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콩목은 콩과, 키라야과, 원지과, 수리아나과의 4개 과를 포함하며 약 800속 21,000종으로 구성된 속씨식물 분류군이다. 콩과가 가장 큰 과이며, 키라야과는 1속 3종, 수리아나과는 5속 8종, 원지과는 약 20속 1,000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콩목은 장미군에 속하며, 계통 분류에 따라 콩과 내에서 여러 아과로 세분된다. 과거 분류 체계에서는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와 달그렌 분류 체계에서 자귀나무과, 괭이밥과, 콩과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나, 신 에글러 분류 체계에서는 콩목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콩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Fabales |
명명자 | 브롬헤드 |
화석 범위 | 알비안 - 현세 |
하위 분류 | |
과 | 콩과 (Fabaceae, legumes) 퀼라야과 (Quillajaceae) 원지과 (Polygalaceae, milkwort family) 수리아나과 (Surianaceae) |
이명 |
2. 하위 과
콩목은 4과에 약 800속 21,000종을 포함한다.[8]
과 | 속 수 | 종 수 |
---|---|---|
키라야과 (Quillajaceae) | 1 | 3 |
콩과 (Fabaceae) | 약 750 | 약 20,000 |
수리아나과 (Surianaceae) | 5 | 8 |
원지과 (Polygalaceae) | 약 20 | 약 1,000 |
장미군 내에서 콩목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0] 장미군은 크게 포도목과 나머지 그룹으로 나뉘며, 이 나머지 그룹은 다시 콩군(진정장미군 I)과 아욱군(진정장미군 II)으로 분류된다. 콩군은 남가새목, COM군(노박덩굴목, 말피기아목, 괭이밥목), 그리고 질소고정군으로 구성된다. 콩목은 장미목, 참나무목, 박목과 함께 질소고정군에 속한다.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는 콩목을 장미아강에 포함시켰다. 이 체계에서는 콩과를 좁은 의미(협의)로 보고, 자귀나무과와 괭이밥과를 별도의 과로 나누어 이 세 과를 합쳐 콩목으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크론퀴스트 체계의 콩목은 APG 식물 분류 체계나 신 에글러 분류 체계에서의 콩과와 거의 같은 분류군을 포함하게 된다.
3. 계통 분류
콩목 내 과들의 계통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11], 콩목 내에서는 원지과와 수리아나과가 순차적으로 분기하고, 그 다음으로 키라야과와 콩과가 자매군을 형성한다. 콩과 내에서는 박태기나무아과와 데타리움아과 그룹, 그리고 두파르퀘티아아과, 디알리움아과, 실거리나무아과, 콩아과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나뉜다. 장미목을 외군으로 설정한 다른 계통발생 분석에서도 원지과, 수리아나과가 차례로 분기하고 키라야과와 콩과가 자매군을 이루는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또 다른 연구에서는 다른 계통 관계를 제시하기도 한다.[8] 이 연구에서는 키라야과가 콩목 내에서 가장 먼저 분기하고, 그 다음으로 콩과가 분기하며, 수리아나과와 히메하기과(원지과)가 자매군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콩목 내 과들의 정확한 계통 관계는 연구에 따라 일부 다르게 제시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4. 과거 분류 체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콩목에 포함된 과는 다음과 같다.
달그렌 분류 체계에서도 콩목의 내용은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와 동일하게 다루어졌다. 반면, 신 에글러 분류 체계에서는 콩과를 장미목에 포함시키므로 '콩목'이라는 분류 계급 명칭은 사용되지 않는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Paleobiology Database
https://paleobiodb.o[...]
[2]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3]
논문
Butterflies and plants: A phylogenetic study
Society for the Study of Evolution
[4]
논문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of host use and biodiversity in riodinid butterflies
[5]
논문
Systematic and evolutionary implications of rbcL sequence variation in Rosaceae
Botanical Society of America
1994-07
[6]
간행물
Angiosperm diversification through time
[7]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Missouri Botanical Garden
2006-05-07
[8]
웹사이트
Fabales in Stevens, P. F. (2001 onwards).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2014-12-21
[9]
웹인용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미주리 식물원
2006-05-07
[10]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11]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