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모사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모사군은 콩과 미모사아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다양한 속과 종을 포함하며, 분류 체계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뉜다. 기저 미모사군은 네우토니아 그룹, 디크로스타키스 그룹 등 7개 그룹으로, 아카시아군은 자귀나무속, 파르키아속, 미모사속 등을 포함한다. 최근 분자 계통학 연구를 통해 분류 관계가 재정립되고 있으며, 화석 기록도 존재한다. 아카시아족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5~6개 속과 약 1,450종을 포함하며, 가시, 잎, 꽃, 열매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모사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Mimosoideae |
명명자 | DC. |
상위 분류군 표시 | 3단계 상위 분류군 표시 |
하위 분류군 계급 | 비공식 그룹 |
하위 분류군 | 본문 참조 |
이명 | Acaciaceae E. Meyer Mimosaceae R. Brown |
![]() | |
생물학적 분류 | |
역 | 생물역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장미군 |
목 | 콩목 |
과 | 콩과 |
아과 | 실거리나무아과 |
미분류 | 미모사군 |
모식속 | 미모사속(Mimosa L.) |
하위 | 본문 참조 |
2. 분류
기저 미모사군은 크게 네우토니아(Newtonia) 그룹, 디크로스타키스(Dichrostachys) 그룹, 레우카이나(Leucaena) 그룹, 미모지간투스(Mimozyganthus) 그룹, 아데난테라(Adenanthera) 그룹, 엔타다(Entada) 그룹, 프로소피스(Prosopis) 그룹으로 나뉜다.[5][6]
- 네우토니아(Newtonia) 그룹: ''Fillaeopsis'' Harms, ''Indopiptadenia'' Brenan, ''Lemurodendron'' Villiers & P.Guinet, ''Newtonia'' Baill. 등이 속한다.
- 디크로스타키스(Dichrostachys) 그룹: ''Alantsilodendron'' Villiers, ''Calliandropsis'' H.M.Hern. & Guinet, ''Dichrostachys'' (A.DC.) Wight & Arn., ''Gagnebina'' Neck. ex DC. 등이 속한다.
- 레우카이나(Leucaena) 그룹: ''Desmanthus'' Willd., ''Kanaloa'' Lorence & K.R.Wood, ''Leucaena'' Benth., ''Schleinitzia'' Warb. 등이 속한다.
- 미모지간투스(Mimozyganthus) 그룹: ''Mimozyganthus'' Burkart, ''Piptadeniopsis'' Burkart, ''Prosopidastrum'' Burkart 등이 속한다.
- 아데난테라(Adenanthera) 그룹: ''Adenanthera'' L., ''Amblygonocarpus'' Harms, ''Calpocalyx'' Harms, ''Pseudoprosopis'' Harms, ''Tetrapleura'' Benth., ''Xylia'' Benth. 등이 속한다.
- 엔타다(Entada) 그룹: ''Elephantorrhiza'' Benth., ''Entada'' Adans., ''Piptadeniastrum'' Brenan 등이 속한다.
- 프로소피스(Prosopis) 그룹: ''Prosopis'' L., ''Xerocladia'' Harv. 등이 속한다.
이 외에도 ''Aubrevillea'' Pellegr., ''Chidlowia'' Hoyle, ''Cylicodiscus'' Harms, ''Neptunia'' Lour., ''Pentaclethra'' Benth., ''Plathymenia'' Benth. 등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분류되지 않았다.
아카시아군은 콩과 미모사아과에 속하는 분류군이다.[6][12][13] 자귀나무속(Albizia), 파르키아속(Parkia), 미모사속(Mimosa), 피테켈로비움속(Pithecellobium), 아카시아속(Acacia) 등을 포함한다.[14]
아바레마(Abarema) 그룹에는 ''Abarema'', ''Balizia'', ''Hydrochorea'' 등이 속한다.[15][20][16] 잉가(Inga) 그레이드는 다계통군으로, 자귀나무속(Albizia), ''Afrocalliandra'', ''Archidendron'', ''Archidendropsis'', ''Blanchetiodendron'', ''Calliandra'', ''Cathormion'', ''Cedrelinga'', ''Chloroleucon'', ''Cojoba'', ''Enterolobium'', ''Faidherbia'', ''Falcataria'', ''Inga'', ''Leucochloron'', ''Lysiloma'', ''Macrosamanea'', ''Pararchidendron'', ''Pseudosamanea'', ''Samanea'', ''Sanjappa'', ''Serianthes'', ''Thailentadopsis'', ''Viguieranthus'', ''Wallaceodendron'', ''Zapoteca'', ''Zygia'' 등을 포함한다.[17][18][19]
파르키아(Parkia) 그룹에는 파르키아속(Parkia)과 ''Anadenanthera''가 속한다. 피테켈로비움(Pithecellobium) 그룹에는 ''Ebenopsis'', ''Havardia'', ''Painteria'', ''Pithecellobium'', ''Sphinga'' 등이 속한다.[20][16] 핍타데니아(Piptadenia) 그룹에는 미모사속(Mimosa), ''Adenopodia'', ''Microlobius'', ''Parapiptadenia'', ''Piptadenia'', ''Pityrocarpa'', ''Pseudopiptadenia'', ''Stryphnodendron'' 등이 속한다.[14]
그 외에 아카시아속(Acacia), ''Mariosousa'', ''Paraserianthes'', ''Parasenegalia'', ''Pseudosenegalia'', ''Senegalia'', ''Vachellia'' 등이 아카시아군에 속한다.
일부 분류 체계, 예를 들어 크론퀴스트 시스템은 콩과(Fabaceae)를 좁은 의미로 취급하여 미모사아과(Mimisoideae)를 미모사과(Mimosaceae)로 승격시킨다. 속씨식물 계통 발생 그룹(Angiosperm Phylogeny Group)은 콩과 식물을 넓은 의미로 취급한다. 미모사아과는 역사적으로 4개의 족(Acacieae, Ingeae, Mimoseae, Mimozygantheae)으로 세분되었다. 그러나 현대의 분자 계통 발생학은 이러한 그룹이 인위적임을 보여주었다. 몇몇 비공식적인 하위 그룹이 제안되었지만 아직 족으로 공식적으로 기술되지는 않았다.[2][3][4][5][6][7] 또한, 속 ''아카시아(Acacia)''는 최근 5개의 속(''아카시아 sensu stricto'', ''Acaciella'', ''Mariosousa'', ''Senegalia'', ''Vachellia'')으로 분리되었다.[8][9]
2. 1. 기저 미모사군 (Basal Mimosoideae)
기저 미모사군은 크게 네우토니아(Newtonia) 그룹, 디크로스타키스(Dichrostachys) 그룹, 레우카이나(Leucaena) 그룹, 미모지간투스(Mimozyganthus) 그룹, 아데난테라(Adenanthera) 그룹, 엔타다(Entada) 그룹, 프로소피스(Prosopis) 그룹으로 나뉜다.[10][11][5][6]- 네우토니아(Newtonia) 그룹: ''Fillaeopsis'' Harms, ''Indopiptadenia'' Brenan, ''Lemurodendron'' Villiers & P.Guinet, ''Newtonia'' Baill. 등이 속한다.
- 디크로스타키스(Dichrostachys) 그룹: ''Alantsilodendron'' Villiers, ''Calliandropsis'' H.M.Hern. & Guinet, ''Dichrostachys'' (A.DC.) Wight & Arn., ''Gagnebina'' Neck. ex DC. 등이 속한다.
- 레우카이나(Leucaena) 그룹: ''Desmanthus'' Willd., ''Kanaloa'' Lorence & K.R.Wood, ''Leucaena'' Benth., ''Schleinitzia'' Warb. 등이 속한다.
- 미모지간투스(Mimozyganthus) 그룹: ''Mimozyganthus'' Burkart, ''Piptadeniopsis'' Burkart, ''Prosopidastrum'' Burkart 등이 속한다.
- 아데난테라(Adenanthera) 그룹: ''Adenanthera'' L., ''Amblygonocarpus'' Harms, ''Calpocalyx'' Harms, ''Pseudoprosopis'' Harms, ''Tetrapleura'' Benth., ''Xylia'' Benth. 등이 속한다.
- 엔타다(Entada) 그룹: ''Elephantorrhiza'' Benth., ''Entada'' Adans., ''Piptadeniastrum'' Brenan 등이 속한다.
- 프로소피스(Prosopis) 그룹: ''Prosopis'' L., ''Xerocladia'' Harv. 등이 속한다.
이 외에도 ''Aubrevillea'' Pellegr., ''Chidlowia'' Hoyle, ''Cylicodiscus'' Harms, ''Neptunia'' Lour., ''Pentaclethra'' Benth., ''Plathymenia'' Benth. 등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분류되지 않았다.
2. 2. 아카시아군 (Acacia clade (Core Mimosoideae))
아카시아군은 콩과 미모사아과에 속하는 분류군이다.[6][12][13] 자귀나무속(Albizia), 파르키아속(Parkia), 미모사속(Mimosa), 피테켈로비움속(Pithecellobium), 아카시아속(Acacia) 등을 포함한다.[14]아바레마(Abarema) 그룹에는 ''Abarema'', ''Balizia'', ''Hydrochorea'' 등이 속한다.[15][20][16] 잉가(Inga) 그레이드는 다계통군으로, 자귀나무속(Albizia), ''Afrocalliandra'', ''Archidendron'', ''Archidendropsis'', ''Blanchetiodendron'', ''Calliandra'', ''Cathormion'', ''Cedrelinga'', ''Chloroleucon'', ''Cojoba'', ''Enterolobium'', ''Faidherbia'', ''Falcataria'', ''Inga'', ''Leucochloron'', ''Lysiloma'', ''Macrosamanea'', ''Pararchidendron'', ''Pseudosamanea'', ''Samanea'', ''Sanjappa'', ''Serianthes'', ''Thailentadopsis'', ''Viguieranthus'', ''Wallaceodendron'', ''Zapoteca'', ''Zygia'' 등을 포함한다.[17][18][19]
파르키아(Parkia) 그룹에는 파르키아속(Parkia)과 ''Anadenanthera''가 속한다. 피테켈로비움(Pithecellobium) 그룹에는 ''Ebenopsis'', ''Havardia'', ''Painteria'', ''Pithecellobium'', ''Sphinga'' 등이 속한다.[20][16] 핍타데니아(Piptadenia) 그룹에는 미모사속(Mimosa), ''Adenopodia'', ''Microlobius'', ''Parapiptadenia'', ''Piptadenia'', ''Pityrocarpa'', ''Pseudopiptadenia'', ''Stryphnodendron'' 등이 속한다.[14]
그 외에 아카시아속(Acacia), ''Mariosousa'', ''Paraserianthes'', ''Parasenegalia'', ''Pseudosenegalia'', ''Senegalia'', ''Vachellia'' 등이 아카시아군에 속한다.
2. 3. 화석 기록
화석 목재 형태는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21][22]- †''Acacioxylon'' Schenk 1883
- †''Adenantheroxylon'' Prakash & Tripathi 1968
- †''Albizinium'' Prakash 1975
- †''Albizzioxylon'' Nikitin 1935
- †''Anadenantheroxylon'' Brea et al. 2001
- †''Cathormion'' Gros 1990
- †''Dichrostachyoxylon'' Müller-Stoll & Mädel 1967
- †''Eucacioxylon'' Müller-Stoll & Mädel 1967
- †''Ingoxylon'' Müller-Stoll & Mädel 1967
- †''Menendoxylon'' Lutz 1979
- †''Metacacioxylon'' Gros 1981
- †''Microlobiusxylon'' Franco & Brea 2010
- †''Mimosoxylon'' Müller-Stoll & Mädel 1967
- †''Mimosaceoxylon'' Lakhanpal & Prakash1970
- †''Paraalbizioxylon'' Gros 1992
- †''Paracacioxylon'' Müller-Stoll & Mädel 1967
- †''Piptadenioxylon'' Suguio & Mussa 1978
- †''Prosopisinoxylon'' Martínez
- †''Tetrapleuroxylon'' Müller-Stoll & Mädel 1967
3. 계통
최근의 분자 계통학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제시한다.[23][24][25][26][27][28][29][17]
:''Diptychandra''
:*''Moldenhawera''
::''Pachyelasma''
:::미모사아과
::::''Erythrophleum''
:::::''Chidlowia''
::::::''Adenanthera'' 그룹
::::::''Pentaclethra''
::::::''Newtonia'' 그룹
::::::''Plathymenia''
::::::''Entada'' 그룹
:::::::''Cylicodiscus''
::::::::''Prosopis'' 그룹
::::::::''Mimozyganthus'' 그룹
::::::::''Neptunia''
::::::::''Leucaena'' 그룹
::::::::''Dichrostachys'' 그룹
:::::::::''아카시아'' 분지[29]
::::::::::''Vachellia''
:::::::::::''Parkia'' 그룹
::::::::::::''Piptadenia'' 그룹
:::::::::::::''Senegalia''
::::::::::::::''Parasenegalia''
:::::::::::::::''Mariosousa''
::::::::::::::::''Abarema'' 그룹
::::::::::::::::Ingeae 단계
::::::::::::::::''Pithecellobium'' 그룹
:::::::::::::::::''Paraserianthes''[18]
:::::::::::::::::''Austroacacia''[29]
3. 1. Acacieae 족 (논란)

Acacieae(뒤모르티에, 1829[30])는 열대 및 아열대,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콩과 식물인 Mimosoideae[31]의 광범위하고 다계통인 족이다. 5~6개 속과 약 1,450종을 포함한다.
- 하위 분류 - 5~6개 속
- * ''아카시아'' 밀. – 기준 속[31]
- * ''바첼리아'' 와이트 & 안.
- * ''세네갈리아'' 라피네스크
- * ''아카시에야'' 브리튼 & 로즈
- * ''마리오수사'' 세글러 & 에빙거
- * ''라코스페르마'' 마르티우스
3. 1. 1. 관계
벤담의 1842년 분류에서 미모사아과의 세 구성 부족 중 하나로 아카키아족이 있었고, 다른 두 부족은 인게족 Benth. & Hook.f.와 미모사족 Bornn.이었다.[32] 1842년 벤담의 아카키아족에는 이후 인게족에 할당된 많은 속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1875년 벤담은 아카키아족의 정의를 좁혀 ''아카시아''(''센수 라토'') Mill.만을 포함하도록 했다.[33]아카키아족을 인게족과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유일한 형태학적 특징은 수술이 자유롭게 존재하는 것이다(미모사족과 마찬가지).[32] 인게족에서는 수술이 관 형태로 융합되어 있는 반면, 아카키아족에서는 소수의 종만이 수술이 기저부에서 융합되어 있다. 잎, 씨앗, 씨방, 꽃가루, 턱잎의 여러 특징은 두 부족이 공유한다.[32] ''아카시아 s.l.''의 꽃 형태는 ''르우카에나속'', ''피프타데니아속'', ''미모사속''(미모사족)과 ''엔테롤로비움속'' 및 ''리실로마속''(인게족)과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34]
단형 속 ''파이드헤르비아속''의 종족 위치는 불분명하다.[31] Vassal(1981)과 Maslin 등(2003)은 이를 아카키아족에 포함시켰지만, Lewis & Rico Arce는 Polhill(1994)과 Luckow 등(2003)에 따라 이를 인게족에 포함시켰다.[31][35] 후자의 경우, 아카키아족은 다른 미모사아 속과의 관계가 확정될 때까지 속 ''아카시아 s.l.''에 부합할 수 있다. ''파이드헤르비아속''은 수술이 기저부에서 짧게 결합되어 있고 꽃가루가 인게족의 일부 분류군과 유사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33]
3. 1. 2. 특징
미모사군은 가시가 있거나 없는 나무, 관목 또는 덩굴 식물이다.[36] 가시가 있는 경우, 이는 변형된 턱잎이다. 일부는 줄기의 피질과 표피에서 가시가 발생한다.[37] 잎은 두 번 깃털 모양이거나 수직으로 향하는 엽상체로 변형된다. 몇몇 종은 잎 대신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38] 꽃 밖 꿀샘은 잎자루와 잎자루에 있을 수 있으며, 작은 잎의 끝은 단백질-지질 벨티안 소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37] 작은 잎은 대개 마주보고 있으며 짧은 자루에 달려 있거나 부착되어 있다. 변재는 전형적으로 붉고 단단하며,[39] 다양한 종의 수액은 고무로 굳어진다.[38]꽃차례는 액생 뭉치에서 발생하는 조밀한 유경 머리 또는 스파이크이거나, 정단 원추화서로 뭉쳐진다.[36] 4개 또는 5개의 꽃잎을 가진 꽃은 균일하게 양성화이거나 수꽃과 양성화이다. 꽃받침 조각은 합생(즉, 융합)되고 밸브 모양(즉, 겹치지 않음)이다. 줄어든 꽃잎은 밸브 모양이거나 드물게 부재한다. 꽃은 수많은 돌출된 수술(꽃부리 엽수보다 2배 이상)을 가지고 있으며,[34] 그들의 수술대는 때때로 기저부에서 합생하여 짧은 수술대 구역을 형성한다. 일부 신열대 종의 수꽃은 감소된 수술대 튜브를 가지고 있다(cf. ''A. 알비코르티카타'', ''A. 힌시'', ''A. 파르네시아나'', 그리고 ''S. 피카첸시스'').[34] 꽃은 대개 노란색 또는 크림색이지만 흰색, 빨간색 또는 보라색일 수도 있다.[38]
씨방은 부착되거나 자루가 있으며(즉, 자루에 의해 지지됨), 많은 배주 또는 두 줄로 배열된 배주를 가지고 있다. 씨방은 실 모양의 암술대에 의해 작고 머리 모양의 암술머리에 부착된다. 콩과의 열매의 내과피는 외과피에 부착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매우 가변적이며, 벌어지거나 벌어지지 않을 수 있다. 씨앗은 대개 타원형에서 장타원형이며 다양한 정도로 편평하다. 씨앗은 플레우로그램이 있는 단단한 검은 갈색 종피(즉, 씨앗 껍질)를 가지고 있으며, O자 모양의 닫히거나 거의 닫힌 선으로 볼 수 있다. 일부 잎상체 종은 씨앗에 다채로운 아릴 또는 엘라이오솜을 가지고 있다.[36]
참조
[1]
간행물
A new subfamily classification of the Leguminosae based on a taxonomically comprehensive phylogeny
[2]
간행물
The evolutionary history and biogeography of Mimosoideae (Leguminosae): An emphasis on African acacias
[3]
간행물
Systematics of the tribe Ingeae (Leguminosae-Mimosoideae) over the past 25 years
https://www.rbg.vic.[...]
2017-02-06
[4]
서적
Advances in Legume Systematics, Parts 1 and 2
Royal Botanic Gardens, Kew
[5]
서적
Advances in Legume Systematics, Part 9
Royal Botanic Gardens, Kew
[6]
서적
Advances in Legume Systematics, Part 10: Higher Level Systematics
Royal Botanic Gardens, Kew
[7]
서적
Advances in Legume Systematics, Part 10: Higher Level Systematics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6-03-17
[8]
간행물
Molecular phylogeny of ''Acacia'' Mill. (Mimosoideae: Leguminosae): Evidence for major clades and informal classification
[9]
간행물
Phylogenetic position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Acacia s.l.'' (Fabaceae: Mimosoideae) in Africa, including new combinations in ''Vachellia'' and ''Senegalia''
[10]
간행물
Revisited anatomy of anther glands in mimosoids (Leguminosae)
[11]
간행물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wo mysterious monotypic mimosoids from southern South America
[12]
간행물
Phylogenetic study of the genus ''Piptadenia'' (Mimosoideae: Leguminosae) using plastid ''trnL''–''F'' and ''trnK''/''matK'' sequence data
[13]
간행물
Molecular phylogeny of ''Stryphnodendron'' (Mimosoideae, Leguminosae) and generic delimitations in the ''Piptadenia'' Group
[14]
간행물
Recent assembly of the Cerrado, a neotropical plant diversity hotspot, by ''in situ'' evolution of adaptations to fire
[15]
간행물
A Preliminary Molecular Phylogeny of the ''Abarema'' Alliance (Leguminosae) and Implications for Taxonomic Rearrangement
[16]
간행물
Phylogeny of ''Calliandra'' (Leguminosae: Mimosoideae) based on nuclear and plastid molecular markers
[17]
간행물
''Parasenegalia'' and ''Pseudosenegalia'' (Fabaceae : Mimosoideae): New genera of the Mimosoideae
[18]
간행물
Relationships of the Australo-Malesian genus ''Paraserianthes'' (Mimosoideae: Leguminosae) identifies the sister group of ''Acacia sensu stricto'' and two biogeographical tracks
[19]
간행물
''Sanjappa'', a new genus in the tribe Ingeae (Leguminosae: Mimosoideae) from India
http://www.iaat.org.[...]
[20]
간행물
''Acacia s.s.'' and its relationship among tropical legumes, tribe Ingeae (Leguminosae: Mimosoideae)
[21]
간행물
''Microlobiusxylon paranaensis'' gen. ''et'' sp. nov. (Fabaceae, Mimosoideae) from the Pliocene-Pleistocene of Ituzaingó Formation, Paraná Basin, Argentina
[22]
간행물
''Prosopisinoxylon anciborae'' nov. gen. et sp. (Leguminosae, Mimosoideae) from the Late Miocene Chiquimil Formation (Santa María Group), Catamarca, Argentina
[23]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Caesalpinioideae (Leguminosae) as Inferred from Chloroplast ''trnL'' Intron Sequences
http://www.bioone.or[...]
[24]
간행물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Acacieae and Ingeae (Mimosoideae: Fabaceae) based on ''trnK'', ''matK'', ''psbA''–''trnH'', and ''trnL''/''trnF'' sequence data
http://www.bioone.or[...]
[25]
간행물
Phylogenetic patterns and diversification in the caesalpinioid legumes
[26]
간행물
The evolution and phylogenetic placement of invasive Australian ''Acacia'' species
[27]
간행물
Phylogeny reconstruction in the Caesalpinieae grade (Leguminosae) based on duplicated copies of the sucrose synthase gene and plastid markers
[28]
간행물
Legume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in the 21st century: Progress, prospects and lessons for other species-rich clades
https://www.zora.uzh[...]
[29]
간행물
A phylogenetic solution to the ''Acacia'' problem
[30]
웹사이트
Taxon: Tribe Acacieae Dumort. (1829) (plant)
http://taxonomicon.t[...]
2015-11-19
[31]
웹사이트
Acacieae Dumort 1829
http://www.kew.org/s[...]
2015-11-19
[32]
간행물
Molecular systematics of selected genera of subfamily Mimosoideae-Fabaceae
http://www.pakbs.org[...]
2014
[33]
간행물
Molecular phylogenetics of Acacia (Fabaceae: Mimosoideae) based on the chloroplast MATK coding sequence and flanking TRNK intron spacer regions
2001-04
[34]
간행물
A taxonomic revision of ''Acaciella'' (Leguminosae, Mimosoideae)
2006-12-30
[35]
웹사이트
Taxon: Genus Faidherbia A. Chevalier, 1934 (plant)
http://taxonomicon.t[...]
2015-11-19
[36]
웹사이트
Flora of China, 6. Tribe ACACIEAE
http://flora.huh.har[...]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2009
[37]
웹사이트
Botany 115 Vegetative Terminology, Modified Roots, Stems and Leaves
http://waynesword.pa[...]
2015-11-19
[38]
웹사이트
Acacia, Thorntree
http://eol.org/pages[...]
2015-11-22
[39]
서적
Ancient Egyptian materials and technology
Cambridge Univ. Press
2000
[40]
문서
In: Flinders, Matthew. A Voyage to Terra Australis 2: 551. 1814.
[41]
문서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2: 424. 1825.
[42]
저널
Legume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in the 21st century: Progress, prospects and lessons for other species-rich clades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