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 아크바르 카이바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르 아크바르 카이바르는 1925년 로가르 주에서 태어난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인이다. 1947년 군사 대학교를 졸업하고, 혁명 활동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이후 교육부에서 근무하다가 추방되었고, 파르참 신문의 편집자로 활동하며 파르참의 모집 프로그램을 감독했다. 1978년 암살되었으며, 암살 배후에 대해 다양한 추측이 존재한다. 그의 장례식에서 PDPA 지지자들의 시위가 있었고, 이는 다우드 정권의 탄압을 불러와 사우르 혁명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공산주의자 - 모하마드 나지불라
모하마드 나지불라는 아프가니스탄 민주인민당 서기장과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공포 정치를 통해 권력을 강화하고 국민 화합 정책을 추진했으나 소련 붕괴와 무자헤딘의 저항으로 몰락하여 탈레반에 의해 처형되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공산주의자 - 압둘 라시드 도스툼
압둘 라시드 도스툼은 아프가니스탄의 군벌이자 정치인으로, 공산 노조 지도자에서 시작해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내전을 거치며 군벌로 성장,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당시 탈레반 축출에 기여하고 제1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인권 유린 혐의 등으로 튀르키예로 망명하여 반탈레반 활동을 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암살된 정치인 - 하비불라 칸
하비불라 칸은 1872년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태어나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며 근대화, 교육 개혁을 추진했으나 1919년 암살당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암살된 정치인 - 압둘 하크
압둘 하크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활약한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 지도자이자 정치인으로, 탈레반 정권에 저항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2001년 처형당했다.
미르 아크바르 카이바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파슈토어) | میر اکبر خیبر |
로마자 표기 | Mir Akbar Khybar |
직위 | |
재임 시작 | 1968년 |
재임 종료 | 1969년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25년 1월 11일 |
출생지 | 로가르 주,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
사망일 | 1978년 4월 17일 (향년 53세) |
사망지 | 카불,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
소속 정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파르참 |
2. 초기 생애 및 교육
그는 1925년 3월 11일[1] 로가르 주에서 태어났다. 카이바르는 1947년 아프가니스탄 왕립 육군이 사용하던 하르비 포한툰 군사 대학교를 졸업했다.
1950년, 그는 혁명 활동으로 투옥되었다. 이후 교육부에서 근무하다가 1965년 폭동에 참여했다는 혐의로 팍티아에서 추방되었다. 카불로 돌아온 후에는 파르참파의 신문인 ''파르참''의 편집자가 되었고, 아프가니스탄군 내에서 파르참 세력을 넓히기 위한 활동을 감독했다.[2] 그는 파르참 지도자 바브락 카르말의 가까운 동료였다.[3]
미르 아크바르 카이바르는 1978년 4월 17일 카불의 자택 밖에서 암살되었다. 당시 다우드 정권은 이 암살의 책임을 굴부딘 헤크마티아르가 이끄는 헤즈비 이슬라미에게 돌리려 했으나,[4] PDPA의 지도자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는 정부의 소행이라고 비난했다. 카이바르 암살의 배후에 대해서는 하피줄라 아민, 소련, 심지어 CIA까지 거론되는 등 여러 논란이 존재한다.[4][2][5][6]
3. 경력
4. 암살
4월 19일에 열린 카이바르의 장례식에는 약 15,000명의 PDPA 지지자들이 모여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7] 이 사건은 다우드 정권의 PDPA 지도부 탄압을 촉발했고, 결국 PDPA가 사우르 혁명으로 알려진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4. 1. 암살 배후 논란
미르 아크바르 카이바르는 1978년 4월 17일 자신의 집 밖에서 암살되었다. 당시 다우드 정권은 카이바르의 죽음에 대해 굴부딘 헤크마티아르가 이끄는 헤즈비 이슬라미의 소행으로 몰아가려 했으나,[4]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의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는 정부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당시 카불의 지식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받아들여진 시각이었다.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전문가이자 역사가인 루이 듀프리는 극렬한 반공주의자로 알려진 모하메드 이사 누리스타니 내무부 장관이 암살을 지시했다고 결론지었다.[4]
그러나 카이바르 암살의 배후에 대해서는 여러 다른 주장들이 존재한다. 같은 파르참파였던 바브락 카르말과 아나히타 라테브자드를 포함한 다수의 정보원은 경쟁 파벌인 할크파의 지도자 하피줄라 아민이 암살을 사주했다고 주장했다.[2] 반면, 할크파 출신의 전직 장관들은 오히려 암살이 소련과 카르말의 지시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반박했다.[2] 다우드의 측근이었던 압둘 사마드 가우스는 아민과 카이바르 사이에 각자의 파벌을 위해 군대에 침투하려는 과정에서 치열한 경쟁 관계가 있었다고 암시했다. 또한, 공산주의 관련 정보에 따르면, 카이바르가 군대 내 할크파와 파르참파 세포 조직을 통합하려던 시도가 아민의 권력 기반을 약화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아민이 암살을 지시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4] 가우스는 아민의 부하였던 시디크 알라미야르와 그의 형제 사데크 알라미야르(훗날 케랄라 학살에 직접 연루됨)가 아민의 명령을 받고 카이바르 암살을 실행했다고 구체적으로 지목했다. 알라미야르는 이후 아민 정권 하에서 기획부 장관이 되었고, 그의 형제는 일반 운송 당국의 책임자가 되었다.[5] 한편, 당시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카이바르의 죽음에 연루되었다는 설도 제기되었다.[6]
카이바르의 암살은 아프가니스탄 정치 상황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4월 19일에 열린 그의 장례식에는 약 15,000명의 PDPA 지지자들이 카불에 모여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거리를 행진하며 CIA와 당시 이란 샤 정권의 비밀경찰이었던 SAVAK를 비난하는 구호를 외쳤다.[7] 이러한 대규모 시위에 놀란 다우드 대통령은 PDPA 지도부에 대한 탄압을 명령했다. 이는 결국 PDPA가 군사 쿠데타, 즉 사우르 혁명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다우드는 살해되고 PDPA가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4. 2. 암살의 영향
카이바르는 1978년 4월 17일 자택 밖에서 암살되었다. 당시 다우드 정권은 카이바르의 죽음에 대해 굴부딘 헤크마티아르가 이끄는 헤즈비 이슬라미의 소행으로 몰아가려 했으나,[4] PDPA의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는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카불의 지식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퍼진 생각이었다. 아프가니스탄 전문가이자 미국 역사가인 루이 듀프리는 극렬 반공주의자인 내무부 장관 모하메드 이사 누리스타니가 암살을 지시했다고 결론지었다.[4]
그러나 암살의 배후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엇갈렸다. 카이바르와 같은 파르참파 소속이었던 바브락 카르말과 아나히타 라테브자드 등은 경쟁 파벌인 할크파의 지도자 하피줄라 아민이 암살을 사주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할크파 출신 전직 장관들은 오히려 소련과 카르말의 지시로 암살이 이루어졌다고 반박했다.[2] 다우드의 측근이었던 압둘 사마드 가우스는 아민과 카이바르가 각자 자신의 파벌을 위해 군대에 침투하려 하면서 극심한 경쟁 관계에 있었다고 언급했다. 또한 공산주의 측 자료에 따르면, 카이바르가 군대 내 할크파와 파르참파 조직을 통합하려던 시도가 아민의 권력을 약화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아민이 암살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4] 가우스는 아민의 부하인 시디크 알라미야르와 그의 형제 사데크 알라미야르(훗날 케랄라 학살에 직접 연루됨)가 아민의 명령으로 카이바르 암살을 실행했다고 지목했다. 이후 시디크 알라미야르는 아민 정권 하에서 기획부 장관이 되었고, 그의 형제는 일반 운송 당국의 책임자가 되었다.[5] 일각에서는 당시 CIA가 카이바르의 죽음에 연루되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6]
카이바르의 암살은 아프가니스탄 정치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4월 19일에 열린 그의 장례식에는 약 15,000명의 PDPA 지지자들이 모여 카불 시내를 행진하며 CIA와 이란 샤의 비밀경찰인 SAVAK를 비난하는 구호를 외쳤다.[7] 공산주의 세력의 대규모 시위에 놀란 다우드 대통령은 PDPA 지도부에 대한 탄압을 명령했다. 이는 오히려 PDPA가 사우르 혁명으로 알려진 군사 쿠데타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고, 결국 다우드는 살해되고 PDPA가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참조
[1]
문서
[2]
서적
Afghanistan's two-party communism
https://archive.org/[...]
Hoover Press
2009-03-21
[3]
서적
The Wars of Afghanistan: Messianic Terrorism, Tribal Conflicts, and the Failures of Great Powers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013-12-10
[4]
서적
Out of Afghanistan: The inside story of the Soviet withdrawal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Fall of Afghanistan: An Insider's Account
https://archive.org/[...]
[6]
서적
A Brief History of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7
[7]
서적
War in Afghanistan
Palgrave MacMill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