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실거리나무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거리나무아과는 콩과에 속하는 아과로, 잎은 주로 2회 우상복엽이며, 꽃은 좌우대칭이고 꽃잎이 크게 벌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일부 종은 약용, 음용 또는 염료로 사용된다. 과거에는 독립된 아과로 분류되었으나, 분자계통학 연구를 통해 콩과로 통합되었다. 현재 여러 분지군으로 나뉘며, 실거리나무족, 카시아족, 움티자 분지군, 디모르판드라 분지군, 타키갈리 분지군, 펠토포룸 분지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5년 기재된 식물 - 석류풀과
    석류풀과는 약 9개 속과 80여 종으로 구성된 속씨식물 과이며, Adenogramma, Coelanthum, Glinus, Glischrothamnus, Mollugo 등을 포함한다.
  • 1825년 기재된 식물 - 헤르난디아과
    헤르난디아과는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나무, 관목, 덩굴 식물로 이루어진 과이며, 잎은 어긋나고 꽃은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녹나무과, 모니미아과와 계통 분류학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 실거리나무아과 - 카시아속
    카시아속은 다양한 기후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포함하는 속으로, 많은 종이 다른 속으로 이동되었지만, 관상용, 산림 복구, 사막화 방지 등에 활용되며, 일부 종은 전통 의학이나 요리에도 사용되나 독성이 있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고, 한국에서는 카시아를 찾아볼 수 있다.
  • 실거리나무아과 - 소목 (식물)
    소목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심재와 협에서 적색 염료인 브라질린을 얻을 수 있으며, 가지에 가시가 있고 노란색 꽃이 피며, 소목색 염료 및 한방 약재로 사용된다.
실거리나무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호우오우보쿠
학명Caesalpinioideae
명명자DC. 1825
모식 속카이살피니아속 (Caesalpinia)
모식 속 명명자L.
이명케르키도이데아이 (Cercidoideae) Burmeist. 1837
GCM 분지군 (GCM Clade) Marazzi et al. 2012
MCC 분지군 (MCC Clade) Doyle 2011
미모소이데아이 (Mimosoideae) DC. 1825
화석 범위중기 팔레오세 - 현재
하위 분류군
설명본문 참조

2. 특징

잎은 주로 2회 우상복엽이며, 잎자루에 특화된 꽃밖꿀샘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꽃밖꿀샘은 보통 우상엽 또는 소엽 쌍 사이에 위치한다.[1] 꽃은 좌우대칭이며, 5장의 꽃잎이 크게 벌어져 눈에 띄는 경우가 많다.[1] 꽃차례는 구형 또는 수상꽃차례이다.[1] 열매협과이다.[1] 대부분 목본이며, 덩굴성인 것도 많다.[1]

뿌리혹은 가변적으로 존재하며 불확정적이다.[1] 수술은 10개인 경우가 많으나, 일부 속에서는 더 많은 수술을 가지기도 한다.[1] 꽃가루는 일반적으로 4분자, 2분자 또는 다분자이다.[1] 씨앗은 양면에 열린 또는 닫힌 측면선을 갖는다.[1]

일본에 자생하는 자케츠이바라


열대·아열대에 많이 분포한다. 일본에는 자케츠이바라, 사이카치, 카와라케츠메이 등 몇 종이 자생한다.[1]

큰 꽃을 피우며 열대 지역에서 화목으로 재배되는 것도 많다(봉황목 등).[1]

약용이나 음용으로 사용되는 것도 있다(카와라케츠메이, 센나, 에비스구사, 하브소우, 사이카치 등).[1]

소목은 옛날부터 재료를 염료로 사용했다.[1]

봉황목

3. 분류

실거리나무아과는 과거에 콩과 내에서 독립된 아과로 분류되었으나, 분자계통학 연구 결과 콩과 내 다른 아과들과 함께 콩과로 통합되었다.[6][7][8][9][10] 실거리나무아과는 현재 여러 개의 분지군(clade)으로 나뉜다.[7]


  • '''카에살피니에아족 분지군'''
  • '''카시에아족 분지군'''
  • * Batesia|바테시아la 스프루스
  • * Cassia|카시아la L.
  • * Chamaecrista|차마에크리스타la 뫼히
  • * Melanoxylum|멜라녹실룸la 쇼트
  • * Recordoxylon|레코르독실론la 덕케
  • * Senna|센나la 밀.
  • * Vouacapoua|부아카푸아la 오블.
  • '''Dimorphandra|디모르판드라la 그룹 A'''
  • * Burkea|부르케아la 벤담
  • * Campsiandra|캄시안드라la 벤담
  • * Dimorphandra|디모르판드라la 쇼트 ''(일부)''
  • * Dinizia|디니지아la 덕케
  • * Mora|모라la 벤담
  • * Stachyothyrsus|스타키오티르수스la 하름스
  • '''Dimorphandra|디모르판드라la 그룹 B'''
  • * Dimorphandra|디모르판드라la 쇼트 ''(일부)''
  • * Diptychandra|디프티칸드라la 튤.
  • * Erythrophleum|에리트로플레움la R.브라운
  • * Moldenhawera|몰덴하웨라la 슈라드.
  • * Pachyelasma|파키엘라스마la 하름스
  • * Sympetalandra|심페탈란드라la 스타프
  • * 미모사이드 분지군 (~40 속)
  • '''Peltophorum|펠토포룸la 분지군'''
  • * Bussea|부세아la 하름스
  • * Colvillea|콜빌레아la 후크.
  • * Conzattia|콘자티아la 로즈
  • * Delonix|델로닉스la 라프.
  • * Heteroflorum|헤테로플로룸la M. 수사
  • * Lemuropisum|레무로피섬la H.페리에
  • * Parkinsonia|파킨소니아la L.
  • * Peltophorum|펠토포룸la (보겔) 벤담
  • * Schizolobium|스키졸로비움la 보겔
  • '''Tachigali|타키갈리la 분지군'''
  • * Arapatiella|아라파티엘라la 리지니 & A.마토스
  • * Jacqueshuberia|자크휴베리아la 덕케
  • * Tachigali|타키갈리la 오블. (''Sclerolobium'' 포함)
  • '''Umtiza|움티자la 분지군'''
  • * Acrocarpus|아크로카르푸스la 와이트 & 아른.
  • * Arcoa|아르코아la 어브.
  • * Ceratonia|케라토니아la L.
  • * Gleditsia|글레디치아la L.
  • * Gymnocladus|짐노클라두스la 람.
  • * Tetrapterocarpon|테트라프테로카르폰la 험버트
  • * Umtiza|움티자la
  • '''할당되지 않음'''
  • * Pterogyne|프테로기네la 튤.

3. 1. 실거리나무족 (Caesalpinieae)

속(Genus)학명(Scientific Name)비고
공작실거리나무속Caesalpinia Plum. ex L.[14]
극락실거리나무속Erythrostemon Klotzsch[14]
실거리나무속Biancaea Tod.[14]
Arquita Gagnon, G.P.Lewis & C.E.Hughes[14]
Balsamocarpon Clos[14]
Cenostigma Tul.[14]
Cordeauxia Hemsl.[14]
Coulteria Kunth[14]
Denisophytum R.Vig.[14]
Gelrebia Gagnon & G.P.Lewis[14]
Guilandina L.[14]
Haematoxylum L.[14]
Hererolandia Gagnon & G.P.Lewis[14]
Hoffmannseggia Cav.[14]
Hultholia Gagnon & G.P.Lewis[14]
Libidibia Schltdl.[14]
Lophocarpinia Burkart[14]
Mezoneuron Desf.[14]
Moullava Adans.[14]
Paubrasilia Gagnon, H.C.Lima & G.P.Lewis[14]
Pomaria Cav.[14]
Pterolobium R.Br. ex Wight & Arn.[14]
Stenodrepanum Harms[14]
Stuhlmannia Taub.[14]
Tara Molina[14]
Zuccagnia Cav.[14]


3. 2. 카시아족 (Cassieae)


  • 결명속(''Senna'' Mill.)[15]
  • 차풀속(''Chamaecrista'' Moench)[15]
  • 카시아속(''Cassia'' L.)[15]
  • ''Batesia'' Spruce ex Benth. & Hook.f.
  • ''Melanoxylum'' Schott
  • ''Recordoxylon'' Ducke
  • ''Vouacapoua'' Aubl.

3. 3. 움티자 (Umtiza) 분지군


  • 주엽나무속(''Gleditsia'' L.)
  • ''Acrocarpus'' Wight ex Arn.
  • ''Arcoa'' Urb.
  • Ceratonia L.
  • ''Gymnocladus'' Lam.
  • ''Tetrapterocarpon'' Humbert
  • ''Umtiza'' Sim

3. 4. 디모르판드라 (Dimorphandra) A 분지군


  • Burkea Benth.
  • Campsiandra Benth.
  • Dimorphandra Schott (''pro parte'')
  • Dinizia Ducke
  • Mora R.H.Schomb. ex Benth.
  • Stachyothyrsus Harms

3. 5. 디모르판드라 (Dimorphandra) B 분지군


  • 미모사군
  • Dimorphandra Schott (''pro parte'')
  • Diptychandra Tul.
  • Erythrophleum Afzel. ex G.Don
  • Moldenhawera Schrad.
  • Pachyelasma Harms
  • Sympetalandra Stapf

3. 6. 타키갈리 (Tachigali) 분지군


  • 아라파티엘라속( ''Arapatiella'' Rizzini & A.Mattos)
  • 자크휴베리아속( ''Jacqueshuberia'' Ducke)
  • 타키갈리속( ''Tachigali'' Aubl.)

3. 7. 펠토포룸 (Peltophorum) 분지군


  • Bussea Harms
  • Colvillea Bojer ex Hook.
  • Conzattia Rose
  • Delonix Raf.
  • Heteroflorum M.Sousa
  • Parkinsonia Plum. ex L.
  • Peltophorum (Vogel) Benth.
  • Schizolobium Vogel

3. 8. 미분류

Pterogyne|프테로기네la Tul.

4. 계통

콩과는 원지과, 키라야과, 수리아나과 등과 자매군을 이룬다.[16] 콩과 내에서 실거리나무아과는 박태기나무아과, 데타리움아과, 두파르퀘티아아과, 디알리움아과, 콩아과 등과 함께 분지군을 형성한다.[16]

2000년대 초반의 여러 분자계통학 연구에서 콩과의 다른 두 아과인 황기아과와 미모사아과가 모두 실거리나무아과 내에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져, 콩과의 아과는 단일 계통군이 되도록 재구성되었다.[6][7][8][9][10]

과거 엥글러 분류 체계에서는 콩과를 자귀나무아과, 콩아과, 미모사아과의 3개 그룹으로 나누었으나, 2017년 연구를 통해 자귀나무아과는 크게 재편성되어 박태기나무아과, 데탈리움아과, 디아리움아과 등의 아과가 분리되었다. 또한 미모사아과는 Mimosoid clade로 자귀나무아과 내에 포함되었다.[11]

실거리나무아과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군을 포함한다.[7]


  • ''Umtiza'' 분지군
  • Pterogynela
  • 카시아족 분지군
  • 실거리나무족 분지군
  • Dimorphandrala A군
  • Tachigalila 분지군
  • Peltophorumla 분지군
  • Dimorphandrala B군 (내부에 미모사아과 분지군 포함)

5. 한국의 실거리나무아과

한국에는 다음과 같은 실거리나무아과 속들이 자생한다.

비고
주엽나무속주엽나무
실거리나무속실거리나무
결명속결명자
차풀속차풀


6. 활용

실거리나무아과의 많은 종이 관상용, 약용, 염료용 등으로 널리 활용된다.


  • '''관상용:''' 봉황목과 같이 큰 꽃을 피우는 종들은 열대 지역에서 화목으로 재배된다. 박태기나무 등도 아름다운 꽃으로 인해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된다.
  • '''약용:''' 카와라케츠메이(결명자), 센나, 에비스구사(결명자), 하브소우, 사이카치 등은 약용이나 음용으로 사용된다.
  • '''염료용:''' 소목은 옛날부터 염료로 사용되었다.
  • '''기타:''' 캐롭나무의 열매는 식용으로, 목재는 가구 제작 등에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Fabales https://mobot.org/MO[...] 2023-06-16
[2] 논문 Locating evolutionary precursors on a phylogenetic tree
[3] 논문 Phylogenetic perspectives on the origins of nodulation
[4] 서적 Polyploidy and genome evolution Springer
[5] 웹사이트 Flowers in Singapore http://flowersinsing[...]
[6]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Caesalpinioideae (Leguminosae) as Inferred from Chloroplast ''trnL'' Intron Sequences http://www.bioone.or[...]
[7] 논문 Phylogenetic patterns and diversification in the caesalpinioid legumes
[8] 논문 Phylogeny reconstruction in the Caesalpinieae grade (Leguminosae) based on duplicated copies of the sucrose synthase gene and plastid markers
[9] 논문 Reconstructing the deep-branching relationships of the papilionoid legumes
[10] 논문 A new subfamily classification of the Leguminosae based on a taxonomically comprehensive phylogeny
[11] 논문 A new subfamily classification of the Leguminosae based on a taxonomically comprehensive phylogeny
[12] 논문 Phylogeny reconstruction in the Caesalpinieae grade (Leguminosae) based on duplicated copies of the sucrose synthase gene and plastid markers
[13] 간행물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14] 간행물 Flora Germanica Excursoria
[15] 간행물 De formis plantarum leguminosarum primitivis et derivatis
[16]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2016-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