(Étang de Thau)에서는 미더덕(''S. clava'')이 먹이와 기질 공간을 두고 조개류와 경쟁하여 굴과 홍합 양식에 위협을 가한다.[3]
5. 1. 식용
한국에서는 미더덕을 유사종인 오만둥이와 함께 식용으로 쓴다. 한국의 연간 미더덕 어획량은 3000ton에 달한다.[10][11] 한국에서 미더덕이 가장 맛있는 시기는 4월부터 5월 사이이다.5. 2. 영향
미더덕은 원래 서식지 외에서 생리적 적응과 환경 내성으로 인해 점점 더 성공적인 침입종으로 평가된다. 미더덕의 두꺼운 외피는 토착 멍게류에 비해 잠재적 포식자로부터 더 나은 보호를 제공하며 탈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1] 섭씨 0°C 이하에서 23°C까지의 해수 온도와 높은 염도의 물을 견딜 수 있어, 물의 환경 변화에 대한 강한 내성을 보인다.[1][8] 천적이 없다는 사실은 이미 미더덕에게 토착 멍게류보다 유리한 입지를 제공하지만, 큰 크기는 굴이나 홍합과 같은 다른 여과 섭식 종과 먹이와 기질 공간을 두고 경쟁할 수 있게 해준다.[1]미더덕이 자연 서식지 밖에서 성공적으로 유입되고 정착하면 저서 군집의 구조와 구성에 극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7] 이는 부착 생물 군집을 지배하여 다른 여과 섭식 종의 개체 수 감소로 이어져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킨다.[2][1][7] 미더덕(''S. clava'')은 단독 생활을 하는 종이지만, 최적의 조건에서는 최대 500~1,000개체까지 높은 밀도로 서식하며, 인공 기질을 오염시켜 선박 및 어구에 어려움을 초래한다.[8]
또한 유럽 해역에서 볼 수 있듯이 양식업에도 위협이 된다. 프랑스 토 호수(Étang de Thau)에서는 미더덕(''S. clava'')이 먹이와 기질 공간을 두고 조개류와 경쟁하여 굴과 홍합 양식에 위협을 가하면서 관리 문제가 되고 있다.[3]
참조
[1] 
논문
 
Styela clava Herdman (Urochordata, Ascidiacea), a successful immigrant to North West Europe: ecology, propagation and chronology of spread
 
1998-09-01
 
[2] 
논문
 
Reproduction and early life history of an invasive ascidian Styela clava Herdman in Prince Edward Island, Canada
 
http://www.sciencedi[...] 
2007-03-26
 
[3] 
논문
 
The impact of the ascidian Styela clava Herdman on shellfish farming in the Bassin de Thau, France
 
2010
 
[4] 
논문
 
The reproductive ecology of the invasive ascidian, Styela clava, in Auckland Harbour, New Zealand
 
https://doi.org/10.1[...] 
2011-12-01
 
[5] 
논문
 
Regional connectivity and coastal expansion: differentiating pre-border and post-border vectors for the invasive tunicate Styela clava
 
https://onlinelibrar[...] 
2010
 
[6] 
논문
 
Fine- and regional-scale genetic structure of the exotic ascidian Styela clava (Tunicata) in southwest England, 50 years after its introduction
 
https://onlinelibrar[...] 
2009
 
[7] 
논문
 
Pathways of spread of the introduced ascidian Styela clava (Tunicata) in Northern Europe, as revealed by microsatellite markers
 
https://doi.org/10.1[...] 
2010-08-01
 
[8] 
논문
 
Invasion of the southern Gulf of St. Lawrence by the clubbed tunicate (Styela clava Herdman): Potential mechanisms for invasions of Prince Edward Island estuaries
 
http://www.sciencedi[...] 
2007-03-26
 
[9] 
논문
 
Too cold for invasions? Contrasting patterns of native and introduced ascidians in subantarctic and temperate Chile
 
http://www.reabic.ne[...] 
2016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ews.dongasci[...] 
2011-07-07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isusanin.[...] 
2011-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