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앙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앙궁은 '아직 끝나지 않음'을 의미하며 영원함을 상징하는 궁궐로, 한나라 장안의 서쪽에 위치하여 서궁으로 불리기도 했다. 유방의 첫 궁궐인 장락궁과 마주보고 있었으며, 동서 2,150m, 남북 2,250m의 직사각형 형태의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주요 전각으로는 황제의 즉위식 등이 거행되던 전전, 정사를 돌보던 선실전, 겨울철에 황제가 거처하던 온실전, 여름철에 더위를 피하던 청량전 등이 있었고, 그 외 금화전, 승명전 등 다양한 용도의 전각들이 미앙궁에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앙궁 | |
|---|---|
| 지도 정보 | |
| 일반 정보 | |
| 공식 명칭 | 서한 장안성 내의 미앙궁 유적 |
| 위치 | 시안 시, 산시 성, 중국 |
| 일부 | 실크 로드: 장안-톈산 회랑의 도로망 |
| 유형 | 문화유산 |
| 기준 | ii, iii, iv, vi |
| ID | 1442-001 |
| 등재 연도 | 2014년 |
| 면적 | 611.09 헥타르 (6.11 제곱킬로미터) |
| 완충 구역 | 5422.02 헥타르 (54.22 제곱킬로미터) |
| 미앙궁 | |
![]() | |
| 중국어 | |
| 간체 | 未央宫 |
| 병음 | Wèiyānggōng |
| 객가어 | Meihyēunggūng |
| 역사 정보 | |
| 건설 시기 | 서한 시대 |
| 추가 정보 | |
| 별칭 | 끝없는 궁궐 |
2. 명칭
'미앙(未央)'이라는 명칭은 '아직 중간에 이르지 않았다', 즉 '끝이 없다'는 뜻으로, 영원함을 상징한다. 이는 먼저 지어진 장락궁(長樂宮, '영원한 행복')의 이름과 함께 '영원한 행복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1]
미앙궁은 한나라 장안의 서쪽에 있어 '서궁'이라고도 불렸다. 유방의 첫 궁궐인 장락궁은 진나라 이궁인 흥락궁을 보수한 것으로 미앙궁과 마주보고 있었고, 동궁으로 불렸다.[3] 미앙궁은 담장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형태였으며, 동서 길이는 2,150m, 남북 길이는 2,250m이다. 담장 각 면에는 주된 문이 하나씩 있었고, 장안성을 향하는 동문과 북문에는 문루가 세워져 있었다.
3. 구조
3. 1. 주요 전각
미앙궁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전각들이 있었다.3. 1. 1. 전전(前殿)
미앙궁의 정전(正殿)으로, 황제의 즉위식이나 조회 등 주요 국가 행사가 거행되던 곳이다.
3. 1. 2. 선실전(宣室殿)
황제가 정사를 돌보거나 신하들을 접견하던 곳이다.
3. 1. 3. 온실전(溫室殿)
겨울철에 황제가 거처하던 따뜻한 전각이다.
3. 1. 4. 청량전(清涼殿)
여름철에 황제가 더위를 피하여 거처하던 시원한 전각이다.[1]
3. 1. 5. 기타 전각
금화전(金華殿), 승명전(承明殿), 고문전(高門殿), 백호전(白虎殿), 옥당전(玉堂殿), 선덕전(宣德殿), 초방전(椒房殿), 소양전(昭陽殿) 등 다양한 용도의 전각들이 있었다.
참조
[1]
서적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Weiyang Palace: the Largest Palace Ever Built on Earth
http://history.cultu[...]
2010-08-17
[3]
뉴스
자자손손 이어지고 영원히 평안하길 바랐건만
http://www.incheonto[...]
인천투데이
2017-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