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르 모하마드 타라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는 1917년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어나 1978년 사우르 혁명으로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이 정권을 잡은 후 혁명위원회 의장과 총리를 역임했다. 그는 급진적인 사회, 경제 개혁을 추진했으나, 이는 아프가니스탄 사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소련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권력 투쟁 끝에 하피줄라 아민에게 암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총리 - 모하마드 다우드 칸
모하마드 다우드 칸은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총리 재임 후 쿠데타를 통해 왕정을 폐지하고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소련과의 관계 및 여성 지위 향상에 힘썼으나 파키스탄과의 갈등을 겪었고, 이후 소련과의 관계 재조정을 시도했으나 사우르 혁명으로 암살당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총리 - 바브라크 카르말
바브라크 카르말은 1929년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어나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1979년 소련의 지원을 받아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이 되었으나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과 무자헤딘의 저항에 직면하여 1986년 퇴임하고 1996년 사망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 - 모하마드 나지불라
모하마드 나지불라는 아프가니스탄 민주인민당 서기장과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공포 정치를 통해 권력을 강화하고 국민 화합 정책을 추진했으나 소련 붕괴와 무자헤딘의 저항으로 몰락하여 탈레반에 의해 처형되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 - 아슈라프 가니
아슈라프 가니는 아프가니스탄 태생의 정치인, 경제학자, 인류학자로, 세계은행 근무 후 아프가니스탄 재무장관을 거쳐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을 지냈으나 탈레반 공세로 축출되어 망명했다.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نور محمد ترکی |
로마자 표기 | Nur Muhammad Taraki |
직위 |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서기장 | 시작: 1965년 1월 1일 종료: 1979년 9월 14일 이전: "직위 신설" 이후: 하피줄라 아민 |
아프가니스탄 혁명위원회 의장 | 시작: 1978년 4월 30일 종료: 1979년 9월 14일 이전: 무함마드 다우드 칸(대통령으로서) 이후: 하피줄라 아민 |
아프가니스탄 각료회의 의장 | 시작: 1978년 5월 1일 종료: 1979년 3월 27일 이전: "직위 신설", 모함마드 무사 샤피크(총리, 1973년) 이후: 하피줄라 아민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17년 7월 14일 |
출생지 |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가즈니 주 나와 구 |
사망일 | 1979년 10월 9일 |
사망 장소 |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카불 |
사망 원인 | 질식에 의한 암살 |
정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할크파) |
직업 | 정치가, 언론인, 작가 |
배우자 | 누르 비비 |
2. 초기 생애와 경력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는 1917년 아프가니스탄 가즈니 주의 파슈툰족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6] 뭄바이에서 인도 공산당원들을 만나 공산주의 사상을 접하고,[8] 블라디미르 레닌의 작품을 존경했다.[8]
1937년, 압둘 마지드 자불리 경제부 장관 밑에서 일하며 여러 러시아인들을 만났다. 바크타르 통신사 부국장을 지냈고, 작가이자 시인으로 활동했다. 그의 저서 ''데 방 모사페리''는 아프간 노동자와 농민의 사회 경제적 어려움을 다뤘다.[8] 그의 작품은 소비에트 연방에서 러시아어로 번역되었고, 소련 정부는 그를 "아프가니스탄의 막심 고리키"로 칭송했다.[9]
모하마드 다우드 칸 총리 재임 시절, 타라키는 1952년 미국 주재 아프가니스탄 대사관으로 파견되었다. 그는 아프간 왕정을 비판하여 본국으로 소환되었으나 체포되지는 않았다. 카불에서 통역관으로 일하다 1958년 번역 회사를 설립했고, 1963년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 창당에 집중하기 위해 미국 카불 대사관을 그만두었다.[10]
1965년 아프가니스탄 총선에 PDPA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13] 그는 좌익 신문 ''할크''를 창간했지만 곧 금지되었다.[14]
2. 1. 초기 교육과 인도 유학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는 1917년 7월 14일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가즈니 주 나와 구의 킬지 파슈툰 타라키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6] 그는 세 자녀 중 장남이었으며, 나와에 있는 마을 학교에 다녔다.[7] 1932년 아프가니스탄 왕국이 수립된 후, 15세에 인도의 항구 도시 뭄바이로 건너가 파슈툰 무역 회사에서 서기로 일하며 칸다하르 상인 가족을 만났다. 타라키는 야간 강좌를 통해 인도 공산당원들을 만나 사회 정의와 공산주의 가치에 대한 토론에 감명을 받으면서 공산주의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8]2. 2. 귀국과 언론 활동
타라키는 파슈툰족 길자이 부족 연합 타라키 부족의 브란 씨족 출신으로, 파슈토어 소설가이자 소련의 교과서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본』 번역가였다.2. 3. 미국 유학과 외교관 생활
1952년, 타라키는 주미 아프가니스탄 대사관의 보도관으로 임명되었다.[53] 1953년, 뉴욕에서 기자 회견을 열어 아프가니스탄 왕정을 "탄압적이고 권위주의적"이라고 비판하며, 국왕 한 명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53] 이 발언으로 미국 언론은 타라키가 영국으로 정치 망명할 것이라고 보도했지만, 그는 자진 귀국했다.[53]타라키는 1955년부터 1958년까지 미국의 해외 미션에서, 1962년 5월부터 1963년 9월까지는 주아프가니스탄 미국 대사관에서 통역으로 근무했다.[53] 이후 독립 번역 회사인 '누르(세계)'를 설립했다.[53]
3.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 창당과 활동
1965년 1월 1일, 타라키는 카불에서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 창당을 주도했다. 제1회 창당 회의에서 타라키는 서기장 겸 집행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40] 그는 고향 마을에서 의회 선거에 출마했지만 낙선했다.[40] 1977년, 인민민주당은 재통합되었고, 타라키는 다시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중앙위원회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51] 당 기관지 '할크'의 출판 책임자가 되었지만, 6호를 출판한 시점에서 폐쇄되었다.[51]
3. 1. 할크파와 파르참파의 분열
1967년, PDPA는 타라키가 이끄는 할크파와 바브라크 카르말이 이끄는 파르참파로 분열되었다. 할크파는 급진적인 혁명을 주장한 반면, 파르참파는 점진적인 변화를 추구했다.[40][41][42][43][44]3. 2. 다우드 정권과의 갈등
1973년, 모하마드 다우드 칸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무너뜨리고 공화정을 수립했다. 타라키와 PDPA는 다우드 정권과 협력하려 했으나, 다우드가 PDPA를 탄압하면서 관계가 악화되었다.4. 사우르 혁명과 집권
1978년 4월,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은 군부의 지원을 받아 다우드 정권을 무너뜨리고 권력을 장악했다. 이 사건은 사우르 혁명이라고 불린다. 타라키는 혁명위원회 의장 겸 총리가 되어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을 선포했다.[53] 그는 집권 후 소련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1978년 12월에는 소련을 방문하여 우호 및 선린 조약에 서명했다.[53]
4. 1. 급진적인 사회, 경제 개혁
타라키 정부는 1979년 1월 1일에 토지 개혁을 시작했다. 한 가족이 소유할 수 있는 토지의 양을 제한하고, 이를 초과하는 토지는 보상 없이 몰수했다. 정부는 이 개혁이 농촌 인구의 지지를 얻고 부르주아의 권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믿었다. 1979년 중반, 정부는 665,000헥타르(약 1,632,500에이커)를 재분배했고, 토지 개혁의 영향을 받은 가구는 전체 인구의 4%에 불과하다고 발표했다.[25] 그러나 이 개혁은 농작물 수확량 급감과 아프가니스탄인들의 불만을 초래했다.[25] 타라키는 개혁에 대한 불만이 커지자 정책을 포기했다.[26]타라키와 당 지도자들은 아프가니스탄의 전통 가치관과 농촌의 권력 구조에 도전하는 급진적인 마르크스주의 정책들을 시행했다. 여성의 정치 참여를 장려하고 강제 결혼을 금지했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은 깊은 이슬람 문화와 중앙 집권적 통제에 대한 저항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28] 이러한 개혁은 전국적으로 시행되지 못했다. 정책 변화에 대한 불만은 전국적인 불안을 야기했고, 이는 결국 아프가니스탄 내전으로 이어졌다.[29][30]
고리대금, 신부 값, 강제 결혼과 같은 전통 관행은 금지되었고, 결혼 최저 연령이 높아졌다.[31][32] 정부는 남녀 모두의 교육을 강조하고 야심찬 문맹 퇴치 운동을 시작했다.[33] 이전 모하마드 다우드 칸 정부의 유네스코 문맹 퇴치 프로그램은 20년 안에 문맹을 퇴치할 목표였으나, 타라키 정부는 이를 4년으로 단축하려 했다. 그러나 교사 부족과 정부의 능력 부족으로 이는 비현실적이었다. 이 기간은 소련의 개입 이후 7년으로 연장되었다. 타라키는 유네스코 프로그램의 문화적 초점을 "쓰레기"로 규정하고, PDPA 전단과 좌익 소책자를 읽기 자료로 활용하여 정치적 지향성을 도입했다.[29]
4. 2. 소련과의 관계 강화
타라키는 소련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경제적,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 1978년 12월 5일, 그는 소련과 20년 우호 조약을 체결하여 그의 정권에 대한 소련의 지원을 크게 확대했다.[36]헤라트 봉기 이후, 타라키는 소련 각료회의 의장에게 "인력과 무기 지원을 위한 실질적이고 기술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코시긴은 그러한 조치가 자국에 미칠 부정적인 정치적 파장을 이유로 이 제안에 부정적이었고,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소련의 군사 원조를 요청하려는 타라키의 모든 시도를 거부했다.[37] 코시긴의 거절에 따라 타라키는 소련 공산당 서기장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브레즈네프는 전면적인 소련 개입은 "우리 적, 즉 당신과 우리의 적의 손에 놀아날 뿐"이라고 경고했다. 브레즈네프는 또한 타라키에게 급격한 사회 개혁을 완화하고 그의 정권에 대한 더 광범위한 지지를 구하라고 조언했다.[38]
1979년, 타라키는 쿠바 아바나에서 열린 비동맹 운동 회의에 참석했다. 돌아오는 길에 3월 20일 모스크바에 들러 브레즈네프, 소련 외무부 장관 및 기타 소련 관리들과 만났다. 이 회의에서 타라키는 소련-아프가니스탄 국경에 2개의 소련군 사단 재배치, 500명의 군사 및 민간 고문 및 전문가 파견, 그리고 원래 가격보다 25%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는 소련 무기 장비의 즉각적인 인도 등 일부 소련 지원을 협상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소련은 아프가니스탄의 상황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고 브레즈네프는 타라키에게 당의 단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타라키와의 이러한 합의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아프가니스탄 내에서의 소련 군사 개입을 반복적으로 거부하며 아프가니스탄에 더 이상 개입하는 것을 꺼렸다.[39]
5. 권력 투쟁과 암살
타라키의 급진적인 정책과 권위주의적인 통치는 당내에서도 반발을 샀다. 특히, 국방장관이었던 하피줄라 아민과의 권력 투쟁이 심화되었다. 타라키는 처음에는 칼크와 파르참 모두로 구성된 정부를 구성했다.[19] 바브라크 카르말은 혁명위원회 간부회 부의장이 되었고,[18] 아민은 외무부 장관[19] 및 각료회의 부의장이 되었다.[20] 그러나 내부 문제가 곧 발생했고, 칼크는 파르참 숙청을 시작하여, 카르말은 체코슬로바키아 주재 아프가니스탄 대사가 되었고, 모하마드 나지불라는 이란 주재 아프가니스탄 대사가 되었다. 칼크 파벌 내에서도 타라키와 아민 사이의 권력 다툼이 발생했다.[19]
타라키와 아민의 권력 투쟁은 1979년 9월 14일, 타라키가 아민을 총리 관저로 부르면서 절정에 달했다. 아민은 암살을 두려워하여 관저를 탈출, 역습을 가했고[53], 경호원 간에 총격전이 벌어졌다. 다음 날인 9월 15일, 타라키는 아민의 지지자들에 의해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9월 16일,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중앙위원회 간부회는 "건강상의 이유"와 "본인의 의원"에 따라 그를 모든 당직 및 공직에서 해임했다.
10월 9일, 카불 라디오는 타라키가 "심각하고 지속적인 질병"으로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게 타라키의 처우에 대해 묻자 스스로 결정하라고 말했고, 그의 승인을 받았다고 생각한 아민의 명령에 의한 암살이었다. 브레즈네프는 타라키의 살해를 원하지 않았고, 이 사건은 2개월 후 폭풍 333호 작전 실행의 원인이 되었다.
5. 1. 아민과의 갈등
타라키는 아민과의 권력 투쟁에서 아슬람 와탄자르, 사예드 모하마드 굴라브조이, 셰르잔 마즈도야르, 아사둘라 사르와리 등 4명의 군 장교의 지지를 받았다. 이들은 아프가니스탄 주재 소련 대사인 알렉산더 푸자노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푸자노프는 아민에 대항하여 그들을 이용하려 했다.[43] 1979년 3월 17일 헤라트 봉기 이후, PDPA 정치국과 혁명위원회는 조국 최고 국방 위원회를 설립했고, 타라키는 위원장, 아민은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거의 같은 시기에 타라키는 각료회의 의장직에서 물러났고 아민이 그의 후임자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아민의 새로운 지위는 그에게 실질적인 영향력을 거의 제공하지 못했다. 각료회의 의장으로서 아민은 내각의 모든 구성원을 선출할 수 있었지만, 그들은 모두 국가 원수인 타라키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이 책략을 통해 타라키는 아민에게 새롭지만 궁극적으로는 무력한 직책의 막대한 책임을 떠맡도록 강요하여 아프가니스탄군에 대한 그의 지배력을 포기하게 함으로써 아민의 권력 기반을 효과적으로 약화시켰다.[43]타라키가 쿠바에서 열린 제6차 비동맹 정상회의에 외빈으로 방문하는 동안, 타라키의 4인방은 아민이 그들을 체포하거나 살해할 계획이라는 정보 보고서를 받았다. 이 보고서는 잘못된 것으로 밝혀졌다.[43] 그럼에도 불구하고 4인방은 아민을 암살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그 지도자 사르와리는 자신의 조카 아지즈 아크바리를 암살자로 선택했다. 그러나 아크바리는 자신이 암살자이거나 비밀 임무라는 것을 알지 못했고, 소련 대사관의 연락 담당자에게 그 정보를 털어놓았다. 대사관은 암살 시도를 아민에게 경고하여 그를 죽음으로부터 구했다.[44]
1979년 9월 14일, 타라키는 아민을 총리 관저로 불렀지만, 아민은 암살을 두려워하여 관저를 탈출, 태세를 갖춰 역습을 가했다.[53] 경호원 간에 총격전이 벌어졌고, 양측은 서로를 비난했다. 다음 날 9월 15일, 타라키는 아민의 지지자들에 의해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9월 16일,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중앙위원회 간부회는 "건강상의 이유"와 "본인의 의원"에 따라 그를 모든 당직 및 공직에서 해임했다.
5. 2. 암살과 죽음
1979년 9월 11일, 타라키는 모스크바에서 카불로 돌아오면서 공항에서 아민의 영접을 받았다. 아민은 타라키에게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비행기 착륙을 한 시간 늦추기도 했다.[44] 얼마 후, 타라키는 아민을 해외 대사로 보내려 했으나, 아민은 "당신이 그만둬야 해! 술과 노령 때문에 정신을 잃었어."라며 거절했다.[45]9월 14일, 아민은 군대에 최고 경계령을 내리고 타라키를 구금하라고 명령했다. 그날 저녁, 탱크들이 시내로 진입하여 정부 위치에 배치되었고, 아민은 군 장교들을 이끌고 대통령궁으로 돌아와 타라키를 체포했다.[45] 소련은 아민에게 타라키를 제거하지 말라고 설득했지만, 아민은 거절했다.[46] 9월 16일, 라디오 카불은 타라키가 더 이상 직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45]
타라키 체포 후, 아민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게 "타라키는 아직 살아 있습니다. 그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라고 물었고, 브레즈네프는 그것은 그의 선택이라고 답했다. 아민은 소련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믿고 타라키의 죽음을 명령했다.[47] 타라키는 1979년 10월 8일에 베개로 질식사 당했다. 그의 시신은 밤에 비밀리에 매장되었다.[47] 이 소식은 타라키를 보호하겠다고 맹세한 브레즈네프에게 충격을 주었고, 두 달 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의 요인이 되었다.[45] 아프가니스탄 언론은 이틀 뒤 타라키가 "심각한 질병"으로 사망했다고 보도했다.[48]
6. 유산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는 아프가니스탄 역사에서 매우 논쟁적인 인물이다. 그의 급진적인 개혁은 아프가니스탄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극심한 혼란과 갈등을 초래했다. 타라키 사후 아프가니스탄은 장기간의 내전과 외세 개입으로 고통받았다.
6. 1. 평가와 비판
타라키는 사회주의 이상을 실현하려 했던 혁명가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그의 정책은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었고, 그의 통치는 독재적이었다는 비판도 받는다. 타라키가 암살된 후, 그의 먼 친척 28명(부인과 형제를 포함)이 풀에차르키 감옥에 수감되었다.[49] 그러나 바브락 카르말이 권력을 잡은 후, 타라키의 미망인을 포함한 수감된 친척들은 석방되었다.[50]1980년 1월 2일, 카불 뉴 타임스의 기사에서 아나히타 라테브자드 교육부 장관은 타라키를 "조국의 순교자"라고 칭송하며, 하피줄라 아민을 "야만적인 폭군, 짐승 같은 미치광이, 미국의 제국주의 첩자로 알려진 자"라고 비난했다.[51]
타라키는 파슈툰족 출신으로, 길자이 부족 연합 타라키 부족의 브란 씨족 출신이다. 그는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 또한, 파슈토어 소설가이자 소련 교과서인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본』을 번역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A Brief History of Afghanistan
Infobase Publishing
[2]
웹사이트
The World Was Going Our Way: The KGB and the Battle for the Third World
https://archive.org/[...]
[3]
문서
The Intervention in Afghanistan and the Fall of Detente: A Chronology
https://nsarchive2.g[...]
[4]
서적
Before Taliban. Genealogies of the Afghan Jihad
https://publishing.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5]
서적
Soviet-Pakistan Relations and Post-Soviet Dynamics, 1947–92
https://books.google[...]
Springer
[6]
서적
Afghanistan's Two-Party Communism. Parcham and Khalq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Press
1983
[7]
서적
Inside Afghanistan: End of the Taliban Era?
APH Publishing
[8]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9]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10]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11]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12]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13]
서적
Revolution Unending: Afghanistan, 1979 to the Present
C. Hurst & Co. Publishers
[14]
서적
Afghanistan Revisited
Nova Publishers
[15]
서적
Afghanistan Revisited
Nova Publishers
[16]
서적
Afghanistan Revisited
Nova Publishers
[1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fghanistan
Scarecrow Press
[18]
서적
A Study of Crisi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
서적
Afghanistan Revisited
Nova Publishers
[20]
서적
Urban Terrorism: Myths and Realities
Pointer Publishers
[21]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22]
웹사이트
Refworld | Women in Afghanistan: Pawns in men's power struggles
https://www.refworld[...]
[23]
서적
Jihad: The Trail of Political Islam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Soldiers of God: With Islamic Warriors in Afghanistan and Pakistan
Vintage Departures
[25]
서적
Afghanistan: The First Five Years of Soviet Occupation
DIANE Publishing
[26]
서적
Afghanistan: The First Five Years of Soviet Occupation
DIANE Publishing
[27]
서적
Afghanistan: The First Five Years of Soviet Occupation
DIANE Publishing
[28]
간행물
The Sickle and the Minaret: Communist Successor Parties in Yemen and Afghanistan after the Cold War
http://meria.idc.ac.[...]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2005-03
[29]
서적
Afghanistan: The First Five Years of Soviet Occupation
DIANE Publishing
[30]
서적
The Rise & Fall of Communism
Bodley Head
[31]
웹사이트
Women's Rights in the PDPA
http://en.convdocs.o[...]
En.convdocs.org
1978-11-04
[32]
웹사이트
Secular PDPA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33]
웹사이트
Women in Afghanistan: Pawns in men's power struggle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1999-11
[34]
웹사이트
Taraki opens Afghanistan's TV station
https://content.libr[...]
1978-08-20
[35]
서적
The Cold War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Fourth Estate
[36]
서적
Moscow's Third World Strateg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37]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38]
서적
Lenin's Brain and Other Tales from the Secret Soviet Archives
Hoover Press
[39]
서적
Afghanista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I.B.Tauris
[40]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41]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42]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43]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44]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45]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46]
서적
Afgantsy. The Russians in Afghanistan 1979–1989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7]
서적
Before Taliban. Genealogies of the Afghan Jihad
https://publishing.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48]
웹사이트
The Intervention in Afghanistan and the Fall of Detente – A Chronology [Prepared for a Nobel Symposium in 1995]
https://nsarchive2.g[...]
National Security Archive
1995
[49]
문서
My Three Lives on Earth: The Life Story of an Afghan American
[50]
웹사이트
https://www.scribd.c[...]
[51]
뉴스
VOL. XVII NO. 2
http://content.libra[...]
1980-01-02
[52]
서적
The Soviet Invasion and the Afghan Response, 1979-1982
https://publishing.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53]
뉴스
発端はタラキ派の謀殺計画 危機一髪だったアミン新議長
朝日新聞
1979-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